KR20240007404A - 자격취득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자격취득 인증시스템 - Google Patents

자격취득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자격취득 인증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7404A
KR20240007404A KR1020220084241A KR20220084241A KR20240007404A KR 20240007404 A KR20240007404 A KR 20240007404A KR 1020220084241 A KR1020220084241 A KR 1020220084241A KR 20220084241 A KR20220084241 A KR 20220084241A KR 20240007404 A KR20240007404 A KR 20240007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cture
qualification
user
test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4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7296B1 (ko
Inventor
조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이러닝교육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이러닝교육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이러닝교육원
Priority to KR1020220084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296B1/ko
Priority to KR1020240006617A priority patent/KR20240012597A/ko
Publication of KR20240007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7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2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09B7/04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a further expla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 G06Q2220/16Copy protection or preven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자격취득 관리서버는 사용자에게 자격인증시험의 문제를 제공하고, 기준 시간 내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답안을 채점하여 기준점수 이상의 점수를 획득한 사용자에게 상기 자격인증시험의 합격자격을 부여하는 자격인증시험 관리모듈과, 상기 기준점수 미만의 점수를 획득한 사용자의 답안을 분석하여, 오답에 해당하는 각 시험항목에 대응하는 학습범위를 판단하는 오답 분석모듈과, 기저장된 강의영상들 중 상기 학습범위와 관련된 강의영상을 선택하고, 선택된 강의영상 중 상기 학습범위에 대한 설명이 포함된 영상구간에 타임스탬프(time stamp)를 생성하여 상기 오답에 대한 해설과 상기 타임스탬프에 대한 하이퍼링크를 포함하는 해설답안을 생성하는 해설답안 편집모듈과,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타임스탬프에 의해 선택된 영상구간에 해당하는 영상들을 추출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이루어진 통합강의영상을 생성하고, 텍스트와 그림으로 이루어진 전체 강의문서 중 상기 통합강의영상에 해당되는 강의문서의 내용을 추출하여 통합강의문서를 생성하는 강의자료 편집모듈과,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해설답안, 상기 통합강의영상, 및 상기 통합강의문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격취득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자격취득 인증시스템{QUALIFICATION ACQUISITION MANAGEMENT SERVER AND SYSTEM FOR CERTIFICATING QUALIFICATION ACQUISITION USING BLOCKCHAIN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격취득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자격취득 인증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매체가 발달되면서 교육기관은 오프라인 교육원 외에도 온라인 교육원을 운영하고 있다. 온라인 교육원에서는 학습에 필요한 강의를 동영상 및 전자문서로 제공하여 학습자에게 원격지에서도 학습이 가능한 교육공간을 제공한다.
교육부는 학점은행제를 교육제도로 운영하고 있고, 온라인 교육원을 통해 정규 교육과정과 일정한 테스트를 거치면 학위 및 자격증 취득을 인정하고 있다. 이 뿐만 아니라 다양한 공공교육기관 및 사교육기관에서도 온라인 교육원을 운영하고 있어, 온라인 교육원을 통해 학습을 수행하고 자격을 취득하는 참여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온라인 교육원에서는 출석, 퀴즈, 과제, 토론, 시험 등이 온라인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학습자가 원하는 시간대에 원하는 장소에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학습장소에 교육 제공자가 존재하지 않아 학습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온라인 교육원에서 시행한 시험이 비정상적인 방법을 통해 진행될 소지가 있다.
한편, 블록체인(Blockchain): 블록체인은 탈중앙화된 분산 시스템으로, 탈중앙화란 기능 수행을 위해 하나의 중앙기관이 존재하지 않고 다수의 참여자가 함께 수행해 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기본적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P2P 네트워크로 구성이 되며, 합의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공통된 과정을 거쳐 블록을 생성한다. 해시의 활용은 블록체인에서 핵심적이며 해시와 함께 다수의 참여자가 같은 데이터를 통해 같은 처리를 한다는 점이 결합하여 데이터의 위변조를 방지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교육과정을 수료한 사용자의 학습능력을 테스트하고, 테스트 결과를 분석하여 부족한 학습지식을 보완하기 위해 맞춤형 강의자료를 제공하는 자격취득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자격취득 인증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온라인 테스트 결과의 신뢰성을 보증하기 위해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온라인 테스트를 진행하는 자격취득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자격취득 인증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격취득 관리서버는, 사용자에게 자격인증시험의 문제를 제공하고, 기준 시간 내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답안을 채점하여 기준점수 이상의 점수를 획득한 사용자에게 상기 자격인증시험의 합격자격을 부여하는 자격인증시험 관리모듈과, 상기 기준점수 미만의 점수를 획득한 사용자의 답안을 분석하여, 오답에 해당하는 각 시험항목에 대응하는 학습범위를 판단하는 오답 분석모듈과, 기저장된 강의영상들 중 상기 학습범위와 관련된 강의영상을 선택하고, 선택된 강의영상 중 상기 학습범위에 대한 설명이 포함된 영상구간에 타임스탬프(time stamp)를 생성하여 상기 오답에 대한 해설과 상기 타임스탬프에 대한 하이퍼링크를 포함하는 해설답안을 생성하는 해설답안 편집모듈과,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타임스탬프에 의해 선택된 영상구간에 해당하는 영상들을 추출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이루어진 통합강의영상을 생성하고, 텍스트와 그림으로 이루어진 전체 강의문서 중 상기 통합강의영상에 해당되는 강의문서의 내용을 추출하여 통합강의문서를 생성하는 강의자료 편집모듈과,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해설답안, 상기 통합강의영상, 및 상기 통합강의문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자격취득 관리서버는, 상기 통합강의문서의 학습내용에 관한 복수의 테스트 문제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테스트 문제 생성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자격취득 관리서버는, 사용자의 심층 학습을 위해 상기 테스트 문제를 이루는 단어들 중 핵심 단어에 마스킹 처리를 수행하고, 마스킹 처리된 단어에 대한 답안을 입력을 받기 위한 마스킹 테스트 문제를 생성하는 마스킹 삽입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마스킹 삽입모듈은 상기 테스트 문제에 복수의 핵심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복수의 핵심 단어 중 어느 한 핵심 단어만 마스킹 처리된 서로 다른 마스킹 테스트 문제를 개별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본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자격취득 인증시스템은, 자격취득 사이트에서 자격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자격취득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자격인증시험에 대응하는 답안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입력받은 답안을 포함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자격취득 사이트를 운영하며,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된 상기 답안을 추출하고, 추출된 답안을 채점하여 기준점수 이상의 점수를 획득한 사용자에게 상기 자격인증시험의 합격자격을 부여하는 자격취득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자격취득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에게 자격인증시험의 문제를 제공하고, 기준 시간 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답안을 채점하여 기준점수 이상의 점수를 획득한 사용자에게 상기 자격인증시험의 합격자격을 부여하는 자격인증시험 관리모듈과, 상기 기준점수 미만의 점수를 획득한 사용자의 답안을 분석하여, 오답에 해당하는 각 시험항목에 대응하는 학습범위를 판단하는 오답 분석모듈과, 기저장된 강의영상들 중 상기 학습범위와 관련된 강의영상을 선택하고, 선택된 강의영상 중 상기 학습범위에 대한 설명이 포함된 영상구간에 타임스탬프를 생성하여 상기 오답에 대한 해설과 상기 타임스탬프에 대한 하이퍼링크를 포함하는 해설답안을 생성하는 해설답안 편집모듈과,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타임스탬프에 의해 선택된 영상구간에 해당하는 영상들을 추출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이루어진 통합강의영상을 생성하고, 텍스트와 그림으로 이루어진 전체 강의문서 중 상기 통합강의영상에 해당되는 강의문서의 내용을 추출하여 통합강의문서를 생성하는 강의자료 편집모듈과,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해설답안, 상기 통합강의영상, 및 상기 통합강의문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격취득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자격취득 인증시스템에 의하면, 교육과정을 수료한 사용자의 학습능력을 테스트하고, 테스트 결과를 분석하여 맞춤형 강의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부족한 학습지식을 보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격취득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자격취득 인증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답안을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자격취득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된 테스트 결과를 블록체인에 기록함으로써, 테스트에 대한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자격취득 인증시스템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격취득 관리서버의 개략적인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격취득 관리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킹 테스트 문제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자격취득 인증시스템의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격취득 관리서버의 개략적인 세부 구성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자격취득 인증시스템은 자격취득 관리서버(100)와 사용자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자격취득 관리서버(100)는 온라인 네트워크를 호스팅할 수 있고,네트워크 주소 지정이 가능한 장치로서, 사용자 단말기(200)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온라인 교육원으로서 교육에 필요한 강의 영상 및 전자문서를 제공하기 위한 온라인 교육 플랫폼을 운영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통신망은 자격취득 관리서버(100)와 사용자 단말기(200)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자격취득 관리서버(100)는 온라인 교육 플랫폼에 접속하여 온라인 교육을 이수한 사용자에게 일정한 인증자격을 부여하기 위해 자격인증시험을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자격인증시험은 온라인 교육 내용과 관련된 객관식, 주관식,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교육과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자격취득 관리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200)에게 자격인증시험의 문제를 제공하고, 기준 시간 동안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된 답안을 자동으로 채점하여 자격인증시험의 합격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자격취득 관리서버(100)는 답안을 채점하여 기준점수 이상의 점수를 획득한 사용자에게 자격인증시험의 합격자격을 부여하지만, 기준점수 미만의 점수를 획득한 사용자에게는 자격인증시험의 불합격 통지를 제공한다.
자격인증시험은 서로 원거리에 위치한 자격취득 관리서버(100)와 사용자 단말기(200) 사이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격인증시험에 대한 신뢰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자격인증시험에 제공한 답안이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된 답안과 상이하거나, 자격취득 관리서버(100)로부터 제공된 합격여부에 대한 결과가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조작되는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블록체인을 이용한 자격취득 인증시스템은 이러한 신뢰성 검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격인증시험에 대한 답안 제공과 자격인증시험에 대한 합격자격 통지를 블록체인(BC)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격취득 관리서버(100)는 자격인증시험을 시행하기 위한 스마트 계약을 블록체인(BC)에 배포할 수 있다. 자격인증시험을 시행하기 위한 스마트 계약은 블록체인(BC) 상에서 기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면 자동으로 체결되는 전자계약으로서, 특정한 어카운트 주소를 갖는 사용자로부터 기설정된 형식의 답안을 수신하면 자동으로 계약이 체결되고, 답안을 채점하여 결정된 자격인증시험의 합격자격 여부를 블록체인(BC)에 반환하는 것으로 계약이 종료된다. 여기서, 또한, 블록체인(BC) 내 모든 트랜잭션은 SHA-256으로 해시되어 해시값이 저장될 수 있으며, 블록체인(BC)의 블록에는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고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해시값이 저장될 수 있다.
즉, 자격취득 관리서버(100)는 자격인증시험 시행시 사용자 단말기(200)에 네트워크를 통해 자격인증시험의 문제를 전송하고, 블록체인(BC) 상에 자격인증시험을 시행하기 위한 스마트 계약을 배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된 트랜잭션에 의해 자격인증시험을 시행하기 위한 스마트 계약이 체결된 경우, 자격취득 관리서버(100)는 블록체인(BC)으로부터 답안을 추출한 후 채점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자격취득 관리서버(100)는 답안을 채점하여 기준점수 이상의 점수를 획득한 경우 자격인증시험의 합격자격에 대응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블록체인(BC)에 반환하고, 기준점수 미만의 점수를 획득한 경우 자격인증시험의 불합격 자격에 대응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블록체인(BC)에 반환할 수 있다.
이때, 블록체인(BC)에는 타임스탬프가 생성되므로, 자격취득 관리서버(100)는 타임스템프를 기준으로 기준 시간 내에 제공된 답안만을 유효한 것으로 인정하며,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입력된 답안 유효하지 않은 답안으로 판단할 수 있다. 자격취득 관리서버(100)는 타임스템프를 기준으로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답안이 입력된 경우 스마트 계약을 종료시키고, 자격인증시험에 불합격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자격인증시험의 답안이 블록체인(BC)에 기록되고, 자격취득 관리서버(100)로부터 제공된 자격인증시험의 결과가 블록체인(BC)에 기록되므로, 답안 또는 결과에 대한 조작이 불가능하며 외부에 투명하게 공개되어 자격인증시험에 대한 신뢰성이 보장될 수 있다.
자격취득 관리서버(100)는 자격인증시험의 불합격 통지를 받은 사용자를 위한 맞춤형 학습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자격인증시험의 목적은 일정한 수준의 학습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자격을 부여하는 것이므로, 시험결과를 통해 학습자의 학습지식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다.
자격취득 관리서버(100)는 자격인증시험 관리모듈(110), 오답 분석모듈(120), 해설답안 편집모듈(130), 강의자료 편집모듈(140), 테스트 문제 생성모듈(150), 마스킹 삽입모듈(160), 통신모듈(170), 및 저장모듈(180)을 포함할 수 있다.
자격인증시험 관리모듈(110)은 사용자에게 자격인증시험의 문제를 제공하고, 기준 시간 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답안을 채점하여 기준점수 이상의 점수를 획득한 사용자에게 자격인증시험의 합격자격을 부여할 수 있다. 반면, 자격인증시험 관리모듈(110)은 기준점수 미만의 점수를 획득한 사용자에게 자격인증시험의 불합격 자격을 부여할 수 있다.
오답 분석모듈(120)은 기준점수 미만의 점수를 획득한 사용자의 답안을 분석하여, 오답에 해당하는 각 시험항목에 대응하는 학습범위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학습범위에는 챕터 1 내지 10가 존재하지만, 오답이 챕터 3에서 설명된 학습내용과 관련된 경우, 오답 분석모듈(120)은 챕터 3을 오답에 해당하는 학습범위로 판단할 수 있다.
해설답안 편집모듈(130)은 기저장된 강의영상들 중 오답 분석모듈(120)에 의해 판단된 학습범위와 관련된 강의영상을 선택하고, 선택된 강의영상 중 학습범위에 대한 설명이 포함된 영상구간에 타임스탬프를 생성하고, 오답에 대한 해설과 타임스탬프에 대한 하이퍼링크를 포함하는 해설답안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자격인증시험에 대한 오답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해설답안을 할 수 있고, 사용자는 해설답안에 포함된 타임스탬프를 클릭하여 오답에 대한 해설을 시청할 수 있다.
강의자료 편집모듈(140)은 사용자에게 타임스탬프에 의해 선택된 영상구간에 해당하는 영상들을 추출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이루어진 통합강의영상을 생성하고, 텍스트와 그림으로 이루어진 전체 강의문서 중 통합강의영상에 해당되는 강의문서의 내용을 추출하여 통합강의문서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오답과 관련된 학습범위에 대한 학습지식이 취약할 수 있기 때문에, 해설답안을 시청하는 것만으로는 학습이 부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200)는 자격취득 관리서버(100)로부터 통합강의영상과 통합강의문서를 수신하고, 사용자는 통합강의영상과 통합강의문서를 통해 오답과 관련된 학습범위에 대한 집중적인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테스트 문제 생성모듈(150)은 통합강의문서의 학습내용에 관한 복수의 테스트 문제들을 생성할 수 있다. 통합강의문서는 복수의 테스트 문제들은 오답과 관련된 학습범위에 관한 것이므로, 사용자는 복수의 테스트 문제들을 이용하여 상기 학습범위에 대한 반복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마스킹 삽입모듈(160)은 사용자의 심층 학습을 위해 테스트 문제를 이루는 단어들 중 핵심 단어에 마스킹 처리를 수행하고, 마스킹 처리된 단어에 대한 답안을 입력을 받기 위한 마스킹 테스트 문제를 생성할 수 있다. 마스킹 삽입모듈(160)은 테스트 문제에 복수의 핵심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복수의 핵심 단어 중 어느 한 핵심 단어만 마스킹 처리된 서로 다른 마스킹 테스트 문제를 개별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즉, 마스킹 삽입모듈(160)은 하나의 테스트 문제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단어에 마스킹 처리된 복수의 마스킹 테스트 문제들을 생성할 수 있다.
통신모듈(170)은 사용자 단말기(200)와 통신을 수행하며 해설답안, 통합강의영상, 통합강의문서 등을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저장모듈(180)은 해설답안, 통합강의영상, 통합강의문서 등 온라인 교육 플랫폼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일련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자격취득 관리서버(100)에서 운영하는 온라인 교육 플랫폼에 접속하며, 자격획득과 관련된 온라인 강의 영상 및 전자문서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온라인 교육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강의자료를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할 수 있고, 온라인 교육을 이수한 후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자격인증시험을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자격취득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자격인증시험에 대응하는 답안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입력받은 답안을 포함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블록체인(BC)에 기록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200)는 자격인증시험을 시행하기 위한 스마트 계약에 부합하는 답안을 생성하고, 답안을 포함하는 트랜잭션을 블록체인(BC)에 제공하여 자격취득 관리서버(100)와 스마트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기(200)는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tablet) PC, 모바일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MID)), 인터넷 태블릿, IoT(internet of things) 장치, IoE(internet of everything) 장치, 데스크 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laptop)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컴퓨터,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및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자격취득 관리서버(100)에 의해 블록체인(BC)에 기록된 자격인증시험의 결과를 인식할 수 있고, 인식된 결과를 이용할 수 있다. 만약, 블록체인(BC)에 자격인증시험에 대한 합격자격이 기록된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는 블록체인(BC)에 기록된 합격자격을 인식할 수 있고, 추후 합격자격을 인증하기 위한 절차에서 블록체인(BC)의 블록의 해시주소를 인증자료로 제출할 수 있다.
만약, 불합격 자격을 획득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자격취득 관리서버(100)로부터 통합강의영상, 통합강의문서, 테스트 문제, 마스킹 테스트 문제 등을 수신하여 오답과 관련된 심층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격취득 관리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자격취득 관리서버(100)는 자격인증시험에 합격하지 못한 사용자들을 위한 통합강의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자격취득 관리서버(100)는 강의 영상의 학습범위, 핵심내용, 및 핵심단어마다 타임스템프를 삽입할 수 있다. 예컨대, 자격취득 관리서버(100)는 민법에 대한 강의 영상을 제공하는 경우, 물권 파트에 해당하는 영상구간에 타임스템프를 설정할 수 있고, 미성년자라는 핵심단어에 타임스템프를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타임스템프에 대한 하이퍼링크를 클릭하여 물권 파트를 설명하는 강의 영상을 시청하고, 미성년자에 대한 하이퍼링크를 클릭하여 미성년자를 설명하는 강의 영상을 즉시 시청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학습지식이 부족한 학습영역을 찾기 위해 별다른 노력을 하지 않아도, 타임스템프를 통해 손쉽게 해당 학습영역을 찾을 수 있다.
자격취득 관리서버(100)는 기저장된 강의영상들 중 오답 분석모듈에 의해 판단된 학습범위와 관련된 강의영상을 선택하고, 선택된 강의영상 중 학습범위에 대한 설명이 포함된 영상구간에 타임스탬프를 생성하고, 오답에 대한 해설과 타임스탬프에 대한 하이퍼링크를 포함하는 해설답안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자격인증시험에 대한 오답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해설답안을 할 수 있고, 사용자는 해설답안에 포함된 타임스탬프를 클릭하여 오답에 대한 해설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모든 강의영상을 처음부터 사용자에게 시청하게 할 경우 사용자에게는 효율적인 학습이 진행되기 어렵기 때문에, 자격취득 관리서버(100)는 사용자에게 학습이 부족한 부분만을 보완시키기 위한 통합강의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자격취득 관리서버(100)는 사용자에게 타임스탬프에 의해 선택된 영상구간에 해당하는 영상들을 추출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이루어진 통합강의영상(IM3)을 생성하고, 텍스트와 그림으로 이루어진 전체 강의문서 중 통합강의영상에 해당되는 강의문서의 내용을 추출하여 통합강의문서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격취득 관리서버(100)는 오답을 분석하여 오답과 관련된 학습범위를 판단할 수 있고, 판단된 학습범위를 포함하는 강의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자격취득 관리서버(100)는 오답과 관련된 학습범위만을 사용자에게 학습시키기 위해, 강의영상 내 오답과 관련된 영상구간만을 취합하여 통합강의영상을 생성할 수 있고, 통합강의영상에 대응하는 강의자료를 취합하여 통합강의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강의영상(IM1)에는 제1 내지 제4 타임스템프(t0 내지 t1)가 설정되어 있고, 제2 강의영상(IM2)에는 제5 내지 제8 타임스템프(t0' 내지 t1')가 설정되어 있으며, 오답과 관련된 학습범위는 제1 및 제2 타임스템프(t0 및 t1) 사이에 대응하는 영상구간(PD1)과 제7 내지 제8 타임스템프(t2' 및 t3') 사이에 대응하는 영상구간(PD2)일 수 있다. 자격취득 관리서버(100)는 제1 및 제2 타임스템프(t0 및 t1) 사이에 대응하는 영상구간(PD1)과 제7 내지 제8 타임스템프(t2' 및 t3') 사이에 대응하는 영상구간(PD2)만을 추출하여 통합강의영상(IM3)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통합강의영상(IM3)과 통합강의자료를 이용하여 오답과 관련된 학습범위를 반복하여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오답과 관련된 학습범위에 대한 학습지식이 취약할 수 있기 때문에 해설답안을 시청하는 것만으로는 학습이 부족할 수 있지만, 사용자 단말기(200)는 자격취득 관리서버(100)로부터 통합강의영상(IM3)과 통합강의문서를 수신하고, 사용자는 통합강의영상과 통합강의문서를 통해 오답과 관련된 학습범위에 대한 집중적인 학습을 수행함으로써 이를 보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킹 테스트 문제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자격취득 관리서버(100)는 통합강의문서의 학습내용에 관한 복수의 테스트 문제들을 생성할 수 있다. 통합강의문서는 복수의 테스트 문제들은 오답과 관련된 학습범위에 관한 것이므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표시된 복수의 테스트 문제들을 이용하여 학습범위에 대한 반복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통합강의문서가 민법의 '취소할 수 있는 법률행위'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자격취득 관리서버(100)는 '취소할 수 있는 법률행위'에 대한 테스트 문제(QUE1)와 테스트 문제에 대한 보기(EX1)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테스트 문제(QUE1)와 테스트 문제에 대한 보기(EX1)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답안을 입력받아 정답 또는 오답을 표시하는 형태로 학습을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자격취득 관리서버(100)는 심층 학습을 위해 테스트 문제를 이루는 단어들 중 핵심 단어에 마스킹 처리를 수행하고, 마스킹 처리된 단어에 대한 답안을 입력을 받기 위한 마스킹 테스트 문제를 생성할 수 있다. 자격취득 관리서버(100)는 테스트 문제에 복수의 핵심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복수의 핵심 단어 중 어느 한 핵심 단어만 마스킹 처리된 서로 다른 마스킹 테스트 문제를 개별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즉, 자격취득 관리서버(100)는 하나의 테스트 문제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단어에 마스킹 처리된 복수의 마스킹 테스트 문제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자격취득 관리서버(100)는 테스트 문제(QUE1)에 포함된 핵심단어에 마스킹(MSK) 처리를 하여 복수의 마스킹 테스트 문제들(QUE2, QUE3)을 생성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마스킹(MSK) 처리된 핵심단어를 입력받아 정답 또는 오답을 표시하는 형태로 심층 학습을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자격취득 관리서버(100)는 테스트 문제에 대한 보기(EX1)에 포함된 핵심단어에 마스킹 처리를 하여 복수의 마스킹 보기(EX2)를 생성할 수도 있고, 사용자로부터 마스킹 처리된 핵심단어를 입력받아 정답 또는 오답을 표시하는 형태로 심층 학습을 진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자격취득 관리서버
110: 자격인증시험 관리모듈
120: 오답 분석모듈
130: 해설답안 편집모듈
140: 강의자료 편집모듈
150: 테스트 문제 생성모듈
160: 마스킹 삽입모듈
170: 통신모듈
180: 저장모듈
200: 사용자 단말기
BC: 블록체인

Claims (4)

  1. 사용자에게 자격인증시험의 문제를 제공하고, 기준 시간 내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답안을 채점하여 기준점수 이상의 점수를 획득한 사용자에게 상기 자격인증시험의 합격자격을 부여하는 자격인증시험 관리모듈;
    상기 기준점수 미만의 점수를 획득한 사용자의 답안을 분석하여, 오답에 해당하는 각 시험항목에 대응하는 학습범위를 판단하는 오답 분석모듈;
    기저장된 강의영상들 중 상기 학습범위와 관련된 강의영상을 선택하고, 선택된 강의영상 중 상기 학습범위에 대한 설명이 포함된 영상구간에 타임스탬프(time stamp)를 생성하여 상기 오답에 대한 해설과 상기 타임스탬프에 대한 하이퍼링크를 포함하는 해설답안을 생성하는 해설답안 편집모듈;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타임스탬프에 의해 선택된 영상구간에 해당하는 영상들을 추출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이루어진 통합강의영상을 생성하고, 텍스트와 그림으로 이루어진 전체 강의문서 중 상기 통합강의영상에 해당되는 강의문서의 내용을 추출하여 통합강의문서를 생성하는 강의자료 편집모듈;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해설답안, 상기 통합강의영상, 및 상기 통합강의문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자격취득 관리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강의문서의 학습내용에 관한 복수의 테스트 문제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테스트 문제 생성모듈을 더 포함하는 자격취득 관리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심층 학습을 위해 상기 테스트 문제를 이루는 단어들 중 핵심 단어에 마스킹 처리를 수행하고, 마스킹 처리된 단어에 대한 답안을 입력을 받기 위한 마스킹 테스트 문제를 생성하는 마스킹 삽입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마스킹 삽입모듈은 상기 테스트 문제에 복수의 핵심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복수의 핵심 단어 중 어느 한 핵심 단어만 마스킹 처리된 서로 다른 마스킹 테스트 문제를 개별적으로 생성하는 자격취득 관리서버.
  4. 자격취득 사이트에서 자격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자격취득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자격인증시험에 대응하는 답안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입력받은 답안을 포함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자격취득 사이트를 운영하며,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된 상기 답안을 추출하고, 추출된 답안을 채점하여 기준점수 이상의 점수를 획득한 사용자에게 상기 자격인증시험의 합격자격을 부여하는 자격취득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자격취득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에게 자격인증시험의 문제를 제공하고, 기준 시간 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답안을 채점하여 기준점수 이상의 점수를 획득한 사용자에게 상기 자격인증시험의 합격자격을 부여하는 자격인증시험 관리모듈;
    상기 기준점수 미만의 점수를 획득한 사용자의 답안을 분석하여, 오답에 해당하는 각 시험항목에 대응하는 학습범위를 판단하는 오답 분석모듈;
    기저장된 강의영상들 중 상기 학습범위와 관련된 강의영상을 선택하고, 선택된 강의영상 중 상기 학습범위에 대한 설명이 포함된 영상구간에 타임스탬프를 생성하여 상기 오답에 대한 해설과 상기 타임스탬프에 대한 하이퍼링크를 포함하는 해설답안을 생성하는 해설답안 편집모듈;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타임스탬프에 의해 선택된 영상구간에 해당하는 영상들을 추출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이루어진 통합강의영상을 생성하고, 텍스트와 그림으로 이루어진 전체 강의문서 중 상기 통합강의영상에 해당되는 강의문서의 내용을 추출하여 통합강의문서를 생성하는 강의자료 편집모듈;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해설답안, 상기 통합강의영상, 및 상기 통합강의문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자격취득 인증시스템.
KR1020220084241A 2022-07-08 2022-07-08 자격취득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자격취득 인증시스템 KR102627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241A KR102627296B1 (ko) 2022-07-08 2022-07-08 자격취득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자격취득 인증시스템
KR1020240006617A KR20240012597A (ko) 2022-07-08 2024-01-16 자격취득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자격취득 인증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241A KR102627296B1 (ko) 2022-07-08 2022-07-08 자격취득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자격취득 인증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06617A Division KR20240012597A (ko) 2022-07-08 2024-01-16 자격취득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자격취득 인증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7404A true KR20240007404A (ko) 2024-01-16
KR102627296B1 KR102627296B1 (ko) 2024-01-19

Family

ID=8971692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4241A KR102627296B1 (ko) 2022-07-08 2022-07-08 자격취득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자격취득 인증시스템
KR1020240006617A KR20240012597A (ko) 2022-07-08 2024-01-16 자격취득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자격취득 인증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06617A KR20240012597A (ko) 2022-07-08 2024-01-16 자격취득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자격취득 인증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2729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2943A (ko) * 2008-07-30 2010-02-09 (주)엠피디에이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문제 운영 시스템
KR101847345B1 (ko) * 2017-04-12 2018-04-10 한국과학기술원 온톨로지 기술과 지식 구조의 기계적 생성을 활용한 객관식 형성 평가 문제의 자동 생성 방법
KR20190108467A (ko) * 2018-10-19 2019-09-24 주식회사 산타 전자문서의 이미지 자동변환을 통한 강의영상 컨텐츠 제작시스템
KR20200015266A (ko) * 2018-08-03 2020-02-12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온라인 시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33605A (ko) * 2018-09-20 2020-03-30 망고슬래브 주식회사 동영상 강의 클립을 추천하는 방법
KR20210093539A (ko) 2020-01-20 2021-07-28 주식회사 장원커뮤니케이션 온라인 시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시험방법
KR20220041676A (ko) 2020-09-25 2022-04-01 (주)인프라케이 퍼미션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온라인 시험 부정행위를 방지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시험 서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2943A (ko) * 2008-07-30 2010-02-09 (주)엠피디에이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문제 운영 시스템
KR101847345B1 (ko) * 2017-04-12 2018-04-10 한국과학기술원 온톨로지 기술과 지식 구조의 기계적 생성을 활용한 객관식 형성 평가 문제의 자동 생성 방법
KR20200015266A (ko) * 2018-08-03 2020-02-12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온라인 시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33605A (ko) * 2018-09-20 2020-03-30 망고슬래브 주식회사 동영상 강의 클립을 추천하는 방법
KR20190108467A (ko) * 2018-10-19 2019-09-24 주식회사 산타 전자문서의 이미지 자동변환을 통한 강의영상 컨텐츠 제작시스템
KR20210093539A (ko) 2020-01-20 2021-07-28 주식회사 장원커뮤니케이션 온라인 시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시험방법
KR20220041676A (ko) 2020-09-25 2022-04-01 (주)인프라케이 퍼미션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온라인 시험 부정행위를 방지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시험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7296B1 (ko) 2024-01-19
KR20240012597A (ko) 202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illingsley et al. Using virtual technology to enhance field experiences for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Hutt et al. Diffusion in a vacuum: edTPA, legitimacy, and the rhetoric of teacher professionalization
Abe et al. Influence of qualification on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computer programmed instructional package on energy concept in upper basic technology in Ekiti State
Mery et al. Performance-based assessment in an online course: Comparing different types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Ullah et al. A study into the usability and security implications of text and image based challenge questions in the context of online examination
US20230260065A1 (en) Enhanced teaching method and security protocol in testing students
Amigud Institutional level identity control strategies in the distance education environment: A survey of administrative staff
Ahlan et al. Information technology enhances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A case of University of Ilorin
Sangtupim et al. Using Quizlet in vocabulary learning: Experiences from Thai high school students
Pan et al. Tracking information literacy in science students: a longitudinal case study of skill retention from general chemistry to biochemistry
Opoko et al. Entry Qualifications and Academic Performance of Architecture Students in Building Structures
Offenberger et al. Initial validation of the cybersecurity concept inventory: pilot testing and expert review
Lin et al. Using collaborative annotating and data mining on formative assessments to enhance learning efficiency
KR102627296B1 (ko) 자격취득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자격취득 인증시스템
Akour et al. The COVID-19 pandemic: When e-learning becomes mandatory not complementary
Zhang Research on the interdisciplinary competence and its influencing factors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under the emerging engineering education
Chatterjee et al. Cloud based LMS Security& Exam Proctoring Solution
AbuMansour Proposed bio-authentication system for question bank in learning management systems
Cossaboon Online versus traditional instruction in a community college
Medeiros The gap between forensic accounting education and required skills for a practitioner
Lagcao et al. Predicting success of teacher candidates: Academic performance and licensure examination of BEED graduates from 2017 to 2019
Watson Certifying Computer Forensics Skills
ELBAY COVID-19 AND DISTANCE EDUCATION IN TURKEY: INVESTIGATION OF ACADEMIC ACHIEVEMENT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Noguera et al. Enhancing the quality of online assessment with the support of an e-authentication system
Meyliana et al. A proposed model of secure academic transcript records with blockchain technology in higher edu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