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1432B1 - 온라인 학습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학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1432B1
KR101141432B1 KR1020110079991A KR20110079991A KR101141432B1 KR 101141432 B1 KR101141432 B1 KR 101141432B1 KR 1020110079991 A KR1020110079991 A KR 1020110079991A KR 20110079991 A KR20110079991 A KR 20110079991A KR 101141432 B1 KR101141432 B1 KR 101141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erver
learning
typ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9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희
이동수
강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매쓰홀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매쓰홀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매쓰홀릭
Priority to KR1020110079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1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09B7/04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a further expla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학습 유형별로 사용자의 이해도의 상태를 단계별로 구분하여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으로, 서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형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 문제 저장부와 상기 문제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답안에 대하여 정오를 판단하는 정오 판단부와 사용자에 의해 학습된 유형의 문제에 대한 사용자의 이해도를 판단하는 유형습득 판단부와 상기 서버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서버 제어부를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된 문제를 출력하는 단말 출력부와 상기 문제에 대한 답안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단말 입력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전체를 제어하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온라인 학습 시스템{ON-LINE LEARNING SYSTEM}
본 발명은 온라인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학습 유형별로 학습 상태를 단계별로 구분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학습 상태를 구체적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하고 서버는 사용자가 취약한 유형에 대해 다른 문제를 반복적으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해당 유형의 문제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말미암아 원거리 데이터통신망을 매개하여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스트서버를 통하여 다수의 가입자측으로 실시간 제공하는 정보제공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특정분야의 정보 확보 및 그 전송기술은 무선 및 유선 인터넷망을 통하여 그 성장이 급속도로 증대되고 있으며, 전송용량에 있어서도 메가(MEGA)급의 데이터에서 기가(GIGA)급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를 기반으로, 최근에는 가입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보다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한 캐쉬메모리 확장기술 등 주변기술과 가입자의 취향 및 선호도에 따라 보다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정보 선별기술 및 압축기술이 개발되어 있어 오프라인상에서의 각종 운용 시스템들도 그 처리시간이 획기적으로 감소되고 있으며, 그로 인한 처리 비용 또한 대폭적인 감소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오프라인상에서 불특정 다수 가입자들에 대한 온라인 학습 강좌를 개설하여 온라인 교육을 실시하는 각종 학원 및 교육센터 등이 그 접근 용이성 및 공간적, 시간적인 학습제한 요소의 해결을 위하여 온라인 강좌를 개설하고 강의하는 온라인 강의를 행하고 있으며 해당 분야의 기술이 특허로 출원되어 있다.
일 예로, 한국공개특허2003-0024517호는 개인 능력별, 취약분야별 학습 내용 및 문제의 구성을 각 가입자별로 차별화하여 제공하도록 한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개인 능력별 온라인 교육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내부에 통신모듈, 회원관리부, 학습 내용/문제 구성부, 문제 채점 처리부, 학습 시간 관리부, 화면구성부, 각종 DB, 제어부로 구성되는 개인 능력별 온라인 교육 서버(ICOES)는 가입자가 가입자 단말기를 매개하여 상기 개인 능력별 온라인 교육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ID를 입력하고, 로그온을 하여 가문제창을 선택하면 개인 능력별 온라인 교육 서버는 해당 가입자의 수준 및 취약분야를 고려하여 문제를 구성한 후 그 문제를 가입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가입자는 제공받은 문제를 풀고, 정답 확인 버튼을 선택하면 개인 능력별 온라인 교육 서버는 해당 정답 및 풀이 데이터를 추출하여 가입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출력시킨다. 이때, 가입자가 동유형의 다른 문제의 출력을 소망하면 개인 능력별 온라인 교육 서버는 문제 은행 서버(MBS)로 문제를 요구하거나 학습 DB에 저장된 문제 중 동유형의 문제를 무작위 추출하여 제공하는데, 이를 위하여 개인 능력별 온라인 교육 서버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 및 문제 데이터의 분류는 각 과목별, 항목별(예컨대, 방정식, 부등식, 집합 등), 유형별, 난이도별로 미리 분류되어 있다.
또한, 가입자가 특정 문제를 선택하고 그에 대한 인쇄를 선택하면, 해당 문제 데이터를 별도로 취합하여 인쇄할 수 있으며, 가입자가 특정 문제를 선택하고 그에 대한 문제 보관을 소망하면, 개인 능력별 온라인 교육 서버는 해당 가입자의 기설정 디렉토리에 선택된 문제 데이터를 보관하도록 하여, 각 가입자의 개인 능력에 따라 수준별, 취약분야별로 학습 데이터 및 문제 데이터를 상이하게 구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차별화된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각 가입자가 학습창에서 문제의 보관 및 인쇄를 선택한 문제만을 별도로 취합하여 행하므로 매우 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른 예로, 한국공개특허2010-0014016호는 전자학습용 관리 서버 및 전자학습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온라인 망을 통해 단말기가 접속하도록 하는 접속 유닛과; 접속된 단말을 분류하여 관리하는 접속관리 유닛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그리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등록된 단말기의 고유번호 및 상기 등록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신상정보가 포함되는 서지정보가 저장되는 등록 단말별 DB와; 상기 학습 컨텐츠가 저장되는 학습 컨텐츠 DB가 저장되는 통합 데이터 DB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학습용 관리 서버를 이용한 전자학습 서비스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자학습 단말장치(100)는 상기 관리서버(200)에 등록이 되어있어 상기 전자학습 단말장치(100)로부터 컨텐츠 전송요청을 수신한 관리서버(200)는(S210), 상기 컨텐츠 전송을 요청한 전자학습 단말장치(100)를 식별하여, 대상 컨텐츠를 선별한다(S220). 그리고, 상기 선별된 학습 컨텐츠를 상기 전자학습 단말장치(100)로 전송한다(S250).
사용자의 학습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전자학습 단말장치(100)는 상기 저장된 학습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답안을 입력 받는다(S330).
상기 전자학습 단말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답안을 상기 학습 컨텐츠 내의 답안정보와 비교하여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다(S370). 그리고, 상기 생성된 결과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고, 상기 결과 데이터를 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S390).
상기 결과 데이터를 수신한 상기 관리서버(200)는, 수신된 결과 데이터를 저장한다(S410). 그리고 상기 결과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학습상태를 분석한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한다(S420). 생성된 피드백정보는 상기 전자학습 단말장치(100)로 전송되고(S440), 상기 피드백 정보를 수신한 상기 전자학습 단말장치(100)는 상기 수신된 피드백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출력한다(S510, S520).
관리자 단말기는 관리서버(200)의 데이터 베이스(240)에 저장된 데이터를 열람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저장정보 열람을 요청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저장정보 열람요청이 상기 관리서버(200)로 수신되면(S710, S720), 상기 관리서버(200)는 상기 접속된 관리자 단말기를 인증하여, 그 종류를 파악한다(S730).
상기 관리자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학부모 단말의 경우 연계된 하나의 전자학습 단말장치(100)에 대한 등록 단말별 DB 만을 검색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되고, 교사 단말일 경우 상기 데이터 베이스(240)의 모든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인증과정이 종료되면, 요청된 해당 저장정보를 관리자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저장정보를 수신한 관리자 단말은 이를 관리자에게 출력한다(S740, S750, S760).
상기의 처리 과정에 의해 전자학습 단말장치로 정답 및 해설이 포함된 학습 컨텐츠를 전송하여, 단말장치 상에 저장하여 학습을 수행하므로, 상기 학습 컨텐츠가 전송된 이후에는 무선통신이 불가능한 지역에서도 학습을 수행할 수 있어, 학습의 지역적, 시간적 제약이 해소되며, 정답 및 해설이 포함된 학습 컨텐츠를 전자학습 단말장치로 전송하여, 단말장치 내에서 학습 및 평가가 수행되므로, 데이터 통신 량이 비교적 줄어들고, 데이터 통신요금이 부과되는 통신서비스 사용시에도, 사용요금에 대한 부담이 줄어드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기술에 따른 온라인 학습 시스템은 사용자가 해당 유형에 해당하는 문제에 대해 학습을 수행하였는지 여부만을 확인하거나 단순히 반복적으로 문제를 출제하여 문제를 풀도록 유도할 뿐 해당 유형의 문제에 대하여 사용자의 이해도가 어느 정도인지 확인이 불가능하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온라인 학습 시스템은 해당 유형에 대한 학습 여부를 O, X로 체크 표시하여 O인 경우 학습하였다고 표시하고 X인 경우 학습하지 않은 것으로 표시할 뿐 해당 유형에 대한 사용자의 이해도를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또한 학습하였다 하더라도 사용자가 비슷한 유형의 문제를 풀기를 원할 때 다른 유형의 문제를 출제하여 제공하여 사용자가 문제를 풀도록 함으로써 단순히 반복에 의하여 해당 유형의 문제를 이해하도록 할 뿐이어서 충분한 이해력을 가지고 있어 반복해서 문제를 풀 필요가 없는 유형에 대해서 반복적으로 학습하도록 하고 충분한 이해력을 가지고 있지 않은 유형의 문제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만일 비슷한 유형의 문제의 출제를 요청하지 않은 경우 다른 문제를 제공하지 않아도 학습이 완료된 상태로 표시되므로 효과적인 학습 방법을 제공하고 있지 못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에게 학습 유형별로 사용자의 이해도의 상태를 단계별로 구분하여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가 문제 유형별로 자신의 이해도의 상태를 단계별로 구분하여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취약한 유형에 대해서는 다른 문제를 반복적으로 제공하여 풀도록 유도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유형의 문제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 유형에 대해서도 학습 상태에 따라 이해도에 대한 상태를 달리 표시하여 사용자가 추가 학습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서버와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한 온라인 학습시스템은,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형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 문제 저장부와 상기 문제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답안에 대하여 정오를 판단하는 정오 판단부와 사용자에 의해 학습된 유형의 문제에 대한 사용자의 이해도를 판단하는 유형습득 판단부와 상기 서버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서버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된 문제를 출력하는 단말 출력부와 상기 문제에 대한 답안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단말 입력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전체를 제어하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서버 문제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각 문제에 대한 해설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 문제해설 저장부, 해당 유형의 문제에 대한 사용자의 학습 이력을 저장하는 서버 학습이력 저장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오답 이유 정보와 오답에 해당하는 유형에 대한 다른 문제의 답안의 정오 결과로부터 최종 오답 이유를 판단하는 오답이유 판단부,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범위에서 오답으로 판단된 문제의 오답노트를 생성하는 오답노트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서버에서 전송된 문제를 저장하는 단말 문제 저장부, 상기 서버에서 전송된 학습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 학습이력 저장부, 상기 서버에서 전송된 오답노트 정보를 저장하는 오답노트 저장부 또는 상기 서버에서 전송된 문제해설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 문제해설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해당 유형의 문제에 대한 사용자의 이해도는 기초단계, 긍정단계, 부정단계 및 혼합단계로 구분되며, 상기 긍정단계는 제1긍정단계 및 제2긍정단계로 더 구분되고, 상기 부정단계는 제1부정단계 및 제2부정단계로 더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기초단계는 사용자가 해당 유형의 문제를 한 번도 학습한 적이 없는 상태이고, 상기 혼합단계는 사용자가 해당 유형의 문제에 대해 긍정단계와 부정단계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는 상태이고, 상기 제1긍정단계는 사용자가 해당 유형의 문제에 대해 정답률이 1/2 이상인 상태이고, 제2긍정단계는 해당 유형의 문제에 대해 정답률이 2/3 이상인 상태이고, 상기 제1부정단계는 사용자가 해당 유형의 문제에 대해 정답률이 1/2 미만인 상태이고, 제2부정단계는 해당 유형의 문제에 정답률이 1/3 미만인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학습 시스템은 사용자가 문제 유형별로 자신의 이해도의 상태를 단계별로 구분하여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취약한 유형에 대해서는 다른 문제를 반복적으로 제공하여 풀도록 유도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유형의 문제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 유형에 대해서도 학습 상태에 따라 이해도에 대한 상태를 달리 표시하여 사용자가 추가 학습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학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학습 시스템에서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학습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학습 시스템에서 서버와 사용자 단말기 간의 데이터 처리 과정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학습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유형별 학습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학습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해당 유형의 문제에 대한 학습 상태를 단계별로 구분하는 일 예와 단계별 학습 상태에 대한 설명이다.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온라인 학습 시스템과 데이터 처리 과정에 대한 예시이다.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온라인 학습 시스템에서 각 장치간 데이터 처리 과정에 대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학습 시스템을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학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로, 서버(120)와 사용자 단말기(130)와 서버와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되는 통신망(110)으로 구성된다.
서버(120)는 사용자(140)의 개인 정보 등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30)를 통해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기(130)는 사용자(140)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통신망(110)을 통해 서버(120)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학습 시스템에서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학습 시스템의 서버(120)는 중앙 처리 장치를 포함하여 서버 전체를 제어하는 서버 제어부(210), 사용자 데이터 및 문제 유형별로 학습을 위한 문제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 저장부(220),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13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가공하는 데이터 처리부(230), 서버(12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 등을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프린터로 출력하는 서버 출력부(240), 서버 관리자로부터 서버 관리 등에 요구되는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하는 서버 입력부(250), 및 사용자 단말기(130)와 통신망(110)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서버 송수신부(260)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 저장부(220)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학습 과정 별로 난이도와 진도에 맞춰 구성되어 있는 학습 유형별로 미리 생성된 문제와 이에 대한 정답을 저장하고 있는 서버 문제 저장부(221)와, 각 문제별로 문제 풀이 방법 및 필요 정보 등을 포함하는 문제에 대한 해설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 문제해설 저장부(222)와, 사용자가 학습한 내용 등의 학습 이력을 저장한 학습 이력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 학습이력 저장부(223)와, 사용자에 관한 개인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는 사용자정보 저장부(224)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230)에는 서버(120)에서 전송한 문제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문제 풀이 데이터로부터 각 문제에 대하여 정답 또는 오답 여부를 판단하는 정오 판단부(231)와, 해당 문제가 오답인 경우 사용자로부터 오답의 이유를 입력받아 해당 이유가 정확한 오답의 이유인지를 판단하는 오답이유 판단부(232)와, 사용자의 요청 또는 정해진 일정 또는 학습 진도에 따라 사용자가 학습한 학습 문제 중 오답인 문제에 대하여 오답 이유 또는 문제 해설 등을 포함하는 오답 노트를 생성하는 오답노트 생성부(233)와, 틀린 문항에 대해 유사한 유형의 문항을 사용자로 하여 다시 풀도록 하여 오답 문항의 문제 유형에 대한 학습 이해도를 판단하는 유형습득 판단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학습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학습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130)는 중앙 처리 장치를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기 전체를 제어하는 단말 제어부(310)와, 문제 유형별로 학습을 위한 문제 등의 데이터를 서버(120)로부터 전송받아 이를 저장하는 단말 저장부(320)와, 사용자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데이터 등을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프린터로 출력하는 단말 출력부(330)와, 사용자로부터 문제에 대한 답안 또는 학습에 필요한 정보의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하는 단말 입력부(340)와, 서버(120)와 통신망(110)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단말 송수신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저장부(320)는 서버(120)에서 생성되어 전송된 학습 유형에 따른 문제를 저장하는 단말 문제 저장부(321)와, 서버(120)에서 생성되어 전송된 해당 문제에 대한 해설을 저장하는 단말 문제해설 저장부(322)와, 서버(120)에서 생성되어 전송된 사용자의 학습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학습이력 저장부(323)와, 서버(120)에서 생성되어 전송된 학습 문제 중 오답인 문제에 대한 오답노트를 저장하는 오답노트 저장부(324)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학습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문제 유형별로 자신의 이해도의 상태를 단계별로 구분하여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취약한 유형에 대해서는 다른 문제를 반복적으로 제공하여 풀도록 유도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유형의 문제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 유형에 대해서도 학습 상태에 따라 이해도에 대한 상태를 달리 표시하여 사용자가 추가 학습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관하여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학습 시스템에서 서버(120)와 사용자 단말기 (130)간의 데이터 처리 과정도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학습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습득해야 할 학습과정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예로, 수(상), 수(하), 수1 또는 수2, 미적분 등이라 한다.
각 선택된 학습 과정에는 세부 학습 과정이 있을 수 있으며, 일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2에는 분수 방적식의 풀이, 분수방정식의 근의 판별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각 학습 과정에는 그 목적에 따라 일 예로 3가지 학습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학습유형은 지난 시간 학습 내용에 대한 점검과 부족한 부분에 대한 추가학습을 목적으로 하며, 제2 학습유형은 해당 시간 학습 내용에 대한 점검과 부족한 부분에 대한 추가학습을 목적으로 하고, 제3 학습유형은 동일한 과정 안에서 또는 지나간 학습 진도 전체에서 취약한 유형을 중심으로 복습하고 추가적으로 학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서버(120)에서는 사용자의 이해도를 점검하기 위해 문제를 선별하여 사용자 단말기(130)로 전송한다.
상기에서 예시한 3가지의 학습 유형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사용자의 요청 등에 의하여 자유로이 변경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 4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학습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30)에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여 서버(120)에 접속한다. 상기에서 사용자 정보에는 학습 과정, 난이도 또는 진도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3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전송받은 서버(120)는 서버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하여 사용자정보 저장부(224)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여 승인된 사용자인지 확인하고 학습하여야 할 학습 과정, 학습 진도, 난이도 또는 문제 유형 정보 등을 추출하여 서버 제어부(210)에 출력한다. 한편 이러한 정보는 사용자가 서버(120)에 접속할 때 사용자 정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서버 제어부(210)는 사용자정보 저장부(224)로부터 추출되거나 사용자 단말기(13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정보로부터 추출된 상기의 학습과정, 학습 진도, 난이도 또는 문제 유형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풀어야 할 해당 유형의 문제를 서버 문제 저장부(221)로부터 입력받아 서버 송수신부(26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3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기의 단말 제어부(310)는 서버(120)로부터 전송된 문제를 출력부(330)를 통해 출력하거나 단말 문제 저장부(321)에 저장한다. 상기에서 문제를 출력하는 방법으로는 통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하거나 프린터 등의 문서 인쇄 장치를 통해 인쇄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서버(120)로부터 전송된 문제에 대해 사용자는 단말 입력부(340)를 통해 답안을 입력하면, 단말 제어부(310)는 입력된 답안 데이터를 단말 송수신부(360)를 통해 서버(120)로 전송한다.
서버 제어부(210)는 전송된 답안을 정오 판단부(231)를 통해 확인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13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130)는 이를 출력부(330)를 통해 출력한다.
한편, 사용자는 오답으로 판정된 문제에 대해서는 오답의 이유를 사용자 단말기(130)를 통해 입력하면, 사용자 단말기(130)는 이를 다시 서버(120)에 전송한다.
서버 제어부(210)는 사용자 단말기(130)를 통해 입력된 오답 이유를 오답이유 판단부(232)를 통해 점검하도록 하며, 이를 위해 동일 문제 또는 동일 유형의 다른 문제를 문제 저장부(221)로부터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기(130)로 전송한다.
단말 제어부(310)는 전송된 문제를 출력부(330)를 통해 출력하고, 사용자가 해당 문제에 대하여 답안을 입력하면 이를 서버(120)에 전송한다.
서버 제어부(210)는 입력된 답안을 정오 판단부(231)를 통해 정답 여부를 확인하고, 오답인 경우 오답이유 판단부(232)를 통해 이전에 전송된 오답 이유와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오답 이유를 판단하여 오답노트 생성부(233)에 저장한다.
상기에서 오답 이유는 일 예로, 사용자의 실수 또는 문제에 대한 이해 부족 등이 될 수 있다.
이후 서버 제어부(210)는 문제해설 저장부(222)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문제에 대한 해설 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기(13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130)는 이를 출력부(330)에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문제에 대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오답 이유 분석 결과 사용자가 문제에 대해 충분히 이해되지 않는 경우에는 오답 문제와 유사한 유형의 또는 동일 유형의 문제를 문제 저장부(221)로부터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기(130)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풀도록 함으로써 오답에 해당하는 유형의 문제를 다시 풀도록 하여 해당 유형에 대한 학습의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유형습득 판단부(234)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유형습득 판단부(234)는 해당 유형의 문제에 대한 정답과 오답 발생 빈도와 연속성 등에 의하여 해당 유형의 이해도를 판단한다.
도 6은 사용자의 해당 유형의 문제에 대한 학습 상태를 단계별로 구분하는 일 예와 단계별 학습 상태에 대한 설명으로, 예시적으로 학습 상태를 6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기초단계는 사용자가 한 번도 접한 적이 없는 유형의 문제로 아직 사용자가 해당 유형에 대하여 어떠한 이해도를 가지고 있는지 판단할 수 없는 단계이다.
혼합단계는 일 예로 노란색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 단계는 사용자가 맞고 틀리고를 반복하고 있는 유형의 문제로 하기의 제1긍정단계와 제1부정단계가 번갈아 가며 발생하는 상태이다.
다음으로 긍정단계는 사용자가 해당 유형의 문제에 대해 어느 정도의 이해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단계로 세부적으로 정답률이 1/2 이상이면 제1긍정단계, 정답률이 2/3 이상이면 제2긍정단계로 구분한다. 제1긍정단계는 일 예로 초록색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제2긍정단계는 별 모양으로 표시할 수 있다.
부정단계는 사용자가 해당 유형의 문제에 대해 이해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되는 단계로 세부적으로 정답률이 1/2 미만인 경우 제1부정단계로 빨간색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제2부정단계는 정답률이 1/3 미만으로 일 예로 해골 모양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범위에서 오답노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사용자가 오답노트의 생성범위를 서버 단말기(130)를 통해 입력하면 사용자 단말기(130)는 이를 서버(120)에 전송하고, 서버(120)에서는 오답노트 생성부(233)를 통해 해당 범위에 해당하는 오답노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30)로 전송한다. 상기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범위는 일 예로 진행되는 학습과정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학습과정을 구성하는 전체에서 일부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의 출력부(330)를 통해 출력된 유형 분석의 결과 중 사용자가 선택한 유형에 관련된 정보로 문제 풀이 이력 등의 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력 정보는 일 예로, 해당 유형의 문제를 푼 날짜, 시간, 문제별 풀이 시간, 유형이 속해있는 학습과정, 학습단원, 정오 여부 등의 정보가 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문제에 대한 이력 정보로부터 다시 풀기를 원하는 유형을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기(130)는 이를 서버(120)에 전송하고, 서버(120)는 문제 저장부(221)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유형의 문제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기(130)로 전송한다.
이후 사용자가 해당 문제에 대해 답안을 입력하면 사용자 단말기(130)는 이를 서버(120)에 전송하고, 서버(120)는 정오 판단부(231)를 통해 정답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130)로 전송하고, 유형습득 판단부(234)에서 해당 유형에 대한 사용자의 이해도 상태를 상기 정답 여부에 따라 변경한다.
110: 통신망 120: 서버
130: 사용자 단말기 140: 사용자
210: 서버 제어부 220: 서버 저장부
230: 데이터 처리부 240: 서버 출력부
250: 서버 입력부 260: 서버 송수신부
221: 서버 문제 저장부 222: 서버 문제해설 저장부
223: 서버 학습이력 저장부 224: 사용자정보 저장부
231: 정오 판단부 232: 오답이유 판단부
233: 오답노트 생성부 234: 유형습득 판단부
310: 단말 제어부 320: 단말 저장부
330: 단말 출력부 340: 단말 입력부
350: 단말 송수신부 321: 단말 문제 저장부
322: 단말 문제해설 저장부 323: 단말 학습이력 저장부
324: 오답노트 저장부

Claims (17)

  1.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형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 문제 저장부와,
    상기 서버 문제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각 문제에 대한 해설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 문제해설 저장부와,
    해당 유형의 문제에 대한 사용자의 학습 이력을 저장하는 서버 학습이력 저장부와,
    상기 문제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답안의 정오를 판단하는 정오 판단부와,
    사용자의 요청 또는 정해진 일정 또는 학습 진도에 따라 사용자가 학습한 학습 문제 중 오답인 문제에 대하여 해당 문제 해설이 포함된 오답노트를 생성하는 오답노트 생성부와,
    틀린 문항에 대해 유사한 유형의 문항을 사용자가 다시 풀도록 하여 틀린 문항의 문제 유형에 대한 학습 이해도를 판단하고 해당 유형의 문제에 대한 정답과 오답 발생 빈도 및 연속성에 의하여 사용자의 이해도를 판단하는 유형습득 판단부와,
    서버 관리자로부터 서버 관리에 요구되는 데이터를 입력받는 서버 입력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서버 송수신부와,
    상기 서버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서버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된 문제를 출력하는 단말 출력부와,
    상기 문제에 대한 답안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단말 입력부와,
    상기 서버 제어부가 전송하는 사용자정보 저장부로부터 추출되거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정보로부터 추출된 학습과정, 학습 진도, 난이도 또는 문제 유형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풀어야 할 해당 유형의 문제를 저장하는 단말 문제 저장부와,
    상기 서버에서 전송된 해당 유형의 문제를 푼 날짜, 시간, 문제별 풀이 시간, 유형이 속해 있는 학습과정, 학습단원, 정오 여부가 포함된 학습 이력을 저장하는 단말 학습이력 저장부와,
    상기 서버에서 전송된 오답노트 정보를 저장하는 오답노트 저장부와,
    상기 서버에서 전송된 문제해설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 문제해설 저장부와,
    상기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단말 송수신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전체를 제어하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형습득 판단부는
    사용자의 이해도를 사용자가 한 번도 접한 적이 없어 사용자의 이해도를 판단할 수 없는 기초단계와,
    사용자의 해당 문제 유형에 대한 정답률이 1/2 이상인 제1긍정단계와,
    사용자의 해당 문제 유형에 대한 정답률이 2/3 이상인 제2긍정단계와,
    사용자의 해당 문제 유형에 대한 정답률이 1/2 미만인 제1부정단계와,
    사용자의 해당 문제 유형에 대한 정답률이 1/3 미만인 제2부정단계와,
    연속성 없이 정답과 오답이 반복되는 혼합단계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온라인 학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10079991A 2011-08-11 2011-08-11 온라인 학습 시스템 KR101141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991A KR101141432B1 (ko) 2011-08-11 2011-08-11 온라인 학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991A KR101141432B1 (ko) 2011-08-11 2011-08-11 온라인 학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1432B1 true KR101141432B1 (ko) 2012-05-03

Family

ID=46271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9991A KR101141432B1 (ko) 2011-08-11 2011-08-11 온라인 학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14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615B1 (ko) * 2014-10-29 2016-04-21 주식회사 매쓰홀릭 문제의 상관관계 정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학습 데이터 처리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914A (ko) * 2000-05-06 2000-08-05 최정이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학습방법 및 시스템
KR20090001416A (ko) * 2007-04-10 2009-01-09 주식회사 제드모바일 퀴즈 및 게임을 이용하는 기억율 기반의 단어 학습 시스템및 그 단어 학습 방법
KR100941049B1 (ko) * 2007-07-09 2010-02-05 김중일 온라인 교육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12943A (ko) * 2008-07-30 2010-02-09 (주)엠피디에이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문제 운영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914A (ko) * 2000-05-06 2000-08-05 최정이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학습방법 및 시스템
KR20090001416A (ko) * 2007-04-10 2009-01-09 주식회사 제드모바일 퀴즈 및 게임을 이용하는 기억율 기반의 단어 학습 시스템및 그 단어 학습 방법
KR100941049B1 (ko) * 2007-07-09 2010-02-05 김중일 온라인 교육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12943A (ko) * 2008-07-30 2010-02-09 (주)엠피디에이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문제 운영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615B1 (ko) * 2014-10-29 2016-04-21 주식회사 매쓰홀릭 문제의 상관관계 정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학습 데이터 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43910B (zh) 基于移动应用的对战与闯关练习系统
Mihajlov et al. On designing usable and secure recognition-based graphical authentication mechanisms
KR100838170B1 (ko) e-러닝 학습인증 방법과 관련 시스템
CN109661660A (zh) 基于人工智能的内容推荐和调配的方法和系统
CN107251033A (zh) 用于在在线教育中进行实时用户验证的系统和方法
US11599802B2 (en) Content based remote data packet intervention
CN106056991B (zh) 一种基于汉字识别的儿童早教系统、方法
Lyytimäki et al. Russian dolls and Chinese whispers: Two perspectives on the unintended effects of sustainability indicator communication
CN106296505A (zh) 面向多个对象的教育系统信息交互方法、装置和系统
CN109523127A (zh) 基于大数据分析的员工培训评测方法及相关设备
CN110235116A (zh) 安全的云管理内容递送计算机生态系统
US2022037501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periential skill development
CN108805765A (zh) 一种教学系统
KR102507733B1 (ko) 인공지능 기술 기반 학생 맞춤형 교육 및 취업지원 방법 및 시스템
CN111612664A (zh) 基于大数据的智慧校园平台
CN111192170B (zh) 题目推送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50116157A (ko) 개념 연계 온라인 학습 서비스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시스템
CN110689249A (zh) 一种数学学科素养能力综合分析系统及分析方法
KR101141432B1 (ko) 온라인 학습 시스템
US11042571B2 (en) Data redundancy maximization tool
KR101802377B1 (ko) 유형별 퀴즈 기반의 지식 수집용 클라우드 소싱 서비스 시스템
Fichman Information quality on yahoo! answers
US11973876B1 (en) Value preference capture funnel and coding system
CN109712451A (zh) 多链接交互反馈式实践环节过程考核方法
KR20150072937A (ko) 교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