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2940U - 직화 조리기구 - Google Patents

직화 조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2940U
KR20100012940U KR2020090007984U KR20090007984U KR20100012940U KR 20100012940 U KR20100012940 U KR 20100012940U KR 2020090007984 U KR2020090007984 U KR 2020090007984U KR 20090007984 U KR20090007984 U KR 20090007984U KR 20100012940 U KR20100012940 U KR 201000129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rip tray
plate
lid
roas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79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신근
Original Assignee
비전아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전아트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전아트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079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2940U/ko
Publication of KR201000129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94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6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conduits through the vessel for circulating heating g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직화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가열기의 화기를 조리기구 내부로 직접 유도하여 직화를 통해 조리물을 보다 균일하게 조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음식냄새를 태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직화 조리기구에 의하면; 운두가 낮고 상부에서 아래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좁아지는 벽면(14)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바닥면(11) 중앙에는 상기 가열기의 화기가 유입되도록 화기입구(12)가 천공되고, 내벽면(14)의 중앙부위를 따라서는 구이판-안착부(16)가 마련되며 내벽면(14)의 상단부위를 따라서는 뚜껑-안착부(17)가 띠 형태로 단차를 가지면서 마련된 기름받이(10)와; 내경이 상부(21)는 좁고 하부(22)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역호퍼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부(22)가 상기 기름받이(10)의 화기입구(12) 주변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된 받침턱(13)들을 통해 상기 화기입구(12)의 직상부에 떠받쳐 지지되어 상기 화기입구(12)를 통해 올라오는 화기를 상측으로 유도하는 화기유도부재(20)와; 상기 기름받이(10)의 구이판-안착부(16)에 가장자리가 올려져 안착되며, 중앙부위에는 상기 화기유도부재(20)의 상부(21)를 통해 올라오는 화기가 상측으로 유도되면서 퍼져 나가도록 돔 형태로 돌출되게 이루어지며 벽면을 따라 화기홀(32)들이 천공된 화기-분산유도부(31)가 마련된 구이판(30)과; 상기 구이판(30)이 안착된 상기 기름받이(10)의 상부를 복개하기 위해 마련되며, 가장자리가 상기 기름받이(10)의 뚜껑-안착부(17)에 안착되는 뚜껑(4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직화, 조리기구, 다목적, 조리기, 화기홀

Description

직화 조리기구{A OVEN TYPE COOK-POT }
본 고안은 직화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열기(열원)의 화기를 조리기구 내부로 직접 유입시켜 조리물을 균일하게 조리함과 동시에 냄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직화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나 생선등을 굽거나 바베큐 조리를 하는 경우에는 금속재질의 구이판 형태의 조리기구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 조리기구는 내부에 오목하게 조리공간이 형성된 조리기본체와, 이 조리기본체의 상부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조리기본체 내부에 조리대상물을 넣은 후 뚜껑을 덮고 가열기를 통해 조리를 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조리기구에서는 조리기본체를 뚜껑으로 복개한 상태에서 조리가 진행되기 때문에, 조리 중에 발생된 냄새가 빠져나가지 못하며 이로 인해 뚜껑을 개방하면 음식냄새 및 기름가스 등이 주방 전역으로 빠져나가 상당한 불쾌감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조리기구에서는 조리물이 간접 가열방식으로만 가열 조리되기 때문에, 완숙된 조리가 불가능하며 조리물을 심층부까지 완숙되게 구우면 상대적으로 조리물 표면은 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가열기(열원)의 화기를 조리기구 내부로 직접 유도하여 직화를 통해 조리물을 보다 균일하게 조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음식냄새를 태워 제거할 수 있는 직화 조리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리기구 구조를 개선하여 화기를 조리기구 내부 전역으로 유도하여 직/간접열을 통해 조리를 하거나, 화기가 구이판을 직접 가열하도록 하여 직접열을 통해서도 조리 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한 직화 조리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가열기의 화기를 내부로 직접 유도하여 피조리물을 직화 조리할 수 있는 직화 조리기구에 있어서;
상기 직화 조리기구는; 운두가 낮고 상부에서 아래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좁아지는 벽면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바닥면 중앙에는 상기 가열기의 화기가 유입되도록 화기입구가 천공되고, 내벽면의 중앙부위를 따라서는 구이판-안착부가 마련되며 내벽면의 상단부위를 따라서는 뚜껑-안착부가 띠 형태로 단차를 가지면서 마련된 기름받이와; 내경이 상부는 좁고 하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역호퍼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부가 상기 기름받이의 화기입구 주변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된 받침턱들을 통해 상기 화기입구의 직상부에 떠받쳐 지지되어 상기 화기입구를 통해 올 라오는 화기를 상측으로 유도하는 화기유도부재와; 상기 기름받이의 구이판-안착부에 가장자리가 올려져 안착되며, 중앙부위에는 상기 화기유도부재의 상부를 통해 올라오는 화기가 상측으로 유도되면서 퍼져 나가도록 돔 형태로 돌출되게 이루어지며 벽면을 따라 화기홀들이 천공된 화기-분산유도부가 마련된 구이판과; 상기 구이판이 안착된 상기 기름받이의 상부를 복개하기 위해 마련되며, 가장자리가 상기 기름받이의 뚜껑-안착부에 안착되는 뚜껑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기름받이의 구이판-안착부에서 상기 구이판의 가장자리가 이격된 상태로 안착 지지되어 이들 사이틈을 통해 화기 일부가 유입되도록 구이판의 가장자리 하부에 복수개의 받침돌기가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구이판의 가장자리가 상기 기름받이의 구이판-안착부 벽면과 일정한 간격으로 사이틈이 형성되도록 상기 기름받이의 구이판-안착부 벽면에 복수개의 셋팅돌기가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직화 조리기구에 의하면; 가열기(열원)의 화기가 구이판 상부로 직접 유도 안내되어 직화를 통해 조리물을 균일하게 조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음식냄새를 태워 제거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특히, 가열기의 화기 일부는 화기유도부재와 구이판의 화기-분산유도부를 통해 구이판 상부로 안내되며, 나머지 일부는 기름받이의 내벽면과 구이판의 가장자리 사이틈을 통해 구이판 상부로 균일하게 안내됨으로써 조리물이 보다 균일하게 조리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직화 조리기구에서 화기유도부재를 제거하면, 가열기의 화기가 기름받이의 화기입구를 통해 유도되면서 직접 구이판 하부를 가열함으로써, 뚜껑을 개방한 상태에서 삽겹구이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첨부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직화 조리기구의 구성을 보인 것이고, 도 4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직화 조리기구의 사용 상태를 보인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직화 조리기구의 구성 설명>
본 고안에 따른 직화 조리기구는 가열기의 화기를 내부로 직접 유도하여 피조리물을 직화 조리할 수 있는 것으로,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두가 낮은 벽면(14)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바닥(11) 중앙에 화기입구(12)가 마련된 기름받이(10)와, 이 기름받이(10)의 화기입구(12) 직상부에 배치되어 화기입구(12)를 통해 올라오는 화기를 상측으로 유도하는 화기유도부재(20)와, 기름받이(10)의 상부에 안착되며 피조리물이 올려져 조리되는 구이판(30)과, 이 구이판(30)이 안착된 기름받이(10)의 상부를 복개하기 위한 뚜껑(40)을 갖추고 있는데, 각 구성요소들의 상세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기름받이(10)는 알루미늄 다이케스팅 공법으로 제조되는 것으로, 운두가 낮은 벽면(14)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바닥면(11) 중앙에는 가열기의 화기가 유입되도록 화기입구(12)가 천공되어 있다. 기름받이(10)의 벽 면(14)은 상부에서 아래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벽면(14)에는 구이판-안착부(16)와 뚜껑-안착부(17)가 띠 형태로 단차를 가지면서 순차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즉, 기름받이(10) 내벽면(14) 중앙부위를 따라서 띠 형태로 구이판-안착부(16)가 마련되며, 이 구이판-안착부(16)와 단차를 이루면서 보다 더 외측인 기름받이(10) 내벽면(14)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띠 형태로 뚜껑-안착부(17)가 마련되어 있다.{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구이판-안착부(16)를 기름받이(10) 내벽면(14) 중앙부위를 따라서 구성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기름받이(10)의 내벽면(14) 상부측에 구성하여도 구이판(30)을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화기입구(12) 주변에는 상측으로 돌출되게 받침턱(13)들이 120도 간격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데, 이것은 화기입구(12) 직상부에 일정한 사이틈이 형성되도록 화기유도부재(20)를 떠받쳐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미설명 부호 "15L"과 "15R"은 기름받이(10)의 최상부에 플랜지 형태로 대향되게 마련된 "기름받이-손잡이"이다.
화기유도부재(20)는 기름받이(10)의 화기입구(12) 주변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된 받침턱(13)들을 통해 하부(22)가 화기입구(12)의 직상부에 떠받쳐 지지되어 화기입구(12)를 통해 올라오는 화기를 상측으로 유도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내경이 상부(21)는 좁고 하부(22)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역호퍼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화기유도부재(20)는 스틸 플레이트를 포밍가공하여 제작한 후 세라믹 코팅 처리를 하여 화염이 직접 닿더라도 쉽게 부식되지 않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기유도부재(20)는 받침턱(13)들을 통해 기름받이(10) 화기입구(12)에 단순히 떠받쳐 지지되기 때문에, 피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구이판(30)은 알루미늄 다이케스팅 공법을 통해 대략 원형 플레이트 형태로 제작되는 것으로, 이의 가장자리는 기름받이(10)의 벽면(14) 상부를 따라 띠 형태로 마련된 구이판-안착부(16)에 올려져 안착된다. 이러한 구이판(30)의 중앙부위에는 화기유도부재(20)의 상부(21)를 통해 올라오는 화기가 상측으로 유도되면서 퍼져나가도록 돔 형태로 돌출되게 이루어지며 벽면을 따라 화기홀(32)들이 천공된 화기-분산유도부(31)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또한, 구이판(30)의 가장자리 하부에는 기름받이(10)의 구이판-안착부(16)에서 구이판(30)의 가장자리가 이격된 상태로 안착 지지되도록 복수개의 받침돌기(33)가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게 마련된다. 받침돌기(33)들은 5 ~ 10mm 정도의 높이로 이루어지며 구이판(30)의 가장자리 하부를 따라 120도 간격으로 3곳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구이판(30)의 가장자리는 기름받이(10)의 구이판-안착부(16)에서 사이틈(5 ~ 10mm)이 형성되게 안착되며, 이를 통해 화기 일부가 상측으로 유입되는 것은 물론이며 피조리물에서 나오는 기름 등이 기름받이(10) 바닥으로 용이하게 흘러 내려가게 된다. 또한, 구이판(30) 가장자리가 기름받이(10)의 구이판-안착부(16) 벽면과 일정한 간격으로 사이틈이 형성되도록 기름받이(10)의 구이판-안착부(16) 벽면에도 복수개의 셋팅돌기(18)가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셋팅돌기(18)들 역시 구이판-안착부(16)를 이루는 벽면에서 120도 간격으로 3곳에 마련된다.
한편, 뚜껑(40)은 구이판(30)이 안착된 기름받이(10)의 상부를 여유있게 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에 뚜껑-손잡이(43)가 마련된 돔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의 가장자리는 기름받이(10)의 뚜껑-안착부(17)에 안착된다. 따라서 뚜껑-안착부(17)를 통해 뚜껑(40)을 용이하면서도 긴밀하게 덮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뚜껑(40)을 덮는 경우 구이판(30)의 가장자리와 기름받이(10)의 구이판-안착부(16) 사이틈을 통해 올라오는 화기는 구이판(30과 뚜껑(40) 내부공간 사이로 원활하게 안내되게 된다. 미설명 부호 "41"은 뚜껑(40)의 중앙부위에 마련된 투영창으로, 조리과정 시 뚜껑(40)을 열지 않고서도 피조리물의 조리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뚜껑(40)에는 화기 배출홀(42)이 천공되어 있는데, 이것은 직화 조리시 화기 일부를 외측으로 배출하는 굴뚝 역활을 하여 가열기로부터의 화기가 원활하게 유도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고안에 따른 직화 조리기구의 사용 설명>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직화 조리기구의 사용상태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직화 조리기구를 통한 직화 오븐구이 사용을 설명한다.
먼저, 기름받이(10) 상부에 배치된 구이판(30)에 조리하고자 하는 피조리물을 올려놓는다. 그리고 뚜껑(40)을 덮으면, 이의 가장자리는 뚜껑-안착부(17)를 안착되어 피조리물과 기름받이(30)를 여유있게 덮는다. 그리고 직화 조리기구를 가열기(예를 들면, 가스렌지 또는 가스-스토브)에 올려놓고 가열하면, 기름받이(10)의 화기입구(12)를 통해 가열되면서 조리가 진행된다.
이러한 조리 시, 가열기의 화염(화기)은 기름받이(10)의 화기입구(12)에서 일부(60 ~ 70%)는 화기유도부재(20)를 통해 상측으로 유도되며, 나머지 일부(30 ~ 40%)는 화기입구(12)와 화기유도부재(20) 하부(22) 사이틈을 통해 기름받이(10) 내측으로 빠져나간다.
화기유도부재(20)를 통해 상측으로 유도되는 화기는 도 4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돔 형태의 화기-분산유도부(31)와 이에 천공된 화기홀(32)을 통해 구이판(30) 상부공간으로 직접 들어가 직화 조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기름받이(10) 내측으로 빠져나간 화기는 기름받이(10)의 구이판-안착부(16)와 구이판(30)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된 사이틈을 통해 구이판(30) 상측으로 올라와 직화 조리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이판(30) 상부공간으로 유도된 화기는 피조리물을 직접 가열하여 심층부까지 완숙시키며, 아울러 조리시 뚜껑(40) 내부공간에 발생된 음색냄새 및 기름 가스 등은 화기에 의해 제거된다. 또한, 조리 중에 피조리물에서 나오는 기름 등은 구이판(30) 가장자리측으로 흘러 내려가면서 기름받이(10)의 바닥(11)에 모이게 된다.
결국, 직화 조리기구내의 피조리물은 내부공간으로 직접 유도되는 가열기의 화기를 통해 직화가열 방식으로 고르게 조리됨으로서, 타지 않으면서 보다 균일하게 조리된다.
다음에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직화 조리기구를 통한 삽겹구이 조리를 설명한다.
먼저, 화기유도부재(20)와 뚜껑(40)을 배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기름받이(10) 상부에 구이판(30)만을 올려 놓는다. 그리고 이러한 직화 조리기구를 가열기에 올려놓고 가열하면, 구이판(30)이 직접 가열되면서 삽겹구이를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기의 화염(화기)의 대부분은 구이판(30) 하부를 직접 가열하기 때문에, 구이판(30)이 빠른 속도로 가열되며 이것에 의해 삽겹살 등이 노릇하게 구워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조리중에 삽겹살에서 나오는 기름 등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이판(30) 가장자리측으로 흘러 내려가면서 기름받이(10) 바닥(11)에 모이게 된다.
결국, 본 고안에 따른 직화 조리기구에서 화기유도부재(20)의 배치 여부에 따라 화기를 조리기구 내부 전역으로 유도하여 직/간접열을 통해 조리를 하거나, 화기가 구이판(30)만을 직접 가열하도록 하여 직접열을 통해서도 조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직화 조리기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직화 조리기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 - Ⅲ선에 따른 단면도로, 본 고안에 따른 직화 조리기기의 조립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직화 조리기기의 사용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직화 조리기기의 또 다른 사용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기름받이 12..화기입구
13..받침턱 16..구이판-안착부
17..뚜껑-안착부 20..화기유도부재
30..구이판 31..화기-분산유도부
33..받침돌기 40..뚜껑

Claims (4)

  1. 가열기의 화기를 내부로 직접 유도하여 피조리물을 직화 조리할 수 있는 직화 조리기구에 있어서;
    상기 직화 조리기구는;
    운두가 낮고 상부에서 아래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좁아지는 벽면(14)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바닥면(11) 중앙에는 상기 가열기의 화기가 유입되도록 화기입구(12)가 천공되고, 내벽면(14)의 중앙부위를 따라서는 구이판-안착부(16)가 마련되며 내벽면(14)의 상단부위를 따라서는 뚜껑-안착부(17)가 띠 형태로 단차를 가지면서 마련된 기름받이(10)와;
    내경이 상부(21)는 좁고 하부(22)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역호퍼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부(22)가 상기 기름받이(10)의 화기입구(12) 주변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된 받침턱(13)들을 통해 상기 화기입구(12)의 직상부에 떠받쳐 지지되어 상기 화기입구(12)를 통해 올라오는 화기를 상측으로 유도하는 화기유도부재(20)와;
    상기 기름받이(10)의 구이판-안착부(16)에 가장자리가 올려져 안착되며, 중앙부위에는 상기 화기유도부재(20)의 상부(21)를 통해 올라오는 화기가 상측으로 유도되면서 퍼져 나가도록 돔 형태로 돌출되게 이루어지며 벽면을 따라 화기홀(32)들이 천공된 화기-분산유도부(31)가 마련된 구이판(30)과;
    상기 구이판(30)이 안착된 상기 기름받이(10)의 상부를 복개하기 위해 마련되며, 가장자리가 상기 기름받이(10)의 뚜껑-안착부(17)에 안착되는 뚜껑(4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조리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30)의 가장자리 하부에는 상기 기름받이(10)의 구이판-안착부(17)에서 상기 구이판(30)의 가장자리가 이격된 상태로 안착 지지되어 이들 사이틈을 통해 화기 일부가 유입되도록 복수개의 받침돌기(33)가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조리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받이(10)의 구이판-안착부(16) 벽면에는 상기 구이판(30)의 가장자리가 상기 기름받이(10)의 구이판-안착부(16) 벽면과 일정한 간격으로 사이틈이 형성되도록 복수개의 셋팅돌기(18)가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조리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40)에는 상기 구이판(30) 상부로 올라온 화기 일부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화기 배출홀(42)가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조리기구.
KR2020090007984U 2009-06-22 2009-06-22 직화 조리기구 KR2010001294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984U KR20100012940U (ko) 2009-06-22 2009-06-22 직화 조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984U KR20100012940U (ko) 2009-06-22 2009-06-22 직화 조리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940U true KR20100012940U (ko) 2010-12-30

Family

ID=44485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7984U KR20100012940U (ko) 2009-06-22 2009-06-22 직화 조리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294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1094A (ko) 2020-11-23 2022-05-31 구본욱 휴대용 조리장비 및 휴대용 조리장비의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1094A (ko) 2020-11-23 2022-05-31 구본욱 휴대용 조리장비 및 휴대용 조리장비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9185B1 (ko) 간편 조리기
KR200436173Y1 (ko) 오븐형 간편 조리기
KR100907608B1 (ko) 간편 조리기
EP2133014B1 (en) Cooker for use with gas stoves
KR100924424B1 (ko) 직화 가열용 조리기구
KR200397260Y1 (ko) 직화 조리가 가능한 이중냄비
KR101546526B1 (ko) 이중구조를 갖는 조리기구
KR20110005564U (ko) 직화를 이용한 찜 조리기구
KR20160112425A (ko) 인도어 및 아웃도어 겸용 스테이크 팬
KR200409516Y1 (ko) 직화푸라이팬
KR20110000683U (ko) 오븐형 직화조리기
KR20100012940U (ko) 직화 조리기구
KR200459604Y1 (ko) 찜통형 직화 조리기구
KR20110006479U (ko) 직화열 유도식 오븐기
KR200413907Y1 (ko) 직화 조리가 가능한 다목적 조리기기
KR100956115B1 (ko) 간편 조리기
KR100937958B1 (ko) 간편 조리기
KR101146933B1 (ko) 간편 조리기
KR100937955B1 (ko) 간편 조리기
KR100717079B1 (ko) 가스버너가 내장된 테이블 및 이에 사용되는 구이판
KR200416312Y1 (ko) 직화요리가 가능한 구이용 조리기
KR20110003628U (ko) 구이판 및 이를 이용한 간편 조리기
KR20190113168A (ko) 구이팬
KR101453838B1 (ko) 직화구이용 조리용기
KR200397565Y1 (ko) 직화가열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