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2910A - 연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작업기와 트랙터 - Google Patents

연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작업기와 트랙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2910A
KR20100012910A KR1020080074337A KR20080074337A KR20100012910A KR 20100012910 A KR20100012910 A KR 20100012910A KR 1020080074337 A KR1020080074337 A KR 1020080074337A KR 20080074337 A KR20080074337 A KR 20080074337A KR 20100012910 A KR20100012910 A KR 20100012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ractor
shaft
work machine
gea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4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화
Original Assignee
박세화
박희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세화, 박희곤 filed Critical 박세화
Priority to KR1020080074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2910A/ko
Publication of KR20100012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9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작업기와 트랙터에 관한 것으로서, 연결장치는 수직방향의 길이를 갖는 중심축과; 트랙터의 구동축과 중심축 사이에 마련되어, 구동축의 수평회전력을 중심축의 수직회전력으로 전달하는 제1기어유니트와; 제1기어유니트를 수용하며, 트랙터에 지지되는 제1프레임과; 작업기의 종동축과 중심축 사이에 마련되어, 중심축의 수직회전력을 종동축의 수평회전력으로 전달하는 제2기어유니트와; 제2기어유니트를 수용하며, 중심축을 중심으로 제1프레임과 상대 회동 가능하게 작업기에 지지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트랙터와 작업기 사이의 회전 각도를 크게 하여 연결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트랙터, 작업기, 연결

Description

연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작업기와 트랙터{COUPLING DEVICE, WORKING APPARATUS AND TRACTOR HAVING THE COUPLING DEVICE}
본 발명은 트랙터에 작업기를 연결하는 연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작업기와 트랙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트랙터와 작업기의 회전 각도를 크게 할 수 있는 연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작업기와 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랙터는 작업기를 연결하여 견인하면서 작업을 수행하는 견인차이다. 이러한 트랙터를 원동기로 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개발된 작업기의 종류는 베일러, 볏짚절단기 등 수십 종에 이른다.
이러한 트랙터와 작업기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트랙터에서 동력을 인출하여 작업기에 동력을 전달하면서 작업기를 견인할 수 있는 별도의 연결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트랙터에 작업기를 연결하는 연결 장치(1)의 대표적인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연결 장치(1)는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본체(10)와, 본체(10)의 상단에 형성되어 트랙터의 상부 링크에 핀으로 연결되는 제1링크(20)와, 트랙터의 하부 링크에 핀으로 결합되도록 본체(10)의 하단에 대칭 형 성된 2개의 제2링크(30)와, 본체(10)의 중간 부분에 설치되어 트랙터의 구동축과 작업기의 종동축을 연결하는 연결축(40)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연결 장치(1)에서 연결축(40)의 양단은 트랙터의 구동축과 작업기의 종동축에 각각 유니버셜 조인트(미도시)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므로, 트랙터가 작업 수행 중 큰 회전각도로 회전 하는 경우 유니버셜 조인트에서 간섭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부품이 파손되며, 이러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트랙터의 회전 반경을 크게 하여야 하므로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트랙터와 작업기 사이의 회전 각도를 크게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트랙터와 작업기 사이의 회전 각도를 크게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작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트랙터와 작업기 사이의 회전 각도를 크게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트랙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트랙터에 작업기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에 있어서, 수직방향의 길이를 갖는 중심축과; 상기 트랙터의 구동축과 상기 중심축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축의 수평회전력을 상기 중심축의 수직회전력으로 전달하는 제1기어유니트와; 상기 제1기어유니트를 수용하며, 상기 트랙터에 지지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작업기의 종동축과 상기 중심축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중심축의 수직회전력을 상기 종동축의 수평회전력으로 전달하는 제2기어유니트와; 상기 제2기어유니트를 수용하며,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프레임과 상대 회동 가능하게 상기 작업기에 지지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제1기어유니트 및 상기 제2기어유니트는 각각 한 쌍의 베벨기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기어유니트는, 상기 중심축의 외주에 결합되는 제1수직베벨기어와; 상기 제1수직베벨기어와 맞물리는 제1수평베벨기어와; 상기 제1수평베벨기어의 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구동축과 유니버셜 조인트에 의해 결합되는 제1축을 포함함으로써, 트랙터의 구동력을 효율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제1축의 외주를 둘러싸는 제1축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기어유니트는, 상기 중심축의 외주에 결합되는 제2수직베벨기어와; 상기 제2수직베벨기어와 맞물리는 제2수평베벨기어와; 상기 제2수평베벨기어의 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종동축과 유니버셜 조인트에 의해 결합되는 제2축을 포함함으로써, 작업기에 구동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제2축의 외주를 둘러싸는 제2축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기어유니트는 상기 제2기어유니트에 비하여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트랙터는 상기 작업기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하부링크를 가지며;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제1기어유니트를 수용하는 제1프레임본체와, 상기 제1프레임본체로부터 상호 대향되게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하부링크가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제1프레임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업기는 상기 트랙터 방향으로 돌출된 작업기링크를 가지며;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제2기어유니트를 수용하는 제2프레임본체와, 상기 제2프레임본체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상기 작업기링크에 결합되는 제2프레임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프레임지지부는 상기 제2프레임본체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상기 제1프레임본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중심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심축의 외주에 결합되어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의 상대회동을 원활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볼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심축과, 상기 제1기어유니트 및 상기 제2기어유니트가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을 통과하거나 접촉되는 영역 중 적어도 한 영역에 장착되는 볼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다른 목적은, 트랙터에 연결되는 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트랙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기본체와; 상기 작업기본체를 상기 트랙터에 연결하는 전술한 연결 장치를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작업기본체는 건초를 수거하여 결속하는 베일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또 다른 목적은, 작업기가 연결되는 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트랙터본체와; 상기 트랙터본체를 상기 작업기에 연결하는 전술한 연결 장치를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랙터와 작업기 사이의 회전 각도를 크게 하여 연결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작업기와 트랙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설명에서 개시되는 각 방향은 트랙터(200)와 작업기(300)가 연결 장치(100)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에서의 방향성을 지정하여 설명함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수평/수직은 지표면으로부터 수평(0도)/수직(90도)의 각도를 갖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인 개념으로 방향성을 지정한 것이다. 한편, 회전방향을 지정함에 있어, 회전운동의 축선 방향이 수평방향인 것을 수평회전이라하고, 축선방향이 수직방향인 것을 수직회전이라 정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장치(100)는 수직방향의 길이를 갖는 중심축(110)과, 트랙터(200)의 구동축(220)과 중심축(110) 사이에 마련되어 구동축(220)의 수평회전력을 중심축(110)의 수직회전력으로 전달하는 제1기어유니트(120)와, 제1기어유니트(120)를 수용하며 트랙터(200)에 지지되는 제1프레임(140)과, 작업기(300)의 종동축(320)과 중심축(110) 사이에 마련되어 중심축(110)의 수직회전력을 종동 축(320)의 수평회전력으로 전달하는 제2기어유니트(130)와, 제2기어유니트(130)를 수용하며 중심축(110)을 중심으로 제1프레임(140)과 상대 회동 가능하게 작업기(300)에 지지되는 제2프레임(150)을 포함한다.
중심축(110)은 봉형상으로 마련되어 길이 방향이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중심축(110)의 양단부는 제1프레임(140) 및 제2프레임(15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1기어유니트(120)는 중심축(110)의 외주에 결합되는 제1수직베벨기어(121)와, 제1수직베벨기어(121)와 맞물리는 제1수평베벨기어(123)와, 제1수평베벨기어(123)의 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트랙터(200)의 구동축(220)과 유니버셜 조인트(250)에 의해 결합되는 제1축(125)을 포함한다.
제2기어유니트(130)는 중심축(110)의 외주에 결합되는 제2수직베벨기어(131)와, 제2수직베벨기어(131)와 맞물리는 제2수평베벨기어(133)와, 제2수평베벨기어(133)의 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작업기(300)의 종동축(320)과 유니버셜 조인트(340)에 의해 결합되는 제2축(135)을 포함한다.
제1수직베벨기어(121)와 제2수직베벨기어(131)는 각각 중공부를 가지며, 중공부에는 중심축(110)이 통과된다. 여기서, 중심축(110)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돌기부(1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수직베벨기어(121)와 제2수직베벨기어(131)의 중공부의 내주면에는 돌기부(115)가 끼움 결합되는 돌기수용부(13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기부(115)와 돌기수용부(132)의 결합으로 인하여 중심축(110)과, 제1수직베벨기어(121) 및 제2수직베벨기어(131)가 일체로 회전할 수 있 게 된다.
한편, 돌기부(115)와 돌기수용부(132)의 형성위치를 반대로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1축(125)과 제1수평베벨기어(123), 제2축(135)과 제2수평베벨기어(133)도 전술한 돌기부(115)와 돌기수용부(132)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1기어유니트(120)와 제2기어유니트(130)는 각각 한 쌍의 베벨기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축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웜기어, 벨트 등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본 실시예에서 제1프레임(140)은 제2프레임(150)에 비하여 하부에 배치된다. 그러나, 제1프레임(140)이 제2프레임(150)에 비하여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1프레임(140)은 제1기어유니트(120)를 수용하는 제1프레임본체(141)와, 제1프레임본체(141)로부터 상호 대향되게 연장되어 작업기(300) 방향으로 돌출된 트랙터(200)의 한 쌍의 하부링크(230)가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제1프레임지지부(145)를 포함한다.
제1프레임본체(141)는 내부에 제1기어유니트(12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함체상으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프레임본체(141) 및 제2프레임본체(151)를 사각통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통, 삼각통, 오각 통 이상의 다각통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제1프레임본체(141)의 전방영역에는 제1축이 통과되는 제1축통과공(142)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프레임본체(141)의 상부영역에는 중심축(110)이 통과되는 제1중심축통과공(143)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영역에는 중심축(11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중심축지지부(144)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제1프레임본체(141)에는 제1축(125)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제1축보강부(147)가 결합되어 있다. 제1축보강부(147)는 별도의 부재로 마련되어 제1프레임본체(141)에 결합될 수도 있고, 제1프레임본체(141)와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축보강부(147)는 제1축(125)의 강도를 보강하여 트랙터(200)의 구동축(220)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 및 토크에 의하여 제1축(125)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제1프레임지지부(145)는 제1프레임본체(141)로부터 좌우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된다. 제1프레임지지부(145)는 트랙터(200)의 한 쌍의 하부링크(230)와 힌지 결합된다. 한편, 트랙터(200)의 하부링크(230)에는 각각 댐퍼(240)가 연결되어 있다. 즉, 댐퍼(240)는 트랙터(200)가 굴곡진 지면을 주행하는 경우, 하부링크(230)를 통하여 제1프레임(140)으로 전달되는 트랙터(200)의 요동을 감쇄시킨다. 여기서, 트랙터(200)의 하부링크(230)와 제1프레임지지부(145)가 힌지 결합되어 있으므로, 트랙터(200)의 요동이 전달되더라도 트랙터(200)의 하부링크(230)와 제1프레임지지부(145)가 상대 회동하며 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2프레임(150)은 제2기어유니트(130)를 수용하는 제2프레임본체(151)와, 제 2프레임본체(151)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작업기(300)로부터 트랙터(200) 방향으로 돌출된 작업기링크(330)에 결합되는 제2프레임지지부(155)를 포함한다.
제2프레임본체(151)는 내부에 제2기어유니트(13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함체상으로 마련된다. 제2프레임본체(151)의 후방영역에는 제2축(135)이 통과되는 제2축통과공(152)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프레임본체(151)의 하부영역에는 중심축(110)이 통과되는 제2중심축통과공(153)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영역에는 중심축(11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중심축지지부(154)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제2프레임본체(151)에는 제2축(135)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제2축보강부(157)가 결합되어 있다. 제2축보강부(157)는 별도의 부재로 마련되어 제2프레임본체(151)에 결합될 수도 있고, 제2프레임본체(151)와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2축보강부(157)는 제2축(135)의 강도를 보강하여 중심축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 및 토크에 의하여 제2축(135)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제2프레임지지부(155)는 제2프레임본체(151)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마련된다. 제2프레임지지부(155)는 본실시예에서 삼각형으로 마련되는 작업기링크(330)의 단부에 결합된다.
제2프레임지지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프레임본체(151)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제1프레임본체(141)를 사이에 두고 중심축(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중심축지지부(144)는 제1프레임본체(141)에 관통되어 있으며 중심축(110)은 제1프레임본체(141)의 하부로 노출된다. 제2프레임지지부(155)는 외부로 노출된 중심축(1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와 같이, 제2프레임지지부(155)를 제1프레임본체(141)를 사이에 두고 중심축(110)에 결합시킴으로써, 트랙터(200)의 주행에 따라 제1프레임(140)과 제2프레임(150) 사이의 중심축 영역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제1프레임(140)과 제2프레임(150)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프레임(140)과 제2프레임(150)의 이격 간격은 제1프레임(140)과 제2프레임(150)의 상대 회동에 간섭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 장치(100)는 각 축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볼베어링(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볼베어링(160)은 제1프레임(140) 및 제2프레임(150)에 대하여 중심축(110)의 회동을 원활하게 하도록 중심축(110)이 제1프레임(140) 및 제2프레임(150)을 통과하거나 접촉되는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볼베어링(160)은 제1중심축통과공(143), 제1중심축지지부(144), 제2중심축통과공(153), 제2중심축지지부(154)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다.
한편, 볼베어링(160)은 제1프레임본체(141)와 제2프레임본체(151) 사이에도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볼베어링(160)은 제1프레임(140)에 대하여 제1축(125)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도록 제1축통과공(142)에도 마련될 수 있으며, 제1축(125)과 제1축보강부(147) 사이에도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볼베어링(160)은 제2프레임(150)에 대하여 제2축(135)의 회전을 원활 하게 하도록 제2축통과공(152)에도 마련될 수 있으며, 제2축(135)과 제2축보강부(157) 사이에도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장치(100)를 갖는 작업기(300) 및 트랙터(200)를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연결 장치(100)의 구조에 있으므로, 이미 공지된 작업기 및 트랙터의 고유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기(300)는 트랙터(20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기본체(310)와, 작업기본체(310)를 트랙터(200)에 연결하는 전술한 연결 장치(1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작업기본체(310)는 베일러로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트랙터(200)를 원동기로 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결속볏짚절단기, 고압세척기, 논두렁조성기, 땅속작물수확기, 로더, 로터리 경운작업기, 랩피복기, 모어, 무논정지기, 반전집초기, 발근기, 벼직파기, 비료살포기, 사료배합기, 사료작물수확기, 스피드스프레이어, 심경 로터리 경운작업기, 심토파쇄기, 액상비료살포기, 잔가지파쇄기, 쟁기, 제초기, 주행형 동력분무기, 중경제초기, 톱밥제조기, 퇴비살포기, 트레일러, 파종기, 해로우, 휴립복토기, 휴립피복기 등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베일러는 수확된 건초를 손쉽게 처리, 운반 및 저장하기 위해서 건초를 압축하여 결속하는 장치이다. 베일러는 픽업드럼, 안내롤러, 결속장치, 벨트롤러, 후 방게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들은 트랙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도록 제2축(135)에 연결된 종동축(320)에 의하여 구동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200)는 작업기(30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트랙터본체(210)와, 트랙터본체(210)를 작업기(300)에 연결하는 전술한 연결 장치(10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장치(100)의 작동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트랙터(200)의 구동력이 작업기(300)로 전달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트랙터(200)를 조작하여 트랙터(200)의 구동축(220)이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축(125)에서 구동축(22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1수평베벨기어(123) 및 제1수직베벨기어(121)를 통하여 중심축(110)으로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중심축(110)은 수직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다음, 제2수직베벨기어(131)는 중심축(11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며, 제2수평베벨기어(133)를 통하여 제2축(135)으로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제2축(135)은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며 회전력을 작업기(300)의 종동축(320)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트랙터(200)의 구동축(220)의 구동력이 작업기(300)의 종동축(320)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작업기(300)는 종동축(320)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도 5a는 트랙터가 직진으로 주행하는 상태에서 연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b는 트랙터가 주행방향을 전환하는 상태에서 연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트랙터(200)가 직진으로 주행하다가 주행 방향을 전환하게 되면, 제1프레임(140)이 트랙터(200)와 함께 중심축(110)을 중심으로 제2프레임(150)에 대하여 회동하게 된다. 여기서, 제1프레임(140)과 제2프레임(150) 간의 상대 회동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트랙터(200)가 좌우의 어느 방향으로 큰 각도로 회전을 하더라도 작업기(300)를 견인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기어유니트(120)와 제2기어유니트(130)를 이용하여 트랙터(200)의 구동력을 작업기(300)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프레임(140)과 제2프레임(150)이 중심축(110)을 중심으로 하여 상대 회동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트랙터(200)가 큰 회전각도로 회전하는 경우에도 부품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트랙터(200)의 회전각도를 크게 할 수 있게 됨으로써 트랙터의 회전반경을 줄일 수 있어 좁은 작업공간에서도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트랙터에 작업기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작업기와 트랙터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기 위한 절취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가 직진으로 주행하는 상태에서 연결 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가 주행방향을 전환하는 상태에서 연결 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연결 장치 110 : 중심축
120 : 제1기어유니트 121 : 제1수직베벨기어
123 : 제1수평베벨기어 125 : 제1축
130 : 제2기어유니트 131 : 제2수직베벨기어
133 : 제2수평베벨기어 135 : 제2축
140 : 제1프레임 141 : 제1프레임본체
145 : 제1프레임지지부 147 : 제1축보강부
150 : 제2프레임 151 : 제2프레임본체
155 : 제2프레임지지부 157 : 제2축보강부
160 : 볼베어링 200 : 트랙터
220 : 구동축 300 : 작업기
320 : 종동축

Claims (15)

  1. 트랙터에 작업기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에 있어서,
    수직방향의 길이를 갖는 중심축과;
    상기 트랙터의 구동축과 상기 중심축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축의 수평회전력을 상기 중심축의 수직회전력으로 전달하는 제1기어유니트와;
    상기 제1기어유니트를 수용하며, 상기 트랙터에 지지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작업기의 종동축과 상기 중심축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중심축의 수직회전력을 상기 종동축의 수평회전력으로 전달하는 제2기어유니트와;
    상기 제2기어유니트를 수용하며,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프레임과 상대 회동 가능하게 상기 작업기에 지지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유니트 및 상기 제2기어유니트는 각각 한 쌍의 베벨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유니트는,
    상기 중심축의 외주에 결합되는 제1수직베벨기어와;
    상기 제1수직베벨기어와 맞물리는 제1수평베벨기어와;
    상기 제1수평베벨기어의 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구동축과 유니버셜 조인트에 의해 결합되는 제1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제1축의 외주를 둘러싸는 제1축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어유니트는,
    상기 중심축의 외주에 결합되는 제2수직베벨기어와;
    상기 제2수직베벨기어와 맞물리는 제2수평베벨기어와;
    상기 제2수평베벨기어의 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종동축과 유니버셜 조인트에 의해 결합되는 제2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제2축의 외주를 둘러싸는 제2축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유니트는 상기 제2기어유니트에 비하여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터는 상기 작업기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하부링크를 가지며;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제1기어유니트를 수용하는 제1프레임본체와, 상기 제1프레임본체로부터 상호 대향되게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하부링크가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제1프레임지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는 상기 트랙터 방향으로 돌출된 작업기링크를 가지며;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제2기어유니트를 수용하는 제2프레임본체와, 상기 제2프레임본체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상기 작업기링크에 결합되는 제2프레임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지지부는 상기 제2프레임본체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상기 제1프레임본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중심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의 외주에 결합되어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의 상대회동을 원활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볼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과, 상기 제1기어유니트 및 상기 제2기어유니트가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을 통과하거나 접촉되는 영역 중 적어도 한 영역에 장착되는 볼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3. 트랙터에 연결되는 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트랙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기본체와;
    상기 작업기본체를 상기 트랙터에 연결하는 상기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본체는 건초를 수거하여 결속하는 베일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
  15. 작업기가 연결되는 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트랙터본체와;
    상기 트랙터본체를 상기 작업기에 연결하는 상기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KR1020080074337A 2008-07-30 2008-07-30 연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작업기와 트랙터 KR201000129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337A KR20100012910A (ko) 2008-07-30 2008-07-30 연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작업기와 트랙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337A KR20100012910A (ko) 2008-07-30 2008-07-30 연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작업기와 트랙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910A true KR20100012910A (ko) 2010-02-09

Family

ID=42087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4337A KR20100012910A (ko) 2008-07-30 2008-07-30 연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작업기와 트랙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291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618B1 (ko) * 2019-02-15 2019-07-18 주식회사 해동에이지케이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
KR20190134415A (ko) * 2018-05-25 2019-12-04 주식회사 그린맥스 수직형비터 퇴비살포기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4415A (ko) * 2018-05-25 2019-12-04 주식회사 그린맥스 수직형비터 퇴비살포기제어방법
KR102001618B1 (ko) * 2019-02-15 2019-07-18 주식회사 해동에이지케이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61752C2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 управляемые редукторы для орудия с поворотным дышлом
US6109012A (en) Hay-making machine
US11446972B2 (en) Agricultural implement, tow bar device, and towing vehicle/implement combination
JP5827793B2 (ja) 農作業機
KR20100012910A (ko) 연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작업기와 트랙터
US4068454A (en) Crop gathering reel assembly
CS235011B2 (en) Rotary side delivery rake
US4280565A (en) Soil working machine
KR101389268B1 (ko) 회전이 가능한 무한궤도 작업차
JP7231337B2 (ja) 農作業機の連結具
JP7161739B2 (ja) 作業機
JP7157433B2 (ja) 作業機
JP7121972B2 (ja) 農作業機
JP6216007B2 (ja) 農作業機
JPS6224408Y2 (ko)
KR200297090Y1 (ko) 트랙터용 농기계의 연결대 구조
JP7318994B2 (ja) 作業機
US11425853B2 (en) Agricultural implement, tow bar assembly, and towing vehicle/implement combination
CN214177966U (zh) 一种用于耕地、起垄覆膜的农耕设备
EP0887010B1 (en) An implement for adjusting an agricultural machine, such as a hay-making machine
JP2023096189A (ja) 作業機
KR200182599Y1 (ko) 트랙터용 건초성형기의 연결대 구조
KR200346851Y1 (ko) 트랙터용 농기계의 연결대
WO2020206932A1 (zh) 带有旋耕机的联合收割设备
JP7044344B2 (ja) 草刈り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