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618B1 -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618B1
KR102001618B1 KR1020190017773A KR20190017773A KR102001618B1 KR 102001618 B1 KR102001618 B1 KR 102001618B1 KR 1020190017773 A KR1020190017773 A KR 1020190017773A KR 20190017773 A KR20190017773 A KR 20190017773A KR 102001618 B1 KR102001618 B1 KR 102001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haft
fixing
rotating
connec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경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동에이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동에이지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동에이지케이
Priority to KR1020190017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6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1/00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 A01B51/02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propelled by a mo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06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mechanically by tractor mo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기계의 동력을 작업기로 전달하기 위하여 농기계와 작업기의 사이에 설치되는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상기 농기계를 향하는 제1회전체(300)와, 작업기를 향하는 제2회전체(400)와, 제1 및 제2회전체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는 중심축(500)과, 상기 제1 및 제2회전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동력전달수단(600)과, 상기 제1 및 제2회전체의 전면 판 중 일 측의 전면 판 하부에 연결대(720)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된 연결대고정수단(700)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Connection installation of agricultural machine and working machinery}
본 발명은 농기계의 동력을 작업기로 전달하기 위하여 농기계와 작업기의 사이에 설치되는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농기계의 동력을 작업기로 전달함에 있어 견고함을 유지함과 동시에 정확한 동력전달과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 농 작업을 수행할 때에 농기계로 트랙터가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트랙터는 차체, 엔진, 동력전달장치, 주행장치, 동력인출장치, 작업기 연결장치, 유압장치 및 전기장치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트랙터의 후방에는 목적하는 농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기가 연결 설치되고, 그 연결 설치된 작업기는 트랙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트랙터의 동력을 작업기로 전달함과 동시에 트랙터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트랙터와 작업기의 사이에 연결장치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역할을 하는 종래 연결장치는, 본 발명자가 개발하고 특허출원하여 등록된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등록실용신안 20-0461796호가 있으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트랙터의 작업기 붐(boom)이 부착되는 작업대장착그룹(10)의 조립과 트랙터의 동력전달을 위한 유니버설조인트(20)가 축설된 동력출력유니버설모듈(100)과, 전면패널(201) 상하에 대칭조립된 브이패널(202)과 브이패널전면커버(203)사이에 피봇조립되는 수평대(30)가 구비된 동력입력유니버설모듈(200)의 요잉(yawing)과 2점 연결지지를 위한 트랙터작업기 요잉축 체결에 있어서,
상기 동력입력유니버설모듈(200)의 전면부재(201) 와는 일정 거리에 측면부재(204) 양편에 상측 일정개소에 스톱퍼(207e)를 고착시킨 요잉축설치보강속판(206)을 용접설치해 요잉축부싱(205)을 고정설치하고,
상기 요잉축부싱(205)과 수평대(30)의 수평대회전축공보강부싱(31)을 통해 브이패널전면커버(203) 요잉축공(203a)으로 인출된 요잉축(207) 단부는 나사부를 형성하고, 나사부 대향축두에는 오각판상의 요잉축탑브라켓(207a)를 용접부착하고, 요잉축탑브라켓의 하측외연에는 탑브라켓로커볼트공(207b)을 형성해 탑브라켓로커볼트(207c)로 요잉축설치보강속판(206)에 나사조립하며,
상기 요잉축(207) 나사부에는 수평대요잉축로커너트(207d)를 체결후 12각형 스패너형상의 타공과 절곡 돌출된 타정부(208a)와 15°와 19°분할각으로 3개의 풀림방지너트체결공(208b)이 마련된 너트풀림방지로커(208)를 끼워 브이패널전면커버(203)상에 풀림방지로커볼트(209)로 나사 조립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농기계 작업기의 연결장치는, 트랙터의 동력을 전달받는 동력입력 축과 상기 입력 축으로 동력을 전달받아 작업기로 동력을 전달하는 출력 축이 정해진 위치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상의 제약이 있고, 또 구조적으로 취약한 부분에서 파손 등에 의한 결합이 발생하여 작업을 중단해야 하는 문제점 등이 발생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57473: 안전 커버가 장착된 베일러의 굴절조인트. 한국등록특허 제10-1359997: 트렉터용 굴절조인트 안전커버. 한국등록특허 제10-1401024: 안전커버가 설치된 트랙터와 작업기 연결장치.
본 발명의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첫째, 농기계의 동력을 작업기로 전달하는 입력 축과 출력 축의 방향을 제약 없이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둘째, 작업 중 구조적으로 취약한 부분에서 발생하는 결함으로 인하여 작업을 중단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며,
셋째, 트랙터와 작업기의 연결설치를 견고하게 함과 동시에 회동 각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한 농기계 작업기의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 과제해결 수단 구성은,
농기계와 작업기의 사이에 농기계의 동력을 작업기로 전달하기 위해 설치되는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농기계를 향하는 전면 판(310)의 후면 양측 길이방향으로 측면 판(320)이 설치되고, 상/하부에는 상기 전면 판의 폭 방향으로 회동 판(330)을 설치하여 된 제1회전체(300);
상기 작업기를 향하는 전면 판(410)의 후면 양측 길이방향으로 측면 판(420)이 설치되고, 상/하부에는 상기 제1회전체의 회동 판과 후방일부가 포개지는 회동 판(430)을 설치하여 된 제2회전체(400);
상기 포개진 회동 판의 중앙부를 베어링(510)을 매개로 관통 설치되며, 일측단부에서 상기 베어링으로 윤활유를 공급하는 윤활유공급로(520)가 내부에 형성된 중심축(500);
상기 제1 및 제2회전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일 측에 농기계의 동력을 받는 입력 축(610)이 설치되고 타 측에 작업기로 동력을 전달하는 출력 축(620)이 설치된 유니버셜조인트(630)로 이루어진 동력전달수단(600);
상기 일 측의 전면 판에는 농기계와 연결 설치되는 연결대(720)를 연결대고정수단(700)을 이용하여 연결 설치하되, 그 연결대고정수단은, 상기 전면 판과 연결대를 관통하는 내부에 윤활유공급로(711)가 형성된 고정축(710)과, 상기 제1회전체 또는 제2회전체의 전면 판에 설치되어 연결대의 회동 각의 제어하는 연결대회동제어구(730)와, 상기 연결대회동제어구의 전단에 상기 고정축(710)이 관통하도록 설치된 마감판(740)과, 슬리브(750)의 일측 단부가 끼워 고정되는 지지판(760)과, 그 지지판의 이면에 고정설치되는 다각형의 고정 홀(771)이 형성된 중간 판(770)과, 상기 고정 홀에 끼워 고정되며 고정축의 후단부와 고정 설치되는 고정축고정판(780)으로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는 상기 목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농기계의 동력을 작업기로 전달하는 입력 축과 출력 축의 방향을 제약 없이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작업 중 구조적으로 취약한 부분에서 발생하는 결함으로 인하여 작업을 중단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며, 트랙터와 작업기의 연결설치를 견고하게 함과 동시에 회동 각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 결합 사시도,
도 2는 종래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 결합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 제1실시 예의 결합 및 분해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 제2실시 예의 결합 및 분해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 제3실시 예의 결합 및 분해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 제4실시 예의 결합 및 분해 사시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에서 고정축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제1실시 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에서 고정축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제2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에서 동격전달수단의 실시 예를 나타낸 발췌도.
본 발명은 농기계인 트랙터 등의 동력을 작업기로 전달하기 위하여 농기계와 작업기의 사이에 설치되는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다 음 -
본 발명에 따른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는, 도 4a 내지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농기계와 작업기의 사이에 농기계의 동력을 작업기로 전달함과 동시에 농기계의 진행 방향에 따라 작업기를 견인하는 것이다.
상기 농기계 쪽을 향하는 전면 판(310)의 후면 양측 길이방향으로 측면 판(320)이 설치되고, 상기 전면 판(310)의 상/하부에는 상기 전면 판(310)의 폭 방향으로 회동 판(330)을 설치하여 된 제1회전체(300)가 마련된다.
상기에서 농기계라 함은 타 장비에 동력을 전달함과 동시에 견인할 수 있는 농기계를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작업기 쪽을 향하는 전면 판(410)의 후면 양측 길이방향으로 측면 판(420)이 설치되고, 상기 전면 판(310)의 상/하부에는 상기 제1회전체(300)의 회동 판(330)과 후방 일부가 포개지도록 상기 전면 판(410)의 폭 방향으로 회동 판(430)을 설치하여 된 제2회전체(400)가 마련된다.
상기에서 작업기가 함은 상기 농기계의 동력을 전달받아 견인되면서 목적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장비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마련된 상기 제1 및 제2회전체(300,400)의 구성인 상/하부의 각 회동 판(330,430)은 후방 일부가 포개지게 설치되고, 그 포개진 부분 중앙부를 베어링(510)을 매개로 윤활유공급로(520)가 형성된 중심축(500)이 관통설치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회전체(300,400)는, 베어링(510)을 매개로 관통 설치되는 중심축(500)에 의해 상호 연결 설치됨과 동시에 중심축(500)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으로 회동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회전체(300,400)의 내부 공간(S)에는 농기계의 동력을 받아 작업기로 전달하도록 일 측에 상기 전면 판(310)을 관통하는 입력 축(610)이 설치되고, 타 측에 상기 전면 판(410)을 관통하는 출력 축(620)을 설치하여 된 동력전달수단(600)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회전체(300,400)의 전면 판 중 일 측의 전면 판(310) 하부에는 농기계와 연결 설치되는 연결대(720)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일측 단부에는 연결대(720)부분으로 윤활유를 공급하는 윤활유공급로(711)를 형성시켜 된 고정축(710)을 갖는 연결대고정수단(700)이 설치되어 상기 연결대(720)를 농기계와 상기 입력 축(610)이 설치되는 일측의 회전체(300) 간에 연결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서 상기 중심축(500)과 고정축(710)에는 각각의 윤활유공급로(520,711)가 형성되는데, 그 각 윤활유공급로(520,711)는, 상기 각 축을 내부를 가공하여 형성된다. 그 이유는, 윤활유를 공급할 때 그 공급되는 윤활유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목적하는 곳으로 모두 공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각 윤활유공급로(520,711)를 통하여 윤활유가 공급되는 곳은, 상기 중심축(500)과 고정 축(710)의 일측 단부에서 회동 판에 설치된 베어링(510) 또는 연결대(720)에 설치된 슬리브(721)이다.
한편, 상기 각 윤활유공급로(520,711)의 입구에는 윤활유의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니플이 설치됨은 당연한 것이며, 상기 중심축(500)의 헤드부(501)에는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축(500)이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키(503)가 결합되는 키 홀(502)이 형성되고, 상기 중심축(500)의 끝 부분에는 나사부(504)가 형성되어 너트(505)로 고정 설치된다.
상기 키(503)는 중심축(500)의 헤드부(501)에 형성된 키 홀(502)을 관통하며 회동 판에 삽입 설치되기 때문에 중심축(500)은 안전하고 견고하게 고정됨은 물론, 중심축(500)이 고정된 상태로부터 임으로 풀리거나 유동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 중심축(500)과 고정 축(710)의 각 윤활유공급로(520,711)를 통하여 윤활유를 공급하는 이유는, 중심축(500)과 고정 축(710)의 마모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회전체(300,400)와 열결대(720)의 회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중심축(500)과 고정축(710)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각 윤활유공급로(520,711)를 통하여 공급되는 윤활유는, 그리스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그 외에도 상기 중심축(500)과 고정 축(710)의 마모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제1 및 제2회전체(300,400)와 열결대(720)의 회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윤활유면 모두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는, 농기계의 동력을 입력 축(610)에서 받아 동력전달수단(600)을 통하여 출력 축(620)으로 전달되고, 그 전달된 동력은 출력 축(620)을 통하여 작업기로 전달되는 것이다.
상기 제1 및 제2회전체(300,400)의 각 전면 판(310,410) 상/하부와 양 측면에는 각각의 키 홀(311,4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회전체(300,400)의 측면 판(320,420)과 회동 판(330,430)에는 상기 각각의 키 홀(311,411)에 긴밀히 끼워 결합되는 각각의 키(321,421,331,431)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키 홀(311,411)과 키(321,421,331,431)의 결합에 의해 상기 각 전면 판(310,410)에 측면 판(320,420)과 회동 판(330,430)이 정확하고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며, 그에 따른 상기 제1 및 제2회전체(300,400)는 정확한 균형 유지로 인한 안정적이고, 또 제1 및 제2회전체(300,400)를 형성하는 조립작업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면 판(310,410)에 측면 판(320,420)과 회동 판(330,430)을 결합한 후에는 전면 판(310,410)과 측면 판(320,420) 및 회동 판(330,430)의 접촉 면을 용접 함으로써 제1 및 제2회전체(300,400)는 견고함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회전체(300,400) 중 어느 일 측의 회전체 측면에 설치되는 측면 판의 하부에는 타 측의 회전체 회전 각을 제어하는 스토퍼(340)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회전체(300,400)의 회전 양은 상기 스토퍼(340)의 설치 각 내에서만 이루어져 상기 제1 및 제2회전체(300,400)를 보호함은 물론, 동력전달수단(600)을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회동 판(330,430) 설치 제1실시 예로는, 상기 연결대(720)가 설치되는 농기계 쪽을 향하는 전면 판(310)의 상/하부에 설치된 회동 판(330)은,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일의 회동 판(3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대(720)가 설치되지 않는 작업기를 향하는 전면 판(410)의 상/하부에 설치된 회동 판(430)은, 상기 단일의 회동 판(330)이 끼워 결합되는 한 쌍의 회동 판(430)으로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에서 한 쌍의 회동 판(430) 사이에 끼워 결합되는 단일의 회동 판(330) 두께는, 상기 한 쌍의 회동 판(430)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시키는데, 그 이유는, 상기 한 쌍의 회동 판(430) 내구성과 준하는 내구성을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2실시 예로는, 상기 연결대(720)가 설치되는 농기계 쪽을 향하는 전면 판(310)의 상/하부에 설치된 회동 판(330)은,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회동 판(3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대(720)가 설치되지 않는 작업기를 향하는 전면 판(410)의 상/하부에 설치된 회동 판(430)은, 상기 한 쌍의 회동 판(330) 사이에 끼워 결합되는 단일의 회동 판(430)으로 구성되며, 상기 단일의 회동 판(430) 두께는, 상기 한 쌍의 회동 판(330)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시키는데, 그 이유는, 상기 한 쌍의 회동 판(330) 내구성과 준하는 내구성을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3실시 예로는, 상기 연결대(720)가 설치되는 농기계를 향하는 전면 판(310)의 상/하부에 설치된 회동 판(330)은,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에 위치한 회동 판은 단일의 회동 판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에 위치한 회동 판은 한 쌍의 회동 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대가 설치되지 않는 전면 판(410)의 상부에 위치하는 회동 판은 한 쌍의 회동 판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에 위치하는 회동 판은 단일의 회동 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단일의 회동 판 두께는, 상기 한 쌍의 회동 판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시키는데, 그 이유는, 상기 한 쌍의 회동 판 내구성과 준하는 내구성을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4실시 예로는, 상기 연결대(720)가 설치되는 농기계를 향하는 전면 판(310)의 상/하부에 설치된 회동 판은,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에 위치한회동 판은 한 쌍의 회동 판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에 위치한 회동 판은 단일의 회동 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대가 설치되지 않는 전면 판(410)의 상부에 설치되는 회동 판은 단일의 회동 판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에 설치되는 회동 판은 한 쌍의 회동 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단일의 회동 판 두께는, 상기 한 쌍의 회동 판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시키는데, 그 이유는, 상기 한 쌍의 회동 판 내구성과 준하는 내구성을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회전체(300,400)를 연결하는 중심축(500)의 일측 단부에는 그 축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으며 일 측에 키(503)가 삽입되는 키 홀(502)이 형성된 헤드부(501)가 형성되고, 타 측의 끝 부부에는 너트(505)가 체결되는 나사부(504)가 형성되어 중심축(500)이 제1 및 제2회전체(300,400)를 연결 고정한 후에는 임으로 회전되어 풀리지 않도록 하였다.
상기 키 홀(502)에는 키(503)가 관통하며 그 키(503)가 회동 판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중심축(500)은 키(503)를 인출하기 전에는 어떠한 경우에도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풀리지 않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연결대(720)는, 도 8a 내지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에 슬리브(721)가 장착된 고정축체결홀(722)이 형성되고, 양측 단부에는 농기계와 연결설치되는 브래킷(723)이 설치되어 그 브래킷(723)에 의해 농기계와 본 발명의 연결장치가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연결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축체결홀(722)에 슬리브(721)를 설치하는 이유는, 연결대(720)의 고정축체결홀(722) 부위를 보호함과 동시에 고정축(710)을 보호하고, 또 연결대(720)의 회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연결대(720)의 양측에 형성된 브래킷(723)은, "ㄷ"자 형으로써 상/하부에 복수 개의 고정핀체결홀(723a)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연결대(720)와 브래킷(723) 간에는 브래킷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관구멍(724a)이 형성된 3각형의 보강리브(724)가 설치된다.
상기 보강리브(724)에 보관구멍(724a)을 형성시킨 이유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스톱 핀(726e)을 삽입하여 보관함으로써 스톱 핀(726e)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고정축체결홀(722)이 형성된 연결대(720)의 외부 주위에는 보강편(725)을 설치하여 연결대(720)의 고정축체결홀(722) 주위를 보강하였는데, 상기 보강편(725)을 설치하는 이유는, 연결대(720)에 고정축체결홀(722)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상기 고정축체결홀(722) 주위가 취약해 짐으로 그 취약함을 보강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브래킷(723)의 상/하부에 복수 개의 고정핀체결홀(723a)을 각각 형성시킨 이유는, 농기계의 체결부(도면 미도시)와 브래킷(723)을 상호 결합한 후 고정부재(726)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핀체결홀(723a)과 농기계의 체결부를 관통하며 고정함으로써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농기계의 체결부와 브래킷(723)을 상호 결합하는 고정부재(726)는, 상기 브래킷(723)의 이면에 위치하는 스톱 편(726a)과, 그 스톱 편의 일측에 설치되어 브래킷(723)에 형성된 고정핀체결홀(723a)을 관통하는 고정핀(726b)과, 상기 고정핀의 일측에 설치되어 타측의 고정핀체결홀(723a)에 끼워 결합되는 보조고정핀(726c)과, 상기 고정핀(726b)의 끝단부에 스톱 핀(726e)을 관통하는 관통구멍(726d)을 형성시켜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고정부재(726)를 형성시키는 이유는, 연결대(720)와 농기계의 체결부가 연결 설치된 상태에서 고정핀(726b)이 회전되거나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인 고정을 이루어 연결대(720)와 농기계 간의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연결대(720)와 농기계를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스톱 핀(726e)을 관통구멍(726d)으로부터 인출한 후 고정부재(726)를 고정핀체결홀(723a)로부터 인출한 다음 연결대(720)와 농기계를 분리하면 되는 것이며, 상기 관통구멍(726d)으로부터 인출된 스톱 핀(726e)은 분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보강리브(724)의 보관구멍(724a)에 끼워 보관한다.
본 발명의 연결대고정수단(700)은. 도 8a 내지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 판(310)과 연결대(720)를 관통하는 고정축(710)과, 상기 전면 판(310)에 설치되어 연결대(720)의 회동 각의 제어하는 연결대회동제어구(730)와, 상기 연결대회동제어구(730)의 전단에 상기 고정축(710)이 관통하도록 설치된 마감판(740)과, 슬리브(750)의 일측단부가 끼워 고정되며 상기 전면 판(310)의 이면에 설치되는 지지판(760)과, 그 지지판(760)의 이면에 고정설치되는 다각형의 고정 홀(771)이 형성된 중간 판(770)과, 상기 고정 홀(771)에 끼워 고정되며 고정축(710)의 후단부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 홀(781)이 형성된 고정축고정판(780)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축(710)의 후단부분에는 상기 나사 홀(781)과 나사 결합 되도록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또 고정축(710)의 전단부분에도 너트와 나사 결합 되도록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760)의 이면에 고정설치되는 다각형의 고정 홀(771)이 형성된 중간 판(770)은, 상기 지지판(760)과 용접의 방법으로 고정되며, 상기 고정축고정판(780)은, 상기 고정 홀(771)에 긴밀히 끼워 고정되고, 상기 나사 홀(781)에는 고정축(710)의 후단부가 나사 결합 된 후 용접의 방법으로 고정됨으로써 상기 고정축(710)의 안전하고 견고한 고정과 동시에 보호하는 것이다.
상기 중간 판(770)에 다각형의 고정 홀(771)을 형성시킨 이유는, 그 다각형의 고정 홀(771)과 동일한 형상의 고정축고정판(780)을 형성시켜 고정축고정판(780)이 상기 고정 홀(771)에 긴밀히 끼워 결합되어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고정축고정판(780)의 하부에는, 고정축고정판(780)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볼트(B)로 상기 고정축고정판(780)을 관통하며 상기 지지판(760)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축고정판(780)을 고정함으로써 고정축(710)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축고정판(780)과 지지판(760)에는 볼트(B)가 체결되는 볼트구멍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연결대회동제어구(730)는, 전면 판(310)의 하부 상측에 "∨"자형의 상부브래킷(731)이 설치되고, 하부에 "∧"자형의 하부브래킷(732)이 설치되며, 상기 상/하부브래킷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각각의 보강리브(731a,732a)가 설치되고, 상기 상/하부브래킷(731,732)의 선단에는 마감 편(733)이 설치됨으로써, 연결대(720)를 안전하고 견고하게 지지함은 물론, 연결대(720)의 회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면 판(310)과 연결대(720)의 사이에는 연결대(720)가 전면 판(310)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방지부재(790)를 설치하여 연결대(720)가 전면 판(310)에 접촉됨으로 인한 충격으로 인하여 연결대(720)가 훼손 및 파손되거나 취약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또 상기 측면 판(320)에는 동력전달수단(600)과 입력 축(610)의 연결 설치부분에 윤활유를 공급하기 위한 윤활유공급구멍(320a)을 형성시켜 상기 동력전달수단(600)과 입력 축(610)의 연결 설치부분에 용이하게 윤활유를 공급하도록 하였다.
또 본 발명의 제1 및 제2회전체(300,400)의 측면 판(320,420)이 상호 마주보는 사이에는 동력전달수단(600)으로 윤활유를 공급함은 물론, 동력전달수단(600)을 눈으로 확인하기 위한 공간(S1)을 마련하고, 그 공간에 상기 동력전달수단(600)으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개폐커버(800)를 설치하였다. (도 4a, 도 5a, 도 6a, 도 7a 참조),
그리고 상기 전면 판의 하부에 설치된 회동 판에는 이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멍(H)을 형성시켜 상기 제1 및 제2회전체(300,4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배출되게 함으로써 동력전달수단(600)은 물론, 상기 제1 및 제2회전체(300,400)의 내부에 이물질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한편, 상기 이물질이라 함은 각종 불순물이 포함된 액상의 이물질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면 판(310) 이면과 측면 판(320)의 하부에는 도 5b 및 6b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커버(C)가 고정 설치되는데, 그 하부커버(C)의 고정 방법은 일실시 예로 용접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 상기 하부커버(C)는 도 4b 및 도 7b와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 판(320)에 설치된 스토퍼(340)의 하부에 설치할 수도 있는데, 그 고정방법의 일실시 예로는 용접의 방법이다.
상기와 같이 하부커버(C)를 설치하는 이유는, 상기 슬리브(750)와, 지지판(760)과, 중간 판(770)과, 고정축고정판(780) 등으로 구성되는 연결대고정수단(700)을 수용하며 보호하기 위함이고, 따라서 상기 슬리브(750)와, 지지판(760)과, 중간 판(770)과, 고정축고정판(780) 등으로 구성되는 연결대고정수단(700)은 상기 하부커버(C)의 내부에 고정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른 실시 예로는 슬리브(750)와, 지지판(760)과, 중간 판(770)과, 고정축고정판(780) 등으로 구성되는 연결대고정수단(700)을 스토퍼(340)에 설치하지 않고 전면 판에 직접 설치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작업기 쪽의 하부에 설치된 회동 판에는 스텐드(900)를 절첩 가능하게 설치하여 작업기로 작업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스텐드(900)를 펼쳐 본 발명의 연결장지를 지지하도록 하며, 작업기로 작업할 때에는 상기 스텐드(900)를 접어 작업기의 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동력전달수단(600)은, 농기계의 동력을 작업기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회전체(30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실시 예는,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측에 농기계의 동력을 전달받는 입력 축(610)이 설치되고, 타 측에 작업기로 동력을 전달하는 출력 축(620)이 설치되는 유니버셜조인트(630)이다.
또 본 발명의 동력전달수단(600) 제2실시 예는,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축(500)을 매개로 제1베벨기어(640)가 설치되고, 그 제1베벨기어(640)의 양측에는 각각의 제2 및 제3베벨기어(650,650a)가 결합 설치하며, 상기 제2베벨기어(650)에는 입력 축(610)이 설치되고, 상기 제3베벨기어(650a)에는 동력전달 축(660)이 설치되며, 상기 동력전달 축(660)에는 제1피니언(670)이 설치되고, 그 제1피니언(670)에는 출력 축(620)이 설치된 제2피니언(670a)을 결합 설치한다.
상기 제1피니언(670)에 제2피니언(670a)을 결합 설치하는 이유는, 입력 축(610)의 회전방향과 출력 축(620)의 회전방향을 동일하게 하여 농기계의 동력이 작업기로 정상적으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제1베벨기어(640)를 설치하는 중심축(500)의 선단에는 너트(505)가 고정되어 제1베벨기어(640)를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1베벨기어(640)의 축은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동력전달 축(660)과 출력 축(620)도 상기 제1피니언(670) 및 제2피니언(670a)을 수용하며 보호하는 박스(B)와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박스(B)는 전면 판의 내측 또는 외 측면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된다.
또 본 발명의 동력전달수단(600) 제3실시 예는, 도 10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에 한 쌍의 베벨기어(680)가 나란하게 설치되고, 그 한 쌍의 베벨기어(680) 중 일 측의 베벨기어에는 입력 축(610)이 설치되는 제1베벨기어(650)가 설치되고, 타 측의 베벨기어에는 출력 축(620)이 설치되는 제2베벨기어(650a)가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베벨기어(680) 중 일 측의 베벨기어 축에는 제1피니언(670)이 설치되고, 타 측의 베벨기어 축에는 제2피니언(670a)을 상기 제1피니언(670)과 결합되게 설치한다.
상기 일 측의 베벨기어 축과 타 측의 베벨기어 축에 제1피니언(670)과 제2피니언(670a)을 결합 설치하는 이유는, 입력 축(610)의 회전방향과 출력 축(620)의 회전방향을 동일하게 하여 농기계의 동력이 작업기로 정상적으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는 상기 효과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농기계의 동력을 작업기로 전달하는 입력 축과 출력 축의 방향을 제약 없이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작업 중 구조적으로 취약한 부분에서 발생하는 결함으로 인하여 작업을 중단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며, 트랙터와 작업기의 연결설치를 견고하게 함과 동시에 회동 각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300,400 : 제1 및 제2회전체 310,410 : 전면 판
320,420 : 측면 판 330,430 : 회동 판
340 : 스토퍼 500 : 중심축
510 : 베어링 520 : 윤활유공급로
600 : 동력전달수단 610 : 입력 축
620 : 출력 축 700 : 연결대고정수단
710 : 고정 축 720 : 연결대
730 : 연결대회동제어구 740 : 마감판
750 : 슬리브 760 : 지지판
770 : 중간 판 780 : 고정축고정판
790 : 마찰방지부재 800 :개폐커버
900 : 스텐드

Claims (22)

  1. 농기계와 작업기의 사이에 농기계의 동력을 작업기로 전달하기 위해 설치되는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농기계를 향하는 전면 판(310)의 후면 양측 길이방향으로 측면 판(320)이 설치되고, 상/하부에는 상기 전면 판의 폭 방향으로 회동 판(330)을 설치하여 된 제1회전체(300);
    상기 작업기를 향하는 전면 판(410)의 후면 양측 길이방향으로 측면 판(420)이 설치되고, 상/하부에는 상기 제1회전체의 회동 판과 후방일부가 포개지는 회동 판(430)을 설치하여 된 제2회전체(400);
    상기 포개진 회동 판의 중앙부를 베어링(510)을 매개로 관통 설치되며, 일측단부에서 상기 베어링으로 윤활유를 공급하는 윤활유공급로(520)가 내부에 형성된 중심축(500);
    상기 제1 및 제2회전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일 측에 농기계의 동력을 받는 입력 축(610)이 설치되고 타 측에 작업기로 동력을 전달하는 출력 축(620)이 설치된 유니버셜조인트(630)로 이루어진 동력전달수단(600);
    상기 일 측의 전면 판에는 농기계와 연결 설치되는 연결대(720)를 연결대고정수단(700)을 이용하여 연결 설치하되, 그 연결대고정수단은, 상기 전면 판과 연결대를 관통하는 내부에 윤활유공급로(711)가 형성된 고정축(710)과, 상기 제1회전체 또는 제2회전체의 전면 판에 설치되어 연결대의 회동 각의 제어하는 연결대회동제어구(730)와, 상기 연결대회동제어구의 전단에 상기 고정축(710)이 관통하도록 설치된 마감판(740)과, 슬리브(750)의 일측 단부가 끼워 고정되는 지지판(760)과, 그 지지판의 이면에 고정설치되는 다각형의 고정 홀(771)이 형성된 중간 판(770)과, 상기 고정 홀에 끼워 고정되며 고정축의 후단부와 고정 설치되는 고정축고정판(78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회전체의 전면 판 상/하부와 양 측면에는 각각의 키홀(311,4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회전체의 측면 판과 회동 판에는 상기 키홀에 긴밀히 끼워 결합되는 각각의 키(321,421,331,431)가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회전체 중 어느 일 측의 회전체 측면에 설치되는 측면 판의 하부에는 타 측의 회전체 회전 각을 제어하는 스토퍼(340)가 설치되고, 그 스토퍼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축, 마감판, 슬리브, 지지판, 중간 판, 고정축고정판을 수용하며 보호하는 하부커버(C)가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판(310)의 후면과 측면 판(320)의 하단부에는 상기 고정축, 마감판, 슬리브, 지지판, 중간 판, 고정축고정판을 수용하며 보호하는 하부커버(C)가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720)가 설치되는 농기계 쪽을 향하는 전면 판(310)의 상/하부에 설치된 회동 판(330)은, 단일의 회동 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대(720)가 설치되지 않는 작업기를 향하는 전면 판(410)의 상/하부에 설치된 회동 판(430)은, 상기 단일의 회동 판이 끼워 결합되는 한 쌍의 회동 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단일의 회동 판 두께는, 상기 한 쌍의 회동 판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720)가 설치되는 농기계 쪽을 향하는 전면 판(310)의 상/하부에 설치된 회동 판(330)은, 한 쌍의 회동 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대(720)가 설치되지 않는 작업기를 향하는 전면 판(410)의 상/하부에 설치된 회동 판은, 상기 한 쌍의 회동 판 사이에 끼워 결합되는 단일의 회동 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단일의 회동 판 두께는, 상기 한 쌍의 회동 판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720)가 설치되는 농기계를 향하는 전면 판(310)의 상/하부에 설치된 회동 판(330) 중 상부에 위치한 회동 판은 단일의 회동 판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에 위치한 회동 판은 한 쌍의 회동 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대(720)가 설치되지 않는 전면 판(410)의 상부에 위치하는 회동 판(430)은 한 쌍의 회동 판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에 위치하는 회동 판은 단일의 회동 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단일의 회동 판 두께는, 상기 한 쌍의 회동 판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720)가 설치되는 농기계를 향하는 전면 판(310)의 상/하부에 설치된 회동 판(330) 중 상부에 위치한 회동 판은 한 쌍의 회동 판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에 위치한 회동 판은 단일의 회동 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대(720)가 설치되지 않는 전면 판(410)의 상부에 설치되는 회동 판(430)은 단일의 회동 판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에 설치되는 회동 판은 한 쌍의 회동 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단일의 회동 판 두께는, 상기 한 쌍의 회동 판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500)과 고정 축(710)에 형성된 각 윤활유공급로(520,711)는, 상기 각 축의 내부에 형성되고, 그 내부에 형성된 윤활유공급로의 입구에는 니플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500)의 일측 단부에는 헤드부(501)가 형성되고, 그 헤드부에는 상기 중심축이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키(503)가 결합되는 키 홀(502)이 형성되며, 상기 중심축의 끝 부분에는 나사부(504)가 형성되어 너트(505)로 고정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720)는, 중앙부에 슬리브(721)가 장착된 고정축체결홀(722)이 형성되고, 양 측단부에는 농기계와 연결 설치되는 브래킷(723)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723)은, "ㄷ"자 형으로써 상/하부에 복수 개의 고정핀체결홀(723a)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대(720)와 브래킷(723) 간에는 브래킷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관구멍(724a)이 형성된 3각형의 보강리브(724)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핀체결홀(723a)에는 고정부재(726)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고정축체결홀(722)이 형성된 연결대(720)의 외부 주위에는 보강편(725)을 설치하여 상기 연결대의 고정축체결홀 주위를 보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726)는, 상기 브래킷의 이면에 위치하는 스톱 편(726a)과, 그 스톱 편의 일측에 설치되어 브래킷에 형성된 일측의 고정핀체결홀(723a)을 관통하는 고정핀(726b)과, 그 고정핀의 일측에 설치되어 타측의 고정핀체결홀(723a)에 끼워 결합되는 보조고정핀(726c)과, 상기 고정핀(726b)의 끝단부에 스톱 핀(726e)을 관통하는 관통구멍(726d)을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회동제어구(730)는, 전면 판의 하부 상측에 "∨"자형의 상부브래킷(731)이 설치되고, 하부에 "∧"자형의 하부브래킷(732)이 설치되며, 상기 상/하부브래킷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각각의 보강리브(731a,732a)가 설치되고, 상기 상/하부브래킷의 선단에는 마감 편(733)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고정판(780)의 하부는, 고정축고정판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볼트(B)로 상기 고정축고정판을 관통하며 상기 지지판(760)에 나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판과 연결대의 사이에는, 연결대가 전면 판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방지부재(79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판에는, 동력전달수단과 출력 축의 연결 설치부분에 윤활유를 공급하기 위한 윤활유공급구멍(320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회전체의 측면 판이 상호 마주보는 사이에는, 동력전달수단을 눈으로 확인하기 위한 공간(S1)이 확보되고 그 공간에는 개폐커버(8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판의 하부에 설치된 회동 판에는, 이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멍(H)이 형성되고, 상기 작업기 쪽의 하부에 설치된 회동 판에는, 스텐드(900)가 절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
  20. 삭제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회전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동력전달수단(600)은, 중심축(500)을 매개로 제1베벨기어(640)가 설치되고, 그 제1베벨기어(640)의 양측에는 제2 및 제3베벨기어(650,650a)가 결합 설치하며, 상기 제2베벨기어에는 입력 축(610)이 설치되고, 상기 제3베벨기어에는 동력전달 축(660)이 설치되며, 상기 동력전달 축에는 제1피니언(670)이 설치되고, 그 제1피니언(670)에는 출력 축(620)이 설치된 제2피니언(670a)을 결합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회전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동력전달수단은, 한 쌍의 베벨기어(680)가 나란하게 설치되고, 그 한 쌍의 베벨기어 중 일 측의 베벨기어에는 입력 축(610)이 설치되는 제1베벨기어(650)가 설치되며, 타 측의 베벨기어에는 출력 축(620)이 설치되는 제2베벨기어(650a)가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베벨기어 중 일 측의 베벨기어 축에는 제1피니언(670)이 설치되고, 타 측의 베벨기어 축에는 제2피니언(670a)을 상기 제1피니언과 결합되게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
KR1020190017773A 2019-02-15 2019-02-15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 KR102001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773A KR102001618B1 (ko) 2019-02-15 2019-02-15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773A KR102001618B1 (ko) 2019-02-15 2019-02-15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1618B1 true KR102001618B1 (ko) 2019-07-18

Family

ID=67469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773A KR102001618B1 (ko) 2019-02-15 2019-02-15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6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48802A (zh) * 2021-05-24 2021-09-07 江苏海瑞通机械有限公司 一种稳定型旋耕机上悬挂机构
KR102559340B1 (ko) * 2022-07-28 2023-07-26 주식회사 해동에이지케이 농기계의 동력 전달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2910A (ko) * 2008-07-30 2010-02-09 박세화 연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작업기와 트랙터
KR101057473B1 (ko) 2011-03-29 2011-08-18 주식회사 죽암기계 안전 커버가 장착된 베일러의 굴절조인트
KR101359997B1 (ko) 2013-03-06 2014-02-06 유명덕 트렉터용 굴절조인트 안전커버
KR101401024B1 (ko) 2014-02-26 2014-05-29 서경진 안전커버가 설치된 트랙터와 작업기 연결장치
KR20190046167A (ko) * 2017-10-25 2019-05-0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구동축의 정회전과 역회전 제어가 가능한 동력전달장치 및 그 동력전달장치를 갖는 농업용 작업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2910A (ko) * 2008-07-30 2010-02-09 박세화 연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작업기와 트랙터
KR101057473B1 (ko) 2011-03-29 2011-08-18 주식회사 죽암기계 안전 커버가 장착된 베일러의 굴절조인트
KR101359997B1 (ko) 2013-03-06 2014-02-06 유명덕 트렉터용 굴절조인트 안전커버
KR101401024B1 (ko) 2014-02-26 2014-05-29 서경진 안전커버가 설치된 트랙터와 작업기 연결장치
KR20190046167A (ko) * 2017-10-25 2019-05-0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구동축의 정회전과 역회전 제어가 가능한 동력전달장치 및 그 동력전달장치를 갖는 농업용 작업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48802A (zh) * 2021-05-24 2021-09-07 江苏海瑞通机械有限公司 一种稳定型旋耕机上悬挂机构
CN113348802B (zh) * 2021-05-24 2023-08-22 江苏海瑞通机械有限公司 一种稳定型旋耕机上悬挂机构
KR102559340B1 (ko) * 2022-07-28 2023-07-26 주식회사 해동에이지케이 농기계의 동력 전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1618B1 (ko) 농기계와 작업기의 연결장치
US8182024B2 (en) Structure and a system for connecting a machine cab to a supporting frame
CA1060803A (en) Vehicle drive and suspension system
WO2016007193A1 (en) Axle assembly with carrier housing having increased strength and reduced mass
US3806158A (en) Hinge joint
KR200419323Y1 (ko) 유니버셜 조인트의 윤활유 급유장치
US7743869B2 (en) Mining utility transport vehicle
CN102177319A (zh) 用于润滑动力传递元件的系统和方法
US20150084309A1 (en) Work vehicle chassis articulation joint
WO2024093953A1 (zh) 一种铰接装置总成及行走机器
US7181897B2 (en) Rotary mower
ES2841377T3 (es) Caja de velocidades para equipo de motocultivo y equipo de motocultivo que comprende una caja de velocidades de este tipo
US20020155917A1 (en) Axle assembly
EP0098821A1 (en) An arrangement in vehicles with articulated steering
JP2007314091A (ja) 作業車両の機械式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612874B1 (ko) 동력전달장치
US11987952B2 (en) Construction machine
US6547028B1 (en) Axle mounting arrangement
EP3802293B1 (en) A track assembly and a track-driven vehicle equipped with such a track assembly
JP2010031985A (ja) 軸部材および差動装置
WO2024095548A1 (ja) 作業車
JP7130587B2 (ja) 作業機
JP7214540B2 (ja) 車両
KR200461796Y1 (ko) 트랙터작업기용 요잉축 체결구조
JP5336783B2 (ja) 4クローラ型作業車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