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2899U - 난연 지하 배수벽 구조 - Google Patents

난연 지하 배수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2899U
KR20100012899U KR2020090007914U KR20090007914U KR20100012899U KR 20100012899 U KR20100012899 U KR 20100012899U KR 2020090007914 U KR2020090007914 U KR 2020090007914U KR 20090007914 U KR20090007914 U KR 20090007914U KR 20100012899 U KR20100012899 U KR 201000128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agents
flame retardant
wall structure
expanded polystyr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79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동천
Original Assignee
남동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동천 filed Critical 남동천
Priority to KR20200900079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2899U/ko
Publication of KR201000128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89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 벽체; 일단부가 상기 지하벽체의 벽면에 고정되는 연결고정구; 상기 연결고정구의 타단부에 일면이 고정되는 발포폴리스티렌(EPS) 난연패널; 및 상기 발포폴리스티렌 난연패널의 타면에 일면이 고정되는 난연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마감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지하 배수벽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로 난연성이 우수하여 화재사고시 유독가스를 발생하지 않고 인체에 무해하고, 외부의 환경변화에 따른 단열성의 변화가 적으며, 시공이 간편한 지하 배수벽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마감재, 지하실

Description

난연 지하 배수벽 구조{Flame Retardant Draining Wall Structure}
본 고안은 지하 구조물의 내벽에 발생하는 습윤현상 및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난연성이 우수하여 화재사고시 유독가스를 발생하지 않고 인체에 무해한 난연 지하 배수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건축물에서 지중에 매설되는 지하 구조물은 지상 구조물과 달리 외부로부터 실내로 수분이 스며들거나 또는 내,외부의 온도 차이에 의한 결로현상 등으로 인하여 내부 벽면에 습윤현상이 발생하고, 내부공간에 보관되는 물품들이 쉽게 변질될 우려가 높으며, 거주하는 사람들에게는 불쾌한 환경을 조성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지하 구조물의 외부로부터 수분, 습기 또는 침투수가 스며들지 않도록 벽체에 방수처리를 하거나 건물 벽체와 간격을 유지하면서 벽돌층을 조적하는 방법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방수처리된 벽체가 토압에 의한 하중에 걸린 상태에서 땅속의 지하수나 습한 기운에 노출되기 때문에 방수 처리층이 부식될 가능성이 크고, 이에 따라 지하수 또는 습기가 벽체 내로 침투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또한, 벽돌층을 조적하는 경우에는 공사기간 및 시공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며, 벽돌의 두께로 인하여 내부 공간이 좁아진다는 단점과 함께 하자 보수시 벽돌층을 허물어야 함으로써 하자 보수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하자보수를 시행하더라도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차가운 벽체에 더운 공기가 직접 맞닿지 않도록 조립식의 내벽체를 지하 구조물의 내벽에 시공함으로써 내부 벽면을 더운공기와 차단하여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결로수나 외벽체의 방수 또는 벽체자체의 균열로 인해 유입되는 물을 차폐, 배수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조립식 내벽체는 수평도를 제어하는 구조 및 기능이 마련되지 않아 지하 구조물의 내부 벽면이 고르지 못하거나 또는 기울어진 경우 판형상의 내벽체를 수평면을 이루도록 시공할 수 없으며, 설령 이를 설치하더라도 수평면을 유지하지 못해 외관상 조잡함은 물론 미려함을 전혀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또한, 상기 내벽체는 나사, 못 등을 이용하여 내부 벽면에 직접 부착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침투되는 수분이나 결로수가 상기 나사, 못 등을 따라 내측으로 유입됨으로써 방수, 방습의 효과가 저감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지하 구조물의 내벽체는 폐플라스틱으로 제조한 구조물에 난연처리가 안된 외장제로 조립하는 방법과 난연처리가 안된 스티로폼에 난연처리가 안된 외장재로 본딩하여 조립하는 것으로서 화재시에 엄청난 발화속도 및 유독가스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난연성이 우수하여 화재사고시 유독가스를 발생하지 않고 인체에 무해한 지하 배수벽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외부의 환경변화에 따른 단열성의 변화가 적은 지하 배수벽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하며 시공이 간편한 지하 배수벽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지하 벽체; 일단부가 상기 지하벽체의 벽면에 고정되는 연결고정구; 상기 연결고정구의 타단부에 일면이 고정되는 발포폴리스티렌(EPS) 난연패널; 및 상기 발포폴리스티렌 난연패널의 타면에 일면이 고정되는 난연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마감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연결고정구는 상기 지하벽체에 고정되는 제1지지판; 일단이 상기 제1지지판에 고정연결되고, 타단의 내부가 중공된 장방형의 제1몸체; 일단부가 상기 제1몸체의 내부에 볼트결합하도록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제2몸체; 및 일면은 상기 제2몸체와 고정되고, 타면은 상기 발포 폴리스티렌 난연패널에 고정되는 제2지지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발포폴리스티렌(EPS) 난연패널은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또는 펠릿을 가열·발포하여 형성된 발포 폴리스티렌 입자의 표면; 및 상기 발포 폴리스티렌 입자의 표면에 형성되며, 아세트산비닐계 수지 10 ~ 99.9 중량% 및 기능성 첨가물 90 ~ 0.1 중량%를 포함한 기능성 코팅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능성 스킨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아세트산비닐계 수지는 중합도(DP)가 10∼100,000 사이의 아세트산비닐의 단독중합체 또는 아세트산비닐과 카프론산비닐, 스테아린산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류,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부틸, 아크릴산옥틸등의 아크릴산에스테르류, 말레인산디부틸과 같은 푸마르산(fumaric acid)의 에스테르류, 말레인산, 아크릴산, 이타콘산 등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것 및 비닐알코올, 부타디엔, 카프로락톤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것과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또는 블렌드로서, 비닐아세테이트 모노머의 함량이 5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기능성 첨가물은 발포제, 핵제, 윤활제,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자외선안정제, 생물안정제, 충진제, 보강제, 가소제, 착색제, 내충격제, 난연제, 대전방지제, 가교제, 형광증백제, 열전도성 부여제, 전기전도성 부여제, 투과성 조절제, 자성 부여제, 계면활성제, 안정제, 부형제, 의약제, 용매, 경화제, 흡습제, 강화제, 향료, 항균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이상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지하벽체 및 상기 연결고정구의 일단부 사이에 구비되는 드라이 몰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드라이 몰탈은 포틀랜드 시멘트, 건조된 모래 및 경화촉진제가 각각 25: 75: 5의 비율로 혼합제조되되, 상기 경화촉진제는 분말형태의 포름산 칼슘(calcium formate) 또는 염화칼슘(CaCl2)인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실시로 발생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난연성이 우수하여 화재사고시 유독가스를 발생하지 않고 인체에 무해한 지하 배수벽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외부의 환경변화에 따른 단열성의 변화가 적은 지하 배수벽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하며 시공이 간편한 지하 배수벽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인 난연 지하 배수벽 구조(10)는 지하 벽체(100); 일단부가 상기 지하 벽체(100)의 벽면에 고정되는 연결고정구(200); 상기 연결고정구(200)의 타단부에 일면이 고정되는 발포폴리스티렌(EPS) 난연패널(300); 및 상기 발포폴리스티렌 난연패널(300)의 타면에 일면이 고정되는 난연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마감재(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에 사용하는 상기 발포폴리스티렌(EPS) 난연패널(300)은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또는 펠릿을 가열·발포하여 형성된 발포 폴리스티렌 입자의 표면; 및 상기 발포 폴리스티렌 입자의 표면에 형성되며, 아세트산비닐계 수지 10 ~ 99.9 중량% 및 기능성 첨가물 90 ~ 0.1 중량%를 포함한 기능성 코팅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능성 스킨층을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 고안의 기능성 스킨층을 갖는 발포 폴리스티렌 난연패널(300)을 구성하는 입자는 대개 지름이 약 1~30nm이며, 이중 발포 폴리스티렌 입자의 지름이 0.999~29.999mm 정도이고, 외부의 스킨층은 두께가 약 1~100㎛사이의 스킨-코어 구조로 이루어진 구형의 입자이다. 중량을 기준으로 보면, 상기 코어를 이루는 발포 폴리스티렌 입자는 상 기 코어를 이루는 발포 폴리스티렌 입자는 전체 중량의 5∼99중량% 정도를 차지하고, 기능성 스킨층은 1∼95중량%를 차지하게 되며, 그 밖에 5중량% 이내의 잔류물이 존재하게 된다.
상기 발포 폴리스티렌 입자는 공지된 통상의 발포 폴리스티렌 입자이며, 상기 기능성 스킨층은 아세트산비닐계 수지용액에 각종 기능성 첨가물이 혼입된 기능성 코팅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이형처리 및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된 것이다. 상기 아세트산비닐계 수지용액은 아세트산비닐계 수지가 3∼80중량% 농도로 용해된 것으로, 상기 아세트산비닐계 수지는 중합도(DP)가 10~100,000 사이의 아세트산비닐
단독중합체 또는 아세트산비닐과 카프론산비닐, 스테아린산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류,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부틸, 아크릴산옥틸 등의 아크릴산에스테르류, 말레인산디부틸과 같은 푸마르산(fumaric acid)의 에스테르류, 말레인산, 아크릴산, 이타콘산 등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것 및 비닐알코올, 부타디엔, 카프로락톤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것과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또는 블렌드로서, 비닐아세테이트 모노머의 함량이 5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세트산비닐계 수지용액에 사용되는 용매로는 물과, 알코올류, 에스테르류, 케톤류, 카르복시산류, 방향족류 및 할로겐화탄화수소류 등의 유기용매가 사용될 수 있으나, 비교적 휘발성이 높고, 인체 유해성이 낮으며, 특히 발포된 폴리스티렌 입자의 표면을 용해 또는 침식시키는 작용이 적은 용매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용매로는 알코올류의 용매를 들 수 있다. 수지성분의 농도는 발포 입자의 표면에의 부착성과 처리시의 작업성을 고려하여 상기 범위 내에서 선정한다.
한편, 상기 기능성 첨가물은 아세트산비닐계 수지용액에 잘 용해 또는 분산되고 발포 폴리스티렌 입자의 표면을 침식 또는 용해하지 않는 것이면 특별한 제한 없이 첨가하여 다양한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것들로는, 발포제, 핵제, 윤활제,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자외선안정제, 생물안정제, 충진제, 보강제, 가소제, 착색제, 내충격제, 난연제, 대전방지제, 가교제, 형광증백제, 열전도성 부여제, 전기전도성 부여제, 투과성 조절제, 자성 부여제, 계면활성제, 안정제, 부형제, 의약제, 용매, 경화제, 흡습제, 강화제, 향료, 항균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첨가할 수도 있고 상용성이 있는 2가지 이상을 혼용할 수도 있다.
특히, 삼산화안티모네, 인산화합물, 붕소, 붕산, 산화알루미늄과 같은 난연제를 첨가할 경우, 발포 폴리스티렌 입자의 표면을 각각 둘러싼 일종의 방화벽이 형성되기 때문에 직접 불길이 닿지 않는 부분으로 화재가 전파되는 것이 방지되고 스킨층으로 이루어진 골격이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시켜 화재가 급격히 전파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인 난연 발포 폴리스티렌 제품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기능성 첨가물이 혼입된 아세트산비닐계 수지용액은 발포 폴리스티렌 입자의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하는데, 이때 수지용액의 점성이 낮을 경우에는 수지용액을 발포 폴리스티렌 입자 표면에 분사하면서 입자를 잘 교반해 주는 방법으로 도포하는 것이 유용하며, 수지용액의 점성이 높은 경우에는 혼합기를 이용하여, 수지용액에 발포 폴리스티렌 입자를 넣고 교반하여 혼합하는 방법으로 수지용액을 입자 표면에 도포할 수 있다.
이렇게 발포 폴리스티렌 입자에 기능성 첨가물이 혼입된 아세트산비닐계 수지용액을 도포하면 수지용액의 점성 때문에 발포 폴리스티렌 입자가 서로 뭉쳐 한 덩어리로 되어 버리기 때문에 성형품을 만들기에 부적합하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지용액을 균일하게 도포한 다음에는, 이형처리와 건조를 거쳐 최종적으로 기능성 스킨층을 갖는 발포 폴리스티렌 입자를 얻게 된다.
상기 이형제로는 아세트산비닐의 용매가 아닌 액상물질 또는 고체분말을 이용할 수 있는데, 고체분말을 사용할 경우 성형성을 감소시키며 건조과정 중에 분진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액상물질 중에서도 지나치게 친유성이 높은 경우에는 폴리스티렌과의 친화성이 아세트산비닐수지보다 높아서 폴리스티렌과 아세트산비닐수지를 분리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러한 종류를 피하여 선택한다. 따라서 바람직하기로는 다소간의 친수성을 가지면서 액상이어서 아세트산비닐수지의 외부를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으며, 아세트산비닐의 용매가 적절하게 제거될 때까지 존
재하여 이형작용을 할 수 있는 것을 선택한다. 이러한 것으로는, 분자 구조 중에 히드록실기(-OH)가 2개 이상인 물,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친수성 액상물질 또는 실리콘 오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이형제는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2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형제는 아세트산 비닐수지함량의 1∼40중량% 정도를 사용하되, 발포 폴리스티렌 입자의 표면적, 스킨층을 형성하는 기능성 코팅제 조성물의 조성 등에 따라 적정한 양을 선정하여 사용한다.
이형제를 균일하게 부과한 후에는 교반하면서 건조시켜 발포 입자가 각각의 알갱이로 분리되도록 한다. 건조는 100℃ 이하의 온풍을 가하면서 교반하는 방법이나, 100℃ 이하로 가열된 용기에 넣고 교반하면서 건조시키는 방법, 진공을 걸어 감압하에서 건조하는 방법 등으로 행할 수 있으며, 작업성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진공과 가온을 병행하는 방법 등이 유용하다. 이렇게 하여 형성된 기능성 스킨층에는 아세트산비닐계 수지가 10∼99.9중량%를 차지하며, 기능성 첨가물이 0.1∼90중량%정도 포함된다. 그 밖에 용매나 이형제 잔류물 등이 20중량%이내의 함량으로 존재하게 된다. 기능성 첨가물의 함량은 부여하고자 하는 기능의 종류에 따라 크게 달라지며, 예컨대 난연제나 보강재, 충진재의 경우 다량함유되지만, 착색제와 같은 것은 더 소량만 첨가하여도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대개 상기 범위 이내이면 아세트산비닐수지가 스킨층을 형성할 수 있는 매트릭스로서 작용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기능성 스킨층을 갖는 발포 폴리스티렌 입자는 사일로에 보관하였다가 원하는 형태의 형틀에 넣고 고압의 스팀을 가하여 성형함으로써, 기능성 발포 폴리스티렌 성형품을 제조한다. 이러한 성형공정은 종래의 발포 폴리스티렌의 성형공정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연결고정구(200)는 일단부는 지하 벽체(100)의 벽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발포폴리스티렌 난연패널(300)의 일면에 고정되어 벽면과 마감재(400)를 연결하면서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연결고정구(200)의 설치간격은 실시조건에 따라 500 ~ 700 mm의 간격으로 하여 설치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사각의 판형상으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지지판의 형태는 100mm×100mm의 크기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고정구(200)의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고정구(200)의 구성을 상기 지하 벽체(100)에 고정되는 제1지지판(210); 일단이 상기 제1지지판(210)에 고정연결되고, 타단의 내부가 중공된 장방형의 제1몸체(220); 일단부가 상기 제1몸체(220)의 내부에 볼트결합하도록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제2몸체(230); 및 일면은 상기 제2몸체(230)와 고정되고, 타면은 상기 발포폴리스티렌 난연패널(300)에 고정되는 제2지지판(240)으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제1몸체(220) 및 제2몸체(230)를 볼트결합을 하도록 구성하여 지하 벽체(100)와 발포 폴리스티렌 난연패널(300)의 설치간격을 조 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제1몸체(220) 및 제2몸체(230)의 볼트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2몸체(230)와 제2지지판(240)의 연결을 베어링을 이용하여 제2몸체(230)의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을 실시함에는 상기 지하 벽체(100) 및 상기 연결고정구(200)의 일단부 사이의 고정을 더욱더 견고히 하기 위하여, 지하 벽체(100)와 연결고정구(200)의 일단부 사이를 드라이 몰탈(500)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하는 드라이 몰탈(500)은 포틀랜드 시멘트, 건조된 모래 및 경화촉진제가 각각 25: 75: 5의 비율로 혼합제조할 수 있고, 경화촉진제는 분말형태의 포름산 칼슘(calcium formate) 또는 염화칼슘(CaCl2)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촉진제로 사용하는 분말형태의 CaFo는 시멘트 모르타르에 첨가되어 모르타르의 경화를 촉진시키는 첨가제로써 에트링가이트(ettringite, 3CaO, Al2O3, 3CaSO4, 32H2O)) 형성을 촉진시켜 초기 강도 발현을 개선시킨다. 특히 타일 접착제에 적용 될 경우 가사시간 연장, 접착력 증가, 내수성 향상, 작업성 개선 등의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시공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을 실시하고자 하는 지하 벽체(100)의 벽면의 이물질 등을 제 거하고 깨끗이 청소한다. 그리고 설치하고자 하는 연결고정구(200)의 간격에 맞추어 연결고정구(200)의 설치위치를 먹줄을 이용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연결고정구(200)의 표시위치에 드라이몰탈(500)을 바른 후에 연결고정구(200)를 지하 벽체(100)에 부착하는 작업을 한다. 드라이몰탈(500)이 경화된 후에는 연결고정구(200)의 타단측에 발포폴리스티렌 난연패널(300)을 부착시킨다. 이때 연결고정구(200)와 발포폴리스티렌 난연패널(300)간의 부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할멜트 접착제 또는 실리콘 접착제 등을 하여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고정구(200)와 발포폴리스티렌 난연패널(300)간의 부착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표면에 다양한 문양을 취하고 있는 난연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마감재(400)를 상기 발포폴리스티렌 난연패널(300)에 부착을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정면도,
도 2b는 도 2a의 측면도,
도 3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정면도,
도 3b는 도 3b의 측면도,
도 4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4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사용하는 연결고정구의 작동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난연 지하 배수벽 구조.
100; 지하 벽체
200; 연결고정구
210; 제1지지판 220; 제1몸체
230; 제2몸체 240; 제2지지판
300: 발포 폴리스티렌 난연패널
400; 마감재
500; 드라이 몰탈

Claims (7)

  1. 지하 벽체;
    일단부가 상기 지하벽체의 벽면에 고정되는 연결고정구;
    상기 연결고정구의 타단부에 일면이 고정되는 발포폴리스티렌(EPS) 난연패널; 및
    상기 발포폴리스티렌 난연패널의 타면에 일면이 고정되는 난연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마감재;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지하 배수벽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정구는,
    상기 지하벽체에 고정되는 제1지지판;
    일단이 상기 제1지지판에 고정연결되고, 타단의 내부가 중공된 장방형의 제1몸체;
    일단부가 상기 제1몸체의 내부에 볼트결합하도록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제2몸체; 및
    일면은 상기 제2몸체와 고정되고, 타면은 상기 발포스티렌 난연패널에 고정되는 제2지지판;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지하 배수벽 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폴리스티렌(EPS) 난연패널은,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또는 펠릿을 가열·발포하여 형성된 발포 폴리스티렌 입자의 표면; 및
    상기 발포 폴리스티렌 입자의 표면에 형성되며, 아세트산비닐계 수지 10 ~ 99.9 중량% 및 기능성 첨가물 90 ~ 0.1 중량%를 포함한 기능성 코팅제;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능성 스킨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지하 배수벽 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아세트산비닐계 수지는,
    중합도(DP)가 10∼100,000사이의 아세트산비닐의 단독중합체 또는 아세트산비닐과 카프론산비닐, 스테아린산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류,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부틸, 아크릴산옥틸등의 아크릴산에스테르류, 말레인산디부틸과 같은 푸마르산(fumaric acid)의 에스테르류, 말레인산, 아크릴산, 이타콘산 등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것 및 비닐알코올, 부타디엔, 카프로락톤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것과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또는 블렌드로서, 비닐아세테이트 모노머의 함량이 5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지하 배수벽 구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첨가물은,
    발포제, 핵제, 윤활제,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자외선안정제, 생물안정제, 충진제, 보강제, 가소제, 착색제, 내충격제, 난연제, 대전방지제, 가교제, 형광증백제, 열전도성 부여제, 전기전도성 부여제, 투과성 조절제, 자성 부여제, 계면활성제, 안정제, 부형제, 의약제, 용매, 경화제, 흡습제, 강화제, 향료, 항균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지하 배수벽 구조.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벽체 및 상기 연결고정구의 일단부 사이에 구비되는 드라이 몰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지하 배수벽 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 몰탈은,
    포틀랜드 시멘트, 건조된 모래 및 경화촉진제가 각각 25: 75: 5의 비율로 혼합제조되되,
    상기 경화촉진제는 분말형태의 포름산 칼슘(calcium formate) 또는 염화칼슘(CaCl2)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지하 배수벽 구조.
KR2020090007914U 2009-06-19 2009-06-19 난연 지하 배수벽 구조 KR2010001289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914U KR20100012899U (ko) 2009-06-19 2009-06-19 난연 지하 배수벽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914U KR20100012899U (ko) 2009-06-19 2009-06-19 난연 지하 배수벽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899U true KR20100012899U (ko) 2010-12-29

Family

ID=44485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7914U KR20100012899U (ko) 2009-06-19 2009-06-19 난연 지하 배수벽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289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69294A (zh) * 2015-12-17 2016-05-11 安徽助成信息科技有限公司 施工安全型外墙保温装饰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69294A (zh) * 2015-12-17 2016-05-11 安徽助成信息科技有限公司 施工安全型外墙保温装饰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0700B1 (ko) 단열 및 방음성이 향상된 경량기포 콘크리트
WO2015026144A1 (ko) 불연성 충진 단열소재 조성물을 이용한 조립식 건식 벽체 시스템 및 마감일체형 조립식 구조물
KR101112010B1 (ko) 난연성 우레탄폼보드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단열 방수 시공방법
CZ31096U1 (cs) Směs pro prodyšný protipožární lehčený zateplovací systém na bázi skla
CN104710893B (zh) 隔热涂材、隔热建材以及建筑物修整方法
KR100921531B1 (ko) 실외용 무기질 불연 바닥재 시공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바닥재
ES2561601T3 (es) Tereftalatos de polialquilideno expandidos protegidos
CN204940729U (zh) 无机轻集料保温砂浆涂料饰面层
CZ2019446A3 (cs) Izolační materiál a způsob jeho výroby
JP4937518B2 (ja) セメント混和材、セメント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セメントモルタル
KR20100012899U (ko) 난연 지하 배수벽 구조
KR100760149B1 (ko) 건축용 내장재 제조방법
KR100654685B1 (ko) 흡음 석고판넬
RU2650144C2 (ru) Материал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оверхностей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KR20040044613A (ko) 규산질계 침투성 방수재와 단열 및 결로 방지 도료를이용한 복합방수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JP4937519B2 (ja) セメント混和材、セメント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セメントモルタル
KR101590305B1 (ko) 불연성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비드 폼 및 이의 제조방법
Jalal et al. Effect of waterproofing systems and materials on environment
KR101630201B1 (ko) 건축물 천정재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H0462857B2 (ko)
JP6309262B2 (ja) 被覆構造体
CN216373615U (zh) 一种具有防渗阻隔结构的大理石复合板材
KR100634744B1 (ko) 결로방지제 및 그를 이용한 결로방지시공방법
KR100575451B1 (ko) 다기능 경량 무기질계 탄성 도막 방수재
KR20160033372A (ko) 방화용 불연성 코팅모르타르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