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2769U - 전자식 터치 스위치의 전원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식 터치 스위치의 전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2769U
KR20100012769U KR2020090007751U KR20090007751U KR20100012769U KR 20100012769 U KR20100012769 U KR 20100012769U KR 2020090007751 U KR2020090007751 U KR 2020090007751U KR 20090007751 U KR20090007751 U KR 20090007751U KR 20100012769 U KR20100012769 U KR 201000127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urrent
pulse
switch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77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종
Original Assignee
이한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종 filed Critical 이한종
Priority to KR20200900077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2769U/ko
Publication of KR201000127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76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4Arrangements for reducing ripples from dc input or outpu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위치 오프시 교류 전류를 입력받아 바이 패스되는 교류 전류 량을 조절하는 전류량 조절부, 조절된 교류 전류를 맥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 맥류 변환부, 변환된 맥류 전압을 평활화시키는 제1 평활화부, 콘트롤 신호를 입력받아 온, 오프 하는 트라이악, 스위치 온 시 흐르는 1차 전류를 2차 전압으로 유도하는 트랜스, 유도된 2차 전압을 맥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2 맥류 변환부, 변환된 맥류 전압을 평활화시키는 제2 평활화부, 상기 제2평활화부에서 평활화시킨 전압을 정전압으로 변환하는 정전압 변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자식 터치 스위치의 전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직류전원을 부하 외측의 1선에서 얻으면서 6구까지 조명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터치, 전자, 스위치, 벽, 6구, 전원

Description

전자식 터치 스위치의 전원 장치{Power supply apparatus of electronic touch switch}
본 고안은 전자식 터치 스위치의 전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직류전원을 부하 외측의 1선에서 얻으면서 6구까지 조명을 제어할 수 있는 전자식 터치 스위치의 전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 스위치선은 도 1 에서와 같이 교류전원 공급선중 1 선만 왔다가 온(ON)·오프(OFF)되어 돌아가기 때문에 전자식 벽 스위치의 내부 구동용 전원을 얻기 위하여는 도 2에서와 같이 별도의 전원 인출용 트랜스를 사용한다.
그런데, 부하(Lamp)가 20W 정도 경부하일 경우 트랜스 2 차에서 얻을 수 있는 전류는 수 mA에 불과하였으며 이것을 수십 mA 이상으로 끌어 올리기 위해서는 트랜스의 크기가 매우 커져야 하기 때문에 대전류를 필요로 하는 스위치기의 전원으로 사용하기 힘들었다.
또한, 도 2 와 같은 종래의 전원회로는 부하(Lamp)의 변동에 따른 전원전압의 변동이 심하여 품질이 불안하고 트랜스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부피는 커지고 원가는 상대적으로 높았다.
아울러, 회로구동 전원의 전력이 5V, 5mA 정도로 매우 낮기 때문에 LCD 백.라이트까지 사용해야 하는 5V, 30mA 이상이 요구되는 다기능 스위치기에는 사용이 곤란하다.
특히, 220V의 2가닥 선이 노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전자식 스위치 내부의 트라이악을 구동시키는 직류전원은 부하 외측의 1선에서만 얻어야 하며, 6구까지 조명을 제어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직류전원을 부하 외측의 1선에서 얻으면서 6구까지 조명을 제어할 수 있는 전자식 터치 스위치의 전원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전자식 터치 스위치의 전원 장치는
스위치 오프시 교류 전류를 입력받아 바이 패스되는 교류 전류 량을 조절하는 전류량 조절부, 조절된 교류 전류를 맥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 맥류 변환부, 변환된 맥류 전압을 평활화시키는 제1 평활화부, 콘트롤 신호를 입력받아 온, 오프 하는 트라이악, 스위치 온 시 흐르는 1차 전류를 2차 전압으로 유도하는 트랜스, 유도된 2차 전압을 맥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2 맥류 변환부, 변환된 맥류 전압을 평활화시키는 제2 평활화부, 상기 제2평활화부에서 평활화시킨 전압을 정전압으로 변환하는 정전압 변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트라이악 온 또는 오프시 서지 전압을 제한시켜주기 위해 상기 트라이악과 병렬로 연결되고 트랜스 1차측과 직렬로 연결된 TNR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직류전원을 부하 외측의 1선에서 얻으면서 6구까지 조명을 제어할 수 있으며, 아울러, 대전류 구동전류를 필요로 하는 다기능 전원 스위치기의 전원회로 구성이 간단하고 전원회로 동작이 안정적이며 스위치기의 공간 이용 효율이 개선되고 가격경쟁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한다.
도 3의 전원 장치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식 터치 스위치의 전원 장치를 예로 들어 도시한 것으로, 전류량 조절부(100), 제1 맥류 변환부(101), 제1 평활화부(102), 트라이악(103), 트랜스(104), 제2 맥류 변환부(105), 제2 평활화부(106), 정전압 변환부(107)를 포함하여 된 것이다.
추가로, TNR1을 더 포함하여 된 것이다.
즉, 스위치 오프시 교류 전류를 입력받아 바이 패스되는 교류 전류 량을 조절하는 전류량 조절부(100), 조절된 교류 전류를 맥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 맥류 변환부(101), 변환된 맥류 전압을 평활화시키는 제1 평활화부(102), 콘트롤 신호를 입력받아 온, 오프 하는 트라이악(103), 스위치 온 시 흐르는 1차 전류를 2차 전압으로 유도하는 트랜스(104), 유도된 2차 전압을 맥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2 맥류 변환부(105), 변환된 맥류 전압을 평활화시키는 제2 평활화부(106), 상기 제2평활화부(106)에서 평활화시킨 전압을 정전압으로 변환하는 정전압 변환부(107)를 포함하여 된 것이다.
추가로, 트라이악(103) 온 또는 오프시 서지 전압을 제한시켜주기 위해, 상기 트라이악(103)과 병렬로 연결되고 트랜스(104) 1차측과 직렬로 연결된 TNR1을 더 포함하여 된 것이다.
상기 전류량 조절부(100)는 스위치 오프시 교류 전류를 입력받아 바이 패스되는 교류 전류 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병렬로 연결된 바이패스용 커패시터(C5)와 제6 저항(R6), 상기 바이패스용 커패시터(C5)와 직렬로 연결된 제7 저항(R7)으로 된 것이다.
제1 맥류 변환부(101)는 상기 전류량 조절부(100)에서 조절된 교류 전류를 맥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즉, 상기 전류량 조절부(100)에서 조절하여 출력하는 교류 전류를 입력받아, 맥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브릿지 다이오드(D8 ~ D11)로 이루어지며, 일측이 전류량 조절부(100)에 직렬로 연결되고, 타측이 제1 평활화부(102)에 직렬로 연결된다.
제1 평활화부(102)는 상기 제1 맥류 변환부(101)에서 인가하는 맥류 전압을 입력받아 평활화시키는 것으로, 병렬로 연결된 제6 무극성 커패시터(C6)와 제7 극 성 커패시터(C7)로 된 것이며, 제7 극성 커패시터(C7)의 플러스 단자(+)가 제1 맥류 변환부(101)에 연결되고 마이너스 단자(-)가 접지에 연결된다.
트라이악(103)은 콘트롤 신호를 입력받아 스위칭 되는 것으로, 게이트 단자로 콘트롤 신호 입력시 온 된다. 일측이 트랜스(104) 1차 측에 직렬로 연결되고 타측이 전류량 조절부(100)의 바이패스용 커패시터(C5)에 직렬로 연결되며, 병렬로 TNR1이 연결된다. 즉, 트라이악(103) 온 또는 오프시 서지 전압을 제한시켜주기 위해, 상기 트라이악(103)과 병렬로 TNR1이 연결된다.
트랜스(104)는 스위치 온 시 1차 측에 흐르는 전류에서 2차측 전압을 유도하는 것으로, 1차측이 병렬로 연결된 트라이악(103)과 TNR1에 각기 직렬로 연결되고, 2차측은 제2 맥류 변환부(105)에 연결된다.
제2 맥류 변환부(105)는 트랜스(104)에서 유도한 2차 전압을 맥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즉, 트랜스에서 유도한 2차 전압을 입력받아 소정의 맥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브릿지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며, 트랜스(104) 2차측과 제2 평활화부(106) 사이에 설치 연결된다.
제2 평활화부(106)는 변환된 맥류 전압을 평활화시키는 것 즉, 상기 제2 맥류 변환부(105)에서 변환하여 출력한 맥류 전압을 입력받아 평활화시키는 것으로, 병렬로 연결된 제8 무극성 커패시터(C8)와 제9 극성 커패시터(C9)로 된 것이다. 제2 맥류 변환부(105)와 정전압 변환부(107) 사이에 설치 연결되며, 제9 극성 커패시터(C9)의 플러스 단자(+)는 제2 맥류 변환부(105)와 정전압 변환부(107)에 연결되고 마이너스 단자(-)가 접지에 연결된다.
정전압 변환부(107)는 제2 평활화부(106)에서 평활화시킨 전압을 정전압(예: 5V)으로 변환하는 것 즉, 상기 제2 평활화부(106)에서 평활화시킨 전압을 입력받아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병렬로 연결된 제너다이오드와 제10 극성 커패시터(C10)로 이루어지며, 제2 평활화부(106)와 병렬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10 극성 커패시터(C10)의 플러스 단자(+)가 제2 평활화부(106)에 연결되고 마이너스 단자(-)가 접지에 연결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터치식 전자스위치의 전원 장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스위치 오프시 동작
스위치 오프시 먼저, 전류량 조절부(100)는 교류 전류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교류 전류 량을 조절하여 바이 패스시킨다.
다음, 제1 맥류 변환부(101)가 전류량 조절부(100)에서 바이 패스시켜 출력하는 교류 전류를 입력받고, 맥류 전압으로 변환한다.
그런 후, 제1 평활화부(102)가 상기 제1 맥류 변환부에서 변환하여 출력한 맥류 전압을 입력받아 평활화시켜 공급한다.
2)스위치 온시 동작
스위치 온 시 먼저, 트랜스(104)는 1차측을 흐르는 전류를 2차측에서 전압으로 유도한다.
다음, 제2 맥류 변환부(105)는 트랜스(104)에서 유도한 전압을 입력받아 소정의 맥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다음, 제2 평활화부(106)는 제2 맥류 변환부(105)에서 변환하여 출력한 맥류 전압을 입력받아 평활화시킨다.
마지막으로, 정전압 변환부(107)는 상기 제2 평활화부(106)에서 평활화시킨 전압을 입력받아 정전압(예: 5V)으로 변환해 공급한다.
도 1은 종래 벽 스위치선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전자 스위치의 전원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터치식 전자스위치의 전원 장치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전류량 조절부 101 : 제1 맥류 변환부
102 : 제1 평활화부 103 : 트라이악
104 : 트랜스 105 : 제2 맥류 변환부
106 : 제2 평활화부 107 : 정전압 변환부

Claims (2)

  1. 스위치 오프시 교류 전류를 입력받아 바이 패스되는 교류 전류 량을 조절하는 전류량 조절부;
    조절된 교류 전류를 맥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 맥류 변환부;
    변환된 맥류전압을 평활화시키는 제1 평활화부;
    콘트롤 신호를 입력받아 온, 오프 하는 트라이악;
    스위치 온 시 흐르는 1차 전류를 2차 전압으로 유도하는 트랜스;
    유도된 2차 전압을 맥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2 맥류 변환부;
    변환된 맥류 전압을 평활화시키는 제2 평활화부;
    상기 제2 평활화부에서 평활화시킨 전압을 정전압으로 변환하는 정전압 변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터치식 전자스위치의 전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라이악 온 또는 오프시 서지 전압을 제한시켜주기 위해 상기 트라이악과 병렬로 연결되고 트랜스 1차측과 직렬로 연결된 TNR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터치식 전자스위치의 전원 장치.
KR2020090007751U 2009-06-16 2009-06-16 전자식 터치 스위치의 전원 장치 KR2010001276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751U KR20100012769U (ko) 2009-06-16 2009-06-16 전자식 터치 스위치의 전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751U KR20100012769U (ko) 2009-06-16 2009-06-16 전자식 터치 스위치의 전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769U true KR20100012769U (ko) 2010-12-24

Family

ID=44485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7751U KR20100012769U (ko) 2009-06-16 2009-06-16 전자식 터치 스위치의 전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276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334B1 (ko) * 2015-02-16 2016-08-10 케이엔피솔루션(주) 전자식 1라인 멀티 ac 스위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334B1 (ko) * 2015-02-16 2016-08-10 케이엔피솔루션(주) 전자식 1라인 멀티 ac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4584B2 (en) SCR dimming circuit and method
TW201233248A (en) Led driving apparatus and led lighting apparatus
US20140152184A1 (en) Lighting control circuit, illuminating lamp using the lighting control circuit, and lighting device using the illuminating lamp
US8885363B2 (en) Dual-mode switching power control device
US10326356B2 (en) Boost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driving circuit for light-emitting diode and lighting device
TWI502866B (zh) Soft start switching power converter means
EP3720253B1 (en) Power distribution
JP3225298U (ja) 調光ドライバ回路および調光ドライバボード
EP2854274A3 (en) Power supply circuit and luminaire
KR20150003042A (ko) 대기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전력변환장치
KR102033953B1 (ko) Led 조명용 컨버터의 역률 개선 장치 및 방법
KR20090006667A (ko) 인터리브드 플라이백 led 구동 장치
TWI506928B (zh) 電流源換流器及其操作方法
CN105307305A (zh) 一种led电源控制装置及电视机
JP2009545945A (ja) 磁気的に結合されるスイッチ制御回路を備える直流−直流電力変換器
JP6358861B2 (ja) 絶縁抵抗測定装置
KR20100012769U (ko) 전자식 터치 스위치의 전원 장치
JP2011238439A (ja) Led点灯装置
KR101227374B1 (ko) 인버터 과전류 검출 회로를 포함하는 모터 회로 및 인버터 과전류 검출 회로 전원 제공 방법
TW202013873A (zh) 可提升功率因素的電源供應電路
JP2012070544A (ja) 電源回路およびこれを用いた換気装置と照明装置
KR20150003425A (ko) Ac-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전원공급장치
TWI509958B (zh) Dynamic frequency adjustment power control device
KR100612596B1 (ko) 조도 조절기
CN207460008U (zh) 一种降低开关电源空载损耗的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