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2615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2615A
KR20100012615A KR1020080074111A KR20080074111A KR20100012615A KR 20100012615 A KR20100012615 A KR 20100012615A KR 1020080074111 A KR1020080074111 A KR 1020080074111A KR 20080074111 A KR20080074111 A KR 20080074111A KR 20100012615 A KR20100012615 A KR 20100012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door
link device
door opening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4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욱
류상철
추일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4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2615A/ko
Publication of KR20100012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6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5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25Devices for forcing the wing firmly against its seat or to initiate the opening of the wing
    • E05B17/0033Devices for forcing the wing firmly against its seat or to initiate the opening of the wing for opening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22Function thereof for opening
    • E05Y2201/426Function thereof for opening for the initial open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76Transmission of human force
    • E05Y2201/68Handles, cr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05Y2400/3013Electronic control of motors during manual wing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마련된 도어개방장치를 가지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방장치는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제1링크장치와, 상기 제1링크장치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링크장치의 직선운동을 상기 본체 쪽으로 향하는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제2링크장치와, 상기 제2링크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제2링크장치와 연동하는 도어개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도어를 쉽게 개방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장실을 구비하고, 냉동실과 냉장실에 유입된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냉동실도어와 냉장실도어의 내측 테두리에 설치된 가스켓의 내부에 설치된 마그네트의 자력에 의해 도어가 본체에 밀착된다.
따라서, 냉동실도어나 냉장실도어를 개방하고자 하면 사용자가 적어도 마그네트의 자력보다 큰 힘으로 당겨야 도어를 열 수 있고, 또한 냉장고의 고내에 부압이 발생되어 있는 경우 부압에 의해 사용자가 냉동실도어나 냉장실도어를 개방하기가 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현재는 일반적으로 감지센서와 전기모터를 이용한 도어개방장치 또는 외부로 노출된 핸들 자체가 회전하여 기계적 장치를 이용하는 도어개방장치를 채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마련된 도어개방장치를 가지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방장치는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제1링크장치와, 상기 제1링크장치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링크장치의 직선운동을 상기 본체 쪽으로 향하는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제2링크장치와, 상기 제2링크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제2링크장치와 연동하는 도어개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장치는 상기 레버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링크와, 상기 회전링크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링크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직선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직선링크의 일측에서 상기 본체를 향하고 있는 면은 상기 본체쪽으로 경사진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링크장치는 상기 직선링크의 제1경사면에 대응하는 제2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직선링크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방장치는 상기 제2링크장치와 상기 도어개방부재를 연결하는 제3링크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링크장치는 상기 제2링크장치의 직선운동을 더 길게 연장하여 상기 도어개방부재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3링크장치는 복수개의 링크와, 상기 복수개의 링크를 시소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링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시소운동의 중심부가 상기 링크의 양단 중 상기 제2링크장치와 연결된 단부와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를 개폐하며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와, 상기 도어에 마련된 도어개방장치를 가지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방장치는 상기 손잡이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제1링크장치와, 상기 제1링크장치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링크장치의 직선운동을 상기 본체 쪽으로 향하는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제2링크장치와, 상기 제2링크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제2링크장치와 연동하는 도어개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냉장고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좌측에 형성되는 냉동실과 우측에 형성되는 냉장실을 가지는 본체(1)를 구비하고, 냉동실과 냉장실의 개폐를 위해 본체(1)의 전면 양측에 각각 설치된 냉동실도어(2)와 냉장실도어(3)를 구비한다. 냉동실도어(2)와 냉장실도어(3)는 상부와 하부가 힌지장치에 의하여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냉동실도어(2)와 냉장실도어(3)가 서로 접하는 측면에는 냉동실도어(2)와 냉 장실도어(3)를 개폐하기 위한 손잡이(4)가 형성된다. 그리고, 손잡이(4)는 도어의 일부분을 사용자가 직접 파지할 수 있도록 도어의 측면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냉장고의 손잡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한편, 냉동실도어(2)와 냉장실도어(3)를 쉽게 개방하기 위한 도어개방장치(10)가 각각의 도어에 설치된다. 냉동실도어(2)와 냉장실도어(3)에 설치되는 도어개방장치(10)는 좌우방향만 반대일 뿐 도어개방장치(10)의 구성과 원리가 동일하므로, 도 2에서는 냉장실도어(3)만 확대하여 나타내고, 후술할 내용에서는 냉장실도어(3)에 설치된 도어개방장치(1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설명하면 냉장실도어(3)의 도어개방장치(10)는 레버(11), 제1링크장치(20), 제2링크장치(30), 제3링크장치(40) 및 도어개방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링크장치(20), 제2링크장치(30), 제3링크장치(40) 및 도어개방부재(50)는 냉장실도어(3)의 하측 내부에 설치되고, 레버(11)는 손잡이(4)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도어개방장치(10)의 레버(11)의 상단에는 원형의 힌지돌기가 형성되어 손잡이의 내측 상부에 형성된 원형의 힌지홈에 결합하며, 레버(11)의 하단에는 육각형의 힌지돌기(12)가 형성되어 제1링크장치(20)의 일단에 형성된 육각형의 힌지홈(23)에 결합된다.
여기서 제1링크장치(20)는 레버(11)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링크(22)와 이러한 회전링크(22)와 연결되어 냉장실도어(3)의 가로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는 직선링크(21)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레버(11) 하단에 형성된 육 각형의 힌지돌기(12)는 회전링크(22)의 선단에 형성된 육각형의 힌지홈(23)에 삽입되어 결합하고, 회전링크(22)의 후단은 직선링크(21)의 우측단부와 핀결합하여 회전링크(22)의 회전운동이 직선링크(21)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게 된다. 그리고, 레버(11) 하단에 형성된 육각형의 힌지돌기(12)와 회전링크(22)의 선단에 형성된 육각형의 힌지홈(23) 사이에는 사용자가 레버(11)를 파지했다가 놓았을 때 레버(11)와 제1링크장치(20)가 원래 위치로 돌아오도록 하는 리턴스프링(미도시)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직선링크(21)의 좌측단부에서 본체(1)를 향하고 있는 면에는 본체(1)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경사면(24)이 형성된다. 제1경사면(24)은 후술할 제2링크장치(30)에 형성된 제2경사면(31)과 슬라이딩 하여 직선링크(21)의 직선운동의 방향을 전환하여 제2링크장치(3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제1링크장치(20)는 제1케이스(70)에 수용되는데, 도 3과 도 4에서는 도어개방장치(1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편의상 제1케이스(70)의 상면을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케이스(70)의 상면은 실제로 레버(11) 하단의 육각형 힌지돌기(12)가 회전링크(22)의 선단에 형성된 육각형 힌지홈(23)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부분만 개방되어 있고 나머지 부분은 폐쇄되도록 형성된다. 제1케이스(70)는 회전링크(22)가 회전하는 범위와 직선링크(21)가 운동하는 범위를 고려하여 제1링크장치(20)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작동공간(S)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1케이스(70)에서 직선링크(21)와 회전링크(22)가 연결되는 부분과 직선링크(21) 전체를 수용하는 부분은 냉장실도어(3)의 하측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므로, 제1케이스(70)는 냉장실 도어(3) 내부에 충진되는 단열재에 의해 지지된다.
제2링크장치(30)는 선단에 제1경사면(24)에 대응하는 제2경사면(31)이 형성되어 직선링크(21)의 좌측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링크장치(30)는 제1경사면(24)과 제2경사면(31)에 의해 본체(1)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제2링크장치(30)의 후단에 도어개방부재(50)를 직접 연결하여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손잡이(4)의 내측에 형성된 레버(11)를 파지하면 도어개방부재(50)가 본체(1)를 향해 이동하여 도어를 쉽게 개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2링크장치(30)가 이동하는 길이보다 도어개방부재(50)가 더 많이 이동할 수 있도록 제2링크장치(30)와 도어개방부재(50) 사이에 제3링크장치(40)를 설치한다.
제2링크장치(30)의 좌측에는 제2링크장치(30)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부프레임(61)과 제2링크장치(30)와 제3링크장치(40)의 상부공간을 한정하는 상부프레임(62)과 일부분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도어개방부재(50)의 진퇴를 안내하는 안내면(64)을 형성하는 측면프레임(63)으로 이루어지는 지지플레이트(60)가 설치된다.
도어개방부재(50)는 측면프레임(63)의 안내면(6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며, 도어개방부재(50)가 우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제3링크장치(40)의 고정핀이 연결되는 지지부재(65)가 지지플레이트(60)의 내측면에 밀착하도록 설치된다.
제3링크장치(40)는 제2링크장치(30)와 도어개방부재(50) 사이에 순차적으로 핀결합되는 제1링크(41), 제2링크(42), 제3링크(43) 및 제4링크(4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링크(41)의 중간 지점에서 제2링크장치 쪽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곳에서 제1링크(41)를 지지부재(65)에 고정하는 제1고정핀(45)과 제3링크(43)의 중간 지점에서 제2링크 쪽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곳에서 제3링크(43)를 지지부재(65)에 고정하는 제2고정핀(46)을 포함한다. 또한, 제2고정핀(46)과 제3링크(43) 사이에는 도어개방부재(50)가 전진하였다가 다시 후퇴할 때 제3링크장치(40)를 원래대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미도시)이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제2링크장치(30)가 전진하는 거리보다 제1링크(41)의 상단은 더 많이 후퇴하게 되고, 제1링크(41)에 연결된 제2링크(42)가 후퇴하는 거리보다 제3링크(43)의 하단이 더 많이 전진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3링크(43)와 연결된 제4링크(44)가 제2링크장치(30)가 전진하는 거리보다 더 많이 전진하게 되므로, 결국엔 제4링크(44)와 연결된 도어개방부재(50)가 제2링크장치(30)가 전진하는 거리보다 더 많이 전진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2링크장치(30)와 도어개방부재(50) 사이에 제3링크장치(40)를 설치함으로써 제2링크장치(30)와 도어개방부재(50)를 직접 연결하는 구성보다 사용자가 더 쉽게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제2링크장치(30)와 제3링크장치(40)는 제2케이스(80)에 수용되는데, 제2케이스(80)는 도어개방부재(50)가 진퇴하는 부분만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제2케이스(80)와 제1케이스(70)는 볼팅이나 본딩 같은 방법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한편, 제2케이스(80)는 냉장실도어(3)의 하측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냉장실도어(3)의 배면에는 도어개방부재(5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진퇴홀(미도시)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제2케이스(80)는 냉장실도어(3)의 내부에 충진되는 단열재에 의해 지지되고, 도어개방부재(50)는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어개방부재(50)는 사용자가 손잡이(4)를 파지하여 도어개방장치(10)가 작동하였을 때 신속하게 본체(1)와 접촉하여 본체(2)를 밀어낼 수 있도록 냉장실도어(3)의 배면으로부터 가스켓(미도시)의 폭을 고려하여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손잡이(4)의 내측 및 도어의 하측 내부에 레버(11)와 각종 링크장치를 설치하므로, 손잡이(4) 자체는 움직이지 않고,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도어를 쉽게 개방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사용자가 냉장실도어(3)를 개방하기 위해 손잡이(4)의 내측에 형성된 레버(11)를 파지한다. 그러면, 레버(11)와 함께 연결되어 레버(11)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링크(22)가 우측으로 회전하게 되고, 회전링크(22)와 연결된 직선링크(21)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레버(11)의 회전력이 제1링크장치(20)에 의해 직선운동으로 전환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2케이스(80) 내부에 수용된 제2링크장치(30) 및 제3링크장치(40)에 의해 도어개방부재(50)가 본체(1) 쪽으로 전진하여 냉장실도어(3)를 본체(1)로부터 밀어내게 된다. 그러므로, 냉장실도어(3)를 개방하기 위해 손잡이(4)를 파지한 사용자는 냉장실도어(3)를 쉽게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 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개략적인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장실도어와 도어개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장실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개방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장실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했을 때 도어개방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장실도어에 설치된 도어개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도어개방장치, 11: 레버,
20: 제1링크장치, 30: 제2링크장치,
40: 제3링크장치, 50: 도어개방부재

Claims (6)

  1. 본체와,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마련된 도어개방장치를 가지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방장치는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제1링크장치와,
    상기 제1링크장치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링크장치의 직선운동을 상기 본체 쪽으로 향하는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제2링크장치와,
    상기 제2링크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제2링크장치와 연동하는 도어개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장치는 상기 레버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링크와, 상기 회전링크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링크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직선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링크의 일측에서 상기 본체를 향하고 있는 면은 상기 본체쪽으로 경사진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링크장치는 상기 직선링크의 제1경사면에 대응하는 제2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직선링크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방장치는 상기 제2링크장치와 상기 도어개방부재를 연결하는 제3링크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링크장치는 상기 제2링크장치의 직선운동을 더 길게 연장하여 상기 도어개방부재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3링크장치는 복수개의 링크와, 상기 복수개의 링크를 시소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링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시소운동의 중심부가 상기 링크의 양단 중 상기 제2링크장치와 연결된 단부와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본체와, 상기 본체를 개폐하며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와, 상기 도어에 마련된 도어개방장치를 가지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방장치는 상기 손잡이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제1링 크장치와,
    상기 제1링크장치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링크장치의 직선운동을 상기 본체 쪽으로 향하는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제2링크장치와,
    상기 제2링크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제2링크장치와 연동하는 도어개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80074111A 2008-07-29 2008-07-29 냉장고 KR201000126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111A KR20100012615A (ko) 2008-07-29 2008-07-29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111A KR20100012615A (ko) 2008-07-29 2008-07-29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615A true KR20100012615A (ko) 2010-02-08

Family

ID=42086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4111A KR20100012615A (ko) 2008-07-29 2008-07-29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26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2688A1 (zh) * 2020-12-31 2022-07-07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的控制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2688A1 (zh) * 2020-12-31 2022-07-07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的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08408B1 (en) Refrigerator
US7976113B2 (en) Home bar for refrigerator
AU2017354657B2 (en) Refrigerator
JP3679003B2 (ja) 冷蔵庫の扉開閉装置
KR101650307B1 (ko) 도어핸들 및 이를 가지는 냉장고
US7458132B2 (en) Open-close equipment for door of refrigerator
US11384976B2 (en) Easy open drawer/door with a rotating handle
KR20110064720A (ko) 냉장고
KR20080100553A (ko) 냉장고의 도어개방구조
KR20070111856A (ko) 도어개방장치 및 이를 갖춘 냉장고
KR20140046207A (ko) 냉장고의 도어 개폐장치
KR100707435B1 (ko)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KR20100012615A (ko) 냉장고
EP2789941B1 (en) Refrigerator
EP3240982B1 (en) Refrigerator
WO2014194955A1 (en) Door opening-closing assembly and refrigeration appliance having the same
JP2007178078A (ja) 冷蔵庫の扉自動開放装置
JP6095113B2 (ja) 扉開閉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冷蔵庫
EP2245399B1 (en) A cooling device
KR100432226B1 (ko) 냉장고
KR20110029514A (ko)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JP2020067189A (ja) 貯蔵庫
KR101624556B1 (ko)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WO2011080084A2 (en) Cooling device comprising an auxiliary door opener
JP2008151364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