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2471U - 차량용 머플러 - Google Patents

차량용 머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2471U
KR20100012471U KR2020090007341U KR20090007341U KR20100012471U KR 20100012471 U KR20100012471 U KR 20100012471U KR 2020090007341 U KR2020090007341 U KR 2020090007341U KR 20090007341 U KR20090007341 U KR 20090007341U KR 20100012471 U KR20100012471 U KR 201000124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upper housing
muffler
auxiliary
exhaus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73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7686Y1 (ko
Inventor
최동식
곽소형
한상현
Original Assignee
태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형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900073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686Y1/ko
Priority to PCT/KR2009/004276 priority patent/WO2010143776A1/ko
Publication of KR201000124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4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6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6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8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the housing of the assembly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e.g. two half-sh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6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 F01N1/086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having means to impart whirling motion to the gases
    • F01N1/08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having means to impart whirling motion to the gases using vanes arranged on gas flow path or gas flow tubes with tangentially directed aper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72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the assembly using stamp-formed parts or otherwise deformed sheet-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8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the housing of the assembly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e.g. two half-shells
    • F01N13/1894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the housing of the assembly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e.g. two half-shells the parts being assembled in longitudinal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60/00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N2260/02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oling the device
    • F01N2260/022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oling the device us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10/00Surface coverings
    • F01N2510/02Surface coverings for thermal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30/00Selection of materials for tubes, chambers or housings
    • F01N2530/06Aluminium or alloy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30/00Selection of materials for tubes, chambers or housings
    • F01N2530/18Plastics material, e.g. polyester res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머플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배기가스가 유입 및 배기되는 유입부 및 배기부가 양측부에 각각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배기가스의 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저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머플러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은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알루미늄, 티타늄 중 선택된 1종의 소재로 사출성형되거나 압입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머플러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이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알루미늄, 티타늄 중 선택된 1종의 소재로 사출성형되거나 압입성형되기 때문에 본 차량용 머플러의 경량화를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 소음저감부를 상기 하우징내에 용접접합시킬 필요없이 보다 간편하게 상기 하우징내에 엔진배기특성에 맞게 효율적으로 배열시킬 수 있고, 나아가 끼움맞춤형태의 단순한 조립공정으로 최종 완제품을 구사할 수 있음은 물론 그 구조가 간단하고 종래에 비해 공정수가 현저하게 줄어들기 때문에 이에 따른 제조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우징, 소음저감부

Description

차량용 머플러{VEHICLE MUFFLER}
본 고안은 배기가스가 배기가스가 유입 및 배기되는 유입부 및 배기부가 양측부에 각각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배기가스의 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저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머플러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은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알루미늄, 티타늄 중 선택된 1종의 소재로 사출성형되거나 압입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머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머플러(muffler/silencer)는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와 압력을 낮추어 배기소음을 감쇠하는 장치로써, 배기매니폴드에서 배출되는 가스는 고온, 고압임으로 그대로 외부로 방출하면 급격한 가스의 팽창때문에 폭발음이 발생하고 또한, 화재를 일으킬 염려도 있으므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스가 완만한 팽창을 하게 하면서 출력의 소실을 최대 5%이내로 되도록 배압을 적게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머플러는 차량의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유입 및 배기되는 유입부 및 배기부가 양측부에 각각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배기가스의 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저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는데, 이때, 상기 머플러의 하우징은 대게 금속재질로 프레스 성형되고, 그 내부에 배기가스의 흐름을 안내하는 금속재질의 안내판 및 불연섬유등이 채워진 상기 하우징의 형상에 따라 절곡된 후 상기 하우징내에 용접접합되며, 상기 소음저감부 역시 대게 상기 하우징의 형상에 따라 절곡된 후 상기 하우징내에서 복잡한 형태로 구성되어 용접접합된다.
여기서, 작업자가 매번 금속재질의 안내판 과 소음저감부를 상기 하우징의 형상에 따라 절곡한 후 상기 하우징내에 용접접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상기 머플러를 제작하는 공정수가 많기 때문에 이에 따른 비용 또한 과다하게 소요되고, STEEL, 스테인레스 등은 고유재 특성상 녹이 발생할 수 밖에 없으며, 결국 부식에 의한 기능 누수로 주기적 교체가 불가피하다.
나아가, 필수기능을 포함한 상기 머플러를 제작하는 과정 중에 그 무게가 증가하게 됨으로 상기 머플러의 경량화를 유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이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알루미늄, 티타늄 중 선택된 1종의 소재로 사출성형되거나 압입성형되기 때문에 본 차량용 머플러의 경량화를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 소음저감부를 상기 하우징내에 용접접합시킬 필요없이 보다 간편하게 상기 하우징내에 엔진배기특성에 맞게 효율적으로 배열시킬 수 있고, 나아가 끼움맞춤형태의 단순한 조립공정으로 최종 완제품을 구사할 수 있음은 물론 그 구조가 간단하고 종래에 비해 공정수가 현저하게 줄어들기 때문에 이에 따른 제조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고성능, 초경량 및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한 차량용 머플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배기가스가 유입 및 배기되는 유입부 및 배기부가 양측부에 각각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배기가스의 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저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머플러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은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알루미늄, 티타늄 중 선택된 1종의 소재로 사출성형되거나 압입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머플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은 엔지니어링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의 내면에는 내열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된 상기 내열층은 유리섬유, 탄소섬유 및 폴리이미드 중 선택된 1종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소음저감부는 상기 유입부와 배기부에 수용고정되는 일측 및 타측 와류부재와; 상기 일측 및 타측 와류부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의 내부에 수용고정되는 양단부가 개방된 상태의 유입파이프와; 상기 유입파이프의 전후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의 내부에 수용고정되는 양단부가 개방된 상태의 보조유입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유입파이프와 보조유입파이프의 일단부 상측과 하측을 각각 수용하는 상부 수용공간 및 하부 수용공간이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수용부재가 일정간격으로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측 와류부재 및 타측 와류부재는 상기 유입부와 배기부에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수용홈 에 수용되는 일측 및 타측 몸체와; 상기 몸체에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일정각도로 비틀어지는 복수의 일측 및 타측 와류날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입파이프는 일단부 상측과 하측이 상기 상부 수용공간 및 하부 수용공간에 수용고정되고, 일단부에서 타단부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작아지는 파이프부재와; 상기 파이프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선형 블레이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유입파이프는 일단부 상측과 하측이 상기 상부 수용공간 및 하부 수용공간에 수용고정되고, 일단부에서 타단부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작아지며, 복수의 배기공이 형성되는 보조파이프부재와; 상기 보조파이프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보조나선형 블레이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은 알루미늄으로 사출성형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의 외면에는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방열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은 체결부재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상호결합되고,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상기 상부하우칭의 하부 테두리와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테두리 사이에는 실링패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이 엔지니어링플 라스틱, 알루미늄, 티타늄 중 선택된 1종의 소재로 사출성형되거나 압입성형되기 때문에 본 차량용 머플러의 경량화를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 소음저감부를 상기 하우징내에 용접접합시킬 필요없이 보다 간편하게 상기 하우징내에 엔진배기특성에 맞게 효율적으로 배열시킬 수 있고, 나아가 끼움맞춤형태의 단순한 조립공정으로 최종 완제품을 구사할 수 있음은 물론 그 구조가 간단하고 종래에 비해 공정수가 현저하게 줄어들기 때문에 이에 따른 제조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이 엔지니어링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될 시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의 내면에 내열층이 형성됨에 따라 고온의 배기가스에 의해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이 용융될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내열층이 유리섬유, 탄소섬유, 폴리이미드 중 선택된 1종이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온의 배기가스에 의해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이 용융될 우려를 보다 효율적으로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소음저감부가 일측 및 타측 와류부재와, 유입파이프와, 보조유입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소음을 보다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유입파이프 파이프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선형 블레이드와, 상기 보조유입파이프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보조 나선형 블레이드로 인해 상기 유입파이프와 보조유입파이프의 내부를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소음을 보다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이 알루미늄으로 사출성형될 경우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고온의 배기가스로 인해 상기 하우징에 발생되는 고열을 외부로 원활하게 방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되는 방열핀으로 인해 상기 하우징에 발생되는 고열을 외부로 보다 더욱 원활하게 방열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하우징의 강도 또한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부테두리와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테두리 사이에 실링패드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상기 상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 사이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우려가 없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차량용 머플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차량용 머플러(1)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하우징(10)과 소음저감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하우징(10)은 차량의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유입 및 배기되는 것으로써, 상기 하우징(10)의 양측부에는 차량의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유입부(5)와; 상기 유입부(5)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배기되는 배기부(7)가 각각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10)은 크게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에 체결부재(15)에 의해 결합되는 하부하우징(13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부하우징(110)과 하부하우징(130)은 (PA(폴리아마이드)·PEEK(Poly ether-ether-ketone)수지·테프론·액정고분자 폴리머(LCP)·폴리아세틸·폴리카보네이트·PBT(폴리에스터수지)·변성 PPO(폴리페닐렌옥사이드) 등을 포함한 엔지니어링플라스틱(공업재료·구조재료로 사용되는 강도 높은 플라스틱으로써, 강철보다도 강하고 알루미늄보다도 전성(展性)이 풍부하며, 금·은보다도 내약품성이 강한 고분자 구조의 고기능 수지.), 알루미늄, 티타늄 중 선택된 1종의 소재로 사출성형되거나 유압프레스 등에 의해 압입성형된다.
상기 상부하우징(110)과 하부하우징(130)의 사출성형, 압입성형방식은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하우징(110)과 하부하우징(130)의 테두리는 예를 들어, 상 호 융착고정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소음저감부(30)가 훼손될 시 상기 소음저감부(30)를 보다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하우징(110)과 하부하우징(130)의 테두리를 상기 체결부재(15)를 통해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15)는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하우징(110)과 하부하우징(130)의 테두리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고정볼트(151)와; 상기 고정볼트(151)의 하단에 나사결합되는 너트(153);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유입부(5)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상부하우징(110)의 일측부에 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상부 유입부재(51)와; 상기 하부하우징(130)의 일측부에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하부 유입부재(5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부(7)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상부하우징(110)의 타측부에 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상부 배기부재와(71)와; 상기 하부하우징(130)의 타측부에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하부 배기부재(7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한편, 본 차량용 머플러(1)의 경량화를 유도하기 위해 상기 상부하우징(110) 및 하부하우징(130)은 특히, 엔지니어링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하우징(110) 및 하부하우징(130)의 내면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열층(150)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상부하우징(110) 및 하부하우징(130)이 엔지니어링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될 시 상기 상부하우징(110) 및 하부하우징(130)의 내면에 상기 내열층(150)이 형성됨에 따라 고온의 배기가스에 의해 상기 상부하우징(110)과 하부하우징(130)이 용융될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기 상부하우징(110) 및 하부하우징(130)의 내면에는 상기 내열층(150)이 예를 들어, 코팅형성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하우징(110) 및 하부하우징(130)과 상기 내열층(150)은 예를 들어, 1회의 공지된 이중사출성형에 의해 간편하게 일체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좋다.
나아가, 상기 상부하우징(110) 및 하부하우징(130)의 내면에 형성된 상기 내열층(150)은 내열성이 우수한 유리섬유, 탄소섬유 및 폴리이미드 중 선택된 1종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좋다.
상기 내열층(150)이 유리섬유, 탄소섬유, 폴리이미드 중 선택된 1종이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온의 배기가스에 의해 상기 상부하우징(110)과 하부하우징(130)이 용융될 우려를 보다 효율적으로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소음저감부(30)는 상기 하우징(10) 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 징(10)내로 유입된 배기가스의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본 차량 머플러(1)의 경량화를 유도하기 위해 상기 소음저감부(30) 역시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알루미늄, 티타늄 중 선택된 1종의 소재, 특히 엔지니어링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되는 것이 좋다.
또한, 고온의 배기가스에 의해 상기 소음저감부(30)가 용융될 우려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상기 소음저감부(30)의 내외면에도 앞서 상술한 상기 내열층(150)이 코팅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소음저감부(3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유입부(5)와 배기부(7)에 수용고정되는 일측 및 타측 와류부재(310, 330)와; 상기 일측 및 타측 와류부재(310, 33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하우징(110) 및 하부하우징(130)이 내부에 좌우방향으로 수용고정되는 양단부가 개방된 상태의 유입파이프(350)와; 상기 유입파이프(350)의 전후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하우징(110) 및 하부하우징(130)의 내부에 좌우방향으로 수용고정되는 양단부가 개방된 상태의 보조유입파이프(3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차량의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상기 유입부(5), 일측 와류부재(310), 유입파이프(350) 및 보조유입파이프(370), 배기부(7)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배기가스의 소음은 저감되는데, 이는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소음저감부(30)가 상기 일측 및 타측 와류부재(310, 330), 유입파이 프(350) 및 보조유입파이프(3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소음을 보다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4는 도 2의 상부하우징(110)이 뒤집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하부하우징(13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하우징(110) 및 하부하우징(130)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유입파이프(350)와 보조유입파이프(370)의 일단부 상측과 하측을 각각 수용하는 상부 수용공간(160) 및 하부 수용공간(180)이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수용부재(120, 140)가 일정간격으로 전후방향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수용부재(12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하우징(110)의 내부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수직형성되는 제 1상부 수용부재(122)와; 상기 제 1상부 수용부재(122)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하우징(110)의 내부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수직형성되는 제 2상부 수용부재(12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 수용공간(160)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상부 수용부재(122)의 중심부에 하측이 개방된 상태로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유입파이프(350)의 일단부 상측을 수용하는 제 1상부 수용공간(162)과; 상기 제 1상부 수용공간(161)의 전후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제 1상부 수용부재(121)에 하측이 개방된 상태로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보조유입파이프(370)의 일단부 상측을 수용하는 제 2상부 수용공간(164)과; 상기 제 2상부 수용부재(124)의 중심부에 하측이 개 방된 상태로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유입파이프(350)의 일단부 후방 상측을 수용하는 제 3상부 수용공간(166)과; 상기 제 3상부 수용공간(166)의 전후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제 2상부 수용부재(124)에 하측이 개방된 상태로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보조유입파이프(370)의 일단부 후방 상측을 수용하는 제 4상부 수용공간(168);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 수용부재(14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하우징(130)의 내부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수직형성되는 제 1하부 수용부재(142)와; 상기 제 1하부 수용부재(142)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하우징(130)의 내부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수직형성되는 제 2하부 수용부재(14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 수용공간(180)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하부 수용부재(142)의 중심부에 상측이 개방된 상태로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유입파이프(350)의 일단부 하측을 수용하는 제 1하부 수용공간(182)과; 상기 제 1하부 수용공간(182)의 전후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제 1하부 수용부재(142)에 상측이 개방된 상태로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보조유입파이프(370)의 일단부 하측을 수용하는 제 2하부 수용공간(184)과; 상기 제 2하부 수용부재(144)의 중심부에 상측이 개방된 상태로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유입파이프(350)의 일단부 후방 하측을 수용하는 제 3하부 수용공간(186)과; 상기 제 3하부 수용공간(186)의 전후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제 2하부 수용부재(140)에 상측이 개방된 상태로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보조유입파이프(370)의 일단부 후방 하측을 수용하는 제 4하부 수용공간(188);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상부수용부재(122)와 제 1하부수용부재(142)의 전측과 후측에는 상기 유입부(5)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일측으로 유입된 배기가스를 상기 소음저감부(30)방향으로 안내하는 호(
Figure 112009034454171-UTM00001
,
Figure 112009034454171-UTM00002
)형상의 안내판(122a, 122b, 142a, 142b)이 수직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하우징(110)과 하부하우징(130)의 내부 타측에는 소음저감부(30)를 통과한 배기가스를 상기 배기부(7)로 안내하는
Figure 112009034454171-UTM00003
,
Figure 112009034454171-UTM00004
형상의 안내판(110a, 110b, 130a, 130b)이 수직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배기가스를 와류시켜 배기가스의 저감시키는 상기 일측 및 타측 와류부재(310, 33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입부(5)와 배기부(7)에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수용홈(도 4 및 도 5의 55, 75)에 수용되는 몸체(311, 331)와; 상기 몸체(311, 331)에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일정각도로 비틀어지는 복수의 와류날개(313, 33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유입파이프(35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유입파이프(350)는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일단부 상측과 하측이 상기 상부 수용공간(160) 및 하부 수용공간(180)에 수 용고정되고,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작아지는 파이프부재(351)와; 상기 파이프부재(35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선형 블레이드(35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파이프부재(351)의 내경이 일단부에서 타단부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게 됨에 따라 상기 파이프부재(351)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방향으로 배기가스가 급격하게 배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배기가스의 소음 또한 저감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파이프부재(351)의 내주면에 상기 나선형 블레이드(353)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파이프부재(351)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방향으로 배기가스가 급격하게 배출되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배기가스의 유동길이가 길어져 배기가스의 소음저감효과 또한 높아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유입파이프(350)의 일단부 상측과 하측에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상부 및 제 1하부수용공간(162, 182)의 테두리를 수용하는 일측 및 타측이 개방된 상태의 수용홈(360)이 일정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360)은 상기 유입파이프(350)의 일단부 상측과 하측에 일정간격으로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됨과 동시에 전후로 연장되는 2개의 벽체(361, 363)의 내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고, 2개의 상기 벽체(361, 363) 중심부 사이에는 양단부가 2개의 상기 벽체(361, 363)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연결편(365)이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편(365)은 상기 제 1상부 및 제 1하부 수용공간(162, 182)의 상부 및 하부 중심부에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홈(367, 369)에 각각 삽입되는데, 이로써 상기 유입파이프(350)가 외력등에 의해 정역회전될 우려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보조유입파이프(37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보조유입파이프(370)은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일단부 상측과 하측이 상기 상부 수용공간(160) 및 하부 수용공간(180)에 수용고정되고,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작아지며, 타측 상부에 복수의 배기공(37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보조파이프부재(371)와; 상기 보조파이프부재(37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선형 블레이드(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조파이프부재(371)의 타측 상부 또는 상기 보조파이프부재(371)의 타측 상부와 하부 모두에 복수의 상기 배기공(372)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보조파이프부재(371)를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일부는 복수의 상기 배기공(372)을 통해 상기 하우징(10)내로 배기되고, 이로 인해 상기 보조파이프부재(371)를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어 배기가스의 소음이 현저하게 저감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조파이프부재(371)의 내경이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게 됨에 따라 상기 보조파이프부재(371)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방향으로 배기가스가 급격하게 배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배기가스의 소음 또한 저감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파이프부재(371)의 내주면에 상기 나선형 블레이드(미도시)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보조파이프부재(371)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방향으로 배기가스가 급격하게 배출되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배기가스의 유동길이가 길어져 배기가스의 소음저감 효과 또한 높아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조유입파이프(370)의 일단부 상측과 하측에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2상부 및 제 2하부수용공간(164, 184)의 테두리를 수용하는 일측 및 타측이 개방된 상태의 수용홈(380)이 일정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380)은 상기 보조유입파이프(370)의 일단부 상측과 하측에 일정간격으로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됨과 동시에 전후로 연장되는 2개의 벽체(381, 383)의 내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고, 2개의 상기 벽체(381, 383) 중심부 사이에는 양단부가 2개의 상기 벽체(381, 383)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연결편(385)이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편(385)은 상기 제 2상부 및 제 2하부 수용공간(164, 184)의 상부 및 하부 중심부에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홈(387, 389)에 각각 삽입되는데, 이로써 상기 보조유입파이프(370)가 외력 등에 의해 정역회전될 우려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상부하우징(110) 및 하부하우징(130)의 외면에 방열핀(170)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하우징(110) 및 하부하우징(130)은 알루미늄으로 사출성형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하우징(110) 및 하부하우징(130)의 외면에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하우징(110) 및 하부하우징(13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방열핀(17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하우징(110) 및 하부하우징(130)이 알루미늄으로 사출성형될 경우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고온의 배기가스로 인해 상기 하우징(10)에 발생되는 고열을 외부로 원활하게 방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하우징(110) 및 하부하우징(130)의 외면에 형성되는 상기 방열핀(170)으로 인해 상기 하우징(10)에 발생되는 고열을 외부로 보다 더욱 원활하게 방열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상기 하우징(10)의 강도 또한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체결부재(15)에 의해 결합되는 상기 상부하우징(110)의 하부 테두리와 상기 하부하우징(130)의 상부테두리 사이에는 예를 들어, 고무재질의 실링패드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상부하우징(110)의 하부테두리와 상기 하부하우징(130)의 상부테두리 사이에 상기 실링패드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상기 상부하우징(110)과 하부하우징(13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우려가 없어지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술한 바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상기 상부하우징(110)과 하부하우징(130)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하우징(10)이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알루미늄, 티타늄 중 선택된 1종의 소재로 사출성형되거나 압입성형되기 때문에 본 차량용 머플러(1)의 경량화를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소음저감부(30)를 상기 하우징(10)내에 용접접합시킬 필요없이 보다 간편하게 상기 하우징(10)내에 엔진배기특성에 맞게 효율적으로 배열시킬 수 있고, 나아가 끼움맞춤형태의 단순한 조립공정으로 최종 완제품을 구사할 수 있음은 물론 그 구조가 간단하고 종래에 비해 공정수가 현저하게 줄어들기 때문에 이에 따른 제조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차량용 머플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상부하우징이 뒤집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하부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유입파이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보조유입파이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0은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의 외면에 방열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차량용 머플러, 5; 유입부,
51; 상부유입부재, 53; 하부유입부재,
7; 배기부, 15; 체결부재,
151; 고정볼트, 153; 너트,
71; 상부배기부재, 73; 하부배기부재,
10; 하우징, 110; 상부하우징,
120; 상부수용부재, 122; 제 1상부수용부재,
124; 제 2상부수용부재, 130; 하부하우징,
140; 하부수용부재, 142; 제 1하부수용부재,
144; 제 2하부수용부재, 150; 내열층,
160; 상부수용공간, 162; 제 1상부수용공간,
164; 제 2상부수용공간, 180; 하부수용공간,
182; 제 1하부수용공간, 184; 제 2하부수용공간,
186; 제 3하부수용공간, 188; 제 4하부수용공간,
30; 소음저감부, 310; 일측 와류부재,
330; 타측 와류부재, 311, 331; 몸체,
313, 333; 와류날개, 350; 유입파이프,
360, 380; 수용홈, 361, 363, 381, 383; 벽체,
365, 385; 연결편, 367, 369,387, 389; 홈,
370; 보조유입파이프.

Claims (7)

  1. 배기가스가 유입 및 배기되는 유입부 및 배기부가 양측부에 각각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배기가스의 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저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머플러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과 결합되는 하부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은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알루미늄, 티타늄 중 선택된 1종의 소재로 사출성형되거나 압입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머플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은 엔지니어링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의 내면에는 내열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머플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된 상기 내열층은 유리섬유, 탄소섬유 및 폴리이미드 중 선택된 1종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량용 머플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저감부는 상기 유입부와 배기부에 수용고정되는 일측 및 타측 와류부재와; 상기 일측 및 타측 와류부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의 내부에 수용고정되는 양단부가 개방된 상태의 유입파이프와; 상기 유입파이프의 전후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의 내부에 수용고정되는 양단부가 개방된 상태의 보조유입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머플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유입파이프와 보조유입파이프의 일단부 상측과 하측을 각각 수용하는 상부 수용공간 및 하부 수용공간이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수용부재가 일정간격으로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측 와류부재 및 타측 와류부재는 상기 유입부와 배기부에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수용홈에 수용되는 일측 및 타측 몸체와; 상기 몸체에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일정각도로 비틀어지는 복수의 일측 및 타측 와류날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입파이프는 일단부 상측과 하측이 상기 상부 수용공간 및 하부 수용 공간에 수용고정되고, 일단부에서 타단부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작아지는 파이프부재와; 상기 파이프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선형 블레이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유입파이프는 일단부 상측과 하측이 상기 상부 수용공간 및 하부 수용공간에 수용고정되고, 일단부에서 타단부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작아지며, 복수의 배기공이 형성되는 보조파이프부재와; 상기 보조파이프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보조나선형 블레이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머플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은 알루미늄으로 사출성형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의 외면에는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방열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머플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은 체결부재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상호결합되고,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상기 상부하우칭의 하부 테두리와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테두리 사이에는 실링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머 플러.
KR20090007341U 2009-06-08 2009-06-08 차량용 머플러 KR2004576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7341U KR200457686Y1 (ko) 2009-06-08 2009-06-08 차량용 머플러
PCT/KR2009/004276 WO2010143776A1 (ko) 2009-06-08 2009-07-31 차량용 머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7341U KR200457686Y1 (ko) 2009-06-08 2009-06-08 차량용 머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471U true KR20100012471U (ko) 2010-12-16
KR200457686Y1 KR200457686Y1 (ko) 2011-12-29

Family

ID=43309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07341U KR200457686Y1 (ko) 2009-06-08 2009-06-08 차량용 머플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57686Y1 (ko)
WO (1) WO201014377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TO20110227A1 (it) * 2011-03-11 2012-09-12 Magneti Marelli Spa Sistema di scarico di un motore a combustione interna
KR101326511B1 (ko) * 2011-09-01 2013-11-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배기계 머플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77455B2 (en) 2014-07-17 2017-06-13 Big Rapids Products, Inc. Stackable muffler shell
KR101692716B1 (ko) * 2015-02-21 2017-01-04 캄텍주식회사 차량용 진공압 모듈레이터용 소음 저감 장치
CN108533376A (zh) * 2018-03-01 2018-09-14 无锡威孚力达催化净化器有限责任公司 消声器气体扰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8821A (ja) 1984-10-31 1986-05-27 Honda Motor Co Ltd 消音器および製造方法
JPH10306721A (ja) 1997-05-09 1998-11-17 Nakagawa Sangyo Kk 自動車用マフラーとその製造方法
KR19990030317U (ko) * 1997-12-30 1999-07-26 정몽규 배기소음 감쇠용 머플러
KR100553477B1 (ko) 2004-06-16 2006-02-22 가현주 엔진 폐열을 이용한 열교환기
US7527774B2 (en) * 2005-12-22 2009-05-05 Basf Catalysts Llc Inlet metallic foam support coupled to precious metal catalyst for application on 4 stroke platform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TO20110227A1 (it) * 2011-03-11 2012-09-12 Magneti Marelli Spa Sistema di scarico di un motore a combustione interna
KR101326511B1 (ko) * 2011-09-01 2013-11-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배기계 머플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7686Y1 (ko) 2011-12-29
WO2010143776A1 (ko) 2010-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7686Y1 (ko) 차량용 머플러
JP2011069371A (ja) マフラ組立体
CN101968332A (zh) Eht自清洁节能环保装置及其制造方法
JP2011010525A (ja) モーターケース
WO2006101125A1 (ja) 排気系部品
JP4795205B2 (ja) ミキシングエレメント
US8196702B2 (en) Muffler for vehicle
CN205027171U (zh) 一种换热器
JP5347796B2 (ja) 車両用ディフューザ構造
CN103334828B (zh) 中冷器中连接冷却管两端部的主板
CN111267967A (zh) 用于车辆的通道结构
EP2236839B1 (de) Kreiselpumpenaggregat
KR102294972B1 (ko) 열교환기
JP2004144303A (ja) 防振リンク
JP2016121685A (ja) 吸気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6132777A1 (ja) マフラ
KR101315266B1 (ko) 소음기용 테일파이프구조
CN109724446B (zh) 强化传热管和裂解炉
JP2007092628A (ja) 車両用消音器
JP2016098672A (ja) タービンハウジング
CN109724448B (zh) 强化传热管、裂解炉以及常减压加热炉
JP5705707B2 (ja) マフラ
JP5878772B2 (ja) 排気マフラー
JP6340938B2 (ja) 樹脂成形体付き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2013072374A (ja) 金属−樹脂複合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