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2332A - 전원 분배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분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2332A
KR20100012332A KR1020080073671A KR20080073671A KR20100012332A KR 20100012332 A KR20100012332 A KR 20100012332A KR 1020080073671 A KR1020080073671 A KR 1020080073671A KR 20080073671 A KR20080073671 A KR 20080073671A KR 20100012332 A KR20100012332 A KR 20100012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reaker
booth
plate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3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찬
Original Assignee
김영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찬 filed Critical 김영찬
Priority to KR1020080073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2332A/ko
Publication of KR20100012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3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05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switchge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분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모선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모선 부스와 상기 모선 부스에 장치되어 전원을 인출하는 인출 터미널을 포함하는 전원 분배 장치로서, 상기 모선 부스는, 상기 전원이 통전되는 복수의 모선 부스 동대; 상기 각 모선 부스 동대가 착탈 가능하도록 이격 배치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의 후방에 결합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 측단으로부터 연장된 서브 플레이트; 상기 서브 플레이트에 장착된 단자대; 및 상기 단자대 및 인출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된 차단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따른 전원 분배 장치는 차단기와 연결된 케이블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으므로 미려한 외관을 연출할 수 있고, 모선 부스에 용이하게 복수의 차단기를 설치 및 교체할 수 있다.
모선 부스, 인출 터미널, 차단기, 높이 조절 스페이서, 단자대, 레일부

Description

전원 분배 장치{Power distributor}
본 발명은 모선 부스와 인출 터미널을 포함하는 전원 분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차단기와 연결된 케이블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으므로 미려한 외관을 연출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차단기를 설치 및 교체할 수 있는 전원 분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주(電柱)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다수개의 부하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상기 공급되는 전원을 각 부하별로 분배하여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전원의 분배를 위해 종래에는 모선에 직접 전선을 부착하여 전원을 끌어오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는바,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전원은 3상4선 즉 3개의 상(像)과 4개의 선(線)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예로 든 것이다.
종래에는 모선(M)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4개의 선(M1,M2,M3,M4)을 노출시킨 후 상기 4개의 선에 결속되는 분배선을 이용하여 부하 즉, 예를 들어 전기 기기 또는 상기 전기 기기로 향하는 중간에 설치되는 차단기(C1, C2, C3)를 경유하여 전원을 분배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부하가 3상의 전원을 필요로 하는 모터인 경우 4개의 분배선을 각각 상기 모선에서 인출되는 4개의 선에 각각 결속하게 된다. 또한, 다른 부하 또는 상기 부하측으로 연결되기 위한 차단기(C2)가 다른 선 예를 들어 M1과 M2선만을 결속해서 사용하는 경우 등 여러 전원 소요 방식에 따라 결속해서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분배방식에 의한 경우 상기 인출선(M1,M2,M3,M4)에서 각 부하 즉, 전기기기 또는 차단기에 분배되게 되어 상기 인출선에 결속되는 분배선의 양이 많게 되어 접촉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높게 되고 이에 의해 화재의 위험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인출선에 여러 분배선이 결속되어 있어서 만일 어떤 전기기기의 사용 전원이 바뀌는 경우 그 전기기기에 결속되는 분배선을 찾아서 다시 변경해야 해서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선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모선 부스(30)에 인출 터미널(40)을 장치함에 의해 필요한 상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즉, 상기 모선 부스(30)는 상기 전원이 인가되는 동대(31)와 상기 동대(31) 가 장치되는 절연체(32)로 구성되고, 상기 인출 터미널(40)은 절연판(41) 내에 동대(42)가 장치되어, 상기 동대(42)의 일부 영역에 모선 부스를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를 통하여 상기 모선 부스(30)의 동대(31)와 접촉하며, 따라서 전원을 인출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출된 전원은 차단기(20)를 통해 필요한 부하 측으로 분배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차단기(20)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모두 외부로 노출되며, 특히 하나의 모선 부스(30)를 통하여 복수의 차단기(2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단기(20)를 교체하는 경우에 교체될 차단기(20)의 용량 등의 변화로 사이즈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볼트로 고정된 인출 터미널(40) 역시 함께 교체해야 하므로 이에 따른 모선 동대의 볼트 체결 구멍을 다시 가공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복수의 차단기가 인접하여 설치된 경우에는 전체 차단기의 재배치에 따른 모선 동대의 볼트 체결 구멍을 다시 가공하게 되어 작업 효율이 저하 또는 모선 부스의 허용 용량 저하로 모선 부스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단기와 연결된 케이블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으므로 미려한 외관을 연출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차단기를 설치 및 교체할 수 있는 전원 분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원 분배 장치는 모선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모선 부스와 상기 모선 부스에 장치되어 전원을 인출하는 인출 터미널을 포함하는 전원 분배 장치로서, 상기 모선 부스는, 상기 전원이 통전되는 복수의 모선 부스 동대; 상기 각 모선 부스 동대가 착탈 가능하도록 이격 배치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의 후방에 결합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 측단으로부터 연장된 서브 플레이트; 상기 서브 플레이트에 장착된 단자대; 및 상기 단자대 및 인출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된 차단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원 분배 장치는 차단기와 연결된 케이블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으므로 미려한 외관을 연출할 수 있으며, 모선 부스에 대한 볼트 재가공 작업 없이도 용이하게 차단기를 설치 및 교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 분배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는 전원 분배 장치를 구성하는 모선 부스 동대 및 인출 동대의 개수 및 크기는 요구되는 부하의 용량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이하의 각 실시예에서는 모선이 3상 4선인 경우, 즉 모선 부스 동대 및 인출 동대가 4개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원 분배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원 분배 장치는 모선으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는 모선 부스(10)와 상기 모선 부스(10)에 장치되어 전원을 인출하는 인출 터미널(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모선 부스(10)는 상기 전원이 통전되는 복수의 모선 부스 동대(11)와 상기 각 모선 부스 동대(11)가 착탈 가능하도록 이격 배치되는 홀더 부(12) 및 상기 홀더부(12)의 후방에 결합된 베이스 플레이트(13)를 포함한다.
이때, 베이스 플레이트(13)와 홀더부(12)가 결합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3)와 홀더부(12)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부(14)가 형성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3)의 양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개구(15)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15)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단일의 개구로 형성될 수 있으나, 도 3에서는 복수의 개구로 이격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였다.
한편, 인출 터미널(20)은 절연체(22) 및 상기 절연체(22) 내에 이격 배치된 복수의 인출 동대(21)를 포함하며, 각 인출 동대(21)는 상기 모선 부스(10)의 모선 부스 동대(11)와 교차하도록 배치되며, 각 모선 부스 동대(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모선 부스 동대(11)와 인출 동대(21)는 인출 터미널(20)의 절연체(22)에 형성된 체결공(23)을 통하여 볼트 등으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모선 부스 동대(11)가 모선으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게 되면,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선 부스(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모선 부스 동대(11)를 따라 각 상의 전원이 흐르게 되고, 각 상의 전원은 인출 터미널(20)의 인출 동대(21)를 따라 흐르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 분배 장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의 일 측단으로부터 연장된 서브 플레이트(16)와 상기 서브 플레이트(16)에 장착된 단자대(17) 및 상기 단자대(17) 및 인출 터미널(20)과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된 차단기(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출 동대(21)의 양 종단이 절연체(22)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차단기(30)의 전원측 단자부(31)와 연결되고, 단자대(17)와 차단기의 부하측 단자부(32)가 연결된다.
이때, 수용가의 부하(도시되지 않음)와 단자대(17)는 케이블(도시되지 않음)로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은 홀더부(12)와 베이스 플레이트(13)로 이루어진 공간부(14)를 통해 삽입된 후, 베이스 플레이트(13)의 측면에 형성된 개구(15)를 통하여 단자대(17)에 접속된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케이블은 서브 플레이트(16)와 차단기(30) 사이의 공간부를 통해 삽입된 후, 단자대(17)에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선 부스(10) 상에 복수의 인출 터미널(20)이 장치되어 복수의 차단기(30)가 설치되는 경우에도 각 단자대(17)와 수용가의 부하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미려한 외관을 연출할 수 있으며, 좁은 공간에도 복수의 차단기를 설치하여 배전반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단자대(17)는 절연체(19) 및 상기 절연체(19) 내에 이격 배치된 복수의 도전성 코어(18)를 포함하며, 상기 각 도전성 코어(18)는 수평 및 수직방향의 개구가 형성된다.
즉, 단자대는(17)는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각각의 외부장치와 전기적 접속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도 3 에서는 차단기(30)의 부하측 단자부(32)가 단자대(18)의 수직 방향의 개구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수용가의 부하와 연결된 케이블이 수평 방향의 개구를 통하여 단자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실시예 2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원 분배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 분배 장치는 도 1을 통해 설명한 전원 분배 장치와 동일하게 홀더부(42) 및 베이스 플레이트(42)를 포함하는 모선 부스(40) 및 상기 모선 부스(40)에 장치되는 인출 터미널(5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서브 플레이트(46)에 제 1 레일부(47)가 형성된다는 점과 베이스 플레이트(43)의 개구 상방에 제 2 레일부(44)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와 차이가 있으며,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 분배 장치는 서브 플레이트(46)의 제 1 레일부(47)와 차단기(60)의 부하측 단자부 사이에 배치되는 높이 조절 스페이서(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높이 조절 스페이서(48)는 하부에 상기 제 1 레일부(47)에 대응되는 제 1 돌기부(49)가 장착되며, 상기 서브 플레이트(46) 상에서 높이 조절 스페이서(48)가 수평 왕복 이동시 상기 높이 조절 스페이서(48)가 상기 제 1 레일부(47)를 따라 안내되며, 높이 조절 스페이서(48)에는 그 내부에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차단기(60)에는 전원측 단자부 하부에 상기 제 2 레일부(44)에 대응되는 제 2 돌기부(64)가 장착되며, 따라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3) 상에서 차단기(60)가 수평 왕복 이동시 상기 차단기(60)가 상기 제 2 레일부(44)를 따라 안내된다.
또한, 모선 부스(40)의 홀더부(42) 상에는 돌출부재(42a)가 형성되고, 상기 인출 터미널(50)에는 상기 돌출부재(42a)에 대응되는 안내홈(54)이 형성되어, 모선 부스(40)의 홀더부 상에서 인출 터미널이 수평 왕복 이동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돌출부재(42a)가 안내홈(54)을 따라 안내된다.
즉, 모선 부스(40)를 기준으로 인출 터미널(50), 높이 조절 스페이서(48) 및 차단기(60) 모두 슬라이딩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 분배 장치의 조립 순서를 살펴보면,
우선 서브 플레이트(46)에 형성된 제 1 레일부(47)에 높이 조절 스페이서(48)를 슬라이딩 삽입하여 그 위치를 조정하고, 차단기(60)의 전원측 단자부를 베이스 플레이트(43)의 제 2 레일부(44)에 슬라이딩 삽입하여 그 위치를 조정하며, 차단기(60)의 부하측 단자부와 높이 조절 스페이서(48)를 볼트 등을 사용하여 결합시킨다.
이후 인출 터미널(50)을 모선 부스(40) 상에 위치시킨 후 볼트 등을 사용하 여 모선 부스(40) 상에 위치를 고정시키고, 인출 터미널(50)의 인출 동대와 차단기(60)의 전원측 단자부를 서로 연결시킨다.
이후 수용가의 부하와 차단기(60)의 부하측 단자부를 케이블로 연결하게 되며, 이때에도 베이스 플레이트(43)와 홀더부(42) 사이의 공간으로 케이블을 삽입시킨 후 베이스 플레이트(43)의 측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케이블을 빼내고, 높이 조절 스페이서(48)의 개구를 통하여 케이블을 외부로 노출시킨 후 차단기의 부하측 단자부에 연결시킨다.
마지막으로 모선 부스 동대에 모선을 연결시키면, 각 상의 전원은 차단기를 경유하여 수용가의 부하로 전달된다.
한편, 전원 분배 장치를 구성하는 차단기를 교체하는 경우에는 차단기(60)만을 제거한 후, 인출 터미널(50)과 높이 조절 스페이서(48)를 요구되는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그 위치를 조정한 후, 새로운 차단기를 전술한 방법으로 설치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차단기(60)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홀더부(42)와 베이스 플레이트(43) 사이의 공간 및 서브 플레이트(46)와 차단기(60)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므로 미려한 외관을 연출할 수 있으며, 각 구성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차단기 설치 및 교체시 위치 조정이 용이하다.
한편, 도 3에서 같이, 제 1 레일부(47)의 개수 및 베이스 플레이트(43)로부터의 간격은 설치되는 차단기의 용량 및 사이즈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즉, 서로 상이한 용량을 갖는 차단기를 복수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제 1 레일부(47)를 복수로 형성하여 각 차단기의 사이즈에 맞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각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에 대응되는 돌기부의 형상은 도 4 에 도시된 “T" 형 그루브 및 돌기부에 한정되지 않으며,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다른 형상으로도 용이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실시예 3
도 5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원 분배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 분배 장치를 구성하는 모선 부스(70)의 베이스 플레이트(73), 서브 플레이트(76), 인출터미널 및 차단기(80)는 도 4를 통하여 설명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원 분배 장치의 구성부재와 그 기능 및 구조가 동일하다.
다만, 서브 플레이트에 형성된 제 1 레일부(77)상에는 단자대(78)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러한 수평 왕복 이동을 위하여 단자대(78)의 하부에는 제 1 레일부(77)에 대응되는 제 1 돌기부(79)가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 분배 장치는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수용가의 부하와 단자대(78)가 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 4
도 6 및 도 7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원 분배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 분배 장치를 구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03), 홀더부(102), 인출 터미널(110), 단자대(108) 및 차단기(120)는 도 5를 통하여 설명한 실시예 3에 따른 전원 분배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재와 기본적인 기능 및 구조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모선 부스(100)의 홀더부(102) 상에 제 3 레일부(102a)가 형성되고, 인출 터미널(110)에는 상기 제 3 레일부(102a)에 대응되는 제 3 돌기부(114)가 장착되어, 인출 터미널(110)의 슬라이딩 왕복 이동시 제 3 돌기부(114)가 제 3 레일부(102a)를 따라 안내된다.
도 6은 홀더부(102) 상에 하나의 제 3 레일부가 형성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복수의 제 3 레일부가 형성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실시예 5
도 8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전원 분배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 분배 장치를 구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03), 홀더부(102), 인출 터미널(110), 단자대(108) 및 차단기(120)는 도 6 을 통하여 설명한 실시예 4에 따른 전원 분배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재와 기본적인 기능 및 구조 가 동일하다.
다만, 베이스 플레이트(103)에 제 2 레일부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3)의 개구 상방에는 복수의 관통홀(103b)이 형성된 수평 플레이트(103a)가 장착되며, 상기 차단기(120)는 일부가 상기 수평 플레이트(103a)에 배치된 상태에서, 관통홀(103b)을 통과하는 끼움캡(121)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차단기(120)의 위치 조정 시, 차단기(120)의 끼움캡(121)을 제거하고, 제 1 레일부(107)를 따라 차단기(120) 및 차단기(120)와 연결된 단자대(108)가 제 1 레일부(107)를 따라 왕복 이동이 안내되며, 요구되는 위치에 차단기(120)를 배치시킨 후, 다시 끼움캡(121)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실시예 6
도 9 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전원 분배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 분배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재는 도 3을 통해 설명한 실시예 1에 따른 전원 분배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재와 그 기능 및 구조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 분배 장치는 모선 부스(130)의 베이스 플레이트(133)의 일 측단에 서브 플레이트(136)가 착탈식으로 장착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 분배 장치에서는 서브 플레이트(136), 서브 플레이 트(136)에 장착된 단자대(137), 상기 단자대와 연결된 차단기(150) 및 상기 차단기(150)와 연결된 인출 터미널(140)이 일체로 연결되어 하나의 모듈을 구성하게 된다.
여기서, 서브 플레이트의 종단부에는 걸림홈(136a)이 형성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33)의 측단에는 상기 걸림홈(136a)에 대응되는 걸림턱(133a)이 형성되어, 서브 플레이트(136)는 베이스 플레이트(133)와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상이한 용량을 갖는 차단기를 복수로 설치할 경우에 미리 제작된 각 모듈을 모선 부스(130)에 결합하여 각 차단기를 설치할 수 있다.
실시예 7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전원 분배 장치를 구성하는 인출 터미널의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 분배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 1 내지 6의 구조를 모두 가질 수 있으며, 단지 인출 터미널의 구조 및 인출 터미널 구조에 따른 차단기와의 연결구조에서만 차이가 난다.
도 10 을 참조하면, 인출터미널(160)은 인출 동대(161) 및 절연체를 포함하며, 전술한 실시예 1 내지 6에서와 같이 인출 동대의 양 종단이 절연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절연체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인출 동대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차단기는 일부(전원측 단자부를 포함한 영역)가 절연체의 상면에 배치 되며, 인출 터미널(160)의 개구를 통하여 노출된 인출 동대(164)와 차단기의 전원측 단자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차단기는 도전성 코어를 매개로 인출터미널(160)의 개구를 통하여 노출된 인출 동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 분배 장치는 인출 터미널(160)의 절연체의 상면을 2개의 영역으로 분리시키는 수직 플레이트(1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전성 코어(164)는 수평부(165) 및 상기 수평부(165)의 양 종단에서 각각 수직으로 연장된 제 1 및 제 2 수직부(166, 167)로 이루어지며, 도전성 코어(164)의 수평부(165)는 상기 수직 플레이트(163)에 고정되고, 도전성 코어의 수평 및 수직부(165 및 166, 167)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된다.
이 공간으로 차단기의 일 종단부(전원측 단자부)가 삽입되며, 상기 제 1 수직부(166)는 차단기의 전원측 단자부와 볼트 등을 매개로 연결되고, 제 2 수직부(167)는 인출 동대(161)와 연결된다.
한편, 도 10 및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 터미널(170)은 절연체의 상면을 2개의 영역으로 분리시키는 수직 플레이트(173)를 포함할 수 있고, 도 12를 참조하면, 복수의 도전성 코어는 이격된 상태로 상기 수직 플레이트(173) 내에 수용되며, 수평 및 수직 방향의 일 종단(174, 175)이 외부로 노출되어, 수평방향(174)으로 노출된 일 종단은 차단기와 연결되고, 수직방향으로 노출된 일 종 단(175)은 인출터미널의 인출 동대(171)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3 에 도시된 인출 터미널(180)은 인출 동대(181) 및 절연체(182)를 포함하며, 인출 동대(181)의 양 종단이 절연체(182)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인출 동대 및 절연체의 양 종단부가 절곡되어, 그 단면이 “U"자 형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인출 터미널(180)은 홀더부의 모선 부스 동대와 인출 동대(181)의 결합 시 압착력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인출 터미널을 사용할 경우에는, 인출 터미널의 절연체의 상면을 차단기의 거치면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설치 공간에 대한 활용도가 높아지게 된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 는 종래의 전원 분배 장치에 대한 개념도 및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원 분배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원 분배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원 분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 및 도 7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원 분배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전원 분배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9 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전원 분배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10 내지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전원 분배 장치를 구성하는 인출 터미널의 사시도.

Claims (14)

  1. 모선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모선 부스와 상기 모선 부스에 장치되어 전원을 인출하는 인출 터미널을 포함하는 전원 분배 장치로서,
    상기 모선 부스는,
    상기 전원이 통전되는 복수의 모선 부스 동대;
    상기 각 모선 부스 동대가 착탈 가능하도록 이격 배치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의 후방에 결합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 측단으로부터 연장된 서브 플레이트;
    상기 서브 플레이트에 장착된 단자대; 및
    상기 단자대 및 인출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된 차단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분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홀더부 사이의 공간부 및 서브 플레이트와 차단기 사이의 공간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수용가의 부하와 차단기가 케이블을 매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분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터미널은 상기 모선 부스의 모선 부스 동대와 교차하도록 배치되며, 각 모선 부스 동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인출 동대 및 상기 인출 동대가 이격 배치된 절연체를 포함하되,
    상기 인출 동대의 양 종단이 절연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차단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분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서브 플레이트에는 제 1 레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자대에는 상기 제 1 레일부에 대응되는 제 1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서브 플레이트 상에서 단자대가 수평 왕복 이동시 상기 단자대가 상기 제 1 레일부를 따라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분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플레이트의 제 1 레일부와 단자대 사이에 배치되는 높이 조절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분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개구 상방에는 제 2 레일부가 형성되며,
    상기 차단기에는 상기 제 2 레일부에 대응되는 제 2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서 차단기가 수평 왕복 이동시 상기 차단기가 상기 제 2 레일부를 따라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분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개구 상방에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수평 플레이트가 장착되며,
    상기 차단기는 일부가 상기 수평 플레이트에 배치된 상태에서, 관통홀을 통과하는 끼움캡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분배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선 부스의 홀더부에는 제 3 레일부가 형성되며,
    상기 인출 터미널에는 상기 제 3 레일부에 대응되는 제 3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모선 부스 상에서 인출터미널이 수평 왕복 이동시 상기 인출 터미널이 상기 제 3 레일부를 따라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분배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터미널은 상기 모선 부스의 모선 부스 동대와 교차하도록 배치되며, 각 모선 부스 동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인출 동대 및 상기 인출 동대가 이격 배치된 절연체를 포함하되,
    상기 인출 동대는 상기 절연체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차단기는 일부가 절연체의 상면에 배치되며, 인출터미널의 개구를 통하여 노출된 인출 동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분배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는 도전성 코어를 매개로 인출터미널의 개구를 통해 노출된 인출 동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분배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터미널의 절연체의 상면을 2개의 영역으로 분리하는 수직 플레이 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도전성코어는 수평부 및 수평부의 양 종단에서 각각 수직으로 연장된 제 1 및 제 2 수직부로 이루어져, 상기 수평부는 수직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수평 및 수직부로 이루어진 공간으로 차단기의 일 종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수직부는 차단기 및 인출 동대와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분배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터미널의 절연체의 상면을 2개의 영역으로 분리하는 수직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도전성 코어는 상기 수직 플레이트 내에 수용되며, 수평 수직 방향의 일 종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수평방향으로 노출된 일 종단은 차단기와 연결되고, 수직방향으로 노출된 일 종단은 인출터미널의 인출 동대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분배 장치.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동대 및 절연체의 양 종단이 절곡되어, 그 단면이 “U"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분배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는 절연체 및 상기 절연체 내에 이격 배치된 복수의 도전성 코어를 포함하되,
    상기 도전성 코어는 수평 및 수직방향의 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분배 장치.
KR1020080073671A 2008-07-28 2008-07-28 전원 분배 장치 KR201000123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671A KR20100012332A (ko) 2008-07-28 2008-07-28 전원 분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671A KR20100012332A (ko) 2008-07-28 2008-07-28 전원 분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332A true KR20100012332A (ko) 2010-02-08

Family

ID=42086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3671A KR20100012332A (ko) 2008-07-28 2008-07-28 전원 분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23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749B1 (ko) * 2019-03-19 2020-03-30 주식회사 에이치케이금속 전원분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749B1 (ko) * 2019-03-19 2020-03-30 주식회사 에이치케이금속 전원분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0103B1 (en) Bus joint cover assembly
US7508653B2 (en) Load center with plug in neutral connections
CN101110514A (zh) 用于配电盘中一排模块化电气设备的配电装置
CN1487547A (zh) 电磁保护和控制组件
HU223704B1 (hu) Bővíthető funkcionális fővezeték egység kisfeszültségű villamos kapcsolómezőhöz
EP4082081B1 (en) Four pole outgoing plugging assembly
KR20090006691U (ko) 부스바 연결용 컨넥터
KR101082328B1 (ko) 스탭 커넥터 일체형 차단기를 이용한 축소형 고강도 mcc
KR20100012332A (ko) 전원 분배 장치
KR200395590Y1 (ko) 저압 배전반용 부스바접속부재
CN109950795B (zh) 电气面板或电气开关柜中的电流分配装置
KR200442071Y1 (ko) 버스바용 절연 지지대
US10218159B2 (en)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including neutral connection device and methods of assembling same
CN106451185A (zh) 具有1/4抽出式功能单元的低压开关柜
US10418751B1 (en) Lug and terminal assemblies, power distribution assemblies, and methods
RU2251771C1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дключения для камеры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с выдвижными приборными блоками
KR101029293B1 (ko) 착탈식 멀티 어댑터 조립체를 이용한 배전반
CN112736601A (zh) 用于配电系统的导体组件
SK75997A3 (en) Device for connecting electrical-installation apparatuses
JP6433336B2 (ja) 分電盤
RU2806084C1 (ru) Улучшенный четырехполюсный выходной штепсельный узел
RU2258290C2 (ru) Электрическая камера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силового выключателя с приборным отсеком и отсеком кабельных присоединений
US10587099B1 (en) Bus bar assemblies, power distribution systems, and methods
KR101256159B1 (ko) 배전반
KR200479887Y1 (ko) 전동기 제어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