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1796A -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1796A
KR20100011796A KR1020080073166A KR20080073166A KR20100011796A KR 20100011796 A KR20100011796 A KR 20100011796A KR 1020080073166 A KR1020080073166 A KR 1020080073166A KR 20080073166 A KR20080073166 A KR 20080073166A KR 20100011796 A KR20100011796 A KR 20100011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vertical blade
dental implant
present
im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3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8338B1 (ko
Inventor
차현인
Original Assignee
차현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현인 filed Critical 차현인
Priority to KR1020080073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8338B1/ko
Publication of KR20100011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19Blade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 A61C8/0013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with a surface layer, coating
    • A61C8/0015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with a surface layer, coating being a conversion layer, e.g. oxid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31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non-metallic elements or compounds thereof, e.g. carbon
    • A61K6/838Phosphorus compounds, e.g. apati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2008/0046Textured surface, e.g. roughness, micro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ntist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덴탈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부와 몸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통부는 상단에 형성된 칼라와 외주면에 형성된 수직날을 포함함으로써 뼈 삭제량을 줄이고 시술이 빠르며 수직날의 높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다양한 골밀도에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몸통부는 상기 칼라의 하단에 형성된 보조수직날을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골밀도가 높은 피질골에 상기 보조수직날이 위치하여 초기고정력을 높이고 골흡수를 줄일 수 있으며, 상기 수직날은 소정의 길이로 상기 몸통부의 외주면 상에 산재하여 형성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수직날로 뼈 삭제량을 줄이면서 동일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으며, 상기 몸통부는 표면처리되어 골융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 수직날, 보조수직날

Description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A Dental Implant having Perpendicular Blade}
본 발명은 치과용 덴탈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부와 몸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통부는 상단에 형성된 칼라와 외주면에 형성된 수직날을 포함함으로써 뼈 삭제량을 줄이고 시술이 빠르며 수직날의 높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다양한 골밀도에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몸통부는 상기 칼라의 하단에 형성된 보조수직날을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골밀도가 높은 피질골에 상기 보조수직날이 위치하여 초기고정력을 높이고 골흡수를 줄일 수 있으며, 상기 수직날은 소정의 길이로 상기 몸통부의 외주면 상에 산재하여 형성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수직날로 뼈 삭제량을 줄이면서 동일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으며, 상기 몸통부는 표면처리되어 골융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란 환자의 소실된 자연치아를 대신하기 위하여 인공치아(보철물)를 시술시에 환자의 치조골에 매식되는 대치물로서 픽스츄어라고도 한다. 시술자는 치 조골 내에 임플란트를 매식하고, 그 위에 어버트먼트를 위치시킨 다음 어버트먼트 상에 환자의 치아와 유사한 인공치아(보철물)을 결합함으로써 임플란트 시술을 완료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임플란트의 사시도이다. 종래의 임플란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헤드부(10)와 칼라(210)를 갖는 몸통부(2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몸통부(20)의 외주면 상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나사산 타입의 임플란트를 시술하기 위해서는 골 조직에 드릴 등으로 구멍을 형성하고 형성된 구멍에 임플란트를 회전삽입하는데 상기 구멍의 직경은 임플란트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드릴 등을 사용하여 적절한 초기고정력을 갖기 위한 정확한 직경의 구멍을 시술하기 위해서는 고도로 숙련된 주관적 감각이 필요하고 그에 따라 이러한 나사산 타입의 임플란트는 시술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구멍의 직경이 초기고정력에 필요한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임플란트의 골융합이 실패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골조직은 피질골과 해면골로 이루어지는데, 해면골은 뼈의 내부에 있는 비교적 연한 골조직이며 피질골은 해면골보다 단단하며 해면골을 둘러싸는 비교적 얇은 막을 형성하는 골조직을 말한다. 따라서, 피질골과 해면골에 걸쳐 매식된 임플란트에는 응력의 불균등한 분포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골흡수의 문제가 발생하는데 상대적으로 딱딱한 부분인 피질골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응력이 집중되어 피질골에서 더 많은 골흡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골흡수란 임플란트가 식립된 주위의 골조직의 양이 줄어들면서 퇴화하는 현상을 말한다.
또한, 골밀도는 환자마다 골조직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데, 종래의 임플란트는 이러한 다양한 골밀도에 대응하여 각각의 골밀도에 적합하게 시술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헤드부와 몸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통부는 코어와 상기 코어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수직날을 포함함으로써 뼈 삭제량이 적고 시술이 빠르며 수직날의 높이를 다양하게 하여 다양한 골밀도에 적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보조수직날을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보조수직날이 피질골에 매식됨으로써 초기고정력을 향상시키고 피질골의 골흡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코어 내지는 상기 수직날이 하향으로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매식 후 쐐기효과를 유발하여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수직날은 일정길이로 상기 몸통부의 외주면 상에 산재하여 형성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수직날로 뼈 삭제량을 줄이면서 동일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표면처리되어 골융합성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는 헤드부와 몸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통부는 코어와 상기 코어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수직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보조수직날을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보조수직날이 피질골에 매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하향으로 축경되며 테이퍼져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수직날은 하향으로 테이퍼져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수직날은 일정길이로 상기 몸통부의 외주면 상에 산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표면처리되어 골융합성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헤드부와 몸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통부는 코어와 상기 코어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수직날을 포함함으로써 뼈 삭제량이 적고 시술이 빠르며 수직날의 높이를 다양하게 하여 다양한 골밀도에 적용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보조수직날을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보조수직날이 피질골에 매식됨으로써 초기고정력을 향상시키고 피질골의 골흡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코어 내지는 상기 수직날이 하향으로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매식 후 쐐기효과를 유발하여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수직날은 일정길이로 상기 몸통부의 외주면 상에 산재하여 형성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수직날로 뼈 삭제량을 줄이면서 동일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표면처리되어 골융합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의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에서 수직날의 높이를 다양하게 변형한 예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는 헤드부(10)와 몸통부(20)를 포함하며, 상기 몸통부(20)는 코어(250)와 상기 코어(250)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직날(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헤드부(10)는 추후 어버트먼트(미도시)가 삽착되는 부분으로서 익스터널 타입(external type)의 경우에는 외부로 돌출되어 있지만 인터널 타입(internal type) 및 섭머지드 타입(submerged type)인 경우에는 내부로 함입되어 있으며, 다각형면을 가지고 있다.
상기 몸통부(20)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날을 가진 임플란트를 치조골에 매식 시에 치조골에 함입되는 부분으로 하방으로 연장된 코어(250)와 상기 코어(250)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직날(220)과 상기 코어(250)의 상단에 형성된 칼라(210)을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그 코어(250)의 직경은 매식을 위해 치조골에 천공하는 구멍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코어(250)의 선단부(240)는 평면형상일 수도 있으나 치조골에 매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테이퍼진 형상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코어(25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이거나 식립 후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체적으로 테이퍼진 형상을 취할 수도 있는데 이는 매식시에 매식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매식 후에는 쐐기효과에 의해 치조골상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몸통부(20)의 외주면은 표면처리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몸통부(20)는 상기 코어(250)의 상단에 칼라(210)와 외주면에 수직날(220)을 포함한다.
상기 칼라(210)는 상기 헤드부(10)와 몸통부(20)가 접하는 부분에서 상기 몸통부(20)의 외주면에서 확경되어 단턱을 형성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수직날을 가진 임플란트를 치조골에 매식시에 치은과 접하는 부분이므로 치은과의 친화성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치은과의 친화성 확보를 위해 외주면 상을 정밀기계 가공하여 낮은 조도를 갖는 기계적 표면을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칼라(210)는 상기 몸통부(20)에서 수평방향으로 확경된 부분이므로 임플란트 매식 후 특히 수직방향의 각종 외압에 대항하여 임플란트의 초기고정력을 확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수직날(220)은 상기 몸통부(20)의 외주면에서 상기 몸통부(20)의 길이방향으로 즉 본 발명에 따른 수직날을 가진 임플란트를 세웠을 때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칼날형상의 구성으로 상기 몸통부(20)의 외주면 상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날(220)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날을 가진 임플란트를 치조골에 매식시에 치조골을 절개하면서 삽입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수직날을 가진 임플란트가 치조골에 쉽게 매식될 수 있게 한다. 이 경우 상기 수직날(220)의 하단부는 초기 매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라운드 형상 내지는 사선으로 컷팅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치조골에 매식된 후 상기 수직날(220)은 치조골 사이사이에 박혀있고 치조골은 상기 수직날(220)을 조여주는 조임력을 형성하므로 임플란트 매식 후 특히 수평방향의 각종 외압에 대항하여 임플란트의 회전을 방지하여 초기고정력을 확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날(220)의 날높이(h1,h2,h3)는 환자의 골밀도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환자들의 골밀도는 환자의 나이나 생리적 상태에 따라 골밀도가 다양하고 동일인의 경우에도 매식할 부위에 따라 골밀도가 다양한데, 골밀도가 낮은 경우에는 임플란트 매식 후에 치조골이 상기 수직날(220)을 조여주는 조임력이 약하고 삽입시 저항력이 낮기 때문에 상기 수직날(220)의 날높이를 'h1'과 같이 높게 형성하여 상기 수직날(220)이 치조골에 깊숙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고, 골밀도가 높은 경우에는 임플란트 매식 후에 치조골이 상기 수직날(220)을 조여주는 조임력이 강하고 삽입시 저항력이 높기 때문에 상기 수직날(220)의 날높이를 'h3'와 같이 낮게 형성하여 상기 수직날(220)이 치조골에 얕게 삽입되어도 초기고정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 다. 도 2는 골밀도가 낮은 경우에 상기 수직날(220)의 형상을 도시한 일 예이고, 도 3은 골밀도가 중간 정도인 경우, 도 4는 골밀도가 높은 경우의 각각의 상기 수직날(220)의 형상을 도시한 일 예이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날(220)은 하향으로 테이퍼지며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치조골 상에 임플란트를 매식시에 쉽게 매식이 가능하고 매식 후에는 쐐기효과를 유발하여 치조골이 강하게 조여주기 때문에 임플란트의 초기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는 종래의 나사산을 가진 임플란트와 달리 수직방향으로 누르거나 두드리면서 치조골에 매식하기 때문에 빠른 시술이 가능하고 뼈 삭제량도 줄일 수 있으며 환자 개개인의 다양한 골밀도에 따라 상기 수직날(220)의 높이를 선택 시술할 수 있으며 특히, 다양한 날높이를 가진 임플란트를 셋트로 준비할 수 있어서 종래의 임플란트와 달리 매식을 위해 치조골에 천공된 구멍의 골밀도에 맞추어 상기 수직날(220)의 높이를 선택 시술할 수 있으므로 정밀하지 못한 드릴링 동작에 의해 천공된 구멍의 크기에 약간의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충분한 초기고정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가 골조직에 식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 내지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에서 수직날의 높이를 다양하게 변형한 예의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는 상기 몸통부(20)가 상기 칼라(210)의 하단에 형성된 보조수직날(230)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수직날(230)은 상기 칼라(210)의 하단에서 상기 몸통부(20)의 길이방향으로 즉 본 발명에 따른 수직날을 가진 임플란트를 세웠을 때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칼날형상의 구성으로 상기 몸통부(20)의 외주면 상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길이는 피질골의 두께에 상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람 치아의 골조직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피질골(a)과 해면골(b)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해면골(b)은 뼈의 내부에 있는 비교적 연한 골조직이고 상기 피질골(a)은 상기 해면골(b)보다 단단하며 일반적으로 상기 해면골(b)을 둘러싸는 비교적 얇은 막을 형성하는 골조직을 말한다. 따라서, 임플란트가 골조직에 완전히 식립된 경우에는 상기 해면골(b)에 접하는 부분의 길이가 상기 피질골(a)에 접하는 부분의 길이보다 크나, 상기 피질골(a)과 해면골(b)의 뼈의 강도가 상이하므로 상대적으로 딱딱한 부분인 상기 피질골(a)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응력이 집중되게 되고 이러한 피질골(a)과 해면골(b)에 매식된 임플란트에 대한 응력의 불균등한 분포는 골흡수를 유발하게 된다. 골흡수란 식립된 임플란트 주변의 골조직의 양이 줄어들면서 퇴화하는 현상을 말하는데 골조직에 작용하는 응력의 불균등분포는 골흡수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수직날(230)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날을 가진 임플란트가 치조골에 매식시에 상기 피질골(a)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딱딱한 상기 피질골(a)의 조임력을 받아 임플란트의 초기고정력을 더욱 더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피질골(a)에 삽입된 수직날의 수가 상기 보조수직날(230)의 수만큼 증가하므로 각 수직날에 대한 응력집중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상기 피질골(a)과 해면골(b)의 불균등한 응력분포를 완화하게 되어 상기 피질골(a)의 골흡수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는 상기 보조수직날(230)이 피질골(a)에 추가적으로 매식되게 되어 임플란트의 초기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질골(a)에 대한 응력집중을 완화하여 피질골(a)의 골흡수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는 상기 수직날(220)이 일정길이로 상기 몸통부(20)의 외주면 상에 산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날(220)은 상기 몸통부(20)의 길이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길이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통부(20) 길이의 1/2 내지는 1/3 길이로 상기 몸통부(20)의 외주면 상에 부분 부분 산재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수직날(230)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는 상기 수직날(220)이 상기 몸통부(20)의 길이 전체에 걸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 라 일정길이로 산재하여 형성되므로 보다 적은 양의 수직날로 동일할 효과를 도모할 수 있어 뼈 삭제량도 감소시킬 수 있고, 생산효율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의 각각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20)는 표면처리됨으로써 골융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표면처리란 임플란트에 대한 신체 스스로의 방어 반응을 감소시키거나 예방하기 위하여 사용된 임플란트 재료의 생물학적 친화성을 향상시키고 주변 골조직과 보다 나은 골융합성을 나타내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의 상기 몸통부(20)의 표면을 양극산화처리 내지는 솔질(brush application), 니스칠(varnishing), 디핑(dipping), HA(하이드록시애퍼타이트)등의 골생성유도물질의 도포 등의 방법을 이용해 코팅하는 등의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몸통부(20)가 표면처리된 본 발명에 따른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는 치조골에 매식시에 생물학적 친화성이 향상되어 치조골과 보다 빠른 골융합성을 나타내어 임플란트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임플란트의 시술 후에도 임플란트가 치조골 내에서 지속적으로 안착할 수 있어 임플란트 시술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 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임플란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의 사시도
도 3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에서 수직날의 높이를 다양하게 변형한 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가 골조직에 식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 내지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에서 수직날의 높이를 다양하게 변형한 예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의 사시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헤드부 20: 몸통부
210: 칼라 220: 수직날 230: 보조수직날 240: 선단부 250: 코어
a: 피질골 b: 해면골
h1, h2, h3: 수직날 높이

Claims (6)

  1. 헤드부와 몸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통부는 코어와 상기 코어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수직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보조수직날을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보조수직날이 피질골에 매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하향으로 축경되며 테이퍼져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날은 하향으로 테이퍼져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날은 일정길이로 상기 몸통부의 외주면 상에 산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표면처리되어 골융합성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
KR1020080073166A 2008-07-25 2008-07-25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 KR100968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166A KR100968338B1 (ko) 2008-07-25 2008-07-25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166A KR100968338B1 (ko) 2008-07-25 2008-07-25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796A true KR20100011796A (ko) 2010-02-03
KR100968338B1 KR100968338B1 (ko) 2010-07-08

Family

ID=42086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3166A KR100968338B1 (ko) 2008-07-25 2008-07-25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83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477B1 (ko) * 2013-10-04 2014-10-22 유일모 다수개의 종방향 톱니부를 갖는 프레스 핏 치과 임플란트
KR20230052679A (ko) 2021-10-13 2023-04-20 문소정 늘어나는 세면대 수도꼭지(연질 세면대 호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20423B2 (ja) * 2002-09-26 2010-02-24 株式会社ジーシー セルフタップ付き歯科用スクリュー型インプラントフィクスチャー用ドリルセッ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477B1 (ko) * 2013-10-04 2014-10-22 유일모 다수개의 종방향 톱니부를 갖는 프레스 핏 치과 임플란트
WO2015050331A1 (en) * 2013-10-04 2015-04-09 Ill Mo Rhew Gear-shaped dental implant having multiple longitudinal teeth
KR20230052679A (ko) 2021-10-13 2023-04-20 문소정 늘어나는 세면대 수도꼭지(연질 세면대 호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8338B1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0945B2 (en) Dental implant for a jaw with reduced bone volume and improved osseointegration features
JP5275460B2 (ja) 医療用インプラントおよび植設方法
JP5932657B2 (ja) 改良されたコアを有する多孔性インプラント装置
KR102384530B1 (ko) 치과 임플란트
US10045837B2 (en) Porous metal dental implant
CN106102649B (zh) 牙种植体
US20090220914A1 (en) Dental implant and a method of implantation thereof
KR100938991B1 (ko) 미니 임플란트.
KR100894315B1 (ko) 응급 임플란트용 고정체
KR100968338B1 (ko)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
TWI594733B (zh) 用於擴大病患的牙槽脊之植入擴大物
KR100742306B1 (ko) 골내 매식용 임플란트
KR101620530B1 (ko) 임플란트용 픽스쳐
KR200254587Y1 (ko) 치근 삽입용 임플란트 몸체
KR20190043697A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US20230372067A1 (en) Dental implant for preserving bone and improving osseointegration
KR101191257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RU2314059C1 (ru) Винтовой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имплантат
KR102254405B1 (ko)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 그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임플란트 시스템
KR200377963Y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JP2010063852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
RU60341U1 (ru) Винтовой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имплантант
KR101033175B1 (ko) 임플란트 고정구 고정용 각도 보정 방법 및 임플란트 고정구 각도 보정장치
JP2010063853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
CZ31769U1 (cs) Dřík dentálního implantát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