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1783A -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1783A
KR20100011783A KR1020080073150A KR20080073150A KR20100011783A KR 20100011783 A KR20100011783 A KR 20100011783A KR 1020080073150 A KR1020080073150 A KR 1020080073150A KR 20080073150 A KR20080073150 A KR 20080073150A KR 20100011783 A KR20100011783 A KR 20100011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atopic dermatitis
preparation example
poi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3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0469B1 (ko
Inventor
김종관
권승택
Original Assignee
김종관
권승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관, 권승택 filed Critical 김종관
Priority to KR1020080073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0469B1/ko
Publication of KR20100011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0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0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61K36/346Platycod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9Scutellaria (skullca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eurosurge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r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첨차추출물, 어성초추출물, 삼백초추출물, 길경추출물 및 황금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항균,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동시에 나타내며, 아토피성 피부염을 가진 환자에게 적용시 홍반, 염증 및 가려움증 개선 효과를 나타내어 총체적이고 전반적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에 유용하다.
첨차, 어성초, 삼백초, 길경, 황금, 아토피, 항균, 항산화, 항염증

Description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effective for alleviating atopic dermatitis}
본 발명은 첨차추출물, 어성초추출물, 삼백초추출물, 길경추출물 및 황금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항균,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어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만성 혹은 재발성 피부염으로 근래에 들어 그 발생 빈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각질화된 피부의 수분이 증발되어 건조하며, 피부의 외부 침입 보호작용이 정상인보다 현저히 떨어져서 외부 자극물질인 알러젠에 항시 노출되어 있다는 점과, 기질세포간 지질 감소로 인하여 피부 보호가 제대로 이루어지 못하고, 각종 박테리아의 증식 빈도가 월등히 높다는 점이 커다란 문제점으로 알려져 있다.
피부에 보습 기능이 원활하지 못하면 피부표면에 균열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균열을 통해 알러지 반응을 일으키는 알러젠(allergen)이 유입된다. 유입된 알러젠은 생체내 면역반응을 야기시키는데, 이로 인해 피부조직이 붕괴된다. 면역부분 중에서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 아토피성 피부염 조직의 가려움증(소양증)이다. 이는 면역과 연관되어 있는데 히스타민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피부의 각화와 피부의 가려움증이 환자의 가장 불편한 문제점이라 본다면 아토피성 피부염 관련 발명에 있어서 항히스타민 역할은 피부 보습 효과와 더불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유리라디칼은 염증의 악화나 가려움증 유발 등에 중요한 작용을 하므로 유효성이 큰 항산화제 선별은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에 없어서는 안 될 부분이다.
또한, 아토피성 피부염이 발생되면 피부의 외부 보호막의 기능이 현저히 떨어지는데 각종 외부 병원균의 오염이 빈번하게 된다. 피부에는 많은 미생물들이 존재하고 있지만 평상시에는 생육이 억제되어 있어서 별반 문제가 생기지 않지만, 아토피성 피부염으로의 진행은 피부의 산도를 약화시켜 이들 각종 병원균의 생육 억제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이들의 증식속도는 면역반응에 의한 조절속도보다 빨리 일어나 피부는 각종 오염에 시달리게 된다. 이들의 증식을 억제시키는 것이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에 있어서 중요하다는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종래의 아토피성 피부염 관련 제품은 거의 단기적인 처방으로 각질화된 피부세포의 보습 기능을 강화시키는데 중점을 둔 것이 대부분이며, 이러한 제품은 아토피성 피부염의 일시적인 각화 지연 효과는 있다고 볼 수 있지만, 근원적인 면역기능 등의 조절 능력이 배제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아직까지 아토피성 피부염에 복합적으로 접근한 제품은 거의 없다고 할 수 있어서 그러한 제품의 개발 필요성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종래의 보습 전용 아토피성 피부염 관련 제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토피성 피부는 정상인의 피부와 달리 자극에 대해 민감하므로 자극에 민감하지 않으면서도 안전한 천연물을 선택하여 연구를 진행한 결과, 항균, 항염증 및 항산화 등에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아토피성 피부염의 복합적인 개선에 효과가 있는 조성물을 얻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과제는 안전한 천연물을 이용하여, 항균, 항염증 및 항산화 등에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아토피성 피부염의 복합적인 개선에 효과가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첨차추출물, 어성초추출물, 삼백초추출물 및 길경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첨차추출물, 어성초추출물, 삼백초추출물 및 길경추출물은, 첨차, 어성초, 삼백초 및 길경을 건조중량 1:1: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첨차추출물, 어성초추출물, 삼백초추출물 및 길경추출물에 황금추출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첨차추출물, 어성초추출물, 삼백초추출물, 길경추출물 및 황금추출물은, 건조중량이 각각 5 내지 30 중량%인 첨차, 어성초, 삼백초, 길경 및 황금을 혼합하여 추출한다.
여기서, 상기 첨차, 어성초, 삼백초, 길경 및 황금의 혼합중량비는 1:1:1:1:1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은, 첨차추출물, 어성초추출물, 삼백초추출물 및 황금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첨차추출물, 어성초추출물, 삼백초추출물 및 황금추출물은, 첨차, 어성초, 삼백초 및 황금을 건조중량 1:1: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0.01 내지 20 중량%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피부외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0.01 내지 20 중량%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경구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첨차추출물, 어성초추출물, 삼백초추출물, 길경추출물 및 황금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조성물은 천연물로 이루어지고, 항균, 항염증 및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며, 홍반, 염증, 가려움증 등에 개선 효과를 나타내어 아토피성 피부염을 총체적으로 개선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첨차추출물, 어성초추출물, 삼백초추출물, 길경추출물, 황금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에 대하여 설 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차(Rubus suavissimus S. Lee)는 중국 남부에서 자생하고 있는 장미과의 식물이며, 현재 중국의 요족 및 일본 등지에서 오래전부터 음용되고 있는 차의 일종이다. 첨차는 신장을 보강하고 혈압을 내리는 약용으로도 예전부터 사용하여 신차라고도 한다. 다른 차와 달리 첨차에는 카페인이 함유되어 있지 않으면서도 각종 미네랄이 풍부하고 특히, 게르마늄과 셀레늄이 많다. 최근, 첨차에 있어서 주목받고 있는 성분은 고감미를 나타내는 루부소사이드라는 배당체이다. 루보소사이드는 설탕에 비해 높은 감미를 나타내고, 무칼로리, 충치방지 및 청정감을 가지는 물질이다. 첨차는 천연 고당도, 무칼로리 및 보양기능이 좋은 단맛 식물이며, 설탕의 대체품으로써 비만증, 당뇨병, 심혈관병, 신장 등의 질병을 지니고 있는 사람들에게 양호한 보조효과를 지닌 차라고 할수 있다.
어성초(Houttuynia cordata Thunb.)는 약모밀, 중약, 십약이라고도 부르는 약초이다. 어성초는 다양한 정유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고기 비린내와 같은 독특한 냄새를 내기 때문에 어성초라고 불린다. 삼백초과에 속하는 어성초는 여러해살이 풀로 5-7월에 꽃이 피며, 전남, 경남, 울릉도, 제주도 등 주로 해안가에 자생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민간 약초법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근래에 와서 약용식물로 많은 사람의 관심을 끌어 널리 재배되고 있는 식물이다. 어성초의 성분은 농진청 식품분석표에 따르면 잎, 줄기에 12.8%라는 많은 양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고, 미네랄은 쌀의 25배, 현미의 10배, 특히 칼슘 등은 쌀의 20배 정도 이상 높다. 식물에서 보기 드문 비타민 B군류도 많이 존재 한다. 어성초는 해열과 해복, 이뇨 작용 등에 활발히 쓰이는 약초이기도 하다.
삼백초(Saururus chinensis Baill.)는 삼백초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이고, 제주도 협재 근처의 습지에서 자라는 식물로 잎·꽃·뿌리가 하얗다고 하여 삼백초라 부른다. 높이는 50∼100㎝에 달하며 근경(根莖)은 백색이고 진흙 속을 옆으로 뻗어가며, 열매는 둥글고 종자는 각 실에 1개씩 들어 있다. 전초중에 정유 약 0.005%를 지니고 있으며, 특이한 냄새는 대카노일아세토알데하이드와 그 산화생성물인 케톤류 및 알데하이드류에 기인한다. 민간에서 꽃이 필 때 생잎으로 또는 불에 말려서 화농, 종기, 창상에 사용한다. 또, 그늘에 말린 잎을 임질, 요도염에 쓰기도 하며 전초를 다제로 동맥경화예방, 이뇨, 수종 등에 사용한다. 한방에서는 소변불리(小便不利), 수종(水腫), 임탁(淋濁), 각기(脚氣), 간염, 황달, 옹종(癰腫), 사교상(蛇咬傷) 등의 증상에 사용한다.
길경(Platycodon grandiflorum Nakai.)은 흔히 도라지라고 하며, 식용 및 약용으로 많이 쓰이는 식물이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며 산과 들에 많이 자란다. 봄, 가을에 뿌리를 채취하여 날것으로 먹거나 나물로 먹는다. 도라지의 주요 효능 성분은 사포닌이다. 뿌리의 일반성분 함량은 대체로 수분이지만, 당질과 섬유소가 많이 들어있다. 특수성분으로는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지만 지방족 및 방향족 탄화수소류가 많이 들어있고, 황화물류, 퓨란류, 산류 등 100가지 정도의 성분이 동정되어 있기도 하다. 한방에서는 폐질환으로 인한 해수나 가래를 제거하는데 많이 사용하고 특히, 중추억제작용, 진정, 진통, 해열 작용에 유효하며 혈압강화 및 항콜린 작용이 있다는 것도 최근의 연구에서 보고되었다.
황금(Scutellariae baicalensis Labitae)은 속썩은풀의 주피를 벗긴 뿌리를 일컬으며, 부장, 공장, 골무꽃이라도고 불린다. 꿀풀과에 속하며, 동아시아 대륙 또는 중국 북부지방이 원산지로 우리나라 각지에서 자생한다. 약용식물로 들여와 각처의 약초농가에서 재배하는 귀화식물이며 흔히 밭에서 재배한다. 뿌리에 바이칼린, 워고닌, 스쿨캅플라본 등이 함유되어 있고, 잎에는 워고노시드, 카르타미딘, 이소카르카미딘이 있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이뇨, 소염성 해열, 충혈성 염증에 쓰고, 혈압으로 인한 동맥경화 개선에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농혈, 복통, 악창, 치질, 황달, 구토, 지사제 등의 약재로 사용하기도 하고 목욕탕의 향료로도 쓴다.
상기와 같은 첨차, 어성초, 삼백초, 길경 및 황금을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다음 농축기로 농축하여 사용한다. 상기 용매로는 정제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첨차, 어성초, 삼백초, 길경, 황금을 혼합한 후 추출하거나, 각각을 추출한 후 혼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첨차, 어성초, 삼백초, 길경, 황금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용매인 정제수를 이용하여 추출한 다음, 이를 여과하고 농축기로 고형분 함량이 약 40%가 되도록 농축된다.
본 발명은, 첨차추출물, 어성초추출물, 삼백초추출물, 길경추출물 및 황금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첨차추출물, 어성초추출물, 삼백초추출물, 길경추출물 및 황금추출물은, 건조중량이 각각 5 내지 30 중량%의 비율로 첨차, 어성초, 삼백초, 길경 및 황금을 혼합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첨차, 어성초, 삼백초, 길경 및 황금 각각의 비율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효과가 저하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제조단가가 상승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첨차, 어성초, 삼백초, 길경 및 황금을 혼합하여 추출할 때, 각각의 혼합중량비는 1:1:1:1:1이다. 즉, 상기 첨차, 어성초, 삼백초, 길경 및 황금을 건조중량이 각각 20 중량%가 되도록 혼합하여 추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은, 첨차추출물, 어성초추출물, 삼백초추출물 및 길경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첨차추출물, 어성초추출물, 삼백초추출물 및 길경추출물은, 첨차, 어성초, 삼백초 및 길경을 건조중량이 1:1:1:1의 중량비가 되도록 혼합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첨차, 어성초, 삼백초 및 길경을 건조중량이 각각 25 중량%가 되도록 혼합하여 추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첨차추출물, 어성초추출물, 삼백초추출물 및 황금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며, 이때 상기 첨차추출물, 어성초추출물, 삼백초추출물 및 황금추출물은, 첨차, 어성초, 삼백초 및 황금을 건조중량이 1:1: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첨차, 어성초, 삼백초 및 황금을 건조중량이 각각 25 중량%가 되도록 혼합하여 추출하게 된다.
상술한 조성을 갖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균, 항염증 및 항산화 등에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아토피성 피부염의 복합적인 개선에 효과를 발휘한다. 더욱이 천 연물로 이루어진 복합조성물이기 때문에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커다란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피부외용 조성물 또는 경구용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부외용 조성물 또는 경구용 조성물에는 상기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이 0.01 내지 2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범위 미만이 포함되면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효과가 저하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제조단가가 상승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여기서, 상기 피부외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등으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로션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구용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액제의 형태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분말, 캡슐 등의 형태로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제조예 및 실험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제조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 11: 혼합 추출물의 제조
경동시장이나 원료 약재상에서 구입한 첨차, 어성초, 삼백초, 길경 및 황금을 수분이 없이 잘 말린 다음 마쇄기로 조분쇄하여 하기 표 1과 같이 각각의 제조예 1부터 제조예 11까지의 조성비로 하여 정제수 5kg에 혼합하여 넣고 추출기로 80℃에서 24시간 추출한 후 400메쉬 여과포로 일차여과하고 0.45㎛의 미세 필터를 거쳐 추출물을 얻었다. 얻어진 추출물은 다시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고형분 함량 40%까지 농축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혼합 추출물을 얻기 위한 조성비
첨차 어성초 삼백초 길경 황금 계(중량%)
제조예 1 100 - - - - 100
제조예 2 50 50 - - - 100
제조예 3 50 - 50 - - 100
제조예 4 50 - - 50 - 100
제조예 5 50 - - - 50 100
제조예 6 33.3 33.3 33.3 - - 100
제조예 7 33.3 33.3 - 33.3 - 100
제조예 8 33.3 33.3 - - 33.3 100
제조예 9 25 25 25 25 - 100
제조예 10 25 25 25 - 25 100
제조예 11 20 20 20 20 20 100
위의 조건으로 얻은 제조예 1부터 제조예 11에 따른 추출물을 시료로 하여 아래와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예 1 : 항균력 실험
제조예 1부터 제조예 11까지의 시료를 가지고 최소발육억제농도(MIC, minimal inhibition concentration)측정법을 이용하였다. 살균력을 실험한 균주로는 황색포도상구균 즉,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균주였고, 사용배지로는 NB(Nutrient broth)와 NA(Nutrient agar)를 사용하였다. NB(Nutrient broth)에서 전배양한 황색포도상구균을 NA(Nutrient agar)에 도말하여 살균된 직경 0.8cm 페이퍼 디스크를 올려놓고 그 디스크에 제조예 1부터 제조예 11까지의 시료들을 동일한 농도로 점적하고 37℃, 48시간 배양한 후 저해영역 크기(clear zone size)를 측정하였다. 음성대조군으로는 물을 사용하였고, 양성 대조군으로는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와 같다. 도 1과 도 2는 각각 음성대조군과 제조예 11에 따른 추출물의 항균력 실험 결과에 대한 사진이다.
항균력 실험 결과
디스크 주위에 생성된 저해환의 직경(mm) 비교 항균 효능(%)
음성대조군 0 0
양성대조군 25 100
제조예 1 0 0
제조예 2 0 0
제조예 3 0 0
제조예 4 9.2 36.8
제조예 5 9.5 38
제조예 6 0 0
제조예 7 10.1 40.4
제조예 8 13.9 55.6
제조예 9 14.5 58
제조예 10 16 64
제조예 11 17.7 70.8
[주] 비교 항균효능(%)은 양성대조군인 테트라사이클린을 100으로 보고 환산한 수치로서, 수치가 클수록 항균효능이 크다.
실험예 2 : 항염증 실험
제조예 1부터 제조예 11까지의 시료를 가지고 대식세포의 프로스타글란딘 E2 방출억제능을 조사하였다. 대식세포에 대한 효과 실험에는 RAW264.7 마우스 대식세포를 이용하였다. 대조군에는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았고, 음성대조군(TPA)은 염증 유발물질로 TPA와 칼슘길항제인 A23187를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제조예 1부터 제조예 11까지의 시료는 상기 염증 유발물질의 첨가와 병행하여 처리가 이루어졌다. 상기 처리 후 4시간 경과 후에, Cayman PGE2 assay kit를 사용하여 염증유발 물질로 인한 대식세포의 프로스타글란딘 E2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표 3과 같다. 도 3은 제조예 11의 농도별 항염증 실험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항염증 실험 결과
프로스타글란딘 E2 농도(pg/ml) 비교 항염증 효능(%)
대조군(no TPA) 35 -
음성대조군(TPA) 107 100
제조예 1 90 84.1
제조예 2 80 74.7
제조예 3 82 76.6
제조예 4 100 93.4
제조예 5 98 91.5
제조예 6 75 70
제조예 7 81 75.7
제조예 8 89 83.1
제조예 9 68 63.5
제조예 10 65 60.7
제조예 11 55 51.4
[주] 비교 항염증 효능(%)은 음성대조군(TPA)을 100으로 보고 환산한 수치로서, 수치가 작을수록 항염증 효능이 크다.
실험예 3 : 항산화 실험
제조예 1부터 제조예 11까지의 시료를 가지고 DPPH를 이용한 유리라디칼 소거능 실험을 수행하였다. DPPH 용액에 시료들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5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유리라디칼 소거능을 조사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수용성 토코페롤을 사용하였다. 또한, 총 항산화 실험은 TAS assay kit(Randox, U.K)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는데, 양성대조군으로는 글루타치온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각각 표 4 및 표 5와 같다.
DPPH를 이용한 항산화 실험 결과
SC50(ug/mL) 비교 항산화 효능(%)
양성대조군 67 100
제조예 1 120 179
제조예 2 136 202
제조예 3 125 186
제조예 4 111 165
제조예 5 139 207
제조예 6 113 168
제조예 7 108 160
제조예 8 116 173
제조예 9 99 147
제조예 10 114 170
제조예 11 84 125
[주] 1. 비교 항산화 효능(%)은 양성대조군인 수용성 토코페롤을 100으로 보고 환산한 수치로서, 수치가 작을수록 항산화 효능이 크다. 2. SC50은 50% DPPH 소거능(Scavenging capacity)을 의미한다.
총 항산화 실험 결과
총 항산화력(mmol/L) 비교 항산화 효능(%)
양성대조군 1.32 100
제조예 1 0.31 23.4
제조예 2 0.35 26.5
제조예 3 0.39 29.6
제조예 4 0.47 35.6
제조예 5 0.41 31
제조예 6 0.42 31.8
제조예 7 0.49 37.1
제조예 8 0.46 34.8
제조예 9 0.58 43.9
제조예 10 0.5 37.8
제조예 11 0.74 56
[주] 비교 항산화 효능(%)은 양성대조군인 수용성 글루타치온을 100으로 보고 환산한 수치로서, 수치가 클수록 항산화 효능이 크다.
상기 실험예 1 내지 3의 항균, 항염증 및 항산화 실험 결과를 종합하여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제조예들을 선정하였다. 상기 항균, 항염증 및 항산화의 3가지 실험을 종합한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다.
항균, 항염증 및 항산화 실험 종합 결과
항균 효능 항염증 효능 항산화 효능 종합 우수성 평가
테트라사이클린 비교 TPA 비교 수용성 토코페롤 비교 글루타치온 비교
제조예 1 0 84.1 179 23.4 -
제조예 2 0 74.7 202 26.5 -
제조예 3 0 76.6 186 29.6 -
제조예 4 36.8 93.4 165 35.6 -
제조예 5 38 91.5 207 31 -
제조예 6 0 70 168 31.8 +
제조예 7 40.4 75.7 160 37.1 +
제조예 8 55.6 83.1 173 34.8 +
제조예 9 58 63.5 147 43.9 ++
제조예 10 64 60.7 170 37.8 +++
제조예 11 70.8 51.4 125 56 +++++
상기 표 6에서 알 수 있듯이,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5는 효능이 거의 없으며, 제조예 6 내지 제조예 8은 약간의 효능이 있었다. 이에 비해, 제조예 9 내지 11이 항균, 항염증 및 항산화의 3가지에서 종합적으로 우수한 효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제조예 11이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조예 12 및 13: 피부외용 조성물 및 경구용 조성물의 제조
상기 표 6에서 효과가 전체적으로 가장 우수한 것으로 관찰된 제조예 11에 따른 추출물을 본 발명의 조성물로 하여, 본 발명 조성물의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효과를 살피기 위해 하기 표7과 같은 피부외용 조성물(제조예 12)과, 하기 표8과 같은 경구용 조성물(제조예 13)을 만들어 아토피 피부 트러블에 대한 유효성을 실험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포함된 피부외용 조성물
본 발명의 조성물이 포함된 피부외용 조성물 본 발명의 조성물이 포함되지 않은 피부외용 조성물 (대조군)
제조예 11에 따른 본 발명의 조성물 2 -
폴리솔베이트 1.3 1.3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9 0.9
유동파라핀 6 6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 4
글리세린 2 2
부틸렌글리콜 4 4
프로필렌글리콜 3 3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0.1
트리에탄올아민 0.2 0.2
레티놀 4000 IU 4000 IU
밀납 4 4
보존료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본 발명의 조성물이 포함된 경구용 조성물
본 발명의 조성물이 포함된 경구용 조성물 본 발명의 조성물이 포함되지 않은 경구용 조성물 (대조군)
제조예 11에 따른 본 발명의 조성물 2 -
홍삼농축액 1 1
구연산 0.25 0.25
배과즙 10 10
벌꿀 5 5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실험예 4: 피부외용 조성물의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효과에 대한 실험
상기 제조예 12의 피부외용 조성물을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에 적용하여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효과를 살펴보았다. 대상자는 실험에 들어가기 한달 전에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및 기타 스테로이드 제제를 적용하지 않은 사람들로 선정하였고, 5세부터 40세 정도의 아토피 환자로서, 2년 이상 아토피성 피부염을 앓고 있는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상기 피부외용 조성물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동일인에게 동일한 위치의 환부를 둘로 나눠 한쪽에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포함된 피부외용 조성물(로션 타입)을 바르고, 다른 한쪽에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포함되지 않은 피부외용 조성물(로션 타입)을 바르게 하였다. 1일 1회 2달 정도 도포한 후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 상태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표9에 나타내었다.
각각의 효능 평가에 대한 점수 기준은 5점 평가법을 이용하였는데, 다음과 같다. 점수기준 : 1점 - 아주 악화되었다(처음보다 50% 이상 악화), 2점 - 조금 악화되었다(조금이나마 악화), 3점 - 차이가 없었다, 4점 - 약간 개선되었다(조금이나마 개선), 5점 - 아주 많이 개선되었다(처음보다 50% 이상 개선). 단, 자극 실험은 다음과 같이 3점 평가법을 하였다. 점수 기준 : 1점 - 있음, 2점 - 모름, 3점 - 없음.
점수 평가는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피실험자 또는 그 가족, 실험의뢰자가 공동으로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악화 또는 개선의 정도는 환부를 보고 3자의 종합판단에 의거 결정하였다.
피부외용 조성물의 실험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이 포함된 피부외용 조성물 대조군
홍반 아주 개선 70점 70% 0점 0%
조금 개선 20점 25% 8점 10%
차이 없음 3점 5% 51점 85%
조금 악화 0점 0% 2점 5%
아주 악화 0점 0% 0점 0%
염증 아주 개선 75점 75% 0점 0%
조금 개선 12점 15% 4점 5%
차이 없음 6점 10% 57점 95%
조금 악화 0점 0% 0점 0%
아주 악화 0점 0% 0점 0%
가려움증 아주 개선 35점 35% 0점 0%
조금 개선 48점 60% 0점 0%
차이 없음 3점 5% 60점 100%
조금 악화 0점 0% 0점 0%
아주 악화 0점 0% 0점 0%
자극 있음 0점 0% 0점 0%
모름 0점 0% 0점 0%
없음 60점 100% 60점 100%
[주] 각각의 백분율은 총 피실험자에 대한 변화된 사람의 비율을 나타낸다.
상기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이 포함된 피부외용 조성물을 아토피성 피부염 증상이 있는 20명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홍반의 개선효과는 95%, 염증의 개선효과는 90%, 가려움의 개선효과는 95%, 피부 자극에 대해서는 100%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반, 염증, 가려움증의 개선에 대해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가려움증은 아주 개선된 사람들보다 조금 개선된 사람들이 많았다.
실험예 5: 경구용 조성물의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효과에 대한 실험
상기 제조예 13의 경구용 조성물을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에 적용하여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효과를 살펴보았다. 대상자는 상기 피부외용 조성물에 대한 실험예 4와 동일한 조건의 사람들을 40명 선정하여 각각 20명씩을 나누어 1일 1포씩 본 발명의 조성물이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은 경구용 조성물(액제 타입)을 90일간 음용케 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10에 나타내었다.
각각의 효능 평가에 대한 점수 기준은 5점 평가법을 이용하였는데, 다음과 같다. 점수기준 : 1점 - 아주 악화되었다(처음보다 50% 이상 악화), 2점 - 조금 악화되었다(조금이나마 악화), 3점 - 차이가 없었다, 4점 - 약간 개선되었다(조금이나마 개선), 5점 - 아주 많이 개선되었다(처음보다 50% 이상 개선).
점수 평가는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피실험자 또는 그 가족, 실험의뢰자가 공동으로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악화 또는 개선의 정도는 환부를 보고 3자의 종합판단에 의거 결정하였다.
경구용 조성물의 실험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이 포함된 경구용 조성물 대조군
홍반 아주 개선 30점 30% 0점 0%
조금 개선 32점 40% 8점 10%
차이 없음 18점 30% 54점 90%
조금 악화 0점 0% 0점 0%
아주 악화 0점 0% 0점 0%
염증 아주 개선 35점 35% 5점 5%
조금 개선 24점 30% 12점 15%
차이 없음 21점 35% 48점 80%
조금 악화 0점 0% 0점 0%
아주 악화 0점 0% 0점 0%
가려움증 아주 개선 25점 25% 0점 0%
조금 개선 40점 50% 16점 20%
차이 없음 15점 25% 48점 80%
조금 악화 0점 0% 0점 0%
아주 악화 0점 0% 0점 0%
[주] 각각의 백분율은 총 피실험자에 대한 변화된 사람의 비율을 나타낸다.
상기 표 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이 포함된 경구용 조성물을 아토피성 피부염 증상이 있는 20명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홍반은 70%, 염증은 65%, 가려움증은 75% 정도 개선 효과를 보였는데, 역시 가려움증에 대해서는 아주 개선된 사람보다 조금 개선된 사람들이 많았다. 또한, 음용 90일 실험 후 별 차이가 없는 사람들도 약 25-35% 정도 있는데, 상기 피부외용 조성물과 경구용 조성물을 동시에 적용하면 훨씬 나은 결과를 보여줄 것으로 추측된다.
이상과 같이 각종 실험을 통해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한 개선 효과가 탁월하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복잡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되고 악화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을 위해, 항균, 항염증, 항산화 등에 효과적이고 인체 피부에 자극이 없는 안전하고 유효한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발명이라고 할 수 있다.
도 1은 음성대조군(물)의 항균력 실험 결과에 대한 사진이다.
도 2는 제조예 11에 따른 추출물의 항균력 실험 결과에 대한 사진이다.
도 3은 제조예 11에 따른 추출물의 농도별 항염증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9)

  1. 첨차추출물, 어성초추출물, 삼백초추출물 및 길경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차추출물, 어성초추출물, 삼백초추출물 및 길경추출물은, 첨차, 어성초, 삼백초 및 길경을 건조중량 1:1: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황금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첨차추출물, 어성초추출물, 삼백초추출물, 길경추출물 및 황금추출물은, 건조중량이 각각 5 내지 30 중량%인 첨차, 어성초, 삼백초, 길경 및 황금을 혼합하여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첨차, 어성초, 삼백초, 길경 및 황금의 혼합중량비가 1:1:1: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6. 첨차추출물, 어성초추출물, 삼백초추출물 및 황금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첨차추출물, 어성초추출물, 삼백초추출물 및 황금추출물은, 첨차, 어성초, 삼백초 및 황금을 건조중량 1:1: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조성물을 0.01 내지 2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피부외용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조성물을 0.01 내지 2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경구용 조성물.
KR1020080073150A 2008-07-25 2008-07-25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1070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150A KR101070469B1 (ko) 2008-07-25 2008-07-25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150A KR101070469B1 (ko) 2008-07-25 2008-07-25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783A true KR20100011783A (ko) 2010-02-03
KR101070469B1 KR101070469B1 (ko) 2011-10-06

Family

ID=42086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3150A KR101070469B1 (ko) 2008-07-25 2008-07-25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04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12535A (zh) * 2011-11-28 2012-06-27 张红 一种治疗婴幼儿尿布皮炎的中药擦拭液
KR101236946B1 (ko) * 2010-06-28 2013-02-25 주식회사 로얄네이쳐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04159A (ko) * 2019-02-26 2020-09-03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아쿠아포닉스 재배기술을 이용한 삼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946B1 (ko) * 2010-06-28 2013-02-25 주식회사 로얄네이쳐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N102512535A (zh) * 2011-11-28 2012-06-27 张红 一种治疗婴幼儿尿布皮炎的中药擦拭液
KR20200104159A (ko) * 2019-02-26 2020-09-03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아쿠아포닉스 재배기술을 이용한 삼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0469B1 (ko)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4532B1 (ko) 백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33857B1 (ko) 미백, 항균, 항산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20110112231A (ko) 약용 잎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30047778A (ko) 약용 꽃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6929954B2 (ja) モリンガ葉抽出物及び杜仲抽出複合物の抗菌、抗酸化、抗炎症、歯槽骨消失の抑制及び再生による歯肉炎及び歯周炎の改善方法
KR20110134719A (ko)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17055B1 (ko) 항산화 및 면역기능 증진 활성을 갖는 덖음차 조성물
KR20180014356A (ko) 홀리바질, 박하, 님나무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자극 및 피부염증 완화용 조성물
KR101070469B1 (ko)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1980887B1 (ko) 하늘타리 추출물 및 박주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44373A (ko) 계요등 꽃 앱솔루트를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상처 치료용 조성물
KR20220104575A (ko) 염증개선과 기력증진 음료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03827B1 (ko) 수제 한방 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75950A (ko) 난치성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KR101654409B1 (ko)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이 있는 아토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3605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1594034B1 (ko) 덤불쑥, 알꽈리 및 동백나무잎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피부알러지, 항염증및 노인성 체취 제거용 조성물
KR102173683B1 (ko) 목본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835661B1 (ko) 세리포리아락세라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가려움 완화와 피부염 예방 기능의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1769123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42768A (ko)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1596006B1 (ko)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umari et al. Pharmacological Attributes of Bombax ceiba L.
KR102542555B1 (ko) 식물성 뮤신을 포함하는 항염증 및 항여드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14621B1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