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1779U - 파봉기 - Google Patents
파봉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11779U KR20100011779U KR2020090006340U KR20090006340U KR20100011779U KR 20100011779 U KR20100011779 U KR 20100011779U KR 2020090006340 U KR2020090006340 U KR 2020090006340U KR 20090006340 U KR20090006340 U KR 20090006340U KR 20100011779 U KR20100011779 U KR 20100011779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ade
- rotating shaft
- envelope
- rotary shaft
- break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two or more inter-engaging rotatable cutter assembl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02C18/20—Sickle-shaped kni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25—Feed means
- B02C18/2241—Feed means of conveyor belt ty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재활용 쓰레기가 담긴 봉투를 파봉하는 파봉기에 관한 것이다. 파봉기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칼날; 및 상기 회전축을 둘러싸며, 봉투가 투입되는 경로에 위치한 일면에 상기 칼날이 통과하는 홈이 형성된 회전축 프레임 커버를 포함한다.
파봉기, 회전축 프레임 커버
Description
본 고안은 재활용 쓰레기를 담은 봉투를 파봉하는 파봉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칼날 또는 회전축에 로프 등에 감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파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프라스틱 및 PET 병 등을 비롯한 각종 생활쓰레기들 중 자원의 재활용이 가능한 폐기물은 폐기물 처리장소로 운반된 후, 다시 산업에너지원으로 재활용되게 된다.
재활용이 가능한 폐기물을 자원화하는 과정 중에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 재활용 봉투를 파봉하여 봉투 속의 재활용이 가능한 폐기물들을 인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파봉 작업은 직접 수동 작업에 의하거나 혹은 기계적인 장치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기계적인 장치에 의해 파봉되는 경우는 대부분 칼날이 회전하면서 봉투를 찢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식으로 파봉을 함에 있어서, 재활용 봉투 속에 들어있는 로프 등이 칼날 또는 회전축에 감겨 운행을 중지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그러한 고장으로 유지보수에 비용소모가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로프 등이 칼날 또는 회전축에 감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파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봉기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칼날; 상기 회전축을 둘러싸며, 봉투가 투입되는 경로에 위치한 일면에 상기 칼날이 통과하는 홈이 형성된 회전축 프레임 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회전축 프레임 커버에 홈을 형성하여 파봉 후의 칼날이 상기 홈을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칼날에 걸린 로프 등을 제거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칼날 또는 회전축 등에 로프 등이 감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 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봉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사시도이며, 도 2는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파봉기(100)는 회전축(10), 회전축(10)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칼날(11), 및 회전축(10)을 둘러싸며 봉투가 투입되는 경로에 위치한 일면에 칼날(11)이 통과하는 홈(12)이 형성된 회전축 프레임 커버(13)를 포함한다.
회전축 프레임 커버(13)는 회전축(10)을 둘러싸는 폐쇄형 구성이면서, 봉투가 투입되는 경로에 위치한 일면에는 칼날(11)이 통과하는 홈(12)이 형성되어 있다. 홈(12)의 폭은 칼날(11)이 원활히 통과하도록 칼날(11)의 두께보다는 크도록 형성하되, 칼날(11)과 홈(12) 사이의 공간으로 로프 등의 이물질이 통과되지 않을 정도로 형성한다.
회전축 프레임 커버(13)는 봉투가 투입되는 경로에 위치한 일면이 곡면(A)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곡면의 중심(R')은 회전축(10)의 중심(R)과 수평선 상에 있으며, 곡면의 중심(R')의 위치는 회전축(10)의 중심(R)의 위치보다 봉투가 투입되는 경로로부터 보다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그와 같이 형성해야 칼날(11)의 회전시 칼날(11)의 일정 영역이, 홈(12)을 통하여 회전축 프레임 커버(13) 밖으로 노출되어 봉투를 파봉할 수 있다.
여기서, 칼날(11)이 회전축(10)을 중심점으로 하여 회전할 때 그려지는 원(B)과, 곡면(A)을 호로 갖는 원(C)을 그리면, 두 원(B, C)은 서로 다른 두 점(b, c)에서 만난다. 이때, 곡면(A)에 형성되는 홈(12)의 길이는 두 점(b, c)에 의해 정의되는 곡면(A) 상의 호의 길이와 동일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칼날(11)은 일면이 곡선을 갖는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봉투를 파봉하는 칼날면을 곡선으로 형성할 수 있다. 칼날(11)의 곡선을 갖는 일면은 회전축(10)의 회전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한다. 또한 칼날(11)은 디스크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앙에 회전축(10)에 축설되는 조립공이 형성된 디스크 몸체(14)에 칼날(11)을 나사 체결하여 제공할 수 있다. 칼날(11)은 디스크 몸체(14)에 다수개로 나사 체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각각의 칼날(11)을 디스크 몸체(14)에 나사 체결하여 형성하면, 다수개의 칼날(11) 중 어느 하나가 불량일 때, 불량인 칼날만을 개별적으로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회전축(10)은 봉투가 투입되는 경로에서 봉투가 투입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회전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재활용 쓰레기를 담은 봉투가 상부로부터 낙하방식으로 투입되는 경우, 회전축(10)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달리 회전축(1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 및 도 2에서는 회전축(10)의 회전방향이 시계 반대 방향인 경우를 도시한다.
회전축(10)은 투입되는 봉투의 폭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폭이 큰 봉투가 투입되면 봉투가 투입되는 경로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폭이 작은 봉투가 투입되면 봉투가 투입되는 경로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10)은 회전 속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이나 프로그램적 제어 등을 이용해서 회전축(1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봉기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회전축(10)은 회전축 프레임 커버(13) 일측에 형성된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재활용 쓰레기를 담은 봉투는 상부로부터 낙하방식으로 투입되며, 이 때, 칼날(11)이 부착된 회전축(10)은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며,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재활용 쓰레기를 담은 봉투가 상부로부터 낙하방식으로 투입되면, 회전축(10)에 의해 회전하는 칼날(11)이 홈(12)을 통과하여 회전축 프레임 커버(13) 밖으로 나와서 봉투를 파봉하고 다시 홈(12)을 통하여 회전축 프레임 커버(13) 내로 들어간다.
만일, 파봉시 칼날(11)에 로프 등이 감기게 된다면, 파봉을 끝낸 칼날(11)이 홈(12)을 통해 회전축 프레임 커버(13) 내로 들어갈 때 홈(12)에 의해 칼날(11)에 감긴 로프 등은 제거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홈(12)과 칼날(11) 사이의 틈은 매우 작으므로, 칼날(11)에 감긴 로프 등은 상기 틈을 통과하지 못하고 회전축 프레임 커버 바깥쪽으로 떨어진다. 그러므로 회전축 프레임 커버(13) 내로 로프 등이 들어갈 수 없다. 그 결과, 칼날(11)이나 회전축(10)에 로프 등이 감기는 현상 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상기 칼날(11)의 봉투를 파봉하는 칼날면이 곡선이면 로프 등이 감기는 현상이 보다 감소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봉기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봉기는 봉투가 투입되는 경로의 양측에서 파봉이 가능하도록 한 구성이다. 즉, 봉투가 투입되는 경로의 양측에 위치하는 회전축(10), 회전축(10)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칼날(11), 및 회전축(10)을 둘러싸며, 봉투가 투입되는 경로에 위치하는 일면에 칼날(11)이 통과하는 홈(12)이 형성된 회전축 프레임 커버(13)를 포함한다.
양측에 위치한 칼날(11)들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측에 위치한 회전축(10)들의 회전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의 회전축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타측의 회전축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양측에 위치한 회전측(10)들이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회전축(10)은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양측 파봉기의 회전축(10)의 회전 속도를 서로 달리 할수 있다. 예를 들어, 양측 파봉기의 회전축(10)의 회전 속도의 비가 1:2 또는 1:3 등이 되도록 할 수 있다. 회전축(10)의 회전 속도를 서로 달리하면 봉투의 양측에서 동시에 힘이 가해지지는 않으므로, 봉투 내에 포함된 유리병 등이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칼날이 봉투가 투입되는 경로의 양측에 위치하므로 파봉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한편, 회전축 프레임 커버(13) 하부에 파봉된 봉투로부터 배출되는 재활용 쓰레기를 운반하는 배출 컨베이어(미도시) 및/또는 진동 스크린(미도시)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파봉기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3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는 파봉기(10)의 하부에 재활용 쓰레기를 담은 봉투 및 파봉된 봉투로부터 배출되는 재활용 쓰레기를 운반하는 컨베이어(40)를 더욱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봉투가 상부에서 낙하방식으로 투입되었는데, 본 제3 실시예에서는 컨베이어(40)에 의해 봉투가 운반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파봉기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4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서는 칼날(11)이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예와 달리 지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한다. 재활용 쓰레기를 담은 봉투는 파봉기(100)의 하부에 배치된 컨베이어(60)에 의해 운반될 수 있다. 컨베이어(60)는 재활용 쓰레기를 담은 봉투를 운반하면서, 봉투로부터 배출되는 재활용 쓰레기를 운반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봉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봉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봉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파봉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파봉기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회전축 11: 칼날
12: 홈 13: 회전축 프레임 커버
14: 디스크 본체
Claims (7)
- 회전축;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칼날;상기 회전축을 둘러싸며, 봉투가 투입되는 경로에 위치한 일면에 상기 칼날이 통과하는 홈이 형성된 회전축 프레임 커버를 포함하는 파봉기.
- 제1 항에 있어서,상기 봉투가 투입되는 경로에 위치한 상기 회전축 프레임 커버의 일면은 곡면이며,상기 곡면의 중심은 상기 회전축의 중심과 수평선 상에 있으며, 상기 봉투가 투입되는 경로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중심보다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봉기.
- 제2 항에 있어서,상기 칼날의 회전에 의해 그려지는 원과 상기 곡면을 호로 갖는 원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며,상기 홈의 길이는 상기 두 점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곡면 상의 호의 길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봉기.
- 제1 항에 있어서,상기 칼날은 봉투를 파봉하는 칼날면이 곡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봉기.
- 제1 항에 있어서,상기 칼날은 중앙에 회전축에 축설되는 조립공이 형성된 디스크 몸체에 나사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봉기.
- 제1 항에 있어서,상기 회전축은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봉기.
- 제1 항에 있어서,상기 회전축은 회전 속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봉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6340U KR20100011779U (ko) | 2009-05-26 | 2009-05-26 | 파봉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6340U KR20100011779U (ko) | 2009-05-26 | 2009-05-26 | 파봉기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10010169U Division KR20120000181U (ko) | 2011-11-16 | 2011-11-16 | 파봉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11779U true KR20100011779U (ko) | 2010-12-06 |
Family
ID=44204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06340U KR20100011779U (ko) | 2009-05-26 | 2009-05-26 | 파봉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11779U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9982B1 (ko) | 2019-05-17 | 2019-10-01 | 강성호 | 재활용 봉투 파봉기 |
-
2009
- 2009-05-26 KR KR2020090006340U patent/KR20100011779U/ko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9982B1 (ko) | 2019-05-17 | 2019-10-01 | 강성호 | 재활용 봉투 파봉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664837C1 (ru) |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вскрытия контейнеров, содержащих неоднородные материалы | |
CN204367236U (zh) | 塑料破碎机 | |
CN202704038U (zh) | 转筒式破袋机 | |
KR101746363B1 (ko) | 파봉기 | |
CN103418601A (zh) | 餐厨垃圾分拣、破碎、筛选的一体化设备 | |
JP2009285544A (ja) | 破袋機 | |
KR20100011779U (ko) | 파봉기 | |
KR20160100429A (ko) | 재활용 수거 봉지 파봉장치 | |
KR20120000181U (ko) | 파봉기 | |
JP2001327888A (ja) | 分離装置用羽根車および分離装置 | |
CN202606212U (zh) | 链条式垃圾粉碎机 | |
KR101217600B1 (ko) | 재활용품 처리 장치 | |
KR102390182B1 (ko) | 일체형파쇄선별기 | |
KR101303610B1 (ko) | 폐기물의 상호접촉에 의한 파쇄 및 이종재질간 선별이 가능한 드럼형 고속회전 파쇄기 | |
JPH0655090A (ja) | 破袋機 | |
KR20040082452A (ko) | 쓰레기 봉투 파봉 장치 | |
KR102564825B1 (ko) | 고효율 파봉기 | |
KR102437250B1 (ko) | 커터 끈말림 억제 및 축 말린 끈 제거 가능한 2축 파봉기 | |
JPWO2020090723A1 (ja) | 破砕装置 | |
CN106275904A (zh) | 一种土壤修复中破碎筛分搅拌除大块一体化进料料斗 | |
JP3097822B2 (ja) | 袋詰め固形廃棄物用破袋機 | |
CN205973089U (zh) | 一种带狼牙棒的分料器 | |
CN2799076Y (zh) | 破袋机 | |
CN201036754Y (zh) | 一种用于处理生活垃圾的破袋、破碎机 | |
KR100663801B1 (ko) | 음식물쓰레기 파봉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
|
U106 |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U106 |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B601 |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1018 Effective date: 2012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