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1687U - 철재절단기용 조립식 블레이드의 결합구조 및 그 블레이드 - Google Patents

철재절단기용 조립식 블레이드의 결합구조 및 그 블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1687U
KR20100011687U KR2020090006221U KR20090006221U KR20100011687U KR 20100011687 U KR20100011687 U KR 20100011687U KR 2020090006221 U KR2020090006221 U KR 2020090006221U KR 20090006221 U KR20090006221 U KR 20090006221U KR 20100011687 U KR20100011687 U KR 2010001168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jaw
male
blades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62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혁
박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버다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버다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버다임
Priority to KR20200900062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1687U/ko
Publication of KR201000116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68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7/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pivoted on a single axis
    • B23D17/02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pivoted on a single axis characterised by drives or gearings therefor
    • B23D17/06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pivoted on a single axis characterised by drives or gearings therefor actuated by fluid or gas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14Means for mounting the cutt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기 철재절단기(1)의 숫죠 단부(3a)의 좌우 측면에 각각 결합된 블레이드들(100,200); 및 상기 숫죠 단부(3a)의 좌우 측면에 각각 오목한 형태로 파여져 형성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들(100,200)이 결합되는 위치를 제공하는 블레이드 조립홈들(15,25);을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들(100,200)은 고정볼트들(14,24)에 의해 상기 숫죠 단부(3a)의 좌우 측면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숫죠 단부(3a) 측면과 접촉하는 결합면의 일부 면적이 돌출되어 형성된 블레이드 돌출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블레이드 조립홈은 상기 블레이드 돌출결합부에 대응되는 부분이 오목하게 함몰된 형성된 끼움홈부를 가짐으로써, 상기 블레이드의 상기 돌출결합부와 상기 블레이드 조립홈의 상기 끼움홈부가 서로 맞물려 결합되어, 철재절단기의 작동 중 상기 블레이드가 받는 전단하중을 지지한다. 본 고안은 철재절단기의 숫죠를 암죠와 결합시킬 때 뿐만 아니라 숫죠를 암죠로부터 벌릴 때에도 블레이드에 작용하는 전단하중을 숫죠 자체에서 지탱할 수 있도록 블레이드와 숫죠 단부 간의 결합구조를 개량함으로써 고정볼트가 절손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gure P2020090006221
철재절단기, 숫죠, 암죠, 블레이드, 단차, 조립홈, 고정볼트

Description

철재절단기용 조립식 블레이드의 결합구조 및 그 블레이드{Enhanced coupling structure of prefabricated blades for a cutting machine and the blades}
본 고안은 철재절단기용 조립식 블레이드의 결합구조 및 그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철재절단기가 철재를 절단한 후에 숫죠와 암죠 사이에 낀 철재 잔재로 인해 숫죠를 벌릴 때에 숫죠의 블레이드에 가해지는 큰 전단하중을 블레이드와 숫죠 간의 개량된 결합구조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숫죠의 블레이드 고정볼트가 절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철재절단기용 조립식 블레이드의 결합구조 및 그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철재절단기는 굴삭기의 아암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사용되는 어태치먼트의 하나로서, 철강회사나 고철장에서 고철을 잘게 절단하거나 또는 공장 등과 같이 철재로 된 건축물을 철거할 때에 철재 구조물을 절단하여 해체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철재절단기의 구성은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우선 도1 및 도2는 종래의 철재절단기(1)의 사시도들로서 일반적인 철재절단기(1)의 숫죠(3)의 양측면에 각각 제1블레이드(10) 및 제2블레이드(20)가 조립된 상태를 도 시한다.
도1 및 도2를 참고하면, 철재절단기(1)는 몸체(2)에 설치된 숫죠(male jaw, 3)와 암죠(female jaw, 4)가 한 쌍의 가윗날처럼 서로 맞물리면서 결합 및 분리되고, 이때 썰고자 하는 철재 물건이 숫죠(3)와 암죠(4) 사이에서 썰려지도록 되어 있다.
도1에서 철재절단기(1)의 몸체(2)에는 숫죠(3)와 암죠(4)가 설치되며, 상기 숫죠(3)는 상기 암죠(4)를 마주보는 위치에서 몸체(2)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암죠(4)에는 상기 숫죠(3)의 단부(3a)의 폭에 해당하는 너비로 절단홈(4a)이 형성되어 있고, 숫죠(3)가 그림에서 위 아래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숫죠(3)의 단부(3a)가 상기 암죠(3)의 절단홈(4a) 안으로 삽입되었다가 빠져나오도록 되어 있다.
도3은 종래의 철재절단기(1)의 숫죠(3)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1블레이드(10)를 분리된 상태로 도시한 것이고, 도4는 도3에 도시된 제1블레이드(10)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5는 종래의 철재절단기(1)의 숫죠(3)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제2블레이드(20)의 분리 상태 사시도이고, 도6은 도5에 도시된 제2블레이드(20)의 사시도이다.
도3을 참고하면, 상기 숫죠(3)와 암죠(4)는 메인핀(3b)에 의해 몸체(2)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숫죠(3)는 유압실린더(5)의 일단에 형성된 피스톤 로드(piston rod)와 숫죠 결합핀(5a)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유압실린더(5)의 타단은 고정핀(5b)에 의해 몸체(2)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유압실린더(5)가 신장 하게 되면 그 피스톤 로드가 유압실린더(5)로부터 뻗어 나와서 숫죠 결합핀(5a)을 전방으로 더 밀게 되고, 그 결과 숫죠(3)는 그 단부(3a)가 암죠(4)의 절단홈(4a) 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운동한다.
상기 숫죠 단부(3a)의 좌우측 양 측면에는 금속제의 블레이드들(blades,10,20)이 결합되어 있는데, 이 숫죠 단부(3a)의 블레이드들(10,20)은 암죠(4)의 절단홈(4a) 안에 설치된 블레이드들과 맞닿으면서 철재 물건들을 절단하게 된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숫죠 단부(3a)의 좌우측 양 측면에는 각각 제1블레이드(10) 및 제2블레이드(20)가 고정볼트(14,24)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숫죠 단부(3a)의 좌우측면에는 상기 제1블레이드(10)와 제2블레이드(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숫죠 단부(3a)의 표면 일부가 제거된 형태로 제1블레이드 조립홈(15)과 제2블레이드 조립홈(25)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블레이드 조립홈(15)의 면적 안에는 볼트결합공(15a)이 형성되고(도3 참조),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블레이드 조립홈(25)의 면적 안에는 볼트결합공(25a)이 형성되어 있다(도5 참조).
도3 및 도4를 참고하면, 제1블레이드(10)를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개의 볼트통과공들(14a)과 상기 제1블레이드 조립홈(15)내에 형성된 복수개의 볼트결합공들(15a)은 서로 위치가 대응되며, 고정볼트(14)가 상기 제1블레이드(10)의 볼트통과공들(14a)을 지나 제1블레이드 조립홈(15)의 볼트결합공들(15a)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제1블레이드(10)가 상기 숫죠 단부(3a)의 일 측면에 고정된다.
또한, 제2블레이드(20)도 이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상기 숫죠 단부(3a)의 타측면에 고정된다. 즉, 도5 및 도6을 참고하면, 제2블레이드(20)를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개의 볼트통과공들(24a)과 상기 제2블레이드 조립홈(25)내에 형성된 복수개의 볼트결합공들(25a)은 서로 위치가 대응되며, 고정볼트(24)가 상기 제2블레이드(20)의 볼트통과공들(24a)을 지난 제2블레이드 조립홈(25)의 볼트결합공들(25a)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제2블레이드(20)가 상기 숫죠 단부(3a)의 타 측면에 고정된다.
도3 및 도5를 참고하면, 상기 제1블레이드(10)와 제2블레이드(20)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블레이드 조립홈들(15,25)은 숫죠 단부(3a)의 아래쪽 가장자리에 접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블레이드 조립홈들(15,25)은 숫죠 단부(3a)의 좌우측면들의 면적 중에서 상기 암죠(4)에 가까운 쪽에 접하여 형성되며, 숫죠 단부(3a)의 표면과는 소정 깊이의 단차를 이루고 있다. 상기 제1블레이드 조립홈(15)이 상기 숫죠 단부(3a)의 표면과 단차를 이루는 부분은 제1상부지지면(16)과 제1측부지지면(17)으로 구성되며(도3 참조), 상기 제2블레이드 조립홈(25)이 상기 숫죠 단부의 표면과 단차를 이루는 부분은 제2상부지지면(26)과 제2측부지지면(27)으로 구성된다(도5 참조).
도1 및 도3을 참고하면, 상기 제1블레이드(10)의 가장자리 중 위쪽에 위치한 제1블레이드 상부 접촉면(11)은 상기 제1블레이드 조립홈(15)의 제1상부지지면(16)과 접촉하며, 제1블레이드(10)의 가장자리 중 뒤쪽에 위치한 제1블레이드 측부 접 촉면(12)은 상기 제1블레이드 조립홈(15)의 제1측부지지면(17)과 접촉한다.
마찬가지로, 도2 및 도5를 참고하면, 상기 제2블레이드(20)의 가장자리 중 위쪽에 위치한 제2블레이드 상부 접촉면(21)은 상기 제2블레이드 조립홈(25)의 제2상부지지면(26)과 접촉하며, 제2블레이드(20)의 가장자리 중 뒤쪽에 위치한 제2블레이드 측부 접촉면(22)은 상기 제2블레이드 조립홈(25)의 제2측부지지면(27)과 접촉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제1블레이드(10)와 제2블레이드(20)가 숫죠 단부(3a)에 고정볼트들(14,24)에 의해 고정되는 외에도, 제1 및 제2블레이드 조립홈들(15,25)안의 제1및 제2 상부지지면들(16,26)과 제1 및 제2 측부지지면들(17,27)에 의해 지지되므로, 철재절단기(1)가 작동할 때 숫죠(3)와 암죠(4) 사이에 단단한 철재 물건이 놓여 있어서 상기 숫죠(3)의 블레이드들(10,20)에 큰 전단하중이 작용하더라도 그 전단하중은 숫죠(3) 자체에 의해서 충분히 지지될 수 있다. 즉, 숫죠(3)가 암죠(4)안으로 압착되어 들어가는 과정에서 제1 및 제2블레이드들(10,20)에 작용하는 전단하중은 숫죠(3) 자체(상부지지면들(16,26)과 측부지지면들(17,27))에 의해서 충분히 떠받쳐지므로, 고정볼트들(14,24)에 따로 전단응력이 발생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숫죠(3)를 암죠(4)와 결합시키는 동작에 의해서는 고정볼트들(14,24)의 안전성이 위협받지 않게 된다.
그러나 철재를 절단한 후 철재의 잔재가 숫죠(3)와 암죠(4)의 사이에 끼어 있으면 숫죠(3)와 암죠(4)를 벌리기 위해 큰 힘을 가해야 하는데, 그 하중이 모두 제1 및 제2블레이드(10,20)의 하단부 쪽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제 1 및 제2블레이드(10,20)를 숫죠 단부(3a)에 결합시키는 고정볼트들(14,24)에 모든 하중이 집중되어 고정볼트들이 절손되는 일이 발생하였다. 즉, 종래의 철재절단기는 숫죠(3)와 암죠(4)를 벌리는 과정에서 고정볼트들(14,24)에 모든 전단하중이 집중되어 고정볼트들(14,24)이 절손되는 일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숫죠와 암죠 사이에 낀 철재 잔재로 인해 숫죠를 벌릴 때에 숫죠의 블레이드에 가해지는 큰 전단하중을 블레이드와 숫죠 간의 개량된 결합구조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숫죠의 블레이드 고정볼트가 절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철재절단기용 조립식 블레이드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숫죠를 벌릴 때에 숫죠와 암죠 사이에 낀 철재 잔재로 인해 숫죠의 블레이드에 작용하는 전단 하중을 안정적으로 숫죠 자체에 전달하여 고정볼트의 절손을 방지할 수 있는 철재절단기용 조립식 블레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해 제공된 철재절단기용 조립식 블레이드의 결합구조는, 철재절단기(1)의 몸체(2)에 지지된 암죠(4) 및 상기 암죠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철재절단기(1)의 몸체(2)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암죠(4)와 결합 및 분리되는 숫죠(3)를 구비하며, 상기 암죠(4)에는 절단홈(4a)이 형성되고, 상기 숫죠(3)의 단부(3a)가 상기 암죠(4)의 절단홈(4a)안으로 삽입되는 동작에 의해 철재 물건들을 절단하는 철재절단기(1)에 있어서, 상기 철재절단기(1)의 숫죠 단부(3a)의 좌우 측면에 각각 결합된 블레이드들(100,200); 및 상기 숫죠 단부(3a)의 좌우 측면에 각각 오목한 형태로 파여져 형성됨으로써 상기 블레 이드들(100,200)이 결합되는 위치를 제공하는 블레이드 조립홈들(15,25);을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들(100,200)은 고정볼트들(14,24)에 의해 상기 숫죠 단부(3a)의 좌우 측면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숫죠 단부(3a) 측면과 접촉하는 결합면의 일부 면적이 돌출되어 형성된 블레이드 돌출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블레이드 조립홈은 상기 블레이드 돌출결합부에 대응되는 부분이 오목하게 함몰된 형성된 끼움홈부를 가짐으로써, 상기 블레이드의 상기 돌출결합부와 상기 블레이드 조립홈의 상기 끼움홈부가 서로 맞물려 결합되어, 철재절단기의 작동 중 상기 블레이드가 받는 전단하중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해 제공된 철재절단기용 조립식 블레이드의 결합구조는, 상기 철재절단기(1)의 숫죠 단부(3a)의 좌우 측면에 각각 결합된 블레이드들(100a,200a); 및 상기 숫죠 단부(3a)의 좌우 측면에 각각 볼록한 형태로 턱을 이루어 돌출 형성된 부분들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들(100a,200a)이 결합되는 위치를 제공하는 블레이드 조립홈들(15,25);을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들(100a,200a)은 고정볼트들(14,24)에 의해 상기 숫죠 단부(3a)의 좌우 측면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블레이드들(100a,200a)은 각각 상기 숫죠 단부(3a) 측면과 접촉하는 결합면의 일부 면적이 턱을 이루면서 함몰되어 형성된 오목결합부들(150, 250)을 가지고, 상기 블레이드 조립홈들(15,25)은 각각 상기 블레이드의 오목결합부들(150,250)에 대응되는 부분이 턱을 이루면서 돌출형성된 끼움돌출부들(170,270)을 가짐으로써, 상기 블레이드의 오목결합부(150,250)와 상기 블레이드 조립홈의 끼움돌출부(170,270)가 서로 맞물려 결합되어, 철재절단기의 작동 중 상기 블레이드가 받는 전단하중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해 제공된 철재절단기용 조립식 블레이드는, 철재절단기(1)의 몸체(2)에 지지된 암죠(4) 및 상기 암죠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철재절단기(1)의 몸체(2)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암죠(4)와 결합 및 분리되는 숫죠(3)를 구비한 철재절단기(1)에 있어서, 상기 철재절단기의 숫죠의 단부(3a)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숫죠 단부(3a)와 접촉하는 결합면(10a,20a)의 일부 면적이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철재절단기용 조립식 블레이드의 결합구조는 숫죠를 암죠와 결합시킬 때 뿐만 아니라 숫죠를 암죠로부터 벌릴 때에도 블레이드에 작용하는 전단하중을 숫죠 자체에서 지탱할 수 있도록 블레이드와 숫죠 단부 간의 결합구조를 개량함으로써 고정볼트가 절손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철재절단기의 블레이드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철재 절단 작업의 효율 향상을 꾀할 수 있고, 특히 철재 절단기의 고정볼트와 블레이드의 파손을 방지하여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전반적인 유지관리 비용을 크게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철재절단기용 조립식 블레이드의 결합구조와 그 블레이드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첨부된 도면들 중 도7 내지 도1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예시하 고, 도13 내지 도1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예시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도7 내지 도16에 있어서는 편의상 도1 내지 도6과 비교하여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우선, 도7 및 도8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재절단기용 조립식 블레이드의 결합구조를 예시한 철재절단기의 사시도들로서, 철재절단기(1)의 양측면에 각각 개량된 구조의 제1블레이드(100) 및 제2블레이드(200)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7 및 도8을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철재절단기(1)는 숫죠(3)와 암죠(4)가 몸체(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것과 숫죠(3)가 유압실린더에 의해 구동력을 제공받는 것은 모두 동일하다.
다만 본 고안에 따른 철재절단기(1)가 종래의 철재절단기와 다른 것은 그 숫죠(3)의 단부(3a)에 형성된 제1 및 제2블레이드(100,200)가 숫죠 단부(3a)의 제1 및 제2 블레이드 조립홈(15,25)에 결합되는 구조가 개량되어 달라졌다는 점에 있다.
도7 및 도8을 참고하면, 상기 제1블레이드(100)는 그 결합면(10a) 중의 일부 면적이 소정의 높이로 돌출됨으로써 제1블레이드 돌출결합부(110)를 가지고, 상기 제2블레이드(200)는 그 결합면(20a) 중의 일부 면적이 소정의 높이로 돌출됨으로써 제2블레이드 돌출결합부(210)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블레이드(100,200)에 돌출결합부들(110,210)이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 것에 대응하여, 상기 숫죠 단부(3a)의 제1 및 제2블레이드 조립홈 들(15,25)에도 소정의 깊이로 오목하게 함몰된 제1 및 제2끼움홈부(120,220)가 형성된다.
도9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재절단기용 조립식 블레이드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제1블레이드(100)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10은 도9에 도시된 개량된 형태의 제1블레이드(100)를 도시한다.
도9 및 도10을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철재절단기의 블레이드 결합구조에 있어서, 제1블레이드(100)의 제1블레이드 돌출결합부(110)는 그 위 아래로 제1블레이드의 나머지 부분들과 각각 단차를 이루고 있다. 상기 제1블레이드 돌출결합부(110)의 아래쪽 단차 부분은 제1돌출접촉면(111)이 되고, 그 위쪽 단차부분은 제3돌출접촉면(113)이 된다.
한편, 숫죠 단부(3a)의 일 측면에 마련되어 있는 제1블레이드 조립홈(15)에 형성된 제1끼움홈부(120)도 그 위 아래로 제1블레이드 조립홈의 나머지 부분들과 각각 단차를 이루고 있다. 상기 제1끼움홈부(120)의 아래쪽 단차 부분은 제1끼움홈 지지면(121)이 되고, 그 위쪽 단차부분은 제3끼움홈 지지면(123)이 된다.
상기 제1블레이드(100)가 상기 숫죠 단부(3a)의 제1블레이드 조립홈(15)안에 안착되면, 제1블레이드(100)의 제1블레이드 돌출결합부(110)는 숫죠 단부(3a)의 제1블레이드 조립홈(15) 안에 있는 제1끼움홈부(120)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돌출접촉면(111)과 제1끼움홈 지지면(121)이 서로 밀착 접촉하고, 제3돌출접촉면(113)과 제3끼움홈 지지면(123)이 서로 밀착 접촉한다.
도1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재절단기용 조립식 블레이드의 결합구 조에 있어서 제2블레이드(200)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12는 도11에 도시된 개량된 형태의 제2블레이드(200)를 도시한다.
도11 및 도12를 참고하면, 숫죠 단부(3a)의 타측면에 형성된 제2블레이드 조립홈(25)과 상기 제2블레이드 조립홈(25)에 안착되는 제2블레이드(200)에도 마찬가지로 제2끼움홈부(220)와 제2블레이드 돌출결합부(21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2블레이드(200)의 면적 일부가 소정 높이로 단차를 이루며 돌출 형성된 제2블레이드 돌출결합부(210)는 그 아래쪽 단차부분이 제2돌출접촉면(212)을 이루며, 그 위쪽 단차부분이 제4돌출접촉면(214)를 이룬다. 그리고 제2블레이드 조립홈(25)의 면적 일부가 소정 깊이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된 제2끼움홈부(220)는 그 아래쪽 단차부분이 제2끼움홈 지지면(222)을 이루고, 그 위쪽 단차부분이 제4끼움홈 지지면(224)을 이룬다. 제2블레이드(200)가 숫죠 단부(3a)에 결합될 때 제2블레이드 돌출결합부(210)는 숫죠 단부(3a)의 제2끼움홈부(220)안에 삽입되어 맞물려 결합되고, 이때 제2돌출접촉면(212)은 제2끼움홈 지지면(222)과 접촉하고, 제4돌출접촉면(214)는 제4끼움홈 지지면(224)과 접촉된다.
도9 및 도10에서 도면부호 13은 제1블레이드 끝단부를 가리키고, 도면부호 10a는 숫죠(3)에 접촉하는 제1결합면을 가리키며, 도11 및 도12에서 도면부호 23은 제2블레이드 끝단부를 가리키고, 도면부호 20a는 숫죠(3)에 접촉하는 제2결합면을 가리킨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재절단기용 조립식 블레이드의 결합구조는, 숫죠에 장착되는 블레이드들(100,200)이 고정볼트(14,24)에 의해 숫죠와 결합되는 외에도, 그 블레이드들(100,200)의 표면 일부가 단차를 형성하면서 돌출된 부분(110,210)이 숫죠에 단차를 이루면서 함몰된 부분(120,220)안에 끼워져 서로 단단히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절단 작업후 숫죠(3)를 암죠(4)로부터 벌릴 때에 블레이드(100,200)에 작용하는 하중이 상기 단차식 결합부분들(110,120,210,220)에 의해 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정볼트에 하중이 집중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철재절단기용 조립식 블레이드의 결합구조는 숫죠를 오므릴 때뿐만 아니라 숫죠를 벌릴 때에도 하중이 볼트에 집중되지 않고 단차부분들의 접촉 지지구조에 의해서 지탱되도록 함으로써 언제나 블레이드를 숫죠에 안전하게 결합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13 및 도1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철재절단기용 조립식 블레이드의 결합구조를 예시한 철재절단기의 사시도들로서, 철재절단기(1)의 양측면에 각각 개량된 구조의 제1블레이드(100a) 및 제2블레이드(200a)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13 및 도14는 각각 제1실시예의 도7 및 도8에 대응되는 그림들로서, 제1블레이드(100a)와 제2블레이드(200a)가 숫죠 단부(3a)의 좌우 측면들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제1블레이드(100)와 제2블레이드(200)가 서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었는데, 제2실시예에서는 제1블레이드(100a)와 제2블레이드(200a)가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 형태를 취한다.
도15 및 도16은 각각 도13 및 도14에 도시된 철재절단기와 제1, 제2블레이드(100a, 200a)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구성이 상기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제1블레이드(100a) 및 제2블레이드(200a)가 숫죠 단부(3a)의 좌우 측면들과 결합되는 방식에 있어서 결합부분의 암수 구조가 서로 바뀌었다는 점이다. 즉 제1실시예에서는 제1블레이드(100)와 제2블레이드(200)에 "凸" 형태의 돌출결합부들(110,210)이 형성되고, 숫죠 단부(3a)의 블레이드 조립홈들(15,25)에는 "凹" 형태의 끼움홈부(120,220)들이 형성되어 있었는데, 제2실시예에서는 이와 반대로 제1블레이드(100a)와 제2블레이드(200a)에는 "凹" 형태의 오목결합부들(150,250)이 형성되고, 숫죠 단부(3a)의 블레이드 조립홈들(15,25)에는 "凸" 형태의 끼움돌출턱들(170, 27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도13 및 도15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 제1블레이드(100a)는 숫죠 단부(3a)의 제1블레이드 조립홈(15)에 안착되며, 고정볼트들(14)이 볼트통과공(14a)을 지나 볼트결합공(15a)에 체결됨으로써 숫죠 단부(3a)와 단단히 결합된다. 숫죠 단부(3a)의 제1블레이드 조립홈(15)에 있는 제1끼움돌출부(170)는 조립홈(15)의 면적 중 일부가 턱(171,173)을 이루면서 "凸"형태로 돌출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1끼움돌출부(170)는 제1블레이드(100a)에 대응된 형태("凹" 형태)로 마련된 제1블레이드 오목결합부(150)안에 끼워지게끔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블레이드 조립홈(15)의 제1끼움돌출부(170)가 제1블레이드(100a)의 오목결합부(150)와 암수결합을 이루어 끼워짐으로써, 제1블레이드(100a)의 오목결합부(150) 상하의 조립턱들(151a,151b)은 제1블레이드 조립홈(15)의 제1끼움돌출부(170) 상하의 제1끼움돌출턱(171) 및 제3끼움돌출턱(173)과 서로 밀착되어 지지된다. 따라서 숫죠 단부(3a)가 암죠의 절단홈(4a)안에 들어가고 빠져나올 때작용하는 하중들이 모두 요철(凹凸)결합을 이룬 턱들(151a,151b,171,173)의 면 상에 작용하게 되므로, 고정볼트(14)에는 전단하중이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숫죠단부(3a)와 절단홈(4a) 사이에 절단물이 끼더라도 고정볼트(14)가 파손되는 사고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마찬가지로 숫죠 단부(3a)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제2블레이드(200a)의 경우에도 숫죠 단부(3a)의 제2블레이드 조립홈(25)에 "凸"형상으로 돌출형성된 제2끼움돌출부(270)와 결합됨으로써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다.
도14 및 도16을 참고하면, 제2블레이드(200a)는 숫죠 단부(3a)의 제2블레이드 조립홈(25)에 안착되며, 고정볼트들(24)이 볼트통과공(24a)을 지나 볼트결합공(25a)에 체결됨으로써 숫죠 단부(3a)와 단단히 결합된다. 숫죠 단부(3a)의 제2블레이드 조립홈(25)에 있는 제2끼움돌출부(270)는 조립홈(25)의 면적 중 일부가 턱(272, 273)을 이루면서 "凸"형태로 돌출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2끼움돌출부(270)는 제2블레이드(200a)에 대응된 형태("凹" 형태)로 마련된 제2블레이드 오목결합부(250)안에 끼워지게끔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블레이드 조립홈(25)의 제2끼움돌출부(270)가 제2블레이드(200a)의 오목결합부(250)와 암수결합을 이루어 끼워짐으로써, 제2블레이드(200a)의 오목결합부(250) 상하의 조립턱들(251a,251b)은 제2블레이드 조립홈(25)의 제2끼움돌출부(270) 상하의 제2끼움돌출턱(272) 및 제4끼움돌출턱(274)과 서로 밀착되어 지지된다. 따라서 숫죠 단부(3a)가 암죠의 절단홈(4a)안에 들어가고 빠져나올 때작용하는 하중들이 모두 요철(凹凸)결합을 이룬 턱들(251a,251b,272,274)의 면 상에 작용하게 되므로, 고정볼트(14)에는 전단하중이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숫죠단부(3a)와 절단홈(4a) 사이에 절단물이 끼더라도 고정볼트(14)가 파손되는 사고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철재절단기용 조립식 블레이드의 결합구조는, 제1실시예에서는 숫죠 단부에 결합되는 블레이드들에 "凸"형상의 돌출결합부(110,210)를 단차식으로 돌출시켜 형성하고, 숫죠 단부 측면의 대응되는 위치에 끼움홈부(120,220)를 "凹"형상으로 단차식으로 함몰시켜 형성함으로써 블레이드의 돌출결합부(110,210)와 숫죠 단부의 끼움홈부(120,220)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는 방식을 채택하였으며, 제2실시예에서는 이와 반대로 숫죠 단부의 블레이드 조립홈들(15,25)에는 "凸"형상의 끼움돌출부들(170,270)을 형성하고, 블레이드들에는 "凹"형상의 오목결합부들(150,250)을 단차식으로 함몰시켜 형성함으로써 서로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종래의 철재절단기는 절단 작업 중 숫죠를 벌릴 때 고정볼트가 파손되는 일이 빈번하였으나, 본 고안은 블레이드에 작용하는 전단 하중이 블레이드와 숫죠 단부간의 단차식 결합구조에 의해 안전하게 지지되도록 하였으므로, 고정볼트가 파손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 내지 도6은 종래의 철재절단기용 조립식 블레이드의 결합구조를 설명하는 도면들이고, 도7 내지 도12는 본 고안에 따른 철재절단기용 조립식 블레이드의 결합구조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1 및 도2는 종래의 철재절단기(1)의 사시도들로서 일반적인 철재절단기(1)의 숫죠(3)의 양측면에 각각 제1블레이드(10) 및 제2블레이드(20)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3은 종래의 철재절단기(1)의 숫죠(3)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1블레이드(10)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고, 도4는 도3에 도시된 종래의 제1블레이드(10)의 사시도이다.
도5는 종래의 철재절단기(1)의 숫죠(3)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제2블레이드(20)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고, 도6은 도5에 도시된 종래의 제2블레이드(20)의 사시도이다.
도7 및 도8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재절단기용 조립식 블레이드의 결합구조를 예시한 철재절단기의 사시도들로서, 철재절단기(1)의 양측면에 각각 개량된 구조의 제1블레이드(100) 및 제2블레이드(200)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9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 철재절단기(1)의 숫죠(3)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1블레이드(100)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고, 도10은 도9에 도시된 개량된 형태의 제1블레이드(100)의 사시도이다.
도1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 철재절단기(1)의 숫죠(3)의 타측면에 결합 되는 제2블레이드(200)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고, 도12는 도11에 도시된 개량된 형태의 제2블레이드(200)의 사시도이다.
도13 및 도1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철재절단기용 조립식 블레이드의 결합구조를 예시한 철재절단기의 사시도들로서, 철재절단기(1)의 양측면에 각각 개량된 구조의 제1블레이드(100a) 및 제2블레이드(200a)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15 및 도16은 각각 도13 및 도14에 도시된 철재절단기와 제1, 제2블레이드(100a, 200a)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철재절단기 2: 몸체
3: 숫죠(male jaw) 3a: 슛죠 단부
3b: 메인 핀(main pin) 4: 암죠(female jaw)
4a: 절단홈 5: 유압실린더
5a: 숫죠결합핀 5b: 고정핀
10: 제1블레이드 10a: 제1결합면
11: 제1블레이드 상부접촉면 12: 제1블레이드 측부접촉면
13: 제1블레이드 끝단부 14: 고정볼트
14a: 볼트통과공 15: 제1블레이드 조립홈
15a: 볼트결합공 16: 제1상부지지면
17: 제1측부지지면 20: 제2블레이드
20a: 제2결합면 21: 제2블레이드 상부접촉면
22: 제2블레이드 측부접촉면 23: 제2블레이드 끝단부
24: 고정볼트 24a: 볼트통과공
25: 제2블레이드 조립홈 25a: 볼트결합공
26: 제2상부지지면 27: 제2측부지지면
100, 100a: 제1블레이드 110: 제1블레이드 돌출결합부
111: 제1돌출접촉면 113: 제3돌출접촉면
120: 제1끼움홈부 121: 제1끼움홈 지지면
123: 제3끼움홈 지지면 150: 제1블레이드 오목결합부
151, 151a, 151b: 제1블레이드 조립턱
170: 제1끼움돌출부 171, 173: 끼움돌출턱
200, 200a: 제2블레이드
210: 제2블레이드 돌출결합부 212: 제2돌출접촉면
214: 제4돌출접촉면 220: 제2끼움홈부
222: 제2끼움홈 지지면 224: 제4끼움홈 지지면
250: 제2블레이드 오목결합부 251, 251a, 251b: 제2블레이드 조립턱
270: 제2끼움돌출부 272, 274: 끼움돌출턱

Claims (5)

  1. 철재절단기(1)의 몸체(2)에 지지된 암죠(female jaw,4) 및 상기 암죠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철재절단기(1)의 몸체(2)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암죠(4)와 결합 및 분리되는 숫죠(male jaw,3)를 구비하며, 상기 암죠(4)에는 절단홈(4a)이 형성되고, 상기 숫죠(3)의 단부(3a)가 상기 암죠(4)의 절단홈(4a)안으로 삽입되는 동작에 의해 철재 물건들을 절단하는 철재절단기(1)에 있어서,
    상기 철재절단기(1)의 숫죠 단부(3a)의 좌우 측면에 각각 결합된 블레이드들(100,200); 및
    상기 숫죠 단부(3a)의 좌우 측면에 각각 오목한 형태로 파여져 형성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들(100,200)이 결합되는 위치를 제공하는 블레이드 조립홈들(15,25);을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들(100,200)은 고정볼트들(14,24)에 의해 상기 숫죠 단부(3a)의 좌우 측면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숫죠 단부(3a) 측면과 접촉하는 결합면의 일부 면적이 돌출되어 형성된 블레이드 돌출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블레이드 조립홈은 상기 블레이드 돌출결합부에 대응되는 부분이 오목하게 함몰된 형성된 끼움홈부를 가짐으로써, 상기 블레이드의 상기 돌출결합부와 상기 블레이드 조립홈의 상기 끼움홈부가 서로 맞물려 결합되어, 철재절단기의 작동 중 상기 블레이드가 받는 전단하중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절단기 용 조립식 블레이드의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조립홈은 상기 숫죠 단부(3a)의 측면에서 하단부 가장자리를 포함한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 조립홈 이외의 부분과는 상부지지면 및 측부지지면에 의해 단차(單差)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절단기용 조립식 블레이드의 결합구조.
  3. 철재절단기(1)의 몸체(2)에 지지된 암죠(4) 및 상기 암죠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철재절단기(1)의 몸체(2)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암죠(4)와 결합 및 분리되는 숫죠(3)를 구비하며, 상기 암죠(4)에는 절단홈(4a)이 형성되고, 상기 숫죠(3)의 단부(3a)가 상기 암죠(4)의 절단홈(4a)안으로 삽입되는 동작에 의해 철재 물건들을 절단하는 철재절단기(1)에 있어서,
    상기 철재절단기(1)의 숫죠 단부(3a)의 좌우 측면에 각각 결합된 블레이드들(100a,200a); 및
    상기 숫죠 단부(3a)의 좌우 측면에 각각 볼록한 형태로 턱을 이루어 돌출 형성된 부분들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들(100a,200a)이 결합되는 위치를 제공하는 블레이드 조립홈들(15,25);을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들(100a,200a)은 고정볼트들(14,24)에 의해 상기 숫죠 단부(3a)의 좌우 측면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블레이드들(100a,200a)은 각각 상기 숫죠 단부(3a) 측면과 접촉하는 결 합면의 일부 면적이 턱을 이루면서 함몰되어 형성된 오목결합부들(150, 250)을 가지고,
    상기 블레이드 조립홈들(15,25)은 각각 상기 블레이드의 오목결합부들(150,250)에 대응되는 부분이 턱을 이루면서 돌출형성된 끼움돌출부들(170,270)을 가짐으로써, 상기 블레이드의 오목결합부(150,250)와 상기 블레이드 조립홈의 끼움돌출부(170,270)가 서로 맞물려 결합되어, 철재절단기의 작동 중 상기 블레이드가 받는 전단하중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절단기용 조립식 블레이드의 결합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조립홈은 상기 숫죠 단부(3a)의 측면에서 하단부 가장자리를 포함한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 조립홈 이외의 부분과는 상부지지면 및 측부지지면에 의해 단차(單差)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절단기용 조립식 블레이드의 결합구조.
  5. 철재절단기(1)의 몸체(2)에 지지된 암죠(4) 및 상기 암죠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철재절단기(1)의 몸체(2)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암죠(4)와 결합 및 분리되는 숫죠(3)를 구비한 철재절단기(1)에 있어서,
    상기 철재절단기의 숫죠의 단부(3a)에 결합된 조립식 블레이드(100,200)는, 상기 숫죠 단부(3a)와 접촉하는 결합면(10a,20a)의 일부 면적이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절단기용 조립식 블레이드.
KR2020090006221U 2009-05-22 2009-05-22 철재절단기용 조립식 블레이드의 결합구조 및 그 블레이드 KR2010001168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221U KR20100011687U (ko) 2009-05-22 2009-05-22 철재절단기용 조립식 블레이드의 결합구조 및 그 블레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221U KR20100011687U (ko) 2009-05-22 2009-05-22 철재절단기용 조립식 블레이드의 결합구조 및 그 블레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687U true KR20100011687U (ko) 2010-12-01

Family

ID=44204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6221U KR20100011687U (ko) 2009-05-22 2009-05-22 철재절단기용 조립식 블레이드의 결합구조 및 그 블레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168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8005A (ko) 2017-09-29 2019-04-08 강토중공업(주) 유압절단기의 절단 블레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8005A (ko) 2017-09-29 2019-04-08 강토중공업(주) 유압절단기의 절단 블레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0759B2 (en) Metal demolition shears with indexable, integrated wear plate/piercing tip
CA2875260C (en) Interlocking tip for demolition and construction equipment
CA2563771C (en) Tip for demolition and construction equipment
KR102157859B1 (ko) 파쇄 전단기 및 파쇄 전단기 피어싱 팁 인서트 및 노즈 구성
US20070130776A1 (en) Shear with replaceable shearing tip
EP3121340B1 (en) Replaceable tip for a demolition tool
US20130068079A1 (en) Demolition cutter
EP1939362A1 (en) Work tool having a releasable tooth
CN109642414B (zh) 用于拆除工具的可替换工作部件
CA3122366A1 (en) Wear plate assembly with two-part key assembly
KR20100011687U (ko) 철재절단기용 조립식 블레이드의 결합구조 및 그 블레이드
US11220806B2 (en) Corner wear plate assembly
US20110146469A1 (en) Piercing tip for scrap shear
EP2944728B1 (en) A jaw assembly for a demolition tool
JP4989924B2 (ja) 破砕機
US20140131494A1 (en) Device For Crushing And/Or Cutting Material, As Well As A Piercing Element, Suitable For Mounting To The Free Nose End Of A Mouth Of Such A Device
EP2672018A1 (en) Blade positioning structure for a shear for a works machine
JP6748084B2 (ja) 破砕道具用歯ブロック
JP2006219948A (ja) 破砕機
KR101650129B1 (ko) 중장비용 크러셔
KR101814634B1 (ko) 다목적 그래브
US20130319199A1 (en) Blade Positioning Structure for She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