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1476U - 자동개폐형 우산의 안전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개폐형 우산의 안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1476U
KR20100011476U KR2020100000873U KR20100000873U KR20100011476U KR 20100011476 U KR20100011476 U KR 20100011476U KR 2020100000873 U KR2020100000873 U KR 2020100000873U KR 20100000873 U KR20100000873 U KR 20100000873U KR 20100011476 U KR20100011476 U KR 201000114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ratchet
main body
position fix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08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친-컹 후앙
Original Assignee
시아먼 혼다르 엄브렐라 인더스트리얼 컴패니 리미티드
후앙, 루-카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먼 혼다르 엄브렐라 인더스트리얼 컴패니 리미티드, 후앙, 루-카이 filed Critical 시아먼 혼다르 엄브렐라 인더스트리얼 컴패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20201000008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1476U/ko
Publication of KR201000114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47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4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 A45B25/143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automati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4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 A45B2025/146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with a crank connected to a rop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81Umbrella handle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개폐형 우산의 안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구조는 우산 손잡이 내의 주몸체 내부에 설치되고, 돌림축, 래칫(ratchet), 태엽, 위치고정부 및 당김줄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돌림축은 상기 주몸체 바닥부 측에 피봇 연결되고, 그 한 끝은 래칫(ratchet)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한 끝은 태엽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래칫(ratchet) 상에는 여러개의 래칫 이빨들이 설치되고, 상기 태엽의 바깥 끝은 상기 주몸체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위치고정부의 한 끝은 상기 주몸체 상에 피봇 연결되고, 상기 위치고정부의 이동부와 상기 래칫(ratchet)의 래칫 이빨은 서로 대응되고, 상기 위치고정부 내부 측면에는 돌출부가 설치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주몸체 측면 벽 상에 형성된 옆구멍을 통해 주몸체의 축구멍 내로 뻗어 들어오고, 그 위치는, 우산이 접혀서 우산 중심관 내에 설치된 걸림머리가 되돌아 올 때의 위치와 서로 대응되고, 상기 당김줄의 한 끝은 상기 돌림축 상에 고정되고 다른 한 끝은 우산 상단 수용공간에 고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완성된 본 고안은 래칫(ratchet)의 단일 방향성을 이용해, 우산을 접을 때 우산 중심관이 아래로만 이동하여 접히도록 하며, 또한 아래로 누르는 힘이 사라졌을 때 상기 당김줄이 우산 중심관을 당겨 고정시키기 때문에, 우산 중심관이 탄력에 의해 갑자기 펼쳐지는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자동개폐형 우산의 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개폐형 우산의 안전 구조{SAFETY CONSTRUCTION FOR AN AUTO FOLDING/UNFOLDING UMBRELLER}
본 고안은 우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개폐형 우산의 안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개폐형 우산은 단지 반복적으로 하나의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우산이 펼쳐지고 접혀지는 동작을 하게 되는 우산으로서, 우산을 양손으로 잡고 펼치고 접는 수고를 덜어 주어 사용 상 매우 편리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에게 환영을 받고 있다.
자동개폐형 우산의 전형적인 내부 구조에 관해 2002년 2월 13일 "자동개폐식 우산의 제어장치"에 관해 공개한 중국 실용신안 번호 제 CN2476208Y호의 경우를 살펴보면, 해당 실용신안에서 사용한 자동개폐형 우산의 동작 원리는, 우산을 펼치고 싶을 때 누름버튼(60')을 아래로 누르면 우산 중심관(50')이 제어장치의 제어를 벗어나게 되고, 상기 우산 중심관(50') 내부의 우산 펼침용 스프링(51')이 그 탄력을 방출하여, 상기 우산 중심관(50')이 위로 튕겨져 올라가게 됨으로써 우산이 펼쳐지게 된다. 또한 우산을 접고 싶을 때 상기 누름버튼(60')을 다시 한 번 누르면, 우산 중심관(50') 내의 걸림머리(523')가 제어장치의 제어를 벗어나게 되고 상기 걸림머리(523')가 풀리게 됨으로써, 우산을 접을 때 사용하는, 우산 뼈대 상에 설치된 스프링(도면에 미표시)의 탄력으로 인해 우산이 접히게 되고, 상기 걸림머리(523')는 당김줄(522')에 의해 우산 중심관(50') 상단으로 당겨져 올라가게 된다. 이때 우산은 아직 완전히 접힌 상태가 되지 않으며, 우산을 완전히 접힌 상태로 만들려면 우산면을 잡고 손잡이(110') 방향으로 힘껏 눌러 주어야만 우산 중심관(50')이 제자리로 돌아오며, 이때 우산 펼침용 스프링(51')은 다시 탄력 에너지를 축적하게 되고, 상기 우산 중심관(50') 및 걸림머리(523')는 다시 상기 손잡이(110') 내의 제어장치의 제어를 받게 됨으로써 자동개폐형 우산 구조가 완성된다.
종래의 자동개폐형 우산의 동작원리는 기본적으로 상술된 실용신안 구조와 동일하며, 01217730.X, 01237609.4, 01262761.5, 03267824.X 등과 같은 중국 실용신안 구조의 경우와 비교했을 때, 대부분 손잡이 내부의, 우산 중심관과 걸림머리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에서 조금씩 차이가 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개폐형 우산은 사용 상 편리하지만 안전성 측면에서는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있으며, 그 원인은 다음과 같다. 우산 중심관 내부에 설치된 우산 펼침용 스프링의 경우, 상기 우산 펼침용 스프링은 우산을 펼칠 때 우산이 자동으로 튕겨져 펼쳐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그 탄력성이 비교적 크다. 그런데 우산을 접을 때 우산면을 손잡이까지 눌러주어야 하며, 이때 상기 우산 펼침용 스프링의 탄력성을 극복하고 반드시 우산면을 손잡이 끝까지 눌러 주어야만 우산을 완전히 접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우산 펼침용 스프링의 탄력성이 너무 커서, 우산면을 누르는 과정에서 우산면을 완전히 눌러주지 못하고 도중에 우산이 빠른 속도로 갑자기 펼쳐지는 상황이 발생하며, 이렇게 우산이 빠른 속도로 갑자기 펼쳐지는 과정에서, 상기 우산 펼침용 스프링의 과대한 힘으로 인해 사용자가 다치는 의외의 상황이 종종 발생하게 된다. 실제로 해외에서 우산을 접는 과정에서. 우산의 중심관이 완전히 걸려 고정되지 않아 우산이 펼쳐지며 사람이 다친 사례가 보고되기도 하였다. 그러므로 우산을 접는 과정에서 우산 중심관이 완전히 고정되지 않아 자동으로 펼쳐지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고안의 주요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구조가 가진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자동개폐형 우산의 안전 구조를 제공하여 자동개폐형 우산을 접는 과정에서 우산 중심관이 갑작스럽게 튕겨져 펼쳐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데 있다.
상술된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우산 손잡이 내의 주몸체 내부에 설치되는 자동개폐형 우산의 안전 구조를 제공하며, 상기 안전 구조는 돌림축, 래칫(ratchet), 태엽, 위치고정부 및 당김줄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돌림축은 상기 주몸체 바닥부 측에 피봇 연결되고, 그 한 끝은 래칫(ratchet)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한 끝은 태엽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래칫(ratchet) 상에는 여러개의 래칫 이빨들이 설치되며, 상기 태엽의 바깥 끝은 상기 주몸체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위치고정부의 한 끝은 상기 주몸체 상에 피봇 연결되고, 상기 위치고정부의 이동부와 상기 래칫(ratchet)의 래칫 이빨은 서로 대응되고, 상기 위치고정부의 내부 측면에는 돌출부가 설치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주몸체 측면 벽 상에 형성된 옆구멍을 통해 주몸체의 축구멍 내로 뻗어 들어오고, 그 위치는, 우산이 접혀서 우산 중심관 내에 설치된 걸림머리가 되돌아 올 때의 위치와 서로 대응되고, 상기 당김줄의 한 끝은 상기 돌림축 상에 고정되고 다른 한 끝은 우산 상단의 수용공간에 고정된다.
상술된 위치고정부와 손잡이의 내벽 사이에는, 상기 위치고정부의 이동부가 제자리로 돌아올 때, 이를 끝까지 밀어서 래칫(ratchet)의 래칫 이빨 상에 닿도록 하는 위치복귀장치가 설치된다.
상술된 걸림머리에는 통공이 설치되고, 상기 당김줄은 상기 통공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술된 구조로 완성된 본 고안은, 우산 손잡이 내부에 안전 구조를 설치함으로써, 우산을 접을 때 우산 중심관이 접혀 돌아오는 과정 중에, 상기 당김줄의 하단이 상기 태엽의 탄력성의 작용을 받아 끊임없이 돌림축 상에 감기게 된다. 그러나 상기 우산 중심관을 누르는 힘이 사라지면, 상기 당김줄은 상기 돌림축을 반대로 회전시키려는 힘을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위치고정부의 이동부가 상기 래칫의 래칫 이빨에 맞물리게 되어, 상기 돌림축이 반대로 회전하려는 것을 저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당김줄이 우산 상단 수용 공간을 당기는 상태로 유지되어 우산 중심관이 밖으로 튕겨져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다시 말하면, 본 고안은 상기 래칫(ratchet)의 단일 방향성을 이용해, 우산을 접을 때 우산 중심관이 아래로만 이동하여 접히도록 하며, 또한 아래로 누르는 힘이 사라졌을 때 상기 당김줄이 우산 중심관을 당겨 고정시키기 때문에, 우산 중심관이 탄력에 의해 갑자기 펼쳐지는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자동개폐형 우산의 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된 내용을 종합해보면, 본 고안은 래칫(ratchet)의 단일 방향성을 이용해, 우산을 접을 때 우산 중심관이 아래로만 이동하여 접히도록 하며, 또한 아래로 누르는 힘이 사라졌을 때 상기 당김줄이 상기 우산 중심관을 당겨 고정시키기 때문에 우산 중심관이 탄력에 의해 갑자기 펼쳐지는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자동개폐형 우산의 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개폐형 우산 손잡이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입체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합된 상태에 대한 단면도이다(우산을 접는 과정의 상태).
도 4는 본 발명의 조합된 상태에 대한 단면도이다(우산을 완전히 접었을 때의 상태).
도 5는 본 발명의 조합된 상태에 대한 단면도이다(우산을 펼치는 과정의 상태).
본 고안에 관해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와 도면을 함께 사용하여 본 고안의 구조 및 그 기술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자동개폐형 우산의 안전 구조에 관한 것이며, 본 고안의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안전 구조는 우산 손잡이(11) 내의 주몸체(2)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안전 구조는 돌림축(3), 래칫(ratchet)(4), 태엽(5), 위치고정부(6), 위치복귀장치(7) 및 당김줄(8)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손잡이(11) 및 그 내부의 주몸체(2) 내에는 제어장치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어장치는 본 고안의 중점 사항이 아니기 때문에 본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았다. 상기 주몸체(2) 내에는, 우산 중심관(12)을 설치하는 데 사용되는 축구멍(21)이 설치되고, 상기 우산 중심관(12) 내에는 걸림머리(9)가 설치된다.
상기 돌림축(3)은 상기 주몸체(2) 바닥부 측에 피봇 연결되고, 그 한 끝은 래칫(ratchet)(4)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한 끝은 태엽(5)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태엽(5)의 바깥 끝은 상기 주몸체(2) 상에 고정된다. 상기 래칫(ratchet)(4) 상에는 여러개의 래칫 이빨(41)들이 설치되고, 상기 태엽(5)은 상기 돌림축(3)이 회전할 수 있게 하는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위치고정부(6)의 한 끝은 상기 주몸체(2) 상에 피봇 연결되고, 피봇 연결되지 않은 다른 한 끝에는 이동부(61)가 있어, 상기 래칫(ratchet)(4)의 래칫 이빨(41)과 서로 대응된다. 상기 위치고정부(6) 내부 측면에는 돌출부(62)가 설치되고, 상기 돌출부(62)는 상기 주몸체(2) 측면 벽 상에 형성된 옆구멍(22)을 통해 주몸체(2)의 축구멍(21) 내로 뻗어 들어오고, 그 위치는, 우산이 접혀서 상기 걸림머리(9)가 되돌아 올 때의 위치와 서로 대응되게 된다.
상기 위치고정부(6)와 상기 손잡이(11)의 내벽 사이에는 위치복귀장치(7)가 설치된다.
상기 당김줄(8)의 한 끝은 상기 돌림축(3) 상에 고정되고 다른 한 끝은 우산 상단 수용공간(도면에는 미표시됨)에 고정된다. 상기 당김줄(8)이 임의대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걸림머리(9)에 통공(91)을 설치하고, 상기 당김줄(8)을 상기 통공(91) 안으로 관통시켜 설치한다.
우산을 접기 시작할 때, 상기 걸림머리(9)는 상기 우산 중심관(12) 상 측으로 당겨져 들어간다. 상기 우산 중심관(12)을 더 눌러서 우산을 완전히 접게 되는 과정에서는, 도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우산 중심관(12)이 짧게 회수되는 과정 중에 상기 당김줄(8)의 하단은 태엽(5)의 탄력 작용으로 인해 끊임없이 돌림축(3)에 감기게 된다. 그러나 상기 우산 중심관(12)을 누르는 힘이 사라졌을 때, 상기 당김줄(8)은 상기 돌림축(3)을 반대로 회전시키려는 힘을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위치고정부(6)의 이동부(61)가 상기 래칫(ratchet)(4)의 래칫 이빨(41)과 맞물리게 되어 상기 돌림축(3)이 반대로 회전하려는 것을 저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당김줄(8)이 우산 상단 수용 공간을 당기는 상태로 유지되어, 우산 중심관(12)이 우산 펼침 스프링(도면에는 미표시됨)의 작용으로 튕겨져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우산 중심관(12)이 탄력에 의해 갑자기 펼쳐지는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우산 중심관(12)이 예정했던 길이로 접혀 회수되어 우산이 완전히 접힌 상태가 되었을 때는, 도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머리(9)가 상기 손잡이(11) 내부로 완전히 회수된 상태가 되어, 제어장치(본 고안의 중점이 아니기 때문에 도면에는 미표시됨)의 제어를 받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머리(9)는 상기 위치고정부(6)의 돌출부(62)와 서로 대응되어 상기 돌출부(62)를 완전히 받쳐주게 되며, 상기 위치고정부(6)가 바깥쪽으로 밀려나면, 상기 위치고정부(6)의 이동부(61)는 상기 래칫(ratchet)(4)의 래칫 이빨(41)을 완전히 벗어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당김줄(8)은 상기 돌림축(3) 상에 감기게 된다. 이때, 상기 위치고정부(6)의 이동부(61)는 걸림머리(9)로 인하여 상기 래칫(ratchet)(4)의 래칫 이빨(41)과 서로 접촉하지 않게 되며, 그로 인해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우산을 펼칠 때 상기 래칫(ratchet)(4)은 당김줄(8)이 당겨지는 현상을 저지하지 않게 된다.
본 고안은 자동개폐형 우산이 모두 가지고 있는 구조인 걸림머리(9)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고정부(6)가 래칫(ratchet)(4)의 회전을 제한하는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즉 다시 말하면, 위치고정부(6)에 의해 래칫(ratchet)(4)의 회전이 제한되어, 상기 당김줄(8)을 당길 수 없게 됨으로써 우산을 펼칠 수 없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해결하였다. 또한 본 고안를 통해, 기타 제어구조에서도 발생하는, 위치고정부가 래칫(ratchet)의 회전을 제한하는 현상을 해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된 내용들은, 단지 본 고안의 특징과 장점 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한 것으로서, 본 실용신안 청구 범위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본 실용신안 신청 정신과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여타 변형 등의 과정을 통한 경우에도 본 실용신안 청구 범위에 모두 포함되는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손잡이 110': 손잡이
12: 우산 중심관 2: 주몸체
21: 축구멍 22: 옆구멍
3: 돌림축 4: 래칫(ratchet)
41: 래칫 이빨 5: 태엽
50': 우산 중심관 51': 스프링
522': 당김줄 523': 걸림머리
6: 위치고정부 61: 이동부
62: 돌출부 60': 누름버튼
7: 위치복귀장치 8 : 당김줄
9: 걸림머리 91: 통공

Claims (3)

  1. 자동개폐형 우산의 안전 구조로서,
    상기 안전 구조는 우산 손잡이 내의 주몸체 내부에 설치되고, 돌림축, 래칫(ratchet), 태엽, 위치고정부 및 당김줄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돌림축은 상기 주몸체 바닥부 측에 피봇 연결되고, 상기 돌림축의 한 끝은 상기 래칫(ratchet)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한 끝은 상기 태엽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래칫(ratchet) 상에는 여러개의 래칫 이빨들이 설치되며, 상기 태엽의 바깥 끝은 상기 주몸체 상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위치고정부의 한 끝은 상기 주몸체 상에 피봇 연결되고, 상기 위치고정부의 이동부와 상기 래칫(ratchet)의 래칫 이빨은 서로 대응되고, 상기 위치고정부 내부 측면에는 돌출부가 설치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주몸체 측면 벽 상에 형성된 옆구멍을 통해 주몸체의 축구멍 내로 뻗어 들어오고, 상기 돌출부의 위치는, 우산이 접혀서 우산 중심관 내에 설치된 걸림머리가 되돌아 올 때의 위치와 서로 대응되며, 상기 당김줄의 한 끝은 상기 돌림축 상에 고정되고 다른 한 끝은 우산 상단 수용공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형 우산의 안전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와 우산 손잡이의 내벽 사이에는, 상기 위치고정부의 이동부가 제자리로 돌아올 때 이를 끝까지 밀어서 상기 래칫(ratchet)의 래칫 이빨 상에 닿도록 하게 하는 위치복귀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형 우산의 안전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머리에는 통공이 설치되고, 상기 당김줄을 상기 통공 안으로 관통시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형 우산의 안전 구조.
KR2020100000873U 2009-05-15 2010-01-26 자동개폐형 우산의 안전 구조 KR2010001147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873U KR20100011476U (ko) 2009-05-15 2010-01-26 자동개폐형 우산의 안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920138367.4 2009-05-15
KR2020100000873U KR20100011476U (ko) 2009-05-15 2010-01-26 자동개폐형 우산의 안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476U true KR20100011476U (ko) 2010-11-24

Family

ID=44204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0873U KR20100011476U (ko) 2009-05-15 2010-01-26 자동개폐형 우산의 안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147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473B1 (ko) * 2011-11-11 2013-04-16 김창원 접힘 시 펼침을 방지하는 안전형 자동우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473B1 (ko) * 2011-11-11 2013-04-16 김창원 접힘 시 펼침을 방지하는 안전형 자동우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27788C (en) Multi-folded full-automatic opening-closing umbrella
EP2327324A1 (en) Automatic open-close umbrella
TW201221081A (en) Automatic folding/unfolding umbrella
GB2466707A (en) Collapsible umbrella with secure retraction device.
CN201499743U (zh) 自动开收伞安全结构
US8522805B2 (en) Structure of self-opening/closing umbrella
US8544485B2 (en) Structure of self-closing collapsible umbrella
US20110192435A1 (en) Central shaft control structure of self-opening/closing umbrella
KR20100011476U (ko) 자동개폐형 우산의 안전 구조
AU658350B1 (en) Simplified fully automatic umbrella
TWM549548U (zh) 手推式旋轉傘具
CN210539376U (zh) 滑套式自动开收伞结构及伞柄
TWM383324U (en) Safety structure of auto open and close umbrella
US20040221884A1 (en) Auto-collapsible umbrella
CN108244787B (zh) 远离身体全自动收合之手开折伞
KR20110025312A (ko) 안전형 자동우산
JP2011156125A (ja) 自動開閉傘の安全装置
JP3245273U (ja) 自動傘の安全型内部ベース装置
WO2015017954A1 (zh) 一种安全自动开收伞
CN210539375U (zh) 自动伞的安全防护结构、伞柄和自动伞
KR200454808Y1 (ko) 자동 접기가 가능한 우산(양산)의 중간 대 제어 장치
CN218571605U (zh) 设有安全装置的自动开收伞
JP3159177U6 (ja) 自動開閉傘の安全装置
CN210184752U (zh) 一种安全式防回弹防爆冲自动开收伞骨的组合式结构
CN218246021U (zh) 一种可自动伸缩开合的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