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1351U - 차량용 리어 글래스 안테나 - Google Patents

차량용 리어 글래스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1351U
KR20100011351U KR2020090005761U KR20090005761U KR20100011351U KR 20100011351 U KR20100011351 U KR 20100011351U KR 2020090005761 U KR2020090005761 U KR 2020090005761U KR 20090005761 U KR20090005761 U KR 20090005761U KR 20100011351 U KR20100011351 U KR 201000113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antenna
tuning
antenna pattern
rear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57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8192Y1 (ko
Inventor
신용식
Original Assignee
인팩일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팩일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팩일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057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192Y1/ko
Publication of KR201000113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3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1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1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71Supports; Mounting means for mounting on wind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71Supports; Mounting means for mounting on windscreens
    • H01Q1/1278Supports; Mounting means for mounting on windscreens in association with heating wires or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01Q9/42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with folded element, the folded parts being spaced apart a small fraction of the operating wavelength

Landscapes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리어 글래스 상,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AM 안테나패턴부와 FM 안테나패턴부로 마련되는 차량용 리어 글래스 안테나로서, 상기 FM 안테나패턴부는, 상기 FM 안테나패턴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버스바와; 상기 버스바 사이에서 일정 간격으로 수평 배치되는 FM 수평안테나패턴과; 상기 FM 수평안테나패턴의 중단부에 상기 FM 수평안테나패턴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FM 수직안테나패턴과; 일측의 버스바 하부에서 연장형성되는 제 1 튜닝패턴과; 상기 FM 수직안테나패턴의 하부에서 상기 제 1 튜닝패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튜닝패턴과; 타측의 버스바 하부에서 연장형성되는 제 3 튜닝패턴과; 상기 FM 수직안테나패턴의 하부에서 상기 제 3 튜닝패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4 튜닝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안테나의 튜닝패턴에 커플링패턴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수평 편파 수신 시, 발생할 수 있는 NULL을 제거 또는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기 NULL 감소 및 전파수신감도 증대로 인하여, 전파손실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강전계는 물론, 약전계 지역 주행시 수신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글래스, 안테나, 패턴

Description

차량용 리어 글래스 안테나{REAR GLASS ANTENNA FOR CAR}
본 고안은 차량용 리어 글래스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리어 글래스에 장착되는 안테나의 패턴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전파손실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강전계 및 약전계 지역 모두에서 수신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리어 글래스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2 를 참조하면, 종래의 차량용 리어 글래스 안테나는, 차량의 리어 글래스(100)의 일측면에 다양한 패턴을 형성하여 전파를 수신하도록 되어 있는 바, 크게 AM 패턴부(200) 및 FM 패턴부(300)로 분리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AM 패턴부(200)는 리어 글래스(100)의 상측에 형성되며, 일단이 개방된 다수의 제 1 수평패턴(210)이 일정간격으로 나열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제 1 수평패턴(210)의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한 쌍의 제 1 수직패턴(220)(220')이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또한, AM 패턴부(200)에 구비된 각 제 1 수직패턴(220)(220')의 상단에는 한 쌍의 제 1 수직패턴(220)(220')과 함께 'T'자 형상을 이루는 튜닝패턴(230)(23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FM 패턴부(300)는 리어 글래스(100)의 하측에 형성되며, 다수의 제 2 수평패턴(310)이 일정간격으로 나열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2 수평패턴(310)의 내부에도 수직방향으로 한 쌍의 제 2 수직패턴(320)(320')이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또한, 상기 FM 패턴부(300)의 제 2 수직패턴(320)(320')의 하단에는 한 쌍의 제 2 수직패턴(320)(320')과 더불어 역 'T'자 형상을 이루는 튜닝패턴(330)(33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 버스 바(400)는 AM 패턴부(200)의 제 1 수평패턴(210)의 일측 끝단을 연결시켜주고, 하부 버스 바(500)는 FM 패턴부(300)의 제 2 수평패턴(310) 양측 끝단을 연결시켜 준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리어 글래스 안테나는 획일적인 패턴에 의해 수신성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외부 또는 내부의 노이즈(Noise)로부터 안정화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수평 편파(Vertical Polarization) 수신 시, 도 2 에서와 같이, 차량의 좌, 우측에서 NULL이 발생하였으며, 상기 NULL로 인하여 평균전파수신감도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차량용 리어 글래스 안테나는 강전계 및 약전계지역을 고루 취합하기 위해 중간값의 수신성능을 갖도록 조정함으로써, 강전계 및 약전계지역 모두에서 수신성능이 떨어지면서도 노이즈의 발생이 심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안테나의 패턴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수평 편파 수신 시, 발생할 수 있는 NULL을 제거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차량용 리어 글래스 안테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전파손실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강전계는 물론, 약전계 지역 주행시 수신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리어 글래스 안테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차량의 리어 글래스 상,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AM 안테나패턴부와 FM 안테나패턴부로 마련되는 차량용 리어 글래스 안테나로서,
상기 AM 안테나패턴부는,
일정 간격으로 수평 배치되는 AM 수평안테나패턴과; 상기 AM 수평안테나패턴의 중단부에 상기 AM 수평안테나패턴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AM 수직안테나패턴과; 하부측 AM 수평안테나패턴의 단부에 연결되는 AM 출력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FM 안테나패턴부는,
상기 FM 안테나패턴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버스바와; 상기 버스바 사이에서 일정 간격으로 수평 배치되는 FM 수평안테나패턴과; 상기 FM 수평안테나패턴의 중단부에 상기 FM 수평안테나패턴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FM 수직안테나패턴과; 상기 버스바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FM 수평안테나패턴과 연결되는 제 1, 2 FM 출력단자와; 일측의 버스바 하부에서 연장형성되는 제 1 튜닝패턴과; 상기 FM 수직안테나패턴의 하부에서 상기 제 1 튜닝패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튜닝패턴과; 타측의 버스바 하부에서 연장형성되는 제 3 튜닝패턴과; 상기 FM 수직안테나패턴의 하부에서 상기 제 3 튜닝패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4 튜닝패턴;을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 글래스 안테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튜닝패턴은 FM 주파수 파장의 1/4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튜닝패턴은 FM 주파수 파장의 1/2 내지 3/4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3 튜닝패턴은 FM 주파수 파장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 튜닝패턴은 FM 주파수 파장의 1/2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튜닝패턴과 제 2 튜닝패턴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 1 커플링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커플링패턴은 상기 제 1 튜닝패턴과 제 2 튜닝패턴이 3~15(mm)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3 튜닝패턴과 제 4 튜닝패턴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 2 커플링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커플링패턴은 상기 제 3 튜닝패턴과 제 4 튜닝패턴이 3~15(mm)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해, 안테나의 튜닝패턴에 커플링패턴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수평 편파 수신 시, 발생할 수 있는 NULL을 제거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NULL 감소 및 전파수신감도 증대로 인하여, 전파손실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강전계는 물론, 약전계 지역 주행시 수신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리어 글래스 안테나의 정면도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리어 글래스 안테나는, 차량의 리어 글래스(100) 상,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AM 안테나패턴부(10)와 FM 안테나패턴부(20)로 마련되는 차량용 리어 글래스 안테나로서, 상기 AM 안테나패턴부(10)는, 일정 간격으로 수평 배치되는 AM 수평안테나패턴(12)과; 상기 AM 수평안테나패턴(12)의 중단부에 상기 AM 수평안테나패턴(12)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AM 수직안테나패턴(14)과; 하부측 AM 수평안테나패턴(14)의 단부에 연결되는 AM 출력단자(16);를 포함하며, 상기 FM 안테나패턴부(20)는, 상기 FM 안테나패턴부(20)의 양측에 배치되는 버스바(25a, 25b)와; 상기 버스바(25a, 25b) 사이에서 일정 간격으로 수평 배치되는 FM 수평안테나패턴(22)과; 상기 FM 수평안테나패턴(22)의 중단부에 상기 FM 수평안테나패턴(22)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FM 수직안테나패턴(24)과; 상기 버스바(25a, 25b)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FM 수평안테나패턴(22)과 연결되는 제 1, 2 FM 출력단자(26a, 26b)와; 일측의 버스바(25a) 하부에서 연장형성되는 제 1 튜닝패턴(31)과; 상기 FM 수직안테나패턴(24)의 하부에서 상기 제 1 튜닝패턴(31)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튜닝패턴(33)과; 타측의 버스바(25b) 하부에서 연장형성되는 제 3 튜닝패턴(35)과; 상기 FM 수직안테나패턴(24)의 하부에서 상기 제 3 튜닝패턴(35)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4 튜닝패턴(37);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AM 수평안테나패턴(12)은 AM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메인안테나패턴으로써, 도 3 에서와 같이, 단부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 도체의 안테나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AM 안테나패턴부(10)는 상기 AM 수평안테나패턴(12)의 중단부에서 상기 AM 수평안테나패턴(12)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AM 수직안테나패턴(14)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AM 수직안테나패턴(14)은 상기 AM 수평안테나패턴(12)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구성요소로써, 상기 AM 안테나패턴부(10)의 임피던스와 지향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AM 수직안테나패턴(14)은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도 3 에서와 같이, 3개소에 형성되어 배치위치가 상이한 AM 수평안테나패턴(12)을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AM 수직안테나패턴(14)은 상기 AM 안테나패턴부(10)의 임피던스와 지향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AM 안테나패턴부(10)의 좌, 우측 또는 중심부로 이동될 수도 있다.
상기 AM 출력단자(16)는 수신된 AM 신호를 차량 내부에 연결된 수신장치(미도시)로 전송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써, 상기 AM 수평안테나패턴(12)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FM 수평안테나패턴(22)은 FM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메인안테나패턴으로써, 도 3 에서와 같이, 양측에 형성된 버스바(25a, 25b) 사이에 배치되는 도체의 안테나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FM 안테나패턴부(20)는 상기 FM 수평안테나패턴(22)의 중단부에서 상기 FM 수평안테나패턴(22)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FM 수직안테나패턴(24)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FM 수직안테나패턴(24)은 상기 FM 수평안테나패턴(22)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구성요소로써, 상기 FM 안테나패턴부(20)의 임피던스와 지향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FM 수직안테나패턴(24)은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도 3 에서와 같이, 3개소에 형성되어 복수의 FM 수평안테나패턴(22)을 수직으로 연결시킨다.
또한, 상기 FM 수직안테나패턴(24)은 상기 FM 안테나패턴부(20)의 임피던스와 지향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FM 안테나패턴부(10)의 좌, 우측 또는 중심부로 이동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2 FM 출력단자(26a, 26b)는 수신된 FM 신호를 차량 내부에 연결된 수신장치(미도시)로 전송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써, 상기 버스바(25a, 25b)의 상 부에 배치되어 상기 FM 안테나패턴부(2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FM 안테나패턴부(20)는 루프 안테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루프 안테나 패턴은 전류가 인가되는 도선을 정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 및 원형 등으로 감은 형태의 지향성 안테나 패턴이다.
특히, 상기 루프 안테나 패턴은 그 특성이 루프면을 전파의 진행 방향으로 놓을 때 유기 전압이 가장 강하며, 지향성을 구비하므로 주로 차량의 글래스에 설치되는 안테나 패턴으로 이용된다.
여기서, 상기 일측의 버스바(25a)에는 접지부(28)가 설치되며, 타측의 버스바(25b)에는 급전부(29)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접지부(28)는 접지선과 초크코일(Choke Coil)로 마련되며, 상기 급전부는 전원입력단자(커패시터)와 초크코일로 마련되어 각각 접지(GND)와 전원공급의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리어 글래스 안테나는 제 1, 2, 3, 4 튜닝패턴(31, 33, 35, 37)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FM 수평, 수직안테나패턴(22, 24)에서 개선되지 않은 FM 주파수 대역을 상호 보완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튜닝패턴(31)은, 상기 일측의 버스바(25a)의 하부에서 연장형성되는 안테나패턴으로써, FM 주파수 파장의 1/4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FM 88MHz 파장의 1/4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튜닝패턴(31)의 길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FM 88MHz 파장의 1/4 길이에서 가공오차 범위 내의 길이를 포함한 것이며, 후술하여 설명할 제 2, 3, 4 튜닝패턴(33, 35, 37)의 길이도 각 주파수 파장 별 길이에서 가공오차 범위 내의 길이를 포함한 것임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제 1 튜닝패턴(31)은 FM 88MHz 와 FM 93MHz 의 신호 수신에 있어서 수신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 3 에서와 같이, 상기 버스바(25a) 하부로부터 안테나패턴의 중단을 향하다가 다시 절곡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튜닝패턴(33)은, 상기 FM 수직안테나패턴(24)의 하부에서 상기 제 1 튜닝패턴(31) 방향으로 형성되는 안테나패턴으로써, FM 주파수 파장의 1/2 내지 3/4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튜닝패턴(33)은 FM 108MHz 파장의 3/4 길이 내지 FM 88MHz 파장의 1/2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튜닝패턴(33)은 FM 108MHz 와 FM 88MHz 및 FM 93MHz 의 신호수신에 있어서 수신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 3 에서와 같이, 상기 FM 수직안테나패턴(24)의 하부에서 상기 제 1 튜닝패턴(31)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튜닝패턴(31)과 제 2 튜닝패턴(33)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 1 커플링패턴(32)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커플링패턴(32)은 FM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 1 튜닝패턴(31)과 제 2 튜닝패턴(33)이 상호 공진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도 3 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커플링패턴(32)은 상기 제 1 튜닝패턴(31)의 일부분과 상기 제 2 튜닝패턴(33)의 일부분이 상호 평행하게 이격 형성됨으로써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커플링패턴(32)은 상기 제 1 튜닝패턴(31)과 제 2 튜닝패턴(33)이 3~15(mm)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커플링패턴(32)에 의한 공진 주파수에 의해 상기 제 1 튜닝패턴(31)과 제 2 튜닝패턴(33)에 수신되는 전파의 수신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커플링패턴(32)은, 길이 및 상기 제 1 튜닝패턴(31)과 제 2 튜닝패턴(33)의 간격 등에 의해 수신 특성이 변동될 수 있으며, 상기 3~15(mm)의 간격에서의 수신 특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한편, 상기 제 3 튜닝패턴(35)은, 상기 타측의 버스바(25b)의 하부에서 연장형성되는 안테나패턴으로써, FM 주파수 파장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FM 98MHz 파장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튜닝패턴(35)은 FM 98 MHz 와 103MHz 의 신호 수신에 있어서 수신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 3 에서와 같이, 상기 버스바(25b) 하부로부터 안테나패턴의 중단을 향하다가 다시 절곡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 튜닝패턴(37)은, 상기 FM 수직안테나패턴(24)의 하부에서 상기 제 3 튜닝패턴(35) 방향으로 형성되는 안테나패턴으로써, FM 108MHz 파장의 1/2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 튜닝패턴(37)은 FM 108MHz 와 FM 103MHz 의 신호수신에 있어서, 수신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 3 에서와 같이, 상기 FM 수직안테나패턴(24)의 하부에서 상기 제 3 튜닝패턴(35)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3 튜닝패턴(35)과 제 4 튜닝패턴(37)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 되어 형성되는 제 2 커플링패턴(36)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커플링패턴(36)은 FM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 3 튜닝패턴(35)과 제 4 튜닝패턴(37)이 상호 공진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도 3 에서와 같이, 상기 제 2 커플링패턴(36)은 상기 제 3 튜닝패턴(35)의 일부분과 상기 제 4 튜닝패턴(37)의 단부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됨으로써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커플링패턴(36)은 상기 제 3 튜닝패턴(35)의 절곡부분과 제 4 튜닝패턴(37)의 단부가 3~15(mm)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커플링패턴(36)에 의한 공진 주파수에 의해 상기 제 3 튜닝패턴(35)과 제 4 튜닝패턴(37)에 수신되는 전파의 수신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커플링패턴(36)은, 상기 제 3 튜닝패턴(35)과 제 4 튜닝패턴(37)의 간격에 의해 수신 특성이 변동될 수 있으며, 상기 3~15(mm)의 간격에서의 수신 특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도 2 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리어 글래스 안테나의 FM 주파수 대역에서의 방사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리어 글래스 안테나의 FM 주파수 대역에서의 방사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표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리어 글래스 안테나의 FM 주파수 대역에서의 전파수신감도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리어 글래스 안테나의 FM 주파수 대역에서의 전파수신감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측정주파수(FM Band) 88MHz 93MHz 98MHz 103MHz 108MHz 평균
종래 기술에 따른 글래스 안테나의 전파수신감도 64.7dBuV 62.6dBuV 61.2dBuV 60.1dBuV 61.5dBuV 62.0dBuV
본 고안에 따른 글래스 안테나의 전파수신감도 65.8dBuV 64.3dBuV 64.2dBuV 65.4dBuV 65.4dBuV 65.0dBuV
도 2 와 도 4 및 표 1 에서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리어 글래스 안테나는 모든 FM 주파수 대역에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리어 글래스 안테나보다 우수한 전파수신감도를 나타내었다.
특히, 수평 편파 수신 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안테나는, 도 2 에서와 같이, FM 88MHz, 98MHz, 103MHz 의 주파수에서 차량의 좌, 우측에 NULL이 발생하였다.
이에 비해, 수평 편파 수신 시, 본 고안에 따른 안테나는, 도 4 에서와 같이, FM 88MHz, 93MHz, 98MHz 의 주파수에서 차량의 좌측에만 미세한 NULL이 발생하였으며, FM 103MHz, 108 MHz 의 주파수에서는 이상적인 서클형상의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안테나는, FM 88MHz, 93MHz 에서 종래 기술에 따른 안테나에 비해, 1.1~1.7(dBuV)의 향상된 전파수신감도를 나타내었으며, FM 98MHz 에서 3.0(dBuV)의 향상된 전파수신감도를 나타내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안테나는, FM 103MHz, 108MHz에서 종래 기술에 따른 안테나에 비해, 3.9~5.3(dBuV)의 향상된 전파수신감도를 나타내었으며, 전체 FM 주파수 대역에서 평균 3.0(dBuV)의 향상된 전파수신감도를 나타내었다.
이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안테나는 상기 NULL 감소 및 전파수신감도 증가로 인하여,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안테나에 비해 강전계는 물론, 약전계 주행 및 방송 청취시 노이즈가 저감되는 효과를 발휘하였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전술한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고안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리어 글래스 안테나의 정면도이며,
도 2 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리어 글래스 안테나의 FM 주파수 대역에서의 방사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리어 글래스 안테나의 정면도이며,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리어 글래스 안테나의 FM 주파수 대역에서의 방사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AM 안테나패턴부 20 : FM 안테나패턴부
31 : 제 1 튜닝패턴 32 : 제 1 커플링패턴
33 : 제 2 튜닝패턴 35 : 제 3 튜닝패턴
36 : 제 2 커플링패턴 37 : 제 4 튜닝패턴

Claims (7)

  1. 차량의 리어 글래스 상,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AM 안테나패턴부와 FM 안테나패턴부로 마련되는 차량용 리어 글래스 안테나로서,
    상기 AM 안테나패턴부는,
    일정 간격으로 수평 배치되는 AM 수평안테나패턴과;
    상기 AM 수평안테나패턴의 중단부에 상기 AM 수평안테나패턴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AM 수직안테나패턴과;
    하부측 AM 수평안테나패턴의 단부에 연결되는 AM 출력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FM 안테나패턴부는,
    상기 FM 안테나패턴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버스바와;
    상기 버스바 사이에서 일정 간격으로 수평 배치되는 FM 수평안테나패턴과;
    상기 FM 수평안테나패턴의 중단부에 상기 FM 수평안테나패턴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FM 수직안테나패턴과;
    상기 버스바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FM 수평안테나패턴과 연결되는 제 1, 2 FM 출력단자와;
    일측의 버스바 하부에서 연장형성되는 제 1 튜닝패턴과;
    상기 FM 수직안테나패턴의 하부에서 상기 제 1 튜닝패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튜닝패턴과;
    타측의 버스바 하부에서 연장형성되는 제 3 튜닝패턴과;
    상기 FM 수직안테나패턴의 하부에서 상기 제 3 튜닝패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4 튜닝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글래스 안테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튜닝패턴은 FM 주파수 파장의 1/4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글래스 안테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튜닝패턴은 FM 주파수 파장의 1/2 내지 3/4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글래스 안테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튜닝패턴은 FM 주파수 파장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글래스 안테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튜닝패턴은 FM 주파수 파장의 1/2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글래스 안테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튜닝패턴과 제 2 튜닝패턴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 1 커플링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커플링패턴은 상기 제 1 튜닝패턴과 제 2 튜닝패턴이 3~15(mm)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글래스 안테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튜닝패턴과 제 4 튜닝패턴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 2 커플링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커플링패턴은 상기 제 3 튜닝패턴과 제 4 튜닝패턴이 3~15(mm)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글래스 안테나.
KR2020090005761U 2009-05-13 2009-05-13 차량용 리어 글래스 안테나 KR2004581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761U KR200458192Y1 (ko) 2009-05-13 2009-05-13 차량용 리어 글래스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761U KR200458192Y1 (ko) 2009-05-13 2009-05-13 차량용 리어 글래스 안테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351U true KR20100011351U (ko) 2010-11-23
KR200458192Y1 KR200458192Y1 (ko) 2012-01-30

Family

ID=44204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5761U KR200458192Y1 (ko) 2009-05-13 2009-05-13 차량용 리어 글래스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1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5722B1 (ko) * 2018-11-22 2020-0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글라스 안테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0513A (ko) * 2001-05-21 2004-01-07 지피에스 주식회사 차량용 글라스안테나의 패턴구조
JP2003249806A (ja) * 2002-02-25 2003-09-05 Asahi Glass Co Ltd 自動車用後部窓ガラスアンテナ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5722B1 (ko) * 2018-11-22 2020-0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글라스 안테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8192Y1 (ko) 2012-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15238B1 (en) Enhancing electrical isolation between two antennas of a radio device
JP2870940B2 (ja) 車載アンテナ
US20110199267A1 (en) Antenna device
EP2190057B1 (en) Glass antenna and window glass for vehicle
US7091914B2 (en) Glass antenna for vehicle
US7227503B2 (en) Antenna device for motor vehicle
US5231410A (en) Window glass antenna for a motor vehicle
WO2013094470A1 (ja) 車両用ガラスアンテナ
WO2015114928A1 (ja) ガラスアンテナ
CN113725598B (zh) 一种具有滤波特性的宽带高增益双极化基站天线
EP2648275B1 (en) Glass antenna for vehicle and window glass for vehicle
US20070120754A1 (en) Serigraphed antenna for the rear window of a saloon-type car
KR101209621B1 (ko) 다중 안테나
KR200458192Y1 (ko) 차량용 리어 글래스 안테나
EP2426784A1 (en) Glass antenna
EP2555321A1 (en) Glass antenna
JP3588896B2 (ja) 自動車用ガラスアンテナ
JP2020014165A (ja) エレメント共有複合アンテナ装置
EP2610959A2 (en) Vehicular glass antenna
JP7211275B2 (ja) 車両用窓ガラス
JP2008092425A (ja) 自動車用高周波ガラスアンテナ装置
EP1527498A1 (en) Integrated loop antenna for vehicular applications
KR100994042B1 (ko) 글라스 안테나
JP2012085153A (ja) 車両用アンテナ
JP2001007624A (ja) 自動車用ガラスア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