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0513A - 차량용 글라스안테나의 패턴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글라스안테나의 패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0513A
KR20040000513A KR1020010027590A KR20010027590A KR20040000513A KR 20040000513 A KR20040000513 A KR 20040000513A KR 1020010027590 A KR1020010027590 A KR 1020010027590A KR 20010027590 A KR20010027590 A KR 20010027590A KR 20040000513 A KR20040000513 A KR 20040000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glass antenna
patterns
antenna
tu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7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규
Original Assignee
지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7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0513A/ko
Publication of KR20040000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051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71Supports; Mounting means for mounting on wind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 H01Q5/342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for different propagation modes
    • H01Q5/35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for different propagation modes using a single feed point
    • H01Q5/364Creating multiple current paths
    • H01Q5/371Branching current path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Landscapes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리어 글라스에 적용되는 글라스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차량용 글라스 안테나의 AM패턴 및 FM패턴의 패턴구조를 개선하므로서,
AM BAND의 경우에는 고주파 및 저주파의 전파 수신이 모두 양호하게 개선되었으며, FM BAND의 경우에는 수신성능 조정을 위한 튜닝 변수가 다양하면서도, 차량 내부의 전기적인 장식품과의 신호간섭을 배제하며, 전파 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지향성능을 향상시킨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글라스안테나의 패턴구조 {pattern structure of glass antenna for vehicles}
본 발명은 자동차의 리어 글라스에 적용되는 글라스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글라스안테나의 패턴을 개선하므로서 전파손실을 극소화시키고, 강전계 및 약전계 지역에서 모두 수신성능을 향상시키면서도 지향성능이 안정된 차량용 글라스안테나의 패턴구조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서는 차량용 안테나를 종래의 승강식 폴 안테나보다는 리어 글라스에 패턴을 인쇄하여 그 패턴에 의해 전파 수신이 가능하게 한 글라스안테나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글라스 안테나는 종래와 같이 차량의 출입시나 차량의 세차시, 안테나가 인입되게 하지 않아도 되며, 돌출된 안테나가 없으므로 안테나의 손상 우려가 없으면서도 차량의 품위를 향상시키고 외관이 미려하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전기한 글라스 안테나는 자동차의 리어 글라스의 일측면에 다양한 패턴을 형성하여 이에 의해 전파를 수신하는 것으로서, 도 1의 도시와 같은 일정한 수신회로에 의해 차량내의 오디오를 통해 라디오가 출력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신용 안테나 패턴은 통상적으로 하부에 FM 패턴을 형성하고 상부에는 AM 패턴을 형성하며 근자에 들어서는 하나의 패턴으로 AM 및 FM을 공용으로 수신하게 안출된 것이 있다.
그러나, 전기한 바와 같은 통상의 차량용 글라스안테나는 획일적인 패턴에 의해 수신성능이 떨어지며 노이즈로부터 안정화되지 못하며, 강전계 지역과 약전계 지역을 고루 취합하기 위해 중간치의 수신성능을 갖도록 조정하므로서 강전계 지역과 약전계 지역에서 모두 수신성능이 떨어지면서도 노이즈의 발생이 심하였다.
또한, 지향성능이 뛰어나지 못하여 차량의 이동중에는 잡음과 함께 라디오를 청취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며, 차량 내부의 브레으크등, 공기청정기의 가동에 의해 전파의 상호간섭이 발생하여 라디오를 통해 잡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자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용 글라스 안테나의 AM패턴 및 FM패턴의 패턴구조를 개선하므로서,
AM BAND의 경우에는 고주파 및 저주파의 전파 수신이 모두 양호하게 개선되었으며, FM BAND의 경우에는 수신성능 조정을 위한 튜닝 변수가 다양하면서도, 차량 내부의 전기적인 장식품과의 신호간섭을 배제하며, 전파 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지향성능을 향상시킨 차량용 글라스안테나의 패턴구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글라스안테나의 패턴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글라스안테나의 패턴을 보인 정면도
도 3a 및 도 3b는 글라스안테나의 전파손실 측정도로서,
도 3a는 종래 글라스안테나의 전파손실 측정도
도 3b는 본 발명 글라스안테나의 전파손실 측정도
도 4a 및 도 4b는 글라스안테나의 임피던스계 손실측정도로서,
도 4a는 종래 글라스안테나의 임피던스계 손실측정도
도 4b는 본 발명 글라스안테나의 임피던스계 손실측정도
도 5a 및 도 5b는 글라스안테나의 강전계 지역의 수신성능 측정도로서,
도 5a는 종래 글라스안테나의 수신성능 측정도
도 5b는 본 발명 글라스안테나의 수신성능 측정도
도 6a 및 도 6b는 글라스안테나의 약전계 지역의 수신성능 측정도로서,
도 6a는 종래 글라스안테나의 수신성능 측정도
도 6b는 본 발명 글라스안테나의 수신성능 측정도
도 7a 및 도 7b는 글라스안테나의 지향성능 측정도로서,
도 7a는 종래 글라스안테나의 지향성능 측정도
도 7b는 본 발명 글라스안테나의 지향성능 측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AM패턴2 : 루프형 패턴
3,3' : 직선형 패턴
10 : FM패턴11,11' : 직선형 패턴
12,12' : 수직패턴13,13' : 측부 튜닝패턴
14,14' : 측부 튜닝패턴15,15' : 하부 튜닝패턴
16,16' : 하부 튜닝패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차량용 글라스안테나의 패턴구조를 보인 정면도이다.
AM패턴(1) 및 FM패턴(10)을 분리형성한 통상의 차량용 글라스안테나에 있어서,
AM패턴(1)은 상부에 폐곡선상의 루프형 패턴(2)을 형성하고, 그 하부에는 단부가 개방된 다수의 직선형 패턴(3)(3')으로 형성하며,
FM패턴(10)은 다수의 직선형 패턴(11)(11')을 일정간격으로 상,하 이격형성하고, 그 직선형 패턴(11)(11')의 중간부에는 수직패턴(12)(12')을 이격 형성하되,
직선형 패턴(11)(11')의 양측 상하단부에 "ㄱ","ㄴ"자의 측부 튜닝패턴(13)(13')(14)(14')을 서로 대향되게 형성하며, 수직패턴(12)(12')의 하단부에는 외측으로 평행되게 연장된 "ㄷ"자상의 하부 튜닝패턴(15)(15')(16)(16')을 서로 대향되게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차량용 글라스안테나는 보다 다양한 변수를 갖는 튜닝패턴을 형성하므로서, 이에 의해 메인 안테나에서 개선되지 않는 주파수 대역을 상호 보완토록 하였으며, 하부 튜닝패턴(15)(15')(16)(16')은 종래의 "T"형 튜닝패턴에 비해 보다 다양한 튜닝 변수를 갖는 것이다.
또한, "ㄷ"자형의 하부 튜닝패턴(15)(15')(16)(16')이 서로 외측으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차량 내부의 브레이크등이나, 공기청정기가 위치한 부분애는 안테나의 패턴이 없으므로 그 브레이크등 및 공기청정기와의 전파간섭이 극히 감소되어 노이즈의 발생을 억제하며 안정성이 우수한 것이다.
즉, 종래에는 "T"형 튜닝패턴을 사용하므로 패턴단부가 BACK LAMP 및 공기청정기가 위치한 부분에 형성되므로 이들의 작동시 수신전파와 상호 간섭이 발생되어 노이즈에 의한 잡음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해당되는 전기적인 장식품이 위치하는 부분에는 윈위적으로 패턴을 구성하지 않으므로 이에 의한 수신전파의 상호간섭을 예방하는 것이다.
특히, AM패턴(1)의 경우에는 폐곡선상의 루프형 패턴(2)과 그 루프형 패턴(2) 하부의 직선형 패턴(3)을 복합 적용하므로서, 저주파 영역에서 수신성능이 뛰어난 루프형과, 고주파 영역에서 뛰어난 수신성능을 갖는 직선형 패턴에 의해 고주파 영역은 물론 고주파 및 저주파 모두 뛰어난 수신성능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FM패턴(10)의 경우에는 통상의 직선형 패턴(11)(11')과 수직패턴(12)(12')에 의해 종래와 같은 수신성능을 갖게 함은 물론, 수직패턴(12)(12')의 단부에 형성된 "ㄷ"자형의 하부 튜닝패턴(15)(15')(16)(16')에 의해 보다 다양한 튜닝 즉, 길이조정의 변수에 의한 수신감도 향상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며,
전기한 바와 같은 하부 튜닝패턴(15)(15')(16)(16')에 의해서도 수신성능을 만족시키지 못할 경우, 직선형 패턴(11)(11')의 측부 상하에 형성된 측부 튜닝패턴(13)(13')(14)(14')으로 재조정이 가능하므로 보다 다양한 변수에 의한 정밀 조정 및 빠르고 쉬운 튜닝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 글라스안테나의 패턴구조는 보다 다양한 실험에 의해 그 효과가 입증되는 것인데,
도 3a 및 도 3b의 도시와 같이 수신전파의 손실을 측정하여본 결과, 도 3a의 종래 패턴에 비해 (-)성분 값이 큰 본 발명 패턴이 도 3b와 같이 보다 수신전파의 손실이 감소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는 network analyzer(hp 87503)로 측정한 것으로서, (-)성분 값이 클 수록전파를 수신하는데 용이한 것이다.
또한, 도 4a 및 도 4b와 같이 임피던스계에서의 손실량을 측정하여본 결과, 종래의 패턴은 도 4a의 도시와 같이 테이터에 의한 원의 크기가 작고 원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중된 반면, 본 발명에 의한 안테나는 원의 크기가 크고 데이터가 원의 중심에 위치하므로 임피던스계에서의 손실이 적음을 알 수 있다.
즉, 측정 데이터는 그 원의 중심에 근접할 수록 안테나의 수신성능이 양호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 글라스안테나는 강전계 지역(서울 남산 타워)에서 수신성능을 측정하여 본 결과, 도 5a의 도시와 같은 종래의 안테나에 비해 도 5b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안테나의 수신성능이 보다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약전계 지역(경기도 팔탄 휴게소)에서 이를 측정한 결과치에서도,
도 6a의 종래 글라스안테나에 비해 도 6b와 같은 본 발명 글라스 안테나의 수신성능이 월등한 것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동을 주목적으로 하는 차량의 특성상 차량용 글라스안테나는 지향성능이 뛰어나야 하는 것인데, 도 7a의 종래 글라스안테나에 비해 도 7b와 같은 본 발명 안테나의 지향성능이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지향성능을 나타내는 기준은 spectrum analyzer를 회전시켜 그 테이터를 구하는 것으로서, 회전시 나타난 데이터의 굴곡이 없는 것이 수신성능이 안정적인 것이므로, 종래와 같이 굴곡이 심한 경우에는 차량의 주행중 multipass noise 유입을 야기시켜 라디오의 청취시에 잡음에 의한 불쾌감을 줄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 차량용 글라스안테나의 패턴구조는 AM BAND의 경우에는 고주파 및 저주파의 전파 수신이 모두 양호하게 개선되었으며, FM BAND의 경우에는 수신성능 조정을 위한 튜닝 변수가 다양하면서도, 차량 내부의 전기적인 장식품과의 신호간섭을 배제하며, 전파 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지향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AM패턴(1) 및 FM패턴(10)을 분리형성한 통상의 차량용 글라스안테나에 있어서,
    AM패턴(1)은 상부에 폐곡선상의 루프형 패턴(2)을 형성하고, 그 하부에는 단부가 개방된 다수의 직선형 패턴(3)(3')으로 형성하며,
    FM패턴(10)은 다수의 직선형 패턴(11)(11')을 일정간격으로 상,하 이격형성하고, 그 직선형 패턴(11)(11')의 중간부에는 수직패턴(12)(12')을 이격 형성하되,
    직선형 패턴(11)(11')의 양측 상하단부에 "ㄱ","ㄴ"자의 측부 튜닝패턴(13)(13')(14)(14')을 서로 대향되게 형성하며, 수직패턴(12)(12')의 하단부에는 외측으로 평행되게 연장된 "ㄷ"자상의 하부 튜닝패턴(15)(15')(16)(16')을 서로 대향되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글라스안테나의 패턴구조.
KR1020010027590A 2001-05-21 2001-05-21 차량용 글라스안테나의 패턴구조 KR200400005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7590A KR20040000513A (ko) 2001-05-21 2001-05-21 차량용 글라스안테나의 패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7590A KR20040000513A (ko) 2001-05-21 2001-05-21 차량용 글라스안테나의 패턴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4843U Division KR200242193Y1 (ko) 2001-05-21 2001-05-21 차량용 글라스안테나의 패턴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0513A true KR20040000513A (ko) 2004-01-07

Family

ID=37312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7590A KR20040000513A (ko) 2001-05-21 2001-05-21 차량용 글라스안테나의 패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051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192Y1 (ko) * 2009-05-13 2012-01-30 인팩일렉스 주식회사 차량용 리어 글래스 안테나
US8537060B2 (en) 2008-04-16 2013-09-17 Hyundai Motor Company Glass antenna for car
JP2016167663A (ja) * 2015-03-09 2016-09-15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自動車用ガラスアンテナ
KR102065722B1 (ko) * 2018-11-22 2020-0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글라스 안테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37060B2 (en) 2008-04-16 2013-09-17 Hyundai Motor Company Glass antenna for car
KR200458192Y1 (ko) * 2009-05-13 2012-01-30 인팩일렉스 주식회사 차량용 리어 글래스 안테나
JP2016167663A (ja) * 2015-03-09 2016-09-15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自動車用ガラスアンテナ
US10158162B2 (en) 2015-03-09 2018-12-18 Central Glass Company, Limited Automotive glass antenna
KR102065722B1 (ko) * 2018-11-22 2020-0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글라스 안테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2327B2 (en) Wireless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radiation patterns of antenna
US6130650A (en) Curved inverted antenna
US20060214867A1 (en) Shaped dipole antenna
US6392609B2 (en) Antenna device and an antenna assembly
KR960039491A (ko) 전방향성 루프안테나
JP4249411B2 (ja) プレーナアンテナおよびそれを含むデュアルバンド送信装置
EP1443589A1 (en) Transition between a microstrip circuit and a waveguide and outside transmission reception unit incorporating the transition
ATE330339T1 (de) Dielektrische antenne
KR20040000513A (ko) 차량용 글라스안테나의 패턴구조
JP2010114782A (ja) 車両用ガラスアンテナ及び車両用窓ガラス
KR200242193Y1 (ko) 차량용 글라스안테나의 패턴구조
JP3565406B2 (ja) 車両用ガラスアンテナ
JPS59193605A (ja) ダイポ−ルアンテナ
JP2004214822A (ja) 車載アンテナ
JPH07122923A (ja) 2周波数共用窓ガラスアンテナ
EP1211750A2 (en) Radio set with an antenna
US20080030417A1 (en) Antenna Apparatus
KR100643945B1 (ko) 매칭 패턴을 이용한 차량용 글래스 안테나
US6445356B1 (en) Primary radiator having reduced side lobe
KR20040079726A (ko) 차량용 글래스안테나
JPH06291531A (ja) 周波数切換式ガラスアンテナ
JP2006005401A (ja) 車両用高周波ガラスアンテナ
JP3217818B2 (ja) 双ループアンテナ
JP2004336118A (ja) アンテナ
SU1626291A1 (ru) Рупорна антен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