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1075U - 폽업장치 - Google Patents

폽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1075U
KR20100011075U KR2020090005377U KR20090005377U KR20100011075U KR 20100011075 U KR20100011075 U KR 20100011075U KR 2020090005377 U KR2020090005377 U KR 2020090005377U KR 20090005377 U KR20090005377 U KR 20090005377U KR 20100011075 U KR20100011075 U KR 2010001107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movable body
lid
fit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53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3586Y1 (ko
Inventor
영 근 송
Original Assignee
영 근 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 근 송 filed Critical 영 근 송
Priority to KR20200900053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586Y1/ko
Publication of KR201000110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0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5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5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1/2306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he plug being operated by hand contac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2001/2317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ransmission of actuation force involves a sp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폽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뚜껑과, 뚜껑에 고정되며, 끼움홈이 하부면으로부터 내부로 형성되는 제1 몸체와 제1 몸체의 하부면 둘레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돌출돌기를 포함하는 상부 이동체와, 제1 몸체의 끼움홈에 적어도 일부분이 끼워지는 끼움돌기를 갖는 제2 몸체와 제2 몸체의 끼움돌기 주변에 형성되며 제1 돌출돌기와 접촉되는 상부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돌출돌기를 포함하는 하부 이동체와, 하부 이동체의 제2 몸체 하부면에 상부가 고정되는 탄성체와, 하부 이동체의 제2 몸체가 삽입되는 삽입홈과 삽입홈의 바닥면에 탄성체의 하부를 고정하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버텀 커버와, 버텀 커버와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부 이동체와 하부 이동체와 탄성체가 삽입되는 관통홀과 관통홀과 맞닿는 내부면에 제1 돌출돌기와 제2 돌출돌기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상부 커버와, 상부 커버와 버텀 커버와 뚜껑이 삽입되는 제1 배수공과 외측면으로부터 제1 배수공까지 연결되는 제2 배수공과 제1 배수공 내부에 상부 커버가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관과 끼움관을 제1 배수공과 맞닿는 내부면에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수납부재를 포함한다.
폽업장치, 뚜껑, 상부 이동체, 하부 이동체, 상부 커버, 버텀 커버

Description

폽업장치{POPUP APPARATUS}
본 고안은 세면대에 사용되는 폽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개폐봉 없이도 세면대를 개폐할 수 있는 폽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폽업장치는 세면대에 물이 고이게 하고, 사용자가 고인 물을 사용한 후에는 배수구로 배출할 수 있도록 세면대를 개폐하는 장치이다.
종래에는 폽업장치의 개폐뚜껑을 개폐시키는 장치가 별도로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었다. 이 같이 개폐뚜껑을 개폐시키기 위하여 별도로 설치된 개폐봉을 조작하여 개폐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상 번거롭고, 또한 시공상에 있어서도 불편하며 복잡한 구성에 따른 제작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별도의 개폐봉 없이도 세면대를 개폐할 수 있는 폽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작 및 설치가 간단하고 편리한 폽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폽업장치는, 뚜껑과, 뚜껑에 고정되며, 끼움홈이 하부면으로부터 내부로 형성되는 제1 몸체와 제1 몸체의 하부면 둘레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돌출돌기를 포함하는 상부 이동체와, 제1 몸체의 끼움홈에 적어도 일부분이 끼워지는 끼움돌기를 갖는 제2 몸체와 제2 몸체의 끼움돌기 주변에 형성되며 제1 돌출돌기와 접촉되는 상부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돌출돌기를 포함하는 하부 이동체와,
하부 이동체의 제2 몸체 하부면에 상부가 고정되는 탄성체와, 하부 이동체의 제2 몸체가 삽입되는 삽입홈과 삽입홈의 바닥면에 탄성체의 하부를 고정하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버텀 커버와, 버텀 커버와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부 이동체와 하부 이동체와 탄성체가 삽입되는 관통홀과 관통홀과 맞닿는 내부면에 제1 돌출돌기와 제2 돌출돌기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상부 커버와, 상부 커버와 버텀 커버와 뚜껑이 삽입되는 제1 배수공과 외측면으로부터 제1 배수공까지 연결되는 제2 배수공과 제1 배수공 내부에 상부 커버가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관과 끼 움관을 제1 배수공과 맞닿는 내부면에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수납부재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폽업장치는 상부 커버와 버텀 커버 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상부 이동체와, 하부 이동체가 뚜껑이 눌리는 힘에 의해 상부 커버의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자동으로 개폐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폽업장치는 기존의 폽업장치 규격에 맞춰 제작된 수납 부재를 포함하여 구현됨으로써, 기존의 세면대에 바로 설치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폽업장치 분해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폽업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폽업장치의 상부 커버와 상부 이동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폽업장치(10)는 크게 뚜껑(11)과, 상부 이동체(12)와, 하부 이동체(13)와, 탄성체(14)와, 버텀 커버(15)와, 상부 커버(16)와, 수납부재(17)를 포함한다.
뚜껑(11)은 본 고안의 폽업장치가 장착되는 물건, 예컨대 세면대를 개폐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부품이다. 뚜껑(11)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측벽 둘레에 방수 패킹 부재(18)가 장착되는 장착홈(11b)와, 뚜껑(11)의 하부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부 이동체(12)의 제1 몸체(12a)가 삽입되는 삽입관(11b)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관(11b)의 측면부에는 제1 걸림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이동체(12)는 뚜껑(11)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뚜껑(11)을 누르는 힘에 의해 이동하면서 하부 이동체(13)를 움직인다. 상부 이동체(12)는 끼움홈(도2의 참조부호 121)이 하부면으로부터 내부로 형성되는 제1 몸체(12a)와, 제1 몸체(12a)의 하부면 둘레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돌출돌기(12b)를 포함한다. 일례로 상부 이동체(12)의 제1 돌출돌기(12b)는 그 하부가 라운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부 이동체(12)의 제1 몸체(12a)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그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뚜껑(11)의 제1 걸림홀(111)에 끼워지는 제1 걸림턱(1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이동체(12)는 뚜껑(11)의 삽입관(11b)에 삽입된 후 고정된다.
하부 이동체(13)는 상부 이동체(12)의 제1 몸체(12a) 끼움홈(도2의 참조부호 121)에 적어도 일부분이 끼워지는 끼움돌기(131)를 갖는 제2 몸체(13a)와, 제2 몸체(13a)의 끼움돌기(131) 주변에 형성되며 상부 이동체(12)의 제1 돌출돌기(12b)와 접촉되는 상부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돌출돌기(13b)를 포함한다.
탄성체(14)는 하부 이동체(13)의 제2 몸체(13a) 하부면에 상부가 고정된다. 탄성체(14)의 하부는 버텀 커버(15)에 고정된다. 탄성체(14)는 상부 이동체(12)에 이동하는 하부 이동체(13)에 압축되면, 압축되는 힘만큼 하부 이동체(13)에 복원력을 준다. 이에 따라 상부 이동체(12)에 의해 아래로 이동한 하부 이동체(13)는 탄성체(14)의 복원력에 의해 위로 이동하게 된다.
버텀 커버(15)는 하부 이동체(13)의 제2 몸체(13a)가 삽입되는 삽입홈(도2의 참조부호 151)과, 삽입홈(도2의 참조부호 151)의 바닥면에 탄성체(14)의 하부를 고정하는 고정부(152)가 형성된다. 버텀 커버(15)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그 외측면에 제2 걸림턱(153)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커버(16)는 버텀 커버(15)와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부 이동체(12)와 하부 이동체(13)와 탄성체(14)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상부 커버(16)는 상부 이동체(12)와 하부 이동체(13)와 탄성체(14)가 삽입되는 관통홀(도2의 참조부호 161)과, (도2의 참조부호 161)과 맞닿는 내부면에 상부 이동체(12)의 제1 돌출돌기(12b)와 하부 이동체(13)의 제2 돌출돌기(13b)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도3의 참조부호 16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 커버(16)의 가이드부(도3의 참조부호 162)에 대한 설명은 도4a 내지 도4d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부 커버(16)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그 하부면 일부분에 상부 이동체(12)의 제1 돌출돌기(12b)의 이동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측면에 버텀 커버(15)의 제2 걸림턱(153)이 끼워지는 제2 걸림홀(163a)이 형성되는 결합부재(16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버텀 커버(15)는 상부 커버(16)의 관통홀(도2의 참조부호 161)에 삽입된 후 고정된다.
수납부재(17)는 상부 커버(16)와 버텀 커버(15)와 뚜껑(11)이 삽입되는 제1 배수공(171)과, 외측면으로부터 제1 배수공(171)까지 연결되는 제2 배수공(172)과, 제2 배수공(172) 내부에 상부 커버(16)가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관(도2의 참조부호 173)과, 끼움관(도2의 참조부호 173)을 제1 배수공(171)과 맞닿는 내부면에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부(174)가 형성된다.
일례로, 본 고안에 따른 폽업장치(10)의 구성품인 뚜껑(11)과, 상부 이동체(12)와, 하부 이동체(13)와, 버텀 커버(15)와, 상부 커버(16)와, 수납부재(17)는 금속 재질, 플라스틱, 유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폽업장치(10)의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폽업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참조부호 11은 뚜껑, 14는 탄성체, 15는 버텀 커버, 16은 상부 커버, 17은 수납부재, 18은 방수 패킹 부재이다. 하부 이동체의 끼움돌기(131)는 상부 이동체의 제1 몸체(12a)의 끼움홈(121)에 끼워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부 이동체의 제2 몸체(13a)는 탄성체(14)가 삽입되도록 삽입홈(132)이 형성되고, 탄성체(14)를 고정하는 고정부(133)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이동체의 제2 몸체(13a)는 상부 커버(16)의 관통홀(161)에 삽입된다.
수납부재(17)는 상부 커버(16)와 버텀 커버(15)와 뚜껑(11)이 삽입되는 제1 배수공(171)과, 외측면으로부터 제1 배수공(171)까지 연결되는 제2 배수공(172)과, 제2 배수공(172) 내부에 상부 커버(16)가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관(173)과, 끼움관(173)을 제1 배수공(171)과 맞닿는 내부면에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부(174)가 형성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커버(16)는 그 외측면에 고정홈(164)이 형성되고, 수납부재(17)의 끼움관(173)은 그 하부면에 고정홈(164)에 끼워지는 고정돌기(173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커버(16)가 수납부재(17)의 끼움관(173)에 삽입된 후 고정된다.
수납부재(17)는 본 고안의 폽업장치가 장착되는 물건, 예컨대 세면대 배수구와 연결되는 부분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외측면에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현재 설치되어 있는 물건에 본 고안에 따른 폽업장치를 바로 사용 가능하게 해 주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폽업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참조부호 12는 상부 이동체, 12b는 제1 돌출돌기, 121은 끼움홈, 16은 상부 커버, 162는 가이드 홈, 162a는 차단부이다.
상부 커버(16)는 상부 이동체(12)를 삽입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상부 커버(16)의 내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어 상부 이동체(12)의 제1 돌출돌기(12b)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홈(162)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 커버(16)는 내부면에 가이드 홈(162)의 하부면 일부분에 상부 이동체(12)의 제1 돌출돌기(12b) 이동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차단부(162a)가 형성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고안에 따른 폽업장치의 상부 이동체와 하부 이동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참조부호 12b는 상부 이동체의 제1 돌출돌기, 13b는 하부 이동체의 제2 돌출돌기, 162는 상부 커버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 162a는 차단부이다.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이동체의 제1 돌출돌기(12b)는 그 하부가 라운드 형상으로 구현되고, 하부 이동체의 제2 돌출돌기(13b)는 제1 돌출돌기(12b)와 접촉되는 상부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부 커버의 가이드 홈(162)과 차단부(162a)는 하부 이동체의 제2 돌출돌기(13b)가 탄성체(도1의 참조부호 14)의 복원력에 의해 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부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부 이동체의 제1 돌출돌기(12b) 중 일부는 가이드 홈(162)을 따라 상하 이동을 하며, 나머지 제1 돌출돌기(12b)는 가이드 홈(162)과 차단부(162a) 사이를 상하 이동한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폽업장치의 상부 이동체와 하부 이동체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뚜껑(도1의 참조부호 11)을 누르면, 뚜껑에 고정된 상부 이동체(도1의 참조부호 12)가 힘을 받아 움직인다. 이때, 상부 이동체의 제1 돌출돌기(12b) 중 일부는 가이드 홈(162)을 따라 이동을 하며, 나머지 제1 돌출돌기(12b)는 가이드 홈(162)과 차단부(162a) 사이를 따라 이동한다.
하부 이동체의 제2 돌출돌기(13b)는 상부 이동체의 제1 돌출돌기(12b)가 움직이면, 가이드 홈(162)과 차단부(162a) 사이를 따라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상부 이동체의 제1 돌출돌기(12b)에 의해 움직이던 하부 이동체의 제2 돌출돌기(13b)는 가이드 홈(162) 밖으로 이동되는 순간, 탄성체(도1의 참조부호 14)의 복원력에 의해 제1 돌출돌기(12b)를 벗어나 가이드 홈(162)의 경사진 하부면을 따라 움직이게 된다.
이후, 하부 이동체의 제2 돌출돌기(13b)는 탄성체(도1의 참조부호 14)의 복원력에 의해 가이드 홈(162)의 경사진 하부면을 따라 움직이다가 가이드 홈(162)을 따라 아래로 이동한 제1 돌출돌기(12b)에 막혀 멈춘다. 이때, 사용자가 뚜껑(도1의 참조부호 11)을 누르던 손을 떼게 되면, 하부 이동체의 제2 돌출돌기(13b)는 탄성체(도1의 참조부호 14)의 복원력에 의해 가이드 홈(162)의 경사진 하부면을 따라 움직이면서 상부 이동체의 제1 돌출돌기(12b)를 위로 밀어 올리게 된다.
이하,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부 이동체의 제2 돌출돌기(13b)는 상부 이동체의 제1 돌출돌기(12b)를 위로 밀어 올리면서 이드 홈(162)의 경사진 하부면을 따라 움직이다가 차단부(162a)에 막혀 멈춘다. 이때, 뚜껑(도1의 참조부호 11)은 수납부재(도1의 참조부호 17)의 제1 배수공(도1의 참조부호 171)을 밀폐한 상태가 된다.
이하, 도 4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수납부재(도1의 참조부호 17)의 제1 배수공(도1의 참조부호 171)을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가 뚜껑(도1의 참조부호 11)을 누르게 되면, 가이드 홈(162)을 따라 아래로 이동한 상부 이동체의 제1 돌출돌기(12b)가 차단부(162a)에 막혀 멈춘 하부 이동체의 제2 돌출돌기(13b)를 아래로 움직이게 한다. 상부 이동체의 제1 돌출돌기(12b)에 의해 움직이던 하부 이동체의 제2 돌출돌기(13b)는 가이드 홈(162) 밖으로 이동되는 순간, 탄성체(도1의 참조부호 14)의 복원력에 의해 제1 돌출돌기(12b)를 벗어나 차단부(162a)의 경사진 하부면을 따라 움직이게 된다.
이후, 하부 이동체의 제2 돌출돌기(13b)는 탄성체(도1의 참조부호 14)의 복 원력에 의해 차단부(162a)의 경사진 하부면을 따라 움직이다가 가이드 홈(162)과 차단부(162a) 사이를 따라 아래로 이동한 제1 돌출돌기(12b)에 막혀 멈춘다. 이때, 사용자가 뚜껑(도1의 참조부호 11)을 누르던 손을 떼게 되면, 하부 이동체의 제2 돌출돌기(13b)는 탄성체(도1의 참조부호 14)의 복원력에 의해 차단부(162a)의 경사진 하부면을 따라 움직이면서 상부 이동체의 제1 돌출돌기(12b)를 위로 밀어 올리게 된다.
이하, 도 4d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부 이동체의 제2 돌출돌기(13b)는 탄성체(도1의 참조부호 14)의 복원력에 가이드 홈(162)과 차단부(162a) 사이에 위치한 상부 이동체의 제1 돌출돌기(12b)를 위로 밀어 올리면서 위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뚜껑(도1의 참조부호 11)은 수납부재(도1의 참조부호 17)의 제1 배수공(도1의 참조부호 171)을 개방한 상태가 된다.
지금까지, 본 명세서에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고안의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폽업장치 분해도이다.
도 2 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폽업장치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폽업장치의 상부 커버와 상부 이동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고안에 따른 폽업장치의 상부 이동체와 하부 이동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주요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폽업장치
11: 뚜껑 12: 상부 이동체
13: 하부 이동체 14: 탄성체
15: 버텀 커버 16: 상부 커버
17: 수납부재 18: 방수 패킹 부재

Claims (5)

  1. 뚜껑;
    상기 뚜껑에 고정되며, 끼움홈이 하부면으로부터 내부로 형성되는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하부면 둘레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돌출돌기를 포함하는 상부 이동체;
    상기 제1 몸체의 끼움홈에 적어도 일부분이 끼워지는 끼움돌기를 갖는 제2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끼움돌기 주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돌출돌기와 접촉되는 상부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돌출돌기를 포함하는 하부 이동체;
    상기 하부 이동체의 제2 몸체 하부면에 상부가 고정되는 탄성체;
    상기 하부 이동체의 제2 몸체가 삽입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의 바닥면에 상기 탄성체의 하부를 고정하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버텀 커버;
    상기 버텀 커버와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상부 이동체와 하부 이동체와 탄성체가 삽입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과 맞닿는 내부면에 상기 제1 돌출돌기와 제2 돌출돌기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상부 커버; 및
    상기 상부 커버와 버텀 커버와 뚜껑이 삽입되는 제1 배수공과,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배수공까지 연결되는 제2 배수공과, 상기 제1 배수공 내부에 상기 상부 커버가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관과, 상기 끼움관을 상기 제1 배수공과 맞닿는 내부면에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수납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폽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의 가이드부가:
    상기 상부 커버의 내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돌출돌기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며, 상기 제1 돌출돌기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제 2 돌출돌기가 상기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해 이동되도록 하부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 홈; 및
    상기 가이드 홈의 하부면 일부분에 상기 제1 돌출돌기의 이동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홈의 하부면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제2 돌출돌기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폽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이:
    측벽 둘레에 방수 패킹 부재가 장착되는 장착홈;
    상기 뚜껑의 하부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 이동체의 제1 몸체가 삽입되는 삽입관; 및
    상기 삽입관의 측면부에 형성되는 제1 걸림홀;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이동체의 제1 몸체가, 그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걸림홀에 끼워지는 제1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폽업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가, 그 하부면 일부분에 상기 제1 돌출돌기의 이동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측면에 제2 걸림홀이 형성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버텀 커버가, 그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걸림홀에 끼워지는 제2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폽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가, 그 외측면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재의 끼움관이, 그 하부면에 상기 고정홈에 끼워지는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폽업장치.
KR2020090005377U 2009-05-04 2009-05-04 폽업장치 KR2004535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377U KR200453586Y1 (ko) 2009-05-04 2009-05-04 폽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377U KR200453586Y1 (ko) 2009-05-04 2009-05-04 폽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075U true KR20100011075U (ko) 2010-11-12
KR200453586Y1 KR200453586Y1 (ko) 2011-05-17

Family

ID=44203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5377U KR200453586Y1 (ko) 2009-05-04 2009-05-04 폽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586Y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8948Y2 (ko) 1987-03-31 1992-07-14
US6195819B1 (en) * 1999-12-30 2001-03-06 Ching-Piao Wang Touch pop-up stopper for basin drain
JP2002054206A (ja) 2000-08-10 2002-02-20 Toto Ltd 排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3586Y1 (ko) 2011-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05974B (zh) A container with a lid
US20040226085A1 (en) Sink stopper
JP6014307B2 (ja) 排水栓装置
EP2816161A1 (en) Popup installation structure for a sink and installation method
KR200453586Y1 (ko) 폽업장치
CA2846195A1 (en) Water resistant battery box
KR200397191Y1 (ko) 잠금장치의 걸림쇠 수용장치
JP2012036708A (ja) 遠隔操作式排水栓装置の操作側構造
JP5663402B2 (ja) 排水栓装置
KR100978682B1 (ko) 배수구 개폐장치
JP2019169236A (ja) 防水コネクタ
JP4839460B1 (ja) 遠隔操作式排水栓装置のレリースワイヤ連結構造
KR101556145B1 (ko) 배수구용 악취 차단 마개
JP5975433B2 (ja) 排水栓装置
KR200427621Y1 (ko) 세면대 배수구
JP7403099B2 (ja) 排水栓装置及び排水栓装置の組み立て方法
JP5356660B2 (ja) 洗面ボウルの排水孔のシール構造
KR20140005730A (ko) 배수관 이물질 제거장치
KR101106539B1 (ko) 세면대용 배수장치
CN216364623U (zh) 一键开合无螺牙硅胶压缩快开杯的联动结构
KR101468810B1 (ko) 세면대용 분리식 팝업장치
KR20100074825A (ko) 밀폐 용기
KR100637605B1 (ko) 건축, 주방, 목욕탕용 전기 콘센트의 누수 방지 구조
CN203514437U (zh) 一种卫浴冲厕水箱
CN201530523U (zh) 瓶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