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0669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0669A
KR20100010669A KR1020080071654A KR20080071654A KR20100010669A KR 20100010669 A KR20100010669 A KR 20100010669A KR 1020080071654 A KR1020080071654 A KR 1020080071654A KR 20080071654 A KR20080071654 A KR 20080071654A KR 20100010669 A KR20100010669 A KR 20100010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enses
camera module
lens
polarization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1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호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1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0669A/ko
Publication of KR20100010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6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8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polarising materi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피사체로부터 빛을 입사 받는 다수의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렌즈 중 적어도 두 개의 렌즈에는 편광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에 입사되는 빛에 포함된 적외선을 차단하는 IR 필터 및 상기 IR 필터를 통해 적외선이 차단된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편광 패턴이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렌즈 중 하나를 소정 범위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구동계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렌즈부에 구비된 다수의 렌즈, IR 필터, 센서 커버 글래스, 렌즈 커버 글래스 중 적어도 두 개에 동일한 방향의 편광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둘 중 하나를 회전시켜 렌즈 개구를 개폐시킴으로써 공간 제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셔터 블레이드, 편광 패턴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카메라는 피사체에서 반사된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영상신호로 저장함으로써, 저장된 영상신호를 가공, 재생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최근 이러한 디지털 카메라의 카메라 모듈은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어 그 활용 영역이 급격하게 확대되고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 자체의 성능에 준하는 성능의 카메라 모듈이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어 전문가용이 아닌 일반 사용자들에게는 디지털 카메라와,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분이 점차 사라지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에 확보될 수 있는 공간은 한정적이기 때문에, 카메라 모듈의 소형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때,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카메라 모듈에는 셔터 모듈이 장착되며, 셔터 모듈에 설치되는 셔터 블레이드(101)가 렌즈 개구를 개폐하여 빛이 렌즈 로 입사되게 하거나 차단시킨다. 또한, 카메라 모듈에는 셔터 블레이드(101)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한다. 즉, 모터(105)의 회전에 의해 셔터 블레이드(101)가 움직여 렌즈(103) 개구를 개폐한다.
그러나, 종래의 카메라 모듈은 셔터 블레이드(101)를 장착할 공간과 셔터 블레이드(101)가 움직일 수 있는 공간 및 셔터 블레이드(101)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장착할 공간 등이 요구되므로 카메라 모듈의 두께 및 부피가 증가하여 소형화 및 슬림화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별도의 셔터 블레이드를 장착하지 않고 렌즈 개구를 개폐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피사체로부터 빛을 입사 받는 다수의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렌즈 중 적어도 두 개의 렌즈에는 편광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에 입사되는 빛에 포함된 적외선을 차단하는 IR 필터 및 상기 IR 필터를 통해 적외선이 차단된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편광 패턴이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렌즈 중 하나를 소정 범위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구동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소정 범위의 각도는 90°이고, 프리뷰 동작 시에는 상기 편광 패턴이 형성된 두 개의 렌즈가 서로 동일한 패턴으로 단방향의 빛을 통과시키고, 이미지 촬영 시에는 두 개의 렌즈 중 하나의 렌즈가 90°로 회전하여 빛을 차단시킴으로써 셔터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피사체로부터 빛을 입사 받는 다수의 렌즈, IR필터, 센서 커버 글래스(sensor cover glass), 렌즈 커버 글래스(lens cover glass)를 포함하며, 상기 중 적어도 두 개에는 편광 패턴이 형성되 어 있는 렌즈부 및 입사되는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편광 패턴이 형성된 적어도 두 개 중 하나를 소정 범위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구동계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소정 범위의 각도는 90°이며, 프리뷰 동작 시에는 상기 편광 패턴이 형성된 두 개가 서로 동일한 패턴으로 단방향의 빛을 통과시키고, 이미지 촬영 시에는 두 개 중 하나가 90°로 회전하여 빛을 차단시킴으로써 셔터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부에 구비된 다수의 렌즈, IR 필터, 센서 커버 글래스, 렌즈 커버 글래스 중 적어도 두 개에 동일한 방향의 편광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둘 중 하나를 회전시켜 렌즈 개구를 개폐시킴으로써 공간 제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렌즈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카메라 모듈에서 렌즈부는 피사체로부터 빛을 입사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렌즈(201)와, 렌즈(201)에 입사되는 빛에 포함된 적외선을 차단하는 IR 필터(203)와, IR 필터(203)를 통해 적외선이 차단된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이미지 센서(205)로 구성된다. 또한, 이 외에도 센서 커버 글래스(sensor cover glass)(미도시), 렌즈 커버 글래스(lens cover glass)(미도시) 등도 포함한다.
이때, 다수의 렌즈(201)와 IR 필터(203), 센서 커버 글래스(미도시), 렌즈 커버 글래스(미도시) 중 적어도 두 개에 동일한 방향의 편광 패턴을 형성하고, 편광 패턴이 형성된 두 개중 하나는 90°의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계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일한 방향으로 편광 패턴이 형성된 두 개의 렌즈(301, 303)가 있을 때 카메라가 프리뷰 동작 시(305)에는 두 개의 렌즈(301, 303)에 형성된 편광 패턴이 서로 동일한 방향이므로 단방향의 빛을 통과시키고, 이미지 촬영 시(307)에는 두 개 중 하나(303)가 90°로 회전하여 다른 하나의 렌즈(301)와 편광 패턴 형성 방향이 엇갈리게 되어 빛을 차단시킴으로써 셔터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때, 이미지 촬영 시(307)에 두 개 중 하나(303)가 90°로 회전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였다가 다시 반대쪽으로 90°로 회전하여 빛을 입사 받아 이미지를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편광 패턴이 형성되는 것은 두 개의 렌즈만을 사용할 수도 있고, IR 필터, 센서 커버 글래스, 렌즈 커버 글래스 등과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단, 두 개 중 하나는 90°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동계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별도의 셔터 블레이드를 구비하지 않고, 렌즈부에 구비된 다수의 렌즈, IR 필터, 센서 커버 글래스, 렌즈 커버 글래스 중 적어도 두 개에 동일한 방향의 편광 패턴을 형성하여 둘 중 하나를 회전시킴으로써 렌즈 개구를 개폐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카메라 모듈에 장착된 셔터 블레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카메라 모듈에서 렌즈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편광 패턴이 형성된 렌즈의 셔터 동작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8)

  1. 피사체로부터 빛을 입사 받는 다수의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렌즈 중 적어도 두 개의 렌즈에는 편광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에 입사되는 빛에 포함된 적외선을 차단하는 IR 필터;
    상기 IR 필터를 통해 적외선이 차단된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패턴이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렌즈 중 하나를 소정 범위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구동계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범위의 각도는 90°인 카메라 모듈.
  4. 제 1항에 있어서,
    프리뷰 동작 시에는 상기 편광 패턴이 형성된 두 개의 렌즈가 서로 동일한 패턴으로 단방향의 빛을 통과시키고, 이미지 촬영 시에는 두 개의 렌즈 중 하나의 렌즈가 90°로 회전하여 빛을 차단시킴으로써 셔터 동작을 수행하는 카메라 모듈.
  5. 피사체로부터 빛을 입사 받는 다수의 렌즈, IR필터, 센서 커버 글래스(sensor cover glass), 렌즈 커버 글래스(lens cover glass)를 포함하며, 상기 중 적어도 두 개에는 편광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렌즈부;
    입사되는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패턴이 형성된 적어도 두 개 중 하나를 소정 범위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구동계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범위의 각도는 90°인 카메라 모듈.
  8. 제 5항에 있어서,
    프리뷰 동작 시에는 상기 편광 패턴이 형성된 두 개가 서로 동일한 패턴으로 단방향의 빛을 통과시키고, 이미지 촬영 시에는 두 개 중 하나가 90°로 회전하여 빛을 차단시킴으로써 셔터 동작을 수행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080071654A 2008-07-23 2008-07-23 카메라 모듈 KR201000106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654A KR20100010669A (ko) 2008-07-23 2008-07-23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654A KR20100010669A (ko) 2008-07-23 2008-07-23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669A true KR20100010669A (ko) 2010-02-02

Family

ID=42085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1654A KR20100010669A (ko) 2008-07-23 2008-07-23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06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94005A1 (ko) * 2020-03-27 2021-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94005A1 (ko) * 2020-03-27 2021-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18994B1 (en) Image capturing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ing device, and program
US900118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11979653B2 (en) Imag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 authentication processor
US20210271856A1 (en) Camera shutters with light filters
KR102319689B1 (ko) 돔 카메라 시스템
KR101255945B1 (ko) 카메라 모듈
US20140212126A1 (en) Image pickup apparatus
KR20100010669A (ko) 카메라 모듈
JP2004145133A (ja) 光学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KR102104845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의 촬영 방법
EP1980905B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comprising a lens protection barrier
JP2007006146A (ja) 撮像装置及び携帯電話機
JP2004151131A (ja) 光学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KR101627298B1 (ko) 카메라 촬영 각도 조절 장치
JP2006072186A (ja) 携帯機器
KR101626000B1 (ko) 개선된 필터 구조를 갖춘 디지털 카메라
US2022038213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deo camera systems for smart tv applications
KR100716759B1 (ko) 소형 카메라용 보호장치
KR100704975B1 (ko) 소형 카메라장치용 개폐장치
JP4424488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搭載した携帯端末
JP4454459B2 (ja) 携帯機器
WO2015075938A1 (ja) 絞り機構の制御方法およびカメラ装置
JP2020008837A (ja) 撮像装置
KR101385959B1 (ko) 전원 on 또는 off 시 특정 방향에 대응하는 특정동작을 수행하는 휴대용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2281357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