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0212U - 농수로용 생태측구 - Google Patents

농수로용 생태측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0212U
KR20100010212U KR2020090004159U KR20090004159U KR20100010212U KR 20100010212 U KR20100010212 U KR 20100010212U KR 2020090004159 U KR2020090004159 U KR 2020090004159U KR 20090004159 U KR20090004159 U KR 20090004159U KR 20100010212 U KR20100010212 U KR 201000102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s
ecological
planted
agricultural
pla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41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희
Original Assignee
박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희 filed Critical 박재희
Priority to KR20200900041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0212U/ko
Publication of KR201000102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21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생태측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태측구에 초화류 및 수생 식물을 식재하여, 수질 및 토양을 정화시키고 생물의 다양한 서식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 농수로용 생태측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다수를 연속적으로 연결 설치하여 농수로를 설치하는 측구에 있어서, 양 측벽과 바닥에 다수의 공극부를 형성하되, 상기 양 측벽의 공극부에는 형틀에서 재배된 초화류식물을 식재하고, 상기 바닥의 공극부에는 형틀에서 재배된 수질정화식물을 식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측벽의 공극부에 초화류식물을 식재하고, 바닥의 공극부에 수질정화식물을 식재하여 농수로 외관의 형상을 미려하게 조성하는 한편, 생물의 다양한 서식공간을 조성하고, 또한 물 속에 함유된 오폐수를 친환경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 식재홀의 경우 관통 형성되어 초화류식물 및 수질정화식물의 뿌리를 더욱 견고하고 안정감 있게 활착시켜 식재된 식물들의 유실 및 고사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농수로, 생태측구, 공극부, 초화류식물, 수질정화식물.

Description

농수로용 생태측구{Ecological channel for link canal}
본 고안은 생태측구에 관한 것으로, 농수로 설치에 사용된 생태측구에 여러 기능을 갖는 식물들을 식재하여, 생물 서식공간을 제공하며, 친환경적으로 수질 및 토양을 정화시키고 농수로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농수로용 생태측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수로는 농업용수의 취수 시설에서 물을 끌어와 필요한 지역에 공급하기 위해 설치하는 수로로써, 상부가 개방된 다수의 측구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설치가 이루어진다.
도 1은 통상의 측구가 설치된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양측에 측벽(1)을 구성하고, 상기 양 측벽(1) 하단 사이에 바닥(2)을 일체 형성하여 이를 토양에 매설함으로써, 물이 필요한 곳, 특히 토지구획정리지구 또는 농지구획정리지구 등에 농수로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통상의 측구는 대부분 비환경적인 콘크리트로 형성됨은 물론, 농수로에 유입되는 오폐수로 인해 지독한 악취와 함께 지속적으로 토양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측구는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측구의 중량이 커지게 되고, 이로 인해 중장비나 많은 인력을 동원하지 않고서는 측구를 설치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 중 일부를 해소하기 위해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1990-3034호의 "조립식 농수로 구축물"에 대한 것으로, 계단식 치합부(1')(2')가 형성된 밑판(1)(1a)과 측판(2)(2a)을 조립하되, 밑판(1)의 양측부에는 하부에 볼트 삽입공간이 형성되게 너트(4)를 매설하고, 측벽(2)은 하단에 결착편(7)을 연결 설치하여 밑판(1)과 밑판(1a)의 경계부 양측에 세운다. 이 후, 볼트공(8)에 볼트(9)를 끼우고 이를 밑판(1)(1a)에 매설된 너트(4)에 끼워 항상 2개의 밑판(1)(1a)이 1개의 측벽(2)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한 구성에 따라 밑판 양측 상단에 측판을 각각 조립 설치하므로, 농수로의 설치 및 구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또 다른 측구의 일례로써,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04-0097977호의 "농수로용 채널블럭"에 대한 것으로, 양 측벽(51)(52)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점차 두께가 증가되는 경사면(51a)(52a)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51)(52)에 토양에 침수된 유수를 농수로 측으로 통과시키는 유입공(56)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56)에 토사의 유입을 방지하는 그물망(60)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한 구성에 따라 측벽을 점차 두껍게 형성하므로 토압 또는 수압에 의한 전단 하중에 안정되어 측벽의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유 입공과 그물망 설치를 통해 토양으로부터 토사의 유입은 방지하면서 유수만을 농수로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도 2와 도 3에 도시한 측구들 모두는 기존 측구가 갖는 문제점을 모두 해소하지 못하는 폐단이 있었다. 즉, 측구가 환경에 유해한 콘크리트로 형성되고, 측구로 조성된 농수로에는 오폐수가 함께 유입되어 함께 흐르게 됨으로써, 수질 오염과 그에 따른 악취 제거가 쉽지 않아 토양을 계속해서 오염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불쾌감을 가중시키며, 생물체 서식이 전혀 이루어질 수 없어 생태계를 파괴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농수로 설치에 사용된 생태측구에 여러 기능을 갖는 식물들을 식재하여, 친환경적으로 수질 및 토양을 정화시키고, 생물의 서식공간을 제공하며, 농수로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농수로용 생태측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다수를 연속적으로 연결 설치하여 농수로를 설치하는 측구에 있어서, 양 측벽과 바닥에 다수의 공극부를 형성하되, 상기 양 측벽의 공극부에는 형틀에서 재배된 초화류식물을 식재하고, 상기 바닥의 공극부에는 형틀에서 재배된 수질정화식물을 식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공극부는 관통된 식재홀의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일단이 폐쇄된 식재홈의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고안은, 측벽의 식재홀 및 식재홈에 형틀에서 재배된 초화류식물을 식재함으로써, 농수로 외관의 형상을 미려하게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바닥의 식재홀 및 식재홈에 형틀에서 재배된 수질정화식물을 식재함으로써 물 속에 함유된 중금속과 생활폐수 및 오폐수 등을 친환경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측벽 및 바닥의 식재홀이 관통 형성됨으로써 이에 식재된 초화류식물 및 수질정화식물의 뿌리를 토양 측으로 활착시켜 악천후나 물의 불어남에 따른 수위 상승에도 식재된 식물들이 익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친환경적인 농수로 조성을 통해 그 내부에 생물체의 서식이 가능하도록 하여, 인위적으로 설치된 농수로를 최대한 자연환경에 근접되게 주변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농수로용 생태측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생태측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농수로용 생태측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생태측구의 단면도이다.
이에, 본 고안에 따른 농수로용 생태측구의 구성을 살펴보면, 양측에 콘크리트로 성형된 측벽(10)이 구비되고, 상기 양 측벽(10) 하단 사이에 콘크리트로 성형된 바닥(20)이 구비되어 대략 'ㄷ'형상으로 측구 외관 형상을 구성한다. 이때, 상기한 양 측벽(10)과 바닥(20)은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 농수로 시공 작업의 간소화를 위해 측벽(10)과 바닥(20)을 각각 제조한 후 이들을 조립하여 측구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 측벽(10)은 바닥(20)면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적절하나, 농수로의 시공 환경이나 제조 여건에 따라 측벽(10)의 기울기는 변경하여 성형할 수 있다.
이처럼 구성된, 측구의 양 측벽(10)과 바닥(20)에는 다수의 공극부가 각각 구성되는데, 상기 공극부 중 양 측벽(10)에 형성된 다수의 공극부에는 형틀에서 재배된 초화류식물(13)을 식재하고, 상기 공극부 중 바닥(20)에 형성된 다수의 공극부에는 형틀에서 재배된 수질정화식물(23)을 식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형틀은 식물의 재배가 가능하도록 다수의 재배홀을 형성한 것으로, 이같은 형틀의 구성은 이미 공연하게 사용되고 있는 것에 해당하는 바, 별도의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형틀에 형성된 재배홀은 공극부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재배홀에서 재배된 식물을 흙과 함께 뿌리째 뽑아내어 공극부에 그대로 끼우듯이 심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양 측벽(10) 공극부에 식재되는 초화류식물(13)(형틀에서 재배된)은 뿌리의 조직이 조밀하여 측구와 지반을 견고하게 일체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수질정화 및 미관적요소로 고려되는 식물들이 재배될 수 있는데, 그 중 대표적으로 부들, 줄, 큰고랭이, 매자기, 꽃창포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20)의 공극부에 식재되는 수질정화식물(23)(형틀에서 재배된)로는 갈대, 꽃창포, 노랑어리연꽃, 눈여뀌바늘, 달뿌리풀, 물봉선, 물억새, 물옥잠, 미나리, 박하, 부들, 부레옥잠, 생이가래, 애기부들, 이삭물수세미, 줄, 케나프, 큰피막이, 토란 등을 식재하게 되는데, 이같은 수질정화식물(23)의 식재를 통해 농수로를 흐르는 질소, 인, 카드뮴, 납 등의 중금속을 정화하고, pH를 중화시 키며, COD, BOD를 저감함은 물론 축산폐수와 생활하수 등을 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공극부의 구성은 두 가지의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는 바, 공극부의 제1실시예에 대해 도 4와 도 5를 통해 살펴보면, 양 측벽(10)과 바닥(20)에 다수의 공극부를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인 간격으로 형성하되, 상기 공극부의 형상은 관통된 식재홀(11)(21)의 형상으로 형성한다.
또한, 공극부의 제2실시예의 구성에 대해 도 6과 도 7을 통해 살펴보면, 양 측벽(10)과 바닥(20)에 다수의 공극부를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인 간격으로 형성하되, 상기 공극부의 형상은 일단이 폐쇄된 식재홈(12)(22)의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생태측구를 이용하여 농수로를 조성 및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농수로를 설치하기 위한 대상지를 굴착하고, 여기에 다수의 생태측구를 연속적으로 연결 및 설치한 후, 생태측구 양측에 토사를 메움으로써,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태측구를 토양 내부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 후, 양 측벽(10)에 관통 형성된 다수의 식재홀(11)에 형틀에서 재배된 초화류식물(13)을 흙과 함께 뽑아내어 끼우듯이 식재하고, 바닥(20)에 관통 형성된 다수의 식재홀(21)에는 형틀에서 재배된 수질정화식물(23)을 흙과 함께 뽑아내어 끼우듯이 식재한다.
즉, 본 고안의 생태측구는 측벽(10)의 식재홀(11)에 초화류식물(13)을 식재 하게 됨으로써, 농수로 외관의 형상을 미려하게 조성함은 물론, 상기 식재홀(11)이 관통 형성됨으로써 식재된 초화류식물(13)의 뿌리를 토양 측으로 활착시켜 초화류식물(13)을 더욱 안정감 있게 식재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식물뿌리가 지반과 측구를 일체화하여 견고성을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고안의 생태측구는 바닥(20)의 식재홀(21)에 수질정화식물(23)을 식재하게 됨으로써, 농수로를 따라 흐르는 물 속에 함유된 중금속과 함께, 생활폐수 및 오폐수와 같은 하수를 약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친환경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측벽(10) 식재홀(11)과 바닥(20) 식재홀(21) 모두 관통 형성됨으로써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재된 수질정화식물(23)의 뿌리를 토양 측으로 활착시켜 수질정화식물(23)을 더욱 견고하고 안정감 있게 식재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급작스러운 물의 불어남과 급류 등에 수질정화식물(23)들이 유실되거나 고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농수로용 생태측구는 토양 내부에 설치할 수도 있으나, 농수로의 특성상 일부 생태측구의 경우 토양 외부로 노출되어 설치될 수도 있게 되는데, 이 때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태측구를 토양 외부에 설치하여 농수로를 따라 흐르는 물이 새어나갈 수 있는 우려를 근본적으로 차단한다.
이처럼 설치된 생태측구에는, 그 양 측벽(10)에 형성된 다수의 식재홈(12)에 형틀에서 재배된 초화류식물(13)을 식재하고, 바닥(20)에 형성된 다수의 식재홈(22)에 형틀에서 재배된 수질정화식물(23)을 식재한다.
즉,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생태측구 역시 측벽(10)의 식재홈(12)에 형틀에서 재배된 초화류식물(13)을 식재하게 됨으로써, 농수로 외관의 형상을 미려하게 조성할 수 있고, 또한 바닥(20)의 식재홈(22)에 형틀에서 재배된 수질정화식물(23)을 식재하게 됨으로써, 농수로를 따라 흐르는 물 속에 함유된 중금속과 함께, 생활폐수 및 오폐수와 같은 하수를 별개 약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친환경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농수로용 생태측구는 친환경적인 농수로 조성을 통해 그 내부에 생물체의 서식이 가능하도록 하여, 인위적으로 설치된 농수로를 최대한 자연환경에 근접되게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즉, 본 고안에서는 생태측구를 농수로 설치에 사용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의 적용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에 따라 상기 생태측구는 오수관로, 호안사면, 댐사면 등에 적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농수로의 측구 설치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조립식 농수로 구축물의 결합 전 분리 사시도,
도 3은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농수로용 채널블럭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농수로용 생태측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생태측구의 설치 및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농수로용 생태측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생태측구의 설치 및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측벽 11 : 식재홀
12 : 식재홈 13 : 초화류식물
20 : 바닥 21 : 식재홀
22 : 식재홈 23 : 수질정화식물

Claims (3)

  1. 다수를 연속적으로 연결 설치하여 농수로를 설치하는 측구에 있어서,
    양 측벽(10)과 바닥(20)에 다수의 공극부를 형성하되, 상기 양 측벽(10)의 공극부에는 형틀에서 재배된 초화류식물(13)을 식재하고, 상기 바닥(20)의 공극부에는 형틀에서 재배된 수질정화식물(23)을 식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로용 생태측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부는 관통된 식재홀(11)(21)의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로용 생태측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부는 일단이 폐쇄된 식재홈(12)(22)의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로용 생태측구.
KR2020090004159U 2009-04-09 2009-04-09 농수로용 생태측구 KR2010001021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159U KR20100010212U (ko) 2009-04-09 2009-04-09 농수로용 생태측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159U KR20100010212U (ko) 2009-04-09 2009-04-09 농수로용 생태측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212U true KR20100010212U (ko) 2010-10-19

Family

ID=44200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4159U KR20100010212U (ko) 2009-04-09 2009-04-09 농수로용 생태측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021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21195A (zh) * 2012-08-23 2013-09-25 上海市环境科学研究院 一种采用护坡技术的农田生态拦截沟渠及其构建方法
CN110476529A (zh) * 2019-07-19 2019-11-22 上海市农业科学院 一种种养结合农田生态景观构建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21195A (zh) * 2012-08-23 2013-09-25 上海市环境科学研究院 一种采用护坡技术的农田生态拦截沟渠及其构建方法
CN103321195B (zh) * 2012-08-23 2016-05-18 上海市环境科学研究院 一种采用护坡技术的农田生态拦截沟渠及其构建方法
CN110476529A (zh) * 2019-07-19 2019-11-22 上海市农业科学院 一种种养结合农田生态景观构建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77572B (zh) 一种生态与景观相结合的城市河道水体净化系统
KR100660394B1 (ko) 보강토 옹벽용 식생블럭
KR20120112306A (ko) 친환경 저류형 농수로
KR100582210B1 (ko) 친환경적인 식생식물 및 어류서식처가 구비된 식생부력체
CN110016887A (zh) 一种营造水生态系统生境的筑堤方法
KR20100010212U (ko) 농수로용 생태측구
CN108104079A (zh) 一种新型生态农田排水沟系统
KR101355112B1 (ko) 친환경 수로관
CN216865235U (zh) 一种悬臂式生态挡墙
KR100865922B1 (ko) 다각형 전복 해중림초
KR20140048170A (ko) 양서류를 비롯하여 모든 동물들이 수로에 빠지거나 갖혔을 때에 탈출이 용이하도록 도와 주는 친환경 생태통로를 구성하는 친환경 공법
KR100456407B1 (ko) 아파트내에 생태공원조성을 위한 시스템
KR200411792Y1 (ko) 수로관
KR100371959B1 (ko) 수경 농업에 이용되는 플라스틱 파이프 부체 구조물 및이를 이용한 수질 정화방법
KR200426017Y1 (ko) 생태보호 및 식생 용·배수로용 블록
JP2004218269A (ja) スロープ付き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100549498B1 (ko) 건축용 조립식 옹벽블럭의 설치구조
KR101086096B1 (ko) 간이형 생태수로
KR100509317B1 (ko) 친환경 농업용 용수로
JP2013039053A (ja) ビオトープ装置
KR200290097Y1 (ko) 아파트내에 생태공원조성을 위한 시스템
KR100671942B1 (ko) 환경생태보호형 수로관
KR101459654B1 (ko) 친환경 수로 구조물
KR20120001579U (ko) 식생구역이 형성된 친환경 수로블록
KR20120001397U (ko) 환경 친화용 생태 수로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