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0097Y1 - 아파트내에 생태공원조성을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아파트내에 생태공원조성을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0097Y1
KR200290097Y1 KR2020020018970U KR20020018970U KR200290097Y1 KR 200290097 Y1 KR200290097 Y1 KR 200290097Y1 KR 2020020018970 U KR2020020018970 U KR 2020020018970U KR 20020018970 U KR20020018970 U KR 20020018970U KR 200290097 Y1 KR200290097 Y1 KR 2002900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plants
water
district
po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89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학
엄윤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20200200189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00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00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0097Y1/ko

Links

Landscapes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파트단지의 조경면적내에 생태공원을 조성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파트내에 수서곤충과 습지생물을 견학할 수 있는 습지지구와 어류와 조류 등과 같이 다양한 서식환경을 견학할 수 있는 저수지지구와 수목류, 초화류, 농작물류 등 다양한 식물을 심어놓은 산림지구 등을 조성하여 도심속에서 자연의 정취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자연관찰 학습지로 이용 할 수 있도록 한 아파트내에 생태공원을 조성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아파트단지의 조경면적내에 설치되어 지하수를 펌핑하기 위한 급수대; 상기 급수대 하류에 다수의 수로를 형성하고 각각의 수로에 수생식물을 심어 어패류의 서식환경을 제공하는 습지지구; 상기 습지지구의 다수의 수로들 사이에 순차적으로 연결되고 동식물과 물고기가 단계별로 서식할 수 있도록 다수의 연못을 갖는 저수지지구; 상기 저수지지구를 형성하고 있는 다수의 연못중 어느 하나의 연못에 산소 용존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설치되어 연못의 수질을 개선시키기 위한 폭기조; 상기 저수지지구의 다수의 연못중 최하류의 연못에 수위를 조절하여 저수를 방출하기 위해 형성되는 배수로; 및 상기 저수지지구의 주변에 수목류, 초화류, 농작물류 등의 식물들이 식재된 산림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파트내에 생태공원조성을 위한 시스템 {System to make up the mode of ecological park in apartment}
본 고안은 아파트단지의 조경면적 내에 시민들과 아이들이 자연환경과 접촉할 수 있도록 아파트내에 생태공원을 조성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아파트 내에 수서곤충과 습지생물을 견학할 수 있는 습지지구와 어류와 조류 등과 같이 다양한 서식환경을 견학할 수 있는 저수지지구와 수목류, 초화류, 농작물류 등 다양한 식물을 심어놓은 산림지구 등을 조성하여 도심속에서 시민들과 어린이들에게 자연의 정취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자연관찰 학습지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아파트 내에 생태공원을 조성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태공원(Ecological Park)은 학생들에게 자연을 이해시키고자 하는 교육목적을 가지고 조성되었다.
문명의 발달과 산업화에 의한 도시 인구의 급격한 증가는 도시화/자연파괴/인간소외 등으로 자연접촉의 기회를 상실하였을 뿐만 아니라, 공해/수질 오염과 같은 환경문제는 정주환경에서 점진적인 자연성 감소라는 상조작용(Synergism)의 산물이 되고 있다.
현재까지의 아파트나 도심속의 공원조성은 기존 방안에 대한 습관적 수용, 특별한 디자인모델의 무조건적인 선호, 공학적인 기술의 맹종, 인간의 이용편의성에 편중 등 물리적 인공환경 위주로 진행되어 녹지공간의 생태적 생산성이 파괴되고 있다. 이러한 결과 자연환경의 파괴는 생물이 제거된 침묵의 녹지만 양산, 침묵의 녹지에 아름다운 새들 및 곤충들이 사는 생물 서식공간 즉, 생태공원이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도시규모가 작았던 초창기 도시공원은 점적인 휴식기능 위주로 녹지였으며 도시규모가 작아 자연생물의 도시 유입이 용이하고 가까운 곳에서 쉽게 접할 수 있었으나, 거대도시로 발전하면서 도시의 무분별한 확장 및 주변의 토지이용 변화로 도시내로 생물이 유입되기 위한 대도시 주변 소생물권이 파괴되어 도시 외곽부 에 다양한 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인위적인 생태공원을 조성하였다.
생태공원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소생물권(Micro Bio-tope), 서식처(Habitat)보호, 자연관찰활동공간 제공, 생태관광(Eco-tour), 자연학습원, 자연관찰원, 동,식물원 등이 생태공원내 도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많은 녹지와 이에 따른 경비와 인력이 요구된다.
근래에는 도심속에서 생태공원을 조성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식으로 생태공원을 조성하고 있으나, 녹지의 부족과 생태공원을 조성하기 위한 비용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일부 특정한 곳(샛강 생태공원, 한강시민공원, 길동자연 생태공원, 여의도 공원 등)에 생태공원을 조성하는 것이 전부여서 가까운 곳에서 자연을 접하기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현재의 아파트 단지의 녹지공간은 조경면적 내에 몇 그루의 나무와 시민들이 쉴수 있는 의자와 아이들의 놀이공원을 조합하여 단지 내에 한 두 개정도 설치하는 것이 전부이어서 주민들과 아이들은 자연을 느끼면서 자연과 더불어 생활할 수 있는 공간을 찾아서 야외로 나가야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도심속의 아파트의 경우 자동차로 인한 매연과 먼지, 황사, 오존 등의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아파트단지내에 공원을 조성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다소 줄이도록 하고 있으나, 근본적인 해결방법으로는 부족하며 대부분 사람들이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산책로와 나무와 잔디밭으로 구성되어 있기에 사람들은 그 나마 자연을 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는 것으로 만족해야 되는 현실이다.
한편 공원내에 자연과 친화될 수 있도록 연못이나 호수를 조성하는 것에 있어서, 호수내의 물이 항상 고여있기 때문에 악취와 퇴적층으로 인하여 수질오염 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수질정화장치 및 별도의 정화방법을 사용하여 호수를 정화 시키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설치면적을 크게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아파트의 조경면적내에서 지하수를 이용하여 생태공원을 조성할 수 있도록 습지지구, 저수지지구, 산림지구를 형성하여 환경오염으로 인한 공기를 정화시켜 쾌적한 주거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아파트내에 생태공원을 조성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수개의 수로와 연못으로 이루어진 습지지구와 저수지지구의 지하수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자연정화시설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별도의 유지비가 소요되지 않도록 하는 아파트내에 생태공원을 조성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도시내 공원에 생물이 장기간 머무르거나 서식할수 있는 생태적 환경을 조성하여 인간과 다양한 생물이 도시내에 공존하며, 에너지 순환이 자체적으로 완결될 수 있는 인위적인 생태공원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 아파트내에 생태공원을 조성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아파트단지의 조경면적내에 설치되어 지하수를 펌핑하기 위한 급수대; 상기 급수대 하류에 다수의 수로를 형성하고 각각의 수로에 수생식물을 심어 어패류의 서식환경을 제공하는 습지지구; 상기 습지지구의 다수의 수로들 사이에 순차적으로 연결되고 동식물과 물고기가 단계별로 서식할 수 있도록 다수의 연못을 갖는 저수지지구; 상기 저수지지구를 형성하고 있는 다수의 연못중 어느 하나의 연못에 산소 용존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설치되어 연못의 수질을 개선시키기 위한 폭기조; 상기 저수지지구의 다수의 연못중 최하류의 연못에 수위를 조절하여 저수를 방출하기 위해 형성되는 배수로; 및 상기 저수지지구의 주변에 수목류, 초화류, 농작물류 등의 식물들이 식재된 산림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전체구조를 계략적으로 보여 주는 평면 구성도,
도 2 는 본 고안의 급수대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제1수로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제2수로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제3수로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제4수로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7 은 본 고안의 제1연못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구성도,
도 8 은 본 고안의 제2연못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구성도,
도 9 는 본 고안의 제3연못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구성도,
도 10 은 본 고안의 제4연못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구성도,
도 11 은 도 11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급수대 20: 습지지구
21,23,25,27: 제1,2,3,4수로 30: 저수지지구
31,33,35,37: 제1,2,3,4연못 40: 폭기조 50: 산림지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평면구성도로서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지하수를 이용하여 생태공원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지하수를 펌프하여 외부로 유출시키는 급수대(10)와, 지하수가 순차적으로 흐르도록 다수개의 수로(21)(23)(25)(27)로 이루어진 습지지구(20)와, 습지지구(20)의 수로와 수로사이에 다수의 연못(31)(33)(35)(37)을 형성을 형성하여 지하수가 경유하도록 한 저수지지구(30)와, 저수지지구(30)의 지하수에 산소를 공급하는 폭기조(40)와, 저수지지구(30)의 일측에 여러종류의 나무와 식물을 심어 자연학습지로 이용할 수 있는 산림지구(50)로 구성된다.
급수대(10)는 아파트의 조경면적내에 지하수를 끌어올려 사용하는 것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구조물로 이루어지며 지하수를 펌프하여 급수밸브(11)(12)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한다. 이때 급수밸브(11)(12)는 상부 양측에 형성되어 급수되는 양을 다르게 형성한다. 일예로 일측의 급수밸브(11)는 급수구경을 50mm로하고, 타측의 급수밸브(12)는 80mm로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50mm를 사용하다가 봄.가을에 1-2회정도 양 급수밸브(11)(12)를 동시에 열어주어 지하수량을 한번씩 증가시킨다.
이렇게 유출된 지하수는 급수대(10)에 일체로 형성된 물받이조(13)에 일정량저장되었다가 물받이조(13)의 수위를 넘게되면 물받이조(13)의 상부 중앙에 형성된 유출구(14)를 통하여 자연적으로 흘러나가게 된다.
습지지구(20)는 다수개의 수로(21)(23)(25)(27)들을 통해 다수의 연못들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각각의 수로에는 수생식물과 수서곤충, 개구리 등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먼저 급수대(10)에서 유출된 지하수는 제1수로(21)를 경유하여 순차적으로 흘러가게 되는데, 이때 제1수로(21)는 양측벽을 자연석을 이용하여 쌓기를 하되, 양측벽을 경사지게 형성하고 바닥폭은 0.3-0.6m로 깊이는 0.3-3.5m로 형성한 다음 바닥에 흙(22)을 형성하고 이의 상부와 양측벽의 경사면에 물속에서 자라는 수생식물 또는 수초를 심어서 어패류가 서식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수생식물은 정수식물과 부엽식물, 침수식물로 나눈다. 정수식물은 물속의 흙에 뿌리가 뻗어 있고 줄기나 잎이 수면 위로 나온 식물로 갈대, 부들 등과 논의 벼도 이에 속한다. 부엽식물은 물 속의 흙에 뿌리를 뻗고, 줄기는 물 속에, 잎은 수면 위에 떠 있는 식물로 마름, 수련 등이 있다. 침수식물은 물 속의 흙에 뿌리를 뻗고, 줄기나 잎이 전부 수면 아래에 있는 식물로 붕어마름, 물수세미 등이 있다. 그리고 수생식물 중에 부레옥잠, 애기부들, 꽃창포, 미나리 등은 질소나 인 같은 오염물질을 정화 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이는 식물이 성장하는데 필요한 질소와 인을 수생식물이 흡수하고, 뿌리 부근에 서식하는 미생물이 유기성 오염물질을 분해하는 자연정화기능을 하게된다. 이때 각각의 수로(21)(23)(25)(27)에는 아파트단지내에 적합한 수생식물을 선정하여 단계별로 심으면 되는 것이다.
제1수로(21)를 통과한 지하수는 제1연못(31)을 경유하여 제2수로(23)로 유입되는데, 이때 제2수로(23)는 제1수로(21)의 구성과 동일하며 다만 바닥폭을 0.6-1.0m로 깊이를 0.3-0.5m로 형성한 다음 바닥에는 모래(24)를 형성하여 강변의 모래톱과 같은 역할을 하여 어패류가 서식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제1연못(31)을 통과한 지하수가 제2수로(23)를 경유하면서 여율효과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제2수로(23)를 통과한 지하수는 제2연못(33)을 경유하여 제3수로(25)로 유입되며, 이때 제3수로(25)는 바닥폭을 0.6-1.5m로 깊이를 0.5-0.7m 로 형성한 다음 바닥에 자갈(26)을 형성하여 강의 자갈바닥과 같은 역할을 하여 어패류가 서식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제2수로(23)를 통과한 지하수가 제3수로(25)를 거치면서 수심의 깊이를 다르게 형성하여 지하수가 흘러갈 때 운동력을 부여하여 지하수가 항상 유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제3수로(25)를 통과한 지하수는 제3연못(35)을 경유하여 제4수로(27)로 유입되며, 이때 제4수로(27)는 바닥폭을 0.6-1.5m로 깊이를 0.7m 내외로 형성한 다음 바닥에 잡석(28)을 형성하여 물고기가 산란하며 서식할 수 있도록 조성하였다.
이와 같이 습지지구(20)는 습지와 관련된 생물들의 생태적인 안정과 생활을 돕기위한 서식환경을 조성하여 수생식물이나 수서곤충들을 관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서곤충의 경우 잠자리 생활사(교미 및 알낳기/유충과 장구애벌레/유충의 불완전 변태 등)나 개구리 생활사(교미 및 알낳기/알의 부화/올챙이의 변화)를 어린아이들이 관찰하거나 학습할 수 있는 자연학습지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습지지구(20)의 일측에는 산책로를 형성하고 이의 타측에는 나무와 식물들을 심어서 산림지구(5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습지지구(20)를 형성하고 있는 다수의 수로들 사이에는 다수개의 연못으로 이루어진 저수지지구(30)가 형성되는데, 여기서 저수지지구(30)는 주변지역과 자연환경특성에 부합하여 조성한다.
저수지지구(30)는 먼저 제1수로(21)의 하류에 제1연못(31)을 경유하여 지하수가 유동하게 되는데, 이때 제1연못(31)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수로(21)와 연결되도록 일측에 입수구(31a)가 형성되고 이의 타측에는 배수구(31b)가 형성되어 지하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하며, 연못의 양측벽을 경사면을 가지도록 자연석으로 쌓기를 하고 바닥에 굵은 모래(32)를 형성하여 모래바닥에서 서식하는 동식물이 서식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폭면적을 지형에 맞게(약 1.8m x 4.0m)로 깊이를 0.6m 내외로 형성한다.
제1연못(31)을 경유한 지하수는 제2수로(23)을 통해 제2연못(33)을 경유하게 되는데, 이때 제2연못(33)은 제1연못(31)의 구성과 동일하며, 다만 바닥에 자갈(34)을 형성하고, 폭면적을 폭이 좁은곳에 알맞게(약 1.8m x 4.0m)로 깊이를 0.6m 내외로 형성하여 여러종류의 동식물이 서식할 수 있도록 한다.
제2연못(33)을 경유한 지하수는 제3연못(35)을 경유하게 되는데, 이때 제3연못(35)은 제2연못(33)의 구성과 동일하며, 다만 바닥에 잡석(36)을 형성하고, 폭면적을 넓은 지형에 알맞게(약 2.2m x 8.0m)로 깊이를 0.5-0.9m로 조금 깊고 넓은 지형을 갖도록 형성하여 큰 물고기가 서식할 수 있도록 한다.
제3연못(35)을 경유한 지하수는 제4연못(37)을 경유하게 되는데, 이때 제4연못(37)은 제3연못(35)의 구성과 동일하며, 다만 일측에 지하수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배수로(38)를 형성하고, 바닥에는 단턱(39)을 형성하여 수심의 깊이를 2중으로 형성하며, 폭면적을 7.0m x 14.0m 로 깊이를 수초가 서식하는곳은 0.6m-0.9m로 물고기가 서식하는 곳을 1.0-1.5m로 형성하여 잉어, 붕어 등 큰 물고기가 서식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수연 등 수서식물이 서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수초가 서식하는 수초지의 내부에는 습지식물(부레옥장, 부평초, 갈대 등) 중에서 주로 갈대를 심어서 수중 질소, 인 및 인공무기물을 흡수케하며 물의 온도 변화를 주게 하여 어패류 및 새들의 보금자리를 만들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4연못(37)은 각각의 연못(31)(33)(35)의 지하수를 집결시켜 일부는배수로(38)를 통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배출시키며 일부는 펌핑하여 리사이클링화 한다. 또한 제4연못(37)은 입수구(37a)의 타측에 배수구(37b)를 형성하여 제1수로(21)와 연결하여 지하수가 습지지구(20)와 저수지지구(30)를 순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폭기조(40)는 저수지지구(30)의 제4연못(37)의 일측에 구비되어 다수의 양수기(미도시)와 폭기장치를 이용하여 지하수에 공기를 불어넣어서 지하수와 공기를 충분히 접촉시켜 산화작용과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소화작용을 촉진하고, 탄산가스, 황화수소, 메탄가스 등을 제거하여 산소용존량을 증가시킴으로 지하수를 정화시켜 저수지지구(30)가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산림지구(50)는 저수지지구(30)의 일측에 자연관찰로를 형성하고 수목류, 초화류, 농작물류 등 다양한 식물을 심어서 시민들과 어린이들에게 자연의 정취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자연환경의 접촉, 이해/교육등의 기회가 없는 청소년들을 자연속에 끌어들여 자연에 대한 올바른 지식의 전달과 자연을 가까이에서 관찰할 수 있는 자연학습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아파트의 신축공사 또는 재건축시 아파트단지의 조경면적내에 시민들과 청소년과 어린아이들이 자연과 더불어 생활할 수 있는 생태공원을 조성하기 위한 것으로, 아직까지 아파트단지내에 생태공원이 조성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을 감안하여 조경면적내에 생태공원을 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설계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생태공원을 조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습지지구(30)와저수지지구(40)를 조성하여 습지지구(30)에서는 습지식물의 성장과 수서곤충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였고, 저수지지구(30)의 각각의 연못(31)(33)(35)(37)을 통하여 다양한 종류의 동식물과 물고기를 견학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제4연못(37)에서는 어류와 조류 그리고 다양한 수생식물을 통하여 자연을 직접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산림지구(50)를 형성하여 농촌에서나 볼 수 있는 농작물류나 또는 초화류, 수목류 등을 심어서 자연학습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고안의 저수지지구(40)는 지하수를 배출로(38)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배출할 수 있으며 폭기조(40)에 의하여 저수지지구(40)가 오염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저수지지구(40)는 습지지구(20)와 연결하여 지하수가 지속적으로 순환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조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습지지구(20)와 저수지지구(30)는 별도의 배수로를 사용하여 상호 연결할 수도 있으며 저수지지구(30)의 각각의 연못(31)(33)(35)(37)도 별도의 배수로를 형성하여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관을 매설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아파트내에 생태공원을 조성하기 위한 시스템은 지하수를 이용하여 생태공원에 필요한 물을 급수하고 습지지구와 저수지 지구와 산림지구를 조성하여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생태공원을 통해 자연환경을 관찰, 학습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청소년과 어린아이들이 자연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자연생태 견학지나 공원으로도 조성하는 것에 의해 휴식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아파트단지의 조경면적내에 설치되어 지하수를 펌핑하기 위한 급수대;
    상기 급수대 하류에 다수의 수로를 형성하고 각각의 수로에 수생식물을 심어 어패류의 서식환경을 제공하는 습지지구;
    상기 습지지구의 다수의 수로들 사이에 순차적으로 연결되고 동식물과 물고기가 단계별로 서식할 수 있도록 다수의 연못을 갖는 저수지지구;
    상기 저수지지구를 형성하고 있는 다수의 연못중 어느 하나의 연못에 산소용존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설치되어 연못의 수질을 개선시키기 위한 폭기조;
    상기 저수지지구의 다수의 연못중 최하류의 연못에 수위를 조절하여 저수를 방출하기 위해 형성되는 배수로; 및
    상기 저수지지구의 주변에 수목류, 초화류, 농작물류 등의 식물들이 식재된 산림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내에 생태공원을 조성하기 위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대는 지하수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상부 양측에 급수밸브가 형성되고 이의 저면에 일정량의 지하수가 저장되었다가 자연적으로 유출되도록 상부 중앙에 유출구를 갖는 물받이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내에 생태공원을 조성하기 위한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습지지구의 다수의 수로 바닥에 흙, 모래, 자갈 및 잡석을 깔아 동식물과 어패류가 서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내의 생태공원을 조성하기 위한 시스템.
KR2020020018970U 2002-06-22 2002-06-22 아파트내에 생태공원조성을 위한 시스템 KR2002900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970U KR200290097Y1 (ko) 2002-06-22 2002-06-22 아파트내에 생태공원조성을 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970U KR200290097Y1 (ko) 2002-06-22 2002-06-22 아파트내에 생태공원조성을 위한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4570A Division KR100456407B1 (ko) 2002-05-03 2002-05-03 아파트내에 생태공원조성을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0097Y1 true KR200290097Y1 (ko) 2002-09-27

Family

ID=73125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970U KR200290097Y1 (ko) 2002-06-22 2002-06-22 아파트내에 생태공원조성을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009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541B1 (ko) * 2002-07-04 2004-08-09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인공연못 조성방법
KR20040070980A (ko) * 2003-02-05 2004-08-11 상 을 이 생물다양성 복원에 적합한 인공 생태늪
KR100932661B1 (ko) 2009-09-24 2009-12-21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신도시 생태공원 인공수로 물 순환시스템
CN114438953A (zh) * 2022-01-10 2022-05-06 复旦大学 改善潮间带连片互花米草入侵区鸟类生态适宜度的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541B1 (ko) * 2002-07-04 2004-08-09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인공연못 조성방법
KR20040070980A (ko) * 2003-02-05 2004-08-11 상 을 이 생물다양성 복원에 적합한 인공 생태늪
KR100932661B1 (ko) 2009-09-24 2009-12-21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신도시 생태공원 인공수로 물 순환시스템
CN114438953A (zh) * 2022-01-10 2022-05-06 复旦大学 改善潮间带连片互花米草入侵区鸟类生态适宜度的方法
CN114438953B (zh) * 2022-01-10 2024-03-29 复旦大学 改善潮间带连片互花米草入侵区鸟类生态适宜度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ngas Ecological engineering: principles and practice
CN106277572B (zh) 一种生态与景观相结合的城市河道水体净化系统
WO2011005064A2 (ko) 기초환경의 동시 복원을 위한 동식물간 공존환경 조성방법 및 그 장치
CN106277334A (zh) 清水型生态系统及其构建方法
KR20100088359A (ko) 인공하천용 민물 어패류의 자연서식가능한 서식구조체
KR100456407B1 (ko) 아파트내에 생태공원조성을 위한 시스템
KR200290097Y1 (ko) 아파트내에 생태공원조성을 위한 시스템
Okeyo-Owuor et al. Wetlands of Lake Victoria Basin, Kenya: distribution, current status and conservation challenges.
van Bohemen Ecological engineering: bridging between ecology and civil engineering
Nienhuis Water and values: ecological research as the basis for water management and nature management
KR20040070980A (ko) 생물다양성 복원에 적합한 인공 생태늪
Elassal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Constructed Wetland Parks as a Model for Sustainable Parks
Fang et al. Clustered constructed wetland systems in Metropolitan Taipei
Liu et al. Analysis on the ecological restoration technology
Huang et al. Applying biotope concepts and approaches for sustainable environmental design
Trojanowska The new generation of urban parks and health-promoting landscapes in eco-neighborhoods
Bhikha The productive landscape: wetland rehabilitation at the lower reaches of the Liesbeek River
Hough The urban landscape: The hidden frontier
Amri et al. RESTORING RIVER ECOLOGICAL VALUE AT SUNGAI PUSU GOMBAK SELANGOR
Wang A case study of constructed wetlands application to restore habitats and treat wastewater
Jelić et al. Expert base for creating the action plan of
Liu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cological Wetland Parks Which Are Suitable for Frog Habitat
Czerniak Large Parks: Trends (and Possibilities)
Thangamathi et al. Review on wetlands and mosquitoes
Bandil Landscape master plan for Mansagar lake: Jaipur, Rajasth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