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397U - 환경 친화용 생태 수로관 - Google Patents

환경 친화용 생태 수로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397U
KR20120001397U KR2020100008650U KR20100008650U KR20120001397U KR 20120001397 U KR20120001397 U KR 20120001397U KR 2020100008650 U KR2020100008650 U KR 2020100008650U KR 20100008650 U KR20100008650 U KR 20100008650U KR 20120001397 U KR20120001397 U KR 2012000139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water pipe
eco
bon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6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식
Original Assignee
(주)서원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원산업 filed Critical (주)서원산업
Priority to KR20201000086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1397U/ko
Publication of KR201200013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39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환경 친화용 생태 수로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기존의 콘크리트 수로관을 최대로 유지하면서 바닥면의 두께를 두껍게 제작하고, 연성점토가 유입되도록 바닥면에 다수의 식생홈을 성형하여 수생식물의 식생이 가능하고, 어류(미꾸라지) 및 양서류(개구리, 두꺼비, 도롱뇽)의 서식이 가능하고, 물의 흐름에 대한 정비가 가능하며, 동식물의 생태적인 안정성을 제공하여 보다 자연친화적인 환경 조성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수로관의 벽면 구간에 경사지게 이동통로를 구비하여 서식처가 제공되는 양서류 및 파충류가 자연스럽게 외부로 이동탈출 할 수 있어, 생태계의 보존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환경 친화용 생태 수로관{The waterway pipe for protection of ecosystem}
본 고안은 환경 친화용 생태 수로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수로관의 바닥면 두께를 두껍게 제작하고, 이에 연성점토가 유입되는 다수의 식생홈을 성형하고, 이 식생홈 사이에 식생골을 연결하여 미생물이나 식물이 자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함에 따라 양서류 등과 같은 생물들의 에너지원을 제공하여 생존율을 높임으로써 생태계의 먹이 사슬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인 배수로나 농업용 수로를 구성하는 수로관은 그 단면이 "ㄷ"자 형태인 것을 주변의 지대보다 낮게 설치하여 흔히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수로는 그 제작이 편리하고, 설치작업이 간편한 등의 시공상 편리한 점은 많으나, 수로의 바닥면이 주위의 지대보다 낮게 설치되며 윗면을 덮지 않고 그대로 터놓는 까닭에 수로 내부로 개구리, 도마뱀, 지렁이 등과 같은 생물체들이 쉽게 빠지게 되어 밖으로 나올 수 없어 고사 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종래의 수로관이 수량 공급이나 유수 흐름만을 고려한 즉, 인간의 편의성만을 위하여 제작되었기 때문에 도래한 문제점으로, 더 이상 생물체의 이동통로를 인간에 의해 인위적으로 차단하여 생물체의 고사와 먹이사슬이 단절되는 생태계 파괴 문제를 해결하여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종래의 수로관이 생태계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채 인간의 편의성만을 위하여 제작되었기 때문에 도래한 것으로, 더 이상 생물체의 이동통로를 인간에 의해 인위적으로 차단하고 먹이사슬이 단절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또한, 수로관 주위에서 서식하는 뱀, 도마뱀 등과 같은 파충류나, 개구리, 두꺼비 등 양서류, 그리고 지렁이와 같은 모든 생물체가 수로관 내외부를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기 위해서는, 상기 생물체가 대부분 습기가 있어야 생존이 가능하기 때문에 식물이 자생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타입의 생태 수로관을 제공하고 있으나, 이러한 수로관들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개량하여 제작된 것으로, 수로관의 기능인 물 흐름에 방해를 주는 기능들이 추가되었으며, 콘크리트 구조물의 개량으로 인해 경제적인 손실을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콘크리트 수로관을 최대로 유지하면서 바닥면의 두께를 두껍게 하고, 이에 연성점토가 유입되는 다수의 식생홈을 성형하고, 이 식생홈 사이에 식생골을 성형하여 미생물이나 식물이 자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양서류 등과 같은 생물들의 에너지원을 제공하여 생존율을 높임으로써 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한 환경 친화용 생태 수로관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과제 해결 수단은 일단에 제1결합단차부가 연장 형성된 제1소켓부와, 제1소켓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에 제1결합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된 제1몸체부로 이루어진 제1수로관과; 상기 제1몸체부의 제1결합돌출부가 결합되는 제2결합단차부가 형성된 제2소켓부와, 제2소켓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에 제2결합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된 제2몸체부로 이루어진 제2수로관으로 구성된 수로관에 있어서, 상기 제1,2몸체부의 바닥면 길이 방향 양측에 상호 어긋나게 다수의 식생홈을 형성하여 연성점토를 채워 넣고, 상기 식생홈 사이의 바닥면을 연통되게 연결하여 식생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환경 친화용 생태 수로관에 의하면, 기존의 콘크리트 수로관을 최대로 유지하면서 바닥면의 두께를 두껍게 제작하고, 연성점토가 유입되도록 바닥면에 다수의 식생홈을 형성하고, 식생홈을 식생골로써 연결하여 수생식물의 식생이 가능하고, 어류(미꾸라지) 및 양서류(개구리, 두꺼비, 도롱뇽)의 서식이 가능하고, 물의 흐름에 대한 정비가 가능하며, 동식물의 생태적인 안정성을 제공하여 보다 자연친화적인 환경 조성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수로관의 양단 중앙 영역에 식생골을 각각 형성하여 연속적인 수로관의 조립시 식생홈과 식생골이 상호 연통되게 조립할 수 있어 물 흐름이 용이하고, 어류 및 양서류 등의 이동이 자유로운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수로관의 벽면 구간에 경사지게 이동통로를 구비하여 서식처가 제공되는 양서류 및 파충류가 자연스럽게 외부로 이동탈출 할 수 있어, 생태계의 보존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환경 친화용 생태 수로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환경 친화용 생태 수로관의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환경 친화용 생태 수로관의 사용상태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환경 친화용 생태 수로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도 4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환경 친화용 생태 수로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환경 친화용 생태 수로관이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환경 친화용 생태 수로관의 사용상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환경 친화용 생태 수로관은 일단에 제1결합단차부(12)가 연장 형성된 제1소켓부(10)와, 제1소켓부(10)와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에 제1결합돌출부(14)가 일체로 형성된 제1몸체부(16)로 이루어진 제1수로관(1)과; 제1몸체부(16)의 제1결합돌출부(14)가 결합되는 제2결합단차부(22)가 형성된 제2소켓부(20)와, 제2소켓부(20)와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에 제2결합돌출부(24)가 일체로 형성된 제2몸체부(26)로 이루어진 제2수로관(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2몸체부(16)(26)는 제1,2소켓부(10)(20)에 일체로 형성되고, 바닥면(17)(27)과 측벽면(18)(28)으로 이루어지며, 단부에 제1,2결합돌출부(14)(24)가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1,2몸체부(16)(26)의 바닥면(17)(27) 길이 방향의 양측에 상호 어긋나거나 또는 마주보게 다수의 식생홈(30)이 각각 형성되고, 식생홈(30) 사이의 바닥면(17)(27)을 연통되게 연결하여 식생골(32)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식생홈(30)은 바닥면(17)(27) 양측으로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을 유지하여 형성되고, 내부에 적정량의 연성점토(34)를 채워넣고, 이 연성점토(34)에 수초 등의 수생식물을 식재하여 미꾸라지 등 작은 어류와 개구리, 두꺼비, 도롱뇽 등의 양서류 서식처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식생골(32)은 식생홈(30) 사이를 연통 되게 연결하여 물 흐름이 원활하게 하기 위한 통로로서, 이를 통하여 미꾸라지 등 작은 어류와 개구리, 두꺼비, 도롱뇽 등의 양서류가 자유롭게 식생홈(30)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다.
이때, 식생골(32)은 양단이, 제1,2몸체부(10)(20)의 바닥면(17)(27) 중앙 영역에 각각 위치되게 형성되어 제1,2수로관(1)(2)의 조립 및 제3,4,5..수로관의 조립시 상호 일치되어 연속적인 연결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제1,2수로관(1)(2) 제작시 제1,2몸체부(10)(20)의 바닥면(17)(27) 두께를, 기존 수로관을 구성하는 몸체부의 바닥면보다 적어도 10cm 이상 두껍게 형성하여 식생홈(30)과 식생골(32)의 깊이가 충분히 유지되도록 구성하게 된다. 이때, 기존 수로관의 바닥면 두께가 10cm이면, 20cm 이상의 두께가 유지되도록 구성하게 된다. 즉, 그 두께가 20~30cm로 구성하여 식생홈(30)과 식생골(32)이 충분한 깊이가 유지된다.
그리고, 이상에서와 같이 수로관의 조립시 편의상 제1,2수로관(1)(2)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1,2,3,4...수로관을 제작한 다음, 이들을 상호 조립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환경 친화용 생태 수로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도 1 내지 도 3의 제1,2수로관(1)(2)을 구성하는 제1,2몸체부(10)(20)의 측벽면(18)(28) 양측에 경사지게 다수개의 경사돌출바(40)를 형성하여 개구리, 두꺼비, 도롱뇽 등의 양서류와 뱀 등의 파충류에 대한 탈출할 수 있는 통로가 제공된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다른 타입에 대한 탈출 통로를 형성한 것으로, 이는 제1,2수로관(1)(2)을 구성하는 제1,2몸체부(10)(20)의 측벽면(18)(28) 양측에 엇갈리게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돌기(50)(60)를 형성하여 탈출 통로로 사용하게 된다.
즉, 제1,2몸체부(10)(20)의 측벽면(18)(28) 양측에 엇갈리게 사각형 또는 원형의 돌기(50)(60)를 형성하여 양서류 및 파충류의 탈출 통로로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수로관에 대한 조립상태를 설명하면, 도 1 내지도 3에서와 같이, 먼저 수로관의 조립 위치에 제1수로관(1)을 안착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수로관(1)을 구성하는 제1소켓부(10)의 제1결합단차부(12)에 제2수로관(2)을 구성하는 제2몸체부(26)의 제2결합돌출부(24)를 결합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1소켓부(10)의 제1결합단차부(12)에 제2수로관(2)을 구성하는 제2몸체부(26)의 제2결합돌출부(24)가 결합되면서 제1,2수로관(1)(2)이 조립된다.
이와 동시에 제1,2몸체부(16)(26)의 바닥면(17)(27)이 동일 높이로 상호 일치되고, 바닥면(17)(27)의 식생홈(30)을 연결하는 식생골(32)이 상호 일치되어 연속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2몸체부(16)(26)의 바닥면(17)(27) 길이 방향의 양측에 상호 어긋나게 형성되고, 식생골(32)로써 연결된 식생홈(30)에 연성점토(34)를 채우게 됨에 따라 이에 수생식물을 식재할 수 있어 미꾸라지 등 작은 어류와 개구리, 뱀 등의 양서류 서식처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제1,2몸체부(10)(20)의 측벽면(18)(28)의 양측에 경사지게 다수개의 경사돌출바(40) 또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원형돌출부(50)를 돌출되게 형성하여 이러한 경사돌출바(40)와 원형 또는 평면으로 이루어진 돌기부(50)를 통하여 개구리, 두꺼비, 도롱뇽 등의 양서류와 뱀 등의 파충류 등이 쉽게 탈출할 수 있도록 통로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제1,2수로관(1)(2)을 구성하는 제1,2몸체부(10)(20)의 측벽면(18)(28) 양측에 엇갈리게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돌기(50)(60)를 형성하여 양서류 및 파충류의 탈출 통로로 사용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환경 친화용 생태 수로관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2 : 제1,2수로관 10,20 : 제1,2소켓부
16,26 : 제1,2몸체부 17,27 : 바닥면
18,18 : 측벽면 30 : 식생홈
32 : 식생골 34 : 연성점토
40 : 경사돌출바 50,60 : 돌출부

Claims (5)

  1. 일단에 제1결합단차부(12)가 연장 형성된 제1소켓부(10)와, 제1소켓부(10)와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에 제1결합돌출부(14)가 일체로 형성된 제1몸체부(16)로 이루어진 제1수로관(1)과; 상기 제1몸체부(16)의 제1결합돌출부(14)가 결합되는 제2결합단차부(22)가 형성된 제2소켓부(20)와, 제2소켓부(20)와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에 제2결합돌출부(24)가 일체로 형성된 제2몸체부(26)로 이루어진 제2수로관(2)으로 구성된 수로관에 있어서,
    상기 제1,2몸체부(16)(26)의 바닥면(17)(27) 길이 방향 양측에 상호 어긋나게 다수의 식생홈(30)을 형성하여 연성점토(34)를 채워 넣고,
    상기 식생홈(30) 사이의 바닥면(17)(27)을 연통되게 연결되도록 식생골(3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친화용 생태 수로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골(32)은
    양단이 상기 제1,2몸체부(10)(20)의 바닥면(17)(27) 중앙 영역에 각각 위치되게 형성되어 상기 1,2수로관(1)(2)의 조립시 연통되게 연속적인 연결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친화용 생태 수로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몸체부(10)(20)의 바닥면(17)(27) 두께를 20cm~30cm로 구성하여 식생홈(30)과 식생골(32)의 깊이가 유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친화용 생태 수로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몸체부(10)(20)의 측벽면(18)(28) 양측에 경사지게 다수의 경사돌출바(4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친화용 생태 수로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몸체부(10)(20)의 측벽면(18)(28) 양측에 엇갈리게 다수의 사각형 또는 원형의 돌출부(50)(6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친화용 생태 수로관.
KR2020100008650U 2010-08-19 2010-08-19 환경 친화용 생태 수로관 KR2012000139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650U KR20120001397U (ko) 2010-08-19 2010-08-19 환경 친화용 생태 수로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650U KR20120001397U (ko) 2010-08-19 2010-08-19 환경 친화용 생태 수로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397U true KR20120001397U (ko) 2012-02-29

Family

ID=45939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650U KR20120001397U (ko) 2010-08-19 2010-08-19 환경 친화용 생태 수로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139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52706A (zh) * 2014-10-22 2015-03-25 河海大学 一种灌溉输水渠道防渗型装配式生态护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52706A (zh) * 2014-10-22 2015-03-25 河海大学 一种灌溉输水渠道防渗型装配式生态护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792252U (zh) 具有植物生态修复功能的生态驳岸
CN110016887A (zh) 一种营造水生态系统生境的筑堤方法
CN205710093U (zh) 生物浮岛污水净化一体化景观装置
KR20120001397U (ko) 환경 친화용 생태 수로관
CN108104079A (zh) 一种新型生态农田排水沟系统
CN105862690B (zh) 一种带生态池的灌溉渠道
CN100507154C (zh) 多孔栖息单元式生态护岸块体
KR20130067647A (ko) 친환경 수로관
CN202396302U (zh) 一种浅水型涵管人工鱼礁
CN201411701Y (zh) 一种生态砌块及生态墙
KR101920839B1 (ko) 모듈형 문어 산란 구조물
CN216865235U (zh) 一种悬臂式生态挡墙
CN204174581U (zh) 嵌锁式植草挡土块
KR20170081111A (ko) 잔디블록
CN205061698U (zh) 一种生态景观水池
CN112273324B (zh) 一种修建在拦河坝附近的保护河狸的仿生通道
CN202595701U (zh) 一种植生渗滤砌块
KR20100010212U (ko) 농수로용 생태측구
KR200426017Y1 (ko) 생태보호 및 식생 용·배수로용 블록
KR100981417B1 (ko) 친환경 수로관
KR20090000182U (ko) 굴 패각 투석식 강제어초
CN205116112U (zh) 一种柱体状生态砌块
KR200340941Y1 (ko) 옹벽블록 겸용 어소블록
CN201905080U (zh) 垂直立体容器
KR101125868B1 (ko) 인공어초 및 인공어초 복합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