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0177U -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모듈 - Google Patents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0177U
KR20100010177U KR2020090003674U KR20090003674U KR20100010177U KR 20100010177 U KR20100010177 U KR 20100010177U KR 2020090003674 U KR2020090003674 U KR 2020090003674U KR 20090003674 U KR20090003674 U KR 20090003674U KR 20100010177 U KR20100010177 U KR 2010001017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bottom portion
screw fastening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36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도
Original Assignee
(주)광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산전자 filed Critical (주)광산전자
Priority to KR20200900036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0177U/ko
Publication of KR201000101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17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8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 H01L25/075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483Containers
    • H01L33/486Containers adapted for surface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쇄회로기판 상에 탑재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와; 밑면이 트여 있고 상부면이 막혀 있으며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탑재된 인쇄회로기판의 전면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와 대응하는 위치의 상부면에 복수의 볼록렌즈가 일체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투명재질의 덮개를 구비하여 구성된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모듈 {Light Emitting Diode Array Module}
본 고안은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광등 및 사인보드 등에 장착되는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모듈에 관한 것이다.
종래, 경찰차, 앰뷸런스, 견인차 등과 같은 차량에 설치되어 다른 차량에 긴급 상황을 알리도록 하기 위한 경광등과, 도로에서 공사 및 작업 등의 도로 상황을 알리기 위한 사인보드 등에서는 전구를 사용하여 전구의 발광에 의하여 운전자 등에게 경고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전구를 사용하는 경광등 및 사인보드는 전구의 수명이 짧음으로 인하여 도로에서 작동 중에 전구의 수명이 다하면 경광등 및 사인보드의 기능을 제대로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구가 전구 소켓에 결합되는데, 경광등과 사인보드의 내부에 습기가 들어가서 전구 소켓이 부식되면 전구의 발광이 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경광등과 사인보드에 전구 대신에 수명이 반영구적이면서 소켓이 필요없는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추세에 있다. 그런데, 종래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경광등과 사인보드에서는 발광 다이오 드에서 발광되는 빛의 퍼짐으로 인하여 경광등과 사인보드의 선명도가 떨어지고 원거리에서의 식별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발광 다이오드에서 발광된 빛이 퍼지지 않도록 하면서 직진성을 높여 가까운 거리에서는 선명하게 보이도록 하고 먼 거리에서도 식별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요망 사항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발광 다이오드에서 발광된 빛이 퍼지지 않도록 하면서 직진성을 높여 가까운 거리에서는 선명하게 보이도록 하고 먼 거리에서도 식별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모듈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모듈은, 인쇄회로기판 상에 탑재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와; 밑면이 트여 있고 상부면이 막혀 있으며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탑재된 인쇄회로기판의 전면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와 대응하는 위치의 상부면에 복수의 볼록렌즈가 일체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투명재질의 덮개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는 서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볼록렌즈는 서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모듈은, 저면부와; 상기 저면부의 외곽라인에서 일정 간격만큼 안쪽에서 상기 저면부상에 수직하게 일정 높이로 일체로 형성된 턱과; 상기 저면부의 좌우 양 측부에서 상기 턱의 안쪽에 상기 저면부 상에 수직하게 일정 높이로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나사 체결 보스와; 상기 저면부의 모서리 부분에서 상기 턱의 안쪽에 상기 저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의 나 사 체결 구멍과; 상기 저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이 통과하게 되는 케이블 관통 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밑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모서리부분에 안쪽으로 라운드하게 절개된 절개부와; 좌우 양 측부에서 관통 형성되어 상기 밑판의 나사 체결 보스에 나사 체결되는 나사 체결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에는 각 모서리부분에 상부와 하부가 트여 있고 하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절개부를 통해서 상기 밑판의 나사 체결 구멍에 나사에 의하여 나사 체결되는 복수의 나사 체결 보스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에서 발광된 빛이 볼록렌즈 어레이의 각 볼록렌즈를 통과하면서 퍼짐이 방지되고 각 볼록렌즈의 중심쪽으로 집광되므로, 퍼짐이 줄고 직진성이 높아 가까운 거리에서는 선명하고 먼 거리에서도 식별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모듈은, 경광등과 사인보드 등에 장착하면 경광등과 사이보드에서 빛의 퍼짐을 줄이고 직진성을 높여서 가까운 거리에서는 선명하게 보이도록 하고 먼 거리에서도 식별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 드 어레이 모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투명 덮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모듈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동 도면들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모듈은, 밑판(10)과 인쇄회로기판(20) 및 투명 덮개(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밑판(10)은,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저면부(11)와; 상기 저면부(11)의 외곽라인에서 일정 간격만큼 안쪽에서 상기 저면부(11)상에 수직하게 일정 높이로 일체로 형성된 턱(12)과; 상기 저면부(11)의 좌우 양 측부에서 상기 턱(12)의 안쪽에 상기 저면부(11) 상에 수직하게 일정 높이로 일체로 형성된 두 개의 나사 체결 보스(14)(14)와; 상기 저면부(11)의 모서리 부분에서 상기 턱(12)의 안쪽에 상기 저면부(11)를 관통하여 형성된 네 개의 나사 체결 구멍(15)과; 상기 저면부(11)의 대략 중앙 부분에서 저면부(11)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이 통과하게 되는 케이블 관통 구멍(1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20)은, 배선패턴이 형성된 대략 사각형상의 기판(21)과; 기판(21)상에 서로 등간격으로 탑재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25,25,...) 및 회로소자와; 기판(21)의 모서리부분에 안쪽으로 라운드하게 절개되어 투명 덮개(3)의 나사 체결 보스(32)가 관통하는 절개부(22)와; 상기 기판(21)의 좌우 양 측부에 서 관통 형성되어 상기 밑판(10)의 나사 체결 보스(14)(14)에 나사(24)(24)에 의하여 나사 체결되는 나사 체결 구멍(23)(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투명 덮개(30)는, 예를 들면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며, 밑면이 트여 있고 상부면이 막혀 있는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쇄회로기판(20)의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25,25,...)와 대응하는 위치의 상부면에 서로 등간격으로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볼록렌즈 어레이(33,33,...)와; 각 모서리부분에 상부와 하부가 트여 있고 하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20)의 절개부(22)를 통해서 밑판(10)의 나사 체결 구멍(15)에 나사(34)에 의하여 나사 체결되는 네 개의 나사 체결 보스(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투명 덮개(30)의 외곽 밑면은 결합시에 밑판(10)에서 턱(12)의 외부에 형성된 저면부(11)와 접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투명 덮개와 인쇄회로기판 및 밑판이 대략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른 형성으로 설계해도 된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모듈에서는 인쇄회로기판(20)의 기판(21)상에 탑재된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25,25,...)에서 발광된 빛이 투명 덮개(30) 상에 형성된 볼록렌즈 어레이(33,33,...)에 의하여 집광되어 방사된다. 즉,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25,25,...)에서 발광된 빛이 볼록렌즈 어레이(33,33,...)의 각 볼록렌즈를 통과하면서 퍼짐이 방지되고 각 볼록렌즈의 중 심쪽으로 집광되게 된다. 따라서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모듈에 의하여 방사된 광은 퍼짐이 줄고 직진성이 높아 먼 거리에서도 식별이 용이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에서 발광된 빛이 볼록렌즈 어레이의 각 볼록렌즈를 통과하면서 퍼짐이 방지되고 각 볼록렌즈의 중심쪽으로 집광되므로, 퍼짐이 줄고 직진성이 높아 가까운 거리에서는 선명하고 먼 거리에서도 식별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모듈은, 경찰차, 앰뷸런스, 견인차 등과 같은 차량에 설치되어 다른 차량에 긴급 상황을 알리도록 하기 위한 경광등과, 도로에서 공사 및 작업 등의 도로 상황을 알리기 위한 사인보드 등에 장착하면, 경광등과 사이보드에서 빛의 퍼짐을 줄이고 직진성을 높여서 가까운 거리에서는 선명하게 보이도록 하고 먼 거리에서도 식별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이 첨부하는 실용신안등록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라면 본 고안에 속하는 것임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투명 덮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모듈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밑판 11 : 저면부
12 : 턱 13 : 케이블 관통 구멍
14 : 나사 체결 보스 15 : 나사 체결 구멍
20 : 인쇄회로기판 21 : 기판
22 : 절개부 23 : 나사 체결 구멍
24 : 나사 25 : 발광 다이오드
30 : 투명 덮개 32 : 나사 체결 보스
33 : 볼록렌즈(볼록렌즈 어레이)

Claims (5)

  1. 인쇄회로기판 상에 탑재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와;
    밑면이 트여 있고 상부면이 막혀 있으며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탑재된 인쇄회로기판의 전면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와 대응하는 위치의 상부면에 복수의 볼록렌즈가 일체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투명재질의 덮개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는 서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볼록렌즈는 서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모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저면부와; 상기 저면부의 외곽라인에서 일정 간격만큼 안쪽에서 상기 저면부상에 수직하게 일정 높이로 일체로 형성된 턱과; 상기 저면부의 좌우 양 측부에서 상기 턱의 안쪽에 상기 저면부 상에 수직하게 일정 높이로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나사 체결 보스와; 상기 저면부의 모서리 부분에서 상기 턱의 안쪽에 상기 저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의 나사 체결 구멍과; 상기 저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이 통과하게 되는 케이블 관통 구 멍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밑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모서리부분에 안쪽으로 라운드하게 절개된 절개부와; 좌우 양 측부에서 관통 형성되어 상기 밑판의 나사 체결 보스에 나사 체결되는 나사 체결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에는 각 모서리부분에 상부와 하부가 트여 있고 하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절개부를 통해서 상기 밑판의 나사 체결 구멍에 나사에 의하여 나사 체결되는 복수의 나사 체결 보스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모듈.
KR2020090003674U 2009-03-31 2009-03-31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모듈 KR2010001017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674U KR20100010177U (ko) 2009-03-31 2009-03-31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674U KR20100010177U (ko) 2009-03-31 2009-03-31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177U true KR20100010177U (ko) 2010-10-19

Family

ID=44200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3674U KR20100010177U (ko) 2009-03-31 2009-03-31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017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618B1 (ko) * 2011-12-13 2013-09-26 이왕건 무대용 보더라이트
KR101410568B1 (ko) * 2012-08-02 2014-06-20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렌즈 배열체를 포함하는 광조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618B1 (ko) * 2011-12-13 2013-09-26 이왕건 무대용 보더라이트
KR101410568B1 (ko) * 2012-08-02 2014-06-20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렌즈 배열체를 포함하는 광조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5839B2 (en) Three color LED bulb
US10018325B2 (en) Light device of vehicle
US6552658B1 (en) Light emitting diode flashing directional warning lamp
KR100865478B1 (ko) Led를 이용한 가로등
KR100717720B1 (ko) 유도등용 램프 장치
KR101296191B1 (ko) 자동차용 엘이디조명램프
KR101344513B1 (ko) 엘이디 램프 조립체
US20070041195A1 (en) Light emitting assembly
KR20220123190A (ko) 자동차용 조명 장치
US9168864B2 (en) Reduced profile lamp having enhanced illumination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CN210373270U (zh) 车辆用警光灯
KR101672439B1 (ko) Led소켓조립체
WO2011036869A1 (ja) 標識灯
KR20100010177U (ko)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모듈
KR20110004594U (ko) 차량용 섬광 스트로브 경광등
WO2023273396A1 (zh) 方向盘组件
CN201386966Y (zh) 汽车安全警示灯
US20130343077A1 (en) Vehicle light
KR101039314B1 (ko) 엘이디를 이용한 차량용 시그널 램프
US20060061994A1 (en) Alert lampshade device
KR100770970B1 (ko) 긴급차량용 차체작업등
WO2023282041A1 (ja) 車両用灯具
KR20110034744A (ko) 엘이디 조명장치
JPH0649176Y2 (ja) 標識灯付き樹根ガード盤
KR200294297Y1 (ko) 자동차번호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