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9507U - 전기로의 수냉 파이프 소손 방지 홀더 - Google Patents

전기로의 수냉 파이프 소손 방지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9507U
KR20100009507U KR2020090003173U KR20090003173U KR20100009507U KR 20100009507 U KR20100009507 U KR 20100009507U KR 2020090003173 U KR2020090003173 U KR 2020090003173U KR 20090003173 U KR20090003173 U KR 20090003173U KR 20100009507 U KR20100009507 U KR 201000095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electric furnace
cooled
cooled pip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31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신균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031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9507U/ko
Publication of KR201000095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50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3/00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 F27B3/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hearth-type furnaces
    • F27B3/24Coo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3/00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 F27B3/08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heated electrically, with or without any other source of heat
    • F27B3/085Arc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3/00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 F27B3/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hearth-type furnaces
    • F27B3/12Working chambers or casings; Suppor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5/00Supports, screens, or the like for the charge within the furnac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52Manufacture of steel in electric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5/00Supports, screens, or the like for the charge within the furnace
    • F27D2005/0081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 Vertical, Hearth, Or Arc Furna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로의 수냉 파이프 소손 방지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로(10)의 하측으로 연장된 수냉 파이프(15) 사이에 고정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수냉 파이프(15)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부재(21)와, 상기 간격유지부재(21)의 양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수냉파이프(15)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접촉면(33)이 구비된 지지부재(31)를 포함한다. 본 고안은 수냉 파이프(15)간 마찰을 방지하여 수냉 파이프(15)의 사용수명을 연장하므로 고열환경에 대해 전기로(10) 커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작업자의 상해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전기로, 수냉 파이프, 간격 유지

Description

전기로의 수냉 파이프 소손 방지 홀더{Hold for preventing damage of water cooling pipe in electric furnace}
본 고안은 전기로의 수냉 파이프 소손 방지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로 경동시 수냉 파이프 상호간의 마찰을 방지하는 전기로의 수냉 파이프 소손 방지 홀더에 관한 것이다.
전기로는 상부의 흑연 전극봉을 음전극에 연결하고, 하부 전극봉을 양전극에 연결한 후 전극봉에 전류를 공급하여 아크를 발생시키고 그 아크를 열원으로 전기로 내에 장입된 고철을 용해한다.
전기로는 외부가 두꺼운 철판으로 되어 있고, 내부에는 냉각수가 공급되는 수냉패널이 설치되어 고열에도 견딜수 있도록 된다.
그리고 전기로의 커버(노 천정) 중앙에는 상부 전극봉을 수직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전극봉 인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의 외면에는 전기로 조업시 발생되는 복사열과 화염, 고철용해 및 산소 취입시 발생되는 비산물로부터 커버을 보호할 수 있도록 수냉 파이프가 연결 설치된다.
하지만 수냉 파이프는 천청 내부에 냉각수가 순환되도록 냉각수 공급측과 냉 각수 토출측으로 구분된 복수개가 전기로의 하부측으로 연장 설치되므로 전기로의 경동시 유동에 의한 상호간의 마찰이 빈번하여 소손(쓸림 현상)이 자주 발생한다.
특히, 전기로 공정 특성상 슬래그가 비산되거나 유출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에는 전기로로 부터 비산되거나 유출된 슬래그가 수냉 파이프 사이에 쌓이게 되어 수냉 파이프 상호간의 마찰시 소손을 더욱 가속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수냉 파이프에 소손이 발생하면 커버 내부에 냉각수 순환이 원활하지 못해 커버가 용해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조업을 중단하고 수냉 파이프를 교환해야 하는데, 이때 용강의 고열로 인해 수냉 파이프의 교환이 난이한 문제가 있다.
또, 소손이 발생하여 냉각수가 누수되는 경우에는 설비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그 주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에게 큰 상해를 입히게 되는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파이프간 마찰을 방지함으로써 수냉 파이프의 소손을 방지하고 작업자의 불안을 해소할 수 있도록 된 파이프 소손 방지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전기로(10)의 하측으로 연장된 수냉 파이프(15) 사이에 고정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수냉 파이프(15)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부재(21)와, 상기 간격유지부재(21)의 양단부에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며, 상기 수냉파이프(15)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접촉면(33)이 구비된 지지부재(31)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31)의 접촉면(33)은 원호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간격유지부재(21)와 상기 지지부재(31)는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31)의 접촉면(33)에는 탄성력을 갖는 압착판(35)이 부착된다.
상기 간격유지부재(21)는 상호 체결 가능한 턴버클이다.
본 고안은 전기로의 경동시 수냉 파이프간의 마찰을 방지하도록 된 것인바, 간격유지부재와 지지부재로 이루어진 수냉 파이프 소손 방지 홀더를 수냉 파이프 사이에 고정되도록 배치하여 수냉 파이프간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이는 간단한 구성으로도 수냉 파이프간의 마찰을 방지하므로 수냉 파이프의 소손(손상 및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수냉 파이프의 사용수명이 연장되고, 전기로의 커버의 용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상해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전기로의 수냉 파이프 소손 방지 홀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전기로의 수냉 파이프 소손 방지 홀더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전기로 전체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가 채용된 전기로 수냉 파이프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수냉 파이프 주변을 보인 확대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전기로(10)의 수냉 파이프 소손 방지 홀더(이하, 수냉 파이프 소손 방지 홀더)(20)는 전기로(10)의 하측으로 연장된 수냉 파이프(15) 사이에 고정되도록 배치되어 수냉 파이프(15)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부재(21)와, 간격유지부재(21)의 양단부에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며, 수냉파이프(15)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접촉면(33)이 구비된 지지부재(31)를 포함한다.
간격유지부재(21)는 수냉 파이프(15) 사이에 고정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지지부재(31)의 접촉면(33)이 수냉 파이프(15)의 외주면에 밀착됨으로써 수냉 파이프(15)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유지부재(21)는 나사체결방식에 의해 상호 체결 가능한 턴버클을 채용한다. 이는 수냉 파이프(15) 사이의 간격 조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간격유지부재(21)는 중간에 위치한 몸체(23)를 기준으로 양단측에 위치한 체결부(25)가 몸체(23)에 나사 체결되어 각각 착탈 가능한 턴버클 구조로 된다.
한편, 지지부재(31)는 상기 간격유지부재(21)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며, 수냉 파이프(15)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접촉면(33)을 구비한다. 접촉면(33)은 수냉 파이프(15)의 외주면 일부분을 감싸 밀착되는 원호면으로 형성된다.
즉, 지지부재(31)는 원호면으로 수냉 파이프(15)의 외주면과 접촉되어 수냉 파이프(15)를 서로 이격시키는 가압면적이 넓으므로 수냉 파이프(15)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또한, 지지부재(31)의 접촉면에는 탄성력을 갖는 압착판(35)이 부착되어 수냉 파이프(15)의 외주면을 가압할 경우 수냉 파이프(15)를 손상시키지 않고 가압할 수 있다.
간격유지부재(21)와 지지부재(31)는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이는 수냉 파이프(15)가 서로 밀착되는 힘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간격유지부재(21)와 지지부재(31)는 각각 제작되어 용접을 통해 상호 결합될 수도 있고, 또는 주형을 이용하여 일체의 주물로 제작될 수도 있다. 그리고 압착판(35)은 탄성체이거나 고무재질일 수 있다.
이러한 수냉 파이프 소손 방지 홀더(20)는 전기로(10)의 경동시에도 수냉 파이프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수냉 파이프(15)간의 마찰이 발생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한다.
수냉 파이프 소손 방지 홀더(20)는 수냉 파이프(15) 사이에 고정 배치됨으로써 수냉 파이프(15)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기본으로하며, 수냉 파이프(15) 이외에도 전기로(10) 부근의 다른 파이프(15)간 마찰에 의한 마모를 방지할 목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수냉 파이프 소손 방지 홀더(20)는 수냉 파이프(15)간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함에 의해 전기로(10)로 부터 유출된 슬래그가 수냉 파이프(15)에 쌓이는 것도 방지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냉 파이프 소손 방지 홀더(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냉 파이프(15) 사이에 고정되도록 배치되어 전기로(10)의 경동시에도 수냉 파이프(15)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이때, 수냉 파이프 소손 방지 홀더(20)는 간격유지부재(21)가 길이조절이 가능한 턴버클 형식을 채용하므로 수냉 파이프(15)간 간격을 필요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수냉 파이프(15)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몸체(23)에 대해 체결부(25)를 회전하여 두 체결부(25)를 서로 접근시키거나, 회전을 반대로 하여 두 체결부(25)를 서로 멀어지게 함으로써 수냉 파이프(15)간 간격을 조절한다.
여기서, 수냉 파이프 소손 방지 홀더(20)는 수냉 파이프(15) 사이에 배치되어(끼워져) 수냉 파이프가 서로 밀착되는 반대방향의 외력을 상기 수냉 파이프(15)에 부여하므로, 수냉 파이프(15) 사이에 고정 배치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전기로(10)의 경동시에도 수냉 파이프(15)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어 수냉 파이프(15)간의 마찰이 발생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을 물론이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청구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전기로의 수냉 파이프 소손 방지 홀더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전기로 전체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가 채용된 전기로 수냉 파이프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수냉 파이프 주변을 보인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전기로 15:수냉 파이프
20:수냉 파이프 소손 방지 홀더
21:간격유지부재 23:몸체
25:체결부 31:지지부재
33:접촉면 35:압착판

Claims (4)

  1. 전기로의 하측으로 연장된 수냉 파이프 사이에 고정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수냉 파이프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부재와,
    상기 간격유지부재의 양단부에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며, 상기 수냉파이프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접촉면이 구비된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 파이프 소손 방지 홀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접촉면은 원호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수냉 파이프 소손 방지 홀더.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는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접촉면에는 탄성력을 갖는 압착판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수냉 파이프 소손 방지 홀더.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나사체결방식에 의해 상호 체결 가능한 턴버클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수냉 파이프 소손 방지 홀더.
KR2020090003173U 2009-03-19 2009-03-19 전기로의 수냉 파이프 소손 방지 홀더 KR2010000950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173U KR20100009507U (ko) 2009-03-19 2009-03-19 전기로의 수냉 파이프 소손 방지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173U KR20100009507U (ko) 2009-03-19 2009-03-19 전기로의 수냉 파이프 소손 방지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507U true KR20100009507U (ko) 2010-09-29

Family

ID=44199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3173U KR20100009507U (ko) 2009-03-19 2009-03-19 전기로의 수냉 파이프 소손 방지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950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3974A (ko) 2021-07-20 2023-01-27 권종욱 잡초 성장억제용 밭 덮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3974A (ko) 2021-07-20 2023-01-27 권종욱 잡초 성장억제용 밭 덮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3517B1 (ko) 밀봉 장치
EP1069389A1 (en) Water-cooling panel for furnace wall and furnace cover of arc furnace
KR102547848B1 (ko) 야금로를 위한 버크스테이를 갖는 측벽
ZA200501130B (en) Cooling plate for metallurgic furnaces
US8780952B2 (en) Roof system for electric arc furna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2870496A (zh) 电极支臂系统
US10337797B2 (en) Refractory delta cooling system
KR20100009507U (ko) 전기로의 수냉 파이프 소손 방지 홀더
CN209820164U (zh) 一种真空自耗炉熔炼高速冷却装置
CN109883206B (zh) 一种真空自耗炉熔炼高速冷却装置
JP5569315B2 (ja) 冶金炉の水冷フランジ
JP3060148B2 (ja) アーク炉炉蓋用電極スリーブ
CN112251612A (zh) 一种真空自耗电极熔炼的水冷模具
JP2984173B2 (ja) 取鍋精錬電極装置
EP2960608A1 (en) Method for cooling housing of melting unit and melting unit
US7611663B2 (en) Industrial furnace and associated jet element
CN216745445U (zh) 一种保护水冷系统的耐材炉盖
KR20120020480A (ko) 크랙방지 집진 수냉덕트
JPS5923357Y2 (ja) 電気炉電極の冷却装置
CN107419053B (zh) 一种炼钢转炉用漏钢防爆装置
CN218436021U (zh) 一种单晶炉下轴保护装置
RU214151U1 (ru) Промежуточный ковш
CN110986571A (zh) 一种用于冶金废渣调质的直流电弧炉
KR20120021384A (ko) 전기로용 수냉 판넬 및 그 설치방법
KR100768316B1 (ko) 전기로용 카본 인젝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