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9154U - 채소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채소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9154U
KR20100009154U KR2020090002703U KR20090002703U KR20100009154U KR 20100009154 U KR20100009154 U KR 20100009154U KR 2020090002703 U KR2020090002703 U KR 2020090002703U KR 20090002703 U KR20090002703 U KR 20090002703U KR 20100009154 U KR20100009154 U KR 2010000915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ble
base plate
cutting device
rotating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27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효점
Original Assignee
곽효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효점 filed Critical 곽효점
Priority to KR20200900027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9154U/ko
Publication of KR201000091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15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4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 B26D3/26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fruit or vegetables, e.g. for on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7/00Household peeling, stringing, or paring implements or machines
    • A47J17/14Machines for peeling
    • A47J17/16Peeling machines with rotary fruit-holding spindles and fixed or movable peel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2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by peeling-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채소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채소가 안착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되고, 상기 채소의 일단을 고정하여 회전시키는 회전부(45)가 구비되는 구동조립체(40)와, 상기 채소가 안착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 상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45)에 의해 회전되는 채소에 다수개의 칼집을 형성하는 제1절단칼(20)과, 상기 채소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기 제1절단칼(20)에 인접하도록 베이스플레이트(10) 상에 설치되어, 상기 칼집이 형성된 채소를 가늘게 절단하는 제2절단칼(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채소, 무채, 절단기

Description

채소절단장치{Machine for mincing vegetable}
본 고안은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채소를 회전시키면서 연속적으로 절단하기 위한 채소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채를 비롯하여 채소를 절단하는 경우에는 일반 식칼 또는 채칼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식칼이나 채칼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전적으로 의존하게 되므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작업을 통해 무채를 비롯한 채소를 절단하는 경우에는,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라면 일정한 두께와 크기를 갖도록 채소를 절단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 품질이 떨어지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절단을 위한 강판과 같은 기구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은 강판 역시 작업자가 채소를 파지하고 강판의 표면 상을 빠른 속도로 왕복시켜야 하므로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은 크게 다르지 않다.
그리고, 채소 중에서 무와 같이 외면의 껍질 부분도 어느 정도 제거한 상태로 사용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작업자는 먼저 껍질을 제거하고 나서 절단작업을 수 행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더 늘어나게 된다.
또한, 껍질제거작업이 추가로 필요하므로 채소의 절단 작업이 두 번에 나누어져 이루어지므로 채소의 절단을 위한 자동화장치를 개발하더라도 껍질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속으로 회전하는 모터 및 채칼을 이용하여 채소를 자동으로 가늘게 절단하는 채소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채소의 껍질이 벗겨짐과 동시에 채소가 가늘게 절단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채소를 가늘게 절단하기 위한 채소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채소가 안착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되고, 상기 채소의 일단을 고정하여 회전시키는 회전부가 구비되는 구동조립체와, 상기 채소가 안착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에 의해 회전되는 채소에 다수개의 칼집을 형성하는 제1절단칼과, 상기 채소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기 제1절단칼에 인접하도록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설치되어, 상기 칼집이 형성된 채소를 가늘게 절단하는 제2절단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에는 껍질제거조립체가 상기 채소의 외면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채소가 회전부에 의해 회전되는 과정에서 채소의 껍질을 제거한다.
상기 껍질제거조립체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외팔보 형상으로 연장되어 그 선단이 상기 몸체부와 함께 상기 채소의 외면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암과, 상기 회전암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채소의 껍질을 제거하는 껍질제거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껍질제거조립체의 회전암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껍질제거조립체의 회전암이 상기 채소의 외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는다.
상기 껍질제거칼은 상기 회전암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구동조립체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직교하게 연장되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유압 또는 모터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되는 이동블록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을 향하는 상기 이동블록의 저면에 설치되고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이동블록이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 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채소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는 모터에 연결되는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채소의 상단을 찍어 고정시키는 고정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상기 구동조립체의 이동경로 상에 스토퍼가 설치되어, 상기 구동조립체의 이동행정을 제한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상기 채소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보스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1절단칼은 골격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다수개 가 나란히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방향을 따라 돌출된 정도가 점점 커지도록 설치되는 절단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채소절단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채소가 회전부에 의해 회전되는 과정에서 제1절단칼과 제2절단칼에 의해 가늘게 절단되므로,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채소를 절단할 필요가 없고, 채소가 정교하게 절단될 수 있어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채소가 절단됨과 동시에 껍질제거조립체에 의해 채소의 껍질이 자동으로 제거되므로 작업성이 향상되고, 채소껍질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없게 되는 장점도 있다.
특히 껍질제거조립체의 껍질제거칼날의 각도 조절읕 통해 다양한 크기와 형상의 채소껍질을 제거할 수 있어, 채소절단장치의 호환성이 좋아지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스토퍼가 구비되어 구동조립체의 이동행정이 제한되므로 채소절단장치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절단칼이 베이스플레이트에 별개물로 조립되므로, 날이 무뎌진 경우에 절단칼을 쉽게 교체할 수 있어 채소절단장치의 유지보수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채소절단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채소절단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껍질제거조립체의 구성이 요부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채소 중에서 무를 절단하여 무채를 제조하기 위한 채소절단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한 채소절단장치는 일반적으로 테이블(T)에 설치된다. 상기 테이블(T)은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그 바닥면이 개구되도록 설치되어, 채소절단장치에 의해 절단된 무채가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된다.
그리고, 상기 테이블(T)의 일측에는 벽체(W)가 직교하게 설치되어, 후술할 채소절단장치의 구동조립체(40)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채소절단장치의 골격은 베이스플레이트(10)가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는 상기 테이블(T) 상에 안착되는 판상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제1절단칼(20)과 제2절단칼(30)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일측에는 스토퍼(15)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15)는 구동조립체(40)를 향해 돌출되어 구동조립체(40)가 과도하게 하강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토퍼(15)는 연성이 좋은 고무재질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일측에는 가이드레일(16)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6)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로부터 상기 벽체(W)를 따라 연장되는 것으로, 구동조립체(4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에는 고정보스(17)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보스(17)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 상에 돌출되어, 상기 무(P, 도 4참조)가 베이스플레이트(10)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무(P)의 저면을 파고 들어 무(P)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보스(17)는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에는 제1절단칼(20)이 설치된다. 상기 제1절단칼(20)은 상기 무(P)의 저면에 다수개의 칼집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후술할 제2절단칼(30)과 협력하여 무채를 실질적으로 만들어내는 역할을 한다.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절단칼(20)은 하우징(21)과, 상기 하우징(21) 내부에 설치되는 절단날(25)을 포함한다. 상기 절단날(25)은 상기 하우징(21) 내부에 다수개가 촘촘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절단날(25)은 아래에서 설명될 구동조립체(40)의 회전부(45)의 회전방향(화살표 A방향)을 따라 돌출된 정도가 점점 커지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절단날(25) 상을 이동하는 무(P)의 저면은 절단날(25)에 의해 칼집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절단칼(20)에 인접한 위치에는 제2절단칼(30)이 구비된다. 상기 제2절단칼(30)은 상기 제1절단칼(20)에 의해 칼집이 형성된 무(P)를 절단하여 무(P)로부터 가는 무채를 만들어내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절단칼(30)은 상기 무(P)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기 제1절단칼(20)에 인접하도록 설치되고, 도 2에서 보듯이, 그 칼날(35)의 방향이 상기 제1절단칼(20)의 절단날(25)의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절단칼(20) 및 제2절단칼(30)은 각각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와 별개물로서, 분리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절단칼(20) 및 제2절단칼(30)은 베이스플레이트(10)로부터 분리되어 교체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일측에는 구동조립체(40)가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구동조립체(4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를 향해 선택적으로 이동되어, 상기 무(P)를 누름과 동시에, 상기 무(P)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구동조립체(40)는 상기 가이드레일(16)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블록(도면부호 부여 않음)과, 상기 이동블록에 설치되는 회전부(45)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블록은 모터나 유압과 같은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벽체(W)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무(P)를 베이스플레이트(10) 방향으로 눌러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를 향한 상기 이동블록의 저면에는 회전부(45)가 구비되어, 상기 무(P)를 고정하여 회전시켜주게 된다. 상기 회전부(45)는 모터와 같은 별도의 구동원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한 회전몸체(도면부호 부여않음)가 그 골격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45)에는 고정날(47)이 형성되어, 상기 무(P)의 상면을 찍어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일측에는 껍질제거조립체(50)가 설치된다. 껍질제거조립체(50)는 상기 무(P)의 껍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무(P)가 회전부(45)에 의해 회전되는 동작을 이용하여 무(P)의 껍질을 자연스럽게 제거하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껍질제거조립체(50)의 골격은 베이스플레이트(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부(51)가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51)에는 회전암(53)이 연결되는데, 상기 회전암(53)은 외팔보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51)와 함께 상기 무(P)의 외면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암(53)의 선단에는 껍질제거칼(55)이 설치된다. 상기 껍질제거칼(55)은 상기 무(P)의 껍질을 실질적으로 제거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칼몸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칼날(57)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껍질제거칼(55)은 상기 회전암(53)에 대해 회전가능한 상태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무(P)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껍질제거칼(55)의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무(P)의 껍질이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회전암(53)과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일측은 탄성부재(S)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탄성부재(S)는 상기 회전암(53)을 무(P)의 외면 방향(도 1의 화살표 X방향)으로 당겨주는 역할을 하는 인장스프링으로서, 무(P)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껍질제거칼(55)이 무(P)의 외면을 계속 가압하여 자연스럽게 껍질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미설명부호 B는 탄성부재(S) 고정을 위한 볼트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채소절단장치에 의해 채소가 절단되 는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 내지 도 6c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이용하여 채소를 절단하는 과정이 동작상태로도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먼저 작업자는 무(P)를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면에 안착시킨다. 보다 정확하게는 무(P)를 파지하고, 상기 무(P)의 저면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고정보스(17)(도 1참조)를 향하도록 하여 이동시켜, 무(P)의 저면이 고정보스(17) 끼워져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6a에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제1스위치(미도시) 온(ON)시키면, 구동조립체(40)가 작동을 시작하여, 이동블록이 가이드레일(16)을 따라 무(P)를 향해 이동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이동블록에 구비된 회전부(45)의 고정날(47)이 무(P) 상단을 파고 들어 무(P)를 고정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무(P)의 저면은 고정보스(17)에 의해, 그리고 무(P)의 상면은 상기 고정날(47)에 의해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6b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작업자가 제2스위치(미도시)를 온시키면, 상기 회전부(45)에 연결된 모터가 회전되어 상기 회전부(45)가 회전을 시작한다. 이에 따라 상기 상기 무(P)는 상기 회전부(45)와 고정보스(17)를 연결하는 가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이 과정에서 무채가 생성된다. 무채의 생성과정은 이하에서 좀 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무(P)가 고정된 베이스플레이트(10)에는 제1절단칼(20)과 제2절단 칼(30)이 구비된다. 상기 무(P)의 저면에는 무(P)의 회전과정에서 상기 제1절단칼(20)에 의해 칼집이 다수개 형성되고, 곧 이어 제2절단칼(30)에 의해 다수개의 칼집은 가는 무채로 절단된다. 이는 상기 제1절단칼(20)과 제2절단칼(30)의 날 방향이 직교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형성된 무채는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저면을 통해 하방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6c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무(P)의 저면이 무채가 됨에 따라 상기 무(P)의 전체 높이는 점점 줄어들게 되는데, 상기 이동블록은 상기 무(P)를 계속 누르고 있는 상태이므로 이동블록 역시 점점 하강하게 된다. 도 6c는 무(P)의 절반 가량이 무채로 절단된 모습이다. 이와 같이, 작업자는 최초의 무(P) 고정작업 및 스위치를 누르는 작업만 수행하면 되므로 편리하게 무채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이때, 이동블록은 하강과정에서 스토퍼(15)에 의해 막혀 하강 정도가 제한되므로 이동블록이 베이스플레이트(10)에 부딪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P)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무채가 형성됨과 동시에, 무(P)의 껍질 역시 벗겨지게 된다. 이는 껍질제거조립체(50)의 회전암(53)에 설치된 껍질제거칼(55)날이 무(P)의 외면에 접한 상태이므로, 무(P)가 회전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껍질이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무채를 썰기에 앞서, 무(P)의 껍질을 제거하는 작업을 별도로 할 필요가 없게 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 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껍질제거조립체(50)가 구비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껍질제거조립체(50)는 반드시 구비될 필요는 없고, 베이스플레이트(10)와 제1절단칼(20) 및 제2절단칼(30) 그리고 구동조립체(40) 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채소절단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껍질제거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요부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껍질제거조립체의 회전암이 회전된 상태의 구성을 보인 요부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에 채소가 안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절단칼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고안 실시예를 이용하여 채소를 절단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베이스플레이트 15: 스토퍼
16: 가이드레일 17: 고정보스
20: 제1절단칼 30: 제2절단칼
40: 구동조립체 45: 회전부
50: 껍질제거조립체 51: 몸체부
53: 회전암 55: 껍질제거칼날

Claims (11)

  1. 채소를 가늘게 절단하기 위한 채소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채소가 안착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되고, 상기 채소의 일단을 고정하여 회전시키는 회전부가 구비되는 구동조립체와,
    상기 채소가 안착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에 의해 회전되는 채소에 다수개의 칼집을 형성하는 제1절단칼과,
    상기 채소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기 제1절단칼에 인접하도록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설치되어, 상기 칼집이 형성된 채소를 가늘게 절단하는 제2절단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채소절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에는 껍질제거조립체가 상기 채소의 외면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채소가 회전부에 의해 회전되는 과정에서 채소의 껍질을 제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절단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껍질제거조립체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외팔보 형상으로 연장되어 그 선단이 상기 몸체부와 함께 상기 채소의 외면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암과,
    상기 회전암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채소의 껍질을 제거하는 껍질제거칼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절단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껍질제거조립체의 회전암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껍질제거조립체의 회전암이 상기 채소의 외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절단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껍질제거칼은 상기 회전암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절단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조립체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직교하게 연장되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유압 또는 모터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되는 이동블록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을 향하는 상기 이동블록의 저면에 설치되고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이동블록이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 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채소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절단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모터에 연결되는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채소의 상단을 찍어 고정시키는 고정날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절단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상기 구동조립체의 이동경로 상에 스토퍼가 설치되어, 상기 구동조립체의 이동행정을 제한함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절단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상기 채소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보스가 돌출되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절단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단칼은
    골격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다수개가 나란히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방향을 따라 돌출된 정도가 점점 커지도록 설치되는 절단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채소절단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단칼의 날방향과 상기 제2절단칼의 날방향은 서로 직교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절단장치.
KR2020090002703U 2009-03-10 2009-03-10 채소절단장치 KR2010000915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703U KR20100009154U (ko) 2009-03-10 2009-03-10 채소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703U KR20100009154U (ko) 2009-03-10 2009-03-10 채소절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154U true KR20100009154U (ko) 2010-09-20

Family

ID=49294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2703U KR20100009154U (ko) 2009-03-10 2009-03-10 채소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915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7309A (ko) 2015-06-15 2016-12-23 김동화 길이가 긴 과채류 절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7309A (ko) 2015-06-15 2016-12-23 김동화 길이가 긴 과채류 절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5064B1 (ko) 배꼽부 탈피기를 갖는 감 탈피장치
KR20170036325A (ko) 다목적 과일 박피장치
KR20100009154U (ko) 채소절단장치
KR20190020864A (ko) 도마 절단장치
JP6132268B2 (ja) 皮剥き装置用保持具、皮剥き装置及び皮剥き方法
CN109316031B (zh) 一种半自动水果削皮装置
CN208939474U (zh) 剥皮机构
KR20110037599A (ko) 피복 절단수단 교환장치 및 이를 장착한 전선탈피장치
CN210095435U (zh) 一种半自动水果削皮装置
KR101369465B1 (ko) 피아노 해머 헤드 절삭장치
KR20090048660A (ko) 자동 손톱깎이
CN109217189A (zh) 剥皮机构
KR20110003366U (ko) 감박피기의 꼭지둘레의 껍질제거장치
JP2020031601A (ja) 根切除装置
JP6228022B2 (ja) 電動工具のベース用シート、ベース用シートを装着した電動工具
JP5851466B2 (ja) 間接活線作業用の先端工具
KR20210029044A (ko) 칼날세척장치
JP3155282U (ja) 手動式皮むき器
CN217085318U (zh) 适用于不同规格光纤的光纤切割刀
KR20200011139A (ko) 구근류 박피 장치
JP3133797U (ja) ロールペーパーホルダー
CN216337294U (zh) 一种可伸缩和转向的圆型玻璃刀
CN211729328U (zh) 一种轮胎切割机
CN214589660U (zh) 一种线材切断剥皮装置
WO2023219092A1 (ja) 削ぎ切り装置、及び、ワークの削ぎ切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