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9076A - 유아용 카시트의 안전벨트 유격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유아용 카시트의 안전벨트 유격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9076A
KR20100009076A KR1020080069768A KR20080069768A KR20100009076A KR 20100009076 A KR20100009076 A KR 20100009076A KR 1020080069768 A KR1020080069768 A KR 1020080069768A KR 20080069768 A KR20080069768 A KR 20080069768A KR 20100009076 A KR20100009076 A KR 20100009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elt
seat
locking
clea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9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3924B1 (ko
Inventor
한재희
Original Assignee
한재희
한상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재희, 한상하 filed Critical 한재희
Priority to KR1020080069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3924B1/ko
Publication of KR20100009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3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3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12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to the child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002/2815Adaptations for seat belts with additional belt accessories, e.g. a belt tension det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카시트에 유아의 위치를 고정하고 안전을 위한 목적으로 장착하는 안전벨트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푸싱레버의 원터치 조작을 통해 가랑이벨트의 유격을 유아의 개별적인 체형에 따라 최적의 맞춤상태로 조절하여 가랑이의 조임방지 및 안전성을 도모함은 물론 유아의 성장기에 나이 및 체형에 상관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안전벨트 유격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푸싱레버를 눌러 유격조절구의 록킹을 해제한 상태로 상기 유격조절구를 전후로 이동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가랑이벨트의 유격을 자유롭게 제어하도록 하고, 상기 푸싱레버를 이용하여 시트 보디의 배면을 경유하는 어깨벨트와 연결된 고정벨트의 록킹위치를 자유롭게 가변하면서 고정벨트의 록킹/언록킹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유아, 카시트, 안전벨트, 가랑이벨트, 유격, 조절, 체형, 안전

Description

유아용 카시트의 안전벨트 유격조절장치{Safety belt spacing adjustor of car seat for baby}
본 발명은 유아용 카시트에 유아의 위치를 고정하고 안전을 위한 목적으로 장착하는 안전벨트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푸싱레버의 원터치 조작을 통해 가랑이벨트의 유격을 유아의 개별적인 체형에 따라 최적의 맞춤상태로 조절하여 가랑이의 조임방지 및 안전성을 도모함은 물론 유아의 성장기에 나이 및 체형에 상관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안전벨트 유격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를 비롯한 각종 차량의 탑승시에는 탑승자의 안전을 위하여 안전벨트를 맨 상태에서 운행을 하게 된다. 그런데 대부분의 안전벨트는 성인을 기준으로 설치됨에 따라 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체격이 작은 유아나 어린이의 경우에는 안전벨트의 착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유아용 보호시트, 일명 카시트를 차량의 시트에 장착하여 그 카시트에 유아를 앉힌 상태에서 차량의 운행을 하고 있다.
이러한 카시트는 대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다리가 없는 의자 형태의 시트 보디에 쿠션재질의 외장커버가 둘러싸여 지고, 등받이 전면 상부로부터 바닥면 사이를 잇는 안전벨트가 별도로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안전벨트는 단순히 유아의 허리를 고정하는 것이 아리라 카시트에 앉혀지는 유아의 양 어깨를 지나 가랑이 사이로 연결되어 유아의 몸통 전체를 고정하는 방식을 채택하는 것으로, 상기 안전벨트는 시트 보디의 바닥면 중앙에 설치되는 가랑이벨트와, 상기 가랑이벨트에 형성된 버클에 선택적으로 착탈되고 시트 보디의 등받이 상부를 관통한 후 배면을 경유하여 고정되는 어깨벨트의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전벨트는 버클을 매개로 가랑이벨트와 어깨벨트를 일체로 연결시킨 상태에서는 무엇보다도 벨트가 유아를 너무 조이지 않도록 하여 편안함과 안락함을 제공함은 물론 안전벨트가 헐렁하지 않고 유아의 신체에 최대한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부상을 최소화하는 것이 최대의 관건이며, 이와 같은 제반사항은 사용상의 편리함과 안전성을 판단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카시트에 적용된 안전벨트는 시트 보디의 바닥면에 가랑이벨트가 완전한 고정상태로 설치됨에 따라 상기 가랑이벨트의 위치를 변경하면서 유격을 조절할 수 없는 것이었다.
따라서, 유아가 성장하면서 체형이 급격하게 변화됨에도 상기 가랑이벨트의 유격조절이 불가능함으로써 가랑이벨트가 유아의 가랑이를 심하게 조여 고통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또한, 시트 보디의 등받이를 관통한 후 배면을 경유하는 어깨벨트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벨트 고정장치가 추가로 구비되어야만 함으로써 제작에 따른 원가상승은 물론 구조가 조잡해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카시트는 소비자의 신뢰성을 떨어뜨려 이에 대한 개선을 필요로 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가 내포하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유격조절구를 이용하여 안전벨트를 구성하는 가랑이벨트의 유격을 유아의 개별적인 체형에 따라 최적의 맞춤상태로 간편하게 조절함은 물론 상기 유격조절구에 설치된 푸싱레버를 이용하여 어깨벨트와 연결된 고정벨트의 록킹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푸싱레버를 눌러 유격조절구의 록킹 을 해제한 상태로 상기 유격조절구를 전후로 이동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가랑이벨트의 유격을 자유롭게 제어하도록 함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푸싱레버를 이용하여 시트 보디의 배면을 경유하는 어깨벨트와 연결된 고정벨트의 록킹위치를 자유롭게 가변하면서 고정벨트의 록킹/언록킹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을 과제의 또 다른 해결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랑이벨트가 일체로 부착된 유격조절구가 시트 보디의 바닥면에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유격조절구에 결합된 푸싱레버를 눌러 유격조절구의 록킹을 일시적으로 해제한 후 유격조절구를 전후로 이동시켜 위치를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격조절구와 동반 이동하는 가랑이벨트의 고정위치가 자유롭게 변화됨으로써 유아의 나이 및 체형에 알맞도록 가랑이벨트의 유격을 최적의 맞춤상태로 제어하여 가랑이의 조임 현상을 차단함은 물론 헐거움을 방지하여 우수한 안전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푸싱레버를 이용하여 한 쌍의 어깨벨트에 동시 연결된 고정벨트의 록킹위치를 자유롭게 가변하면서 록킹/언록킹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부수적으로 제공하며, 특히 상기 고정벨트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장비를 불필요로 함에 따라 원가절감 및 구조의 간소화를 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중앙에 형성된 유동공간(11)의 하측 둘레면을 따라 보강돌출테(12)가 형성된 마운팅판(10)과; 상기 유동공간(11)의 후방 양측에 함몰 형성된 한 쌍의 슬라이딩홈(20)과; 상기 슬라이딩홈(20)의 바닥면 중앙에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 가이드홀(25)의 양측 보강돌출테(12)의 저면에 등간격으로 록킹홈(31)이 형성된 랙크(30)와; 상기 가이드홀(25)의 타측 보강돌출테(12)에 마주하도록 부착된 한 쌍의 가이드패널(40)과; 상기 가이드패널(40)에 형성된 가이드홈(42)에 일측 선단의 가이드돌기(51)가 끼움 결합되고, 타측 상부면 중앙에 설치된 가랑이벨트 연결부(52) 양측의 걸림편(53)이 상기 랙크(30)의 록킹홈(31)에 끼움 결합되는 유격조절구(50)와; 상기 슬라이딩홈(2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이송가이드(61)가 안착되고, 상기 유격조절구(50)를 관통하여 이송가이드(61)의 저면에 가이드 고정구(62)가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고정구(62)의 외측에 유격조절구(50)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63)가 끼움 설치된 록킹제어장치(60)의 유기적인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의 안전벨트 유격조절장치(1)가 적용되는 유아용 카시트(2)의 구성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시트에 올려지는 시트 베이스(3)와 이 시트 베이스(3)의 상부에 경사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시트 보디(4)로 구분되며, 상기 시트 보디(4)에는 유아의 안전을 도모하는 안전벨트(5)가 장착된다.
여기에서 상기 안전벨트(5)의 일 구성요소인 가랑이벨트(6)는 전후로 이동가능한 본 발명의 유격조절구(50)에 부착됨으로써 유아의 나이, 체형에 적합하도록 유격을 자유롭게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가랑이벨트(6)에 형성된 버클(7)에 선택적으로 탈착되고 시트 보디(4)의 등받이(4a) 상부를 관통하여 배면을 경유하는 한 쌍의 어깨벨트(8)와 일체화 연결된 고정벨트(8a)를 상기 유격조절구(50)에 부설된 푸싱레버(56)를 이용하여 고정위치를 자유롭게 가변하면서 록킹/언록킹 설정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안전벨트 유격조절장치(1)를 구성하는 마운팅판(10)은 시트 보디(4)의 바닥면에 형성된 장착홀(4b)을 밀폐한 상태로 체결구를 이용하여 조립식으로 부착되거나 또는 상기 시트 보디(4)의 바닥면과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운팅판(10)은 중앙에 유격조절구(50)가 전후로 이동할 수 있는 유동공간(11)이 마련되고, 이 유동공간(11)의 하측 둘레면에는 보강돌출테(1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유동공간(11)의 후방 양측에는 한 쌍의 슬라이딩홈(20)이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홈(20)의 바닥면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보강돌출테(12)를 관통하여 상하로 완전하게 관통된 가이드홀(25)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홀(25)의 양측 보강돌출테(12)의 저면에는 유격조절구(5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록 킹을 유지하는 다수의 록킹홈(31)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랙크(30)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홀(25)의 타측에는 유격조절구(50)의 슬라이딩 이동을 원활하게 안내하기 위한 한 쌍의 가이드패널(40)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패널(40)은 가이드홀(25)의 타측 보강돌출테(12)에 도 11과 같이 체결구(41)를 이용하여 일체로 부착되고, 내면 상측에는 유격조절구(50)에 형성된 가이드돌기(51)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4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유동공간(11)의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가랑이벨트(6)의 유격을 자유자재로 조절하기 위한 유격조절구(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선단의 양측에 한 쌍의 가이드돌기(51)가 돌출 형성되고, 타측 상부면 중앙에는 가랑이벨트(6)를 연결하기 위한 가랑이벨트 연결부(52)가 돌출 형성되며, 이 가랑이벨트 연결부(52)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편(53)은 상기 랙크(30)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록킹홈(31)에 끼움 결합되면서 록킹을 유지하는 한편, 상기 걸림편(53)이 록킹홈(31)을 이탈하는 순간 록킹이 해제되면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유격조절구(50)는 록킹제어장치(60)에 의해 선택적인 록킹/언록킹 조작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록킹제어장치(60)는 도 9 및 도 10과 같이 슬라이딩홈(20)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송가이드(61)가 안착되고, 상기 이송가이드(61)의 저면에 일체로 나사 결합되는 가이드 고정구(62)는 유격조절구(50)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고정구(62)의 외측에는 탄성부재(63)가 끼움 결합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63)는 상, 하단부가 가이드 고정구(62)의 머리 부(62a) 및 유격조절구(50)의 저면에 밀착되면서 유격조절구(50)를 탄력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63)의 탄성력에 의해 유격조절구(50)의 걸림편(53)은 상부로 가압되면서 록킹홈(31)에 끼워진 상태로 록킹을 유지하고, 상기 유격조절구(50)를 하부로 눌러주면 가이드돌기(51)를 중심으로 유격조절구(50)가 하부로 선회하면서 록킹이 해제되며, 이와 같은 언록킹 상태에서 유격조절구(50)를 전후로 이동시키면 일측의 가이드돌기(51)는 가이드홈(42)을 따라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함과 동시에 타측의 이송가이드(61)는 슬라이딩홈(20)을 따라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유격조절구(50)가 전후로 부드럽게 이동하면서 위치가 가변 된다.
이는 상기 유격조절구(50)의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유격조절구(50)에 연결된 가랑이벨트(6)의 위치가 함께 변화됨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랑이벨트(6)의 유격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유격조절구(50)의 이동시 이송가이드(61)는 슬라이딩홈(20)의 바닥면과 밀착됨에 따라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마찰저항을 줄여주기 위한 방안으로 양측 저면에 하향으로 만곡진 마찰 감소면(61a)이 형성되고, 이 마찰 감소면(61a)은 슬라이딩홈(20)의 바닥면과 선접촉을 이루면서 마찰 저항이 현저하게 줄어들어 더욱 부드럽고 원활한 이동성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유격조절구(50)는 가랑이벨트(6)의 유격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함은 물론 시트 보디(4)의 배면을 경유하는 어깨벨트(8)와 연결된 고정벨트(8a)의 록킹위치를 자유롭게 가변하면서 고정벨트(8a)의 록킹/언록킹을 제어하는 역할을 추가로 수행한다.
이를 위한 유격조절구(50)는 고정벨트(8a)가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하면서 유격조절구(50)의 상부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벨트통공(54)이 가랑이벨트 연결부(52)의 전방에 형성되고, 상기 벨트통공(54)의 전방 양측에 설치된 회전단부(55)에는 고정벨트(8a)를 유격조절구(50)의 상부면에 가압하면서 록킹하거나 또는 언록킹하는 푸싱레버(56)가 힌지축(57)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힌지축(57)으로 관통되는 푸싱레버(56)의 결합돌부(56a)에는 스프링홈(56b)이 형성되고, 이 스프링홈(56b)에 내재된 비틀림스프링(58)은 힌지축(57)의 외측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비틀림스프링(58)에 의해 푸싱레버(56)는 상부로 올려진 상태에서는 탄성력을 축적한 후 하부로 내려진 상태에서는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개방하지 않는 이상 록킹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고정벨트(8a)를 유동 없이 고정한다.
이때 상기 결합돌부(56a)의 저면은 고정벨트(8a)에 직접 밀착됨을 고려하여 산형의 압지돌기(59)가 연속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미끄럼을 방지함은 물론 고정벨트(8a)를 더욱 유동 없이 고정하여 견고한 록킹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푸싱레버(56)는 고정벨트(8a)를 선택적으로 록킹/언록킹 하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유격조절구(50)를 눌러주기 위한 매개체의 역할을 수행한다.
즉 가랑이벨트(6)의 유격을 조절하는 경우 상기 푸싱레버(56)를 하부로 누르 면 이와 동시에 유격조절구(50)가 하부로 선회하면서 록킹이 해제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푸싱레버(56)를 전후로 밀면 유격조절구(50)가 이동하면서 가랑이벨트(6)의 유격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유아용 카시트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시트 보디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안전벨트 유격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유격조절구 및 푸싱레버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안전벨트 유격조절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안전벨트 유격조절장치의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 유격조절구의 누름상태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유격조절구의 슬라이딩 이동상태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록킹제어장치의 설치상태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도 9의 A-A선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 가이드패널의 조립상태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 푸싱레버에 의한 고정벨트의 록킹상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시트 보디 6: 가랑이벨트
8a: 고정벨트 10: 마운팅판
12: 보강돌출테 20: 슬라이딩홈
25: 가이드홀 30: 랙크
31: 록킹홈 40: 가이드패널
42: 가이드홈 50: 유격조절구
51: 가이드돌기 52: 가랑이벨트 연결부
53: 걸림편 54: 벨트통공
56: 푸싱레버 59: 압지돌기
60: 록킹제어장치 61: 이송가이드
62: 가이드 고정구 63: 탄성부재

Claims (5)

  1. 중앙에 형성된 유동공간(11)의 하측 둘레면을 따라 보강돌출테(12)가 형성된 마운팅판(10)과;
    상기 유동공간(11)의 후방 양측에 함몰 형성된 한 쌍의 슬라이딩홈(20)과;
    상기 슬라이딩홈(20)의 바닥면 중앙에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 가이드홀(25)의 양측 보강돌출테(12)의 저면에 등간격으로 록킹홈(31)이 형성된 랙크(30)와;
    상기 가이드홀(25)의 타측 보강돌출테(12)에 마주하도록 부착된 한 쌍의 가이드패널(40)과;
    상기 가이드패널(40)에 형성된 가이드홈(42)에 일측 선단의 가이드돌기(51)가 끼움 결합되고, 타측 상부면 중앙에 설치된 가랑이벨트 연결부(52) 양측의 걸림편(53)이 상기 랙크(30)의 록킹홈(31)에 끼움 결합되는 유격조절구(50)와;
    상기 슬라이딩홈(2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이송가이드(61)가 안착되고, 상기 유격조절구(50)를 관통하여 이송가이드(61)의 저면에 가이드 고정구(62)가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고정구(62)의 외측에 유격조절구(50)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63)가 끼움 설치된 록킹제어장치(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안전벨트 유격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유격조절구(50)는 한 쌍의 어깨벨트(8)와 연결된 고정벨트(8a)가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하는 벨트통공(54)이 형성되고, 상기 벨트통공(54)의 전방 양측에 설치된 회전단부(55)에 고정벨트(8a)를 유격조절구(50)의 상부면에 가압하여 록킹하거나 언록킹하는 푸싱레버(56)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푸싱레버(56)에 형성된 스프링홈(56b)에는 힌지축(57)의 외측에 끼워진 비틀림스프링(58)이 내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안전벨트 유격조절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푸싱레버(56)는 결합돌부(56a)의 저면에 고정벨트(8a)를 유동 없이 고정하여 견고한 록킹을 유지하는 산형의 압지돌기(59)가 연속적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안전벨트 유격조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이송가이드(61)는 양측 저면에 슬라이딩홈(20) 바닥면과의 마찰저항을 줄여주는 마찰 감소면(61a)이 하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안전벨트 유격조절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마운팅판(10)은 카시트(2)의 시트 보디(4) 바닥면에 조립식으로 부착되거나 시트 보디(4)의 바닥면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안전벨트 유격조절장치.
KR1020080069768A 2008-07-17 2008-07-17 유아용 카시트의 안전벨트 유격조절장치 KR101033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768A KR101033924B1 (ko) 2008-07-17 2008-07-17 유아용 카시트의 안전벨트 유격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768A KR101033924B1 (ko) 2008-07-17 2008-07-17 유아용 카시트의 안전벨트 유격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076A true KR20100009076A (ko) 2010-01-27
KR101033924B1 KR101033924B1 (ko) 2011-05-16

Family

ID=41817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9768A KR101033924B1 (ko) 2008-07-17 2008-07-17 유아용 카시트의 안전벨트 유격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392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01173A (zh) * 2015-12-09 2016-04-20 黄盛章 一种安全带松紧调节夹
CN110254304A (zh) * 2019-06-24 2019-09-20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
KR200491287Y1 (ko) 2019-06-07 2020-05-15 심규원 차량의 어린이용 안전벨트
EP3712018A4 (en) * 2017-11-23 2020-09-30 Hangzhou Yuemeng Industry Co., Ltd. DETACHABLE SEAT BELT FOR CHILD SEAT
CN111873872A (zh) * 2020-08-04 2020-11-03 安徽锦富清洁有限公司 一种高稳定性可调节儿童安全座椅
KR102224094B1 (ko) * 2019-10-28 2021-03-08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일드 시트 고정용 테더앵커 조립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05067B (zh) * 2016-05-12 2018-09-04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汽车座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49022B2 (ja) * 1995-03-29 2003-09-22 タカタ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用ウェブアジャスタ
JP2001010379A (ja) 1999-06-30 2001-01-16 Masakazu Tominaga 自動車用のシート
ES1044323Y (es) 1999-08-20 2000-09-01 Play Sa Silla infantil provista de un cinturon de seguridad.
JP2001151075A (ja) * 1999-11-29 2001-06-05 Combi Corp 股ベルト調節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01173A (zh) * 2015-12-09 2016-04-20 黄盛章 一种安全带松紧调节夹
EP3712018A4 (en) * 2017-11-23 2020-09-30 Hangzhou Yuemeng Industry Co., Ltd. DETACHABLE SEAT BELT FOR CHILD SEAT
KR200491287Y1 (ko) 2019-06-07 2020-05-15 심규원 차량의 어린이용 안전벨트
CN110254304A (zh) * 2019-06-24 2019-09-20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
KR102224094B1 (ko) * 2019-10-28 2021-03-08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일드 시트 고정용 테더앵커 조립구조
CN111873872A (zh) * 2020-08-04 2020-11-03 安徽锦富清洁有限公司 一种高稳定性可调节儿童安全座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3924B1 (ko) 2011-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3924B1 (ko) 유아용 카시트의 안전벨트 유격조절장치
KR960012611B1 (ko) 유아용 구속 보호시이트
US7300113B2 (en) Child's booster seat
CN101096189B (zh) 活动式儿童汽车座椅
US20050110318A1 (en) Infant carrier and receiving base
CN112937389A (zh) 儿童安全座椅
US20060181125A1 (en) Child car seat
US20120098309A1 (en) Truss system for juvenile vehicle seat
KR101421876B1 (ko) 전향 및 후향 겸용 isofix 카시트 고정장치
JP4912988B2 (ja) 子供乗せ装置及び二輪車
EP0930194A1 (en) Child seat
US6322143B2 (en) Vehicular child safety seat
US20120261960A1 (en) Child restraint with movable headrest
US20080023993A1 (en) Belt Guide
CN201882129U (zh) 一种婴童车座椅的肩安全带调整机构
KR101854546B1 (ko) 유아용 안전시트의 구조체
JP4810301B2 (ja) 高さ調整機構及び子供用椅子
CN103395383B (zh) 儿童安全座椅
CN203410328U (zh) 儿童安全座椅
CN113647769A (zh) 一种带有腰靠的椅子
CN109984519B (zh) 肩带高度调整机构及其幼儿载具
KR100863182B1 (ko) 일체형 허리받이와 머리받이가 장착된 의자
KR20060055659A (ko) 차량용 시트의 웨빙가이드 장치
WO2022083556A1 (zh) 安全带调整结构以及儿童安全座椅
CN204605578U (zh) 一种汽车儿童安全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