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8546A - 동축케이블 커넥터 - Google Patents

동축케이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8546A
KR20100008546A KR1020080069091A KR20080069091A KR20100008546A KR 20100008546 A KR20100008546 A KR 20100008546A KR 1020080069091 A KR1020080069091 A KR 1020080069091A KR 20080069091 A KR20080069091 A KR 20080069091A KR 20100008546 A KR20100008546 A KR 20100008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xial cable
fixing
housing
modu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9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호
임종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텔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텔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텔콘
Priority to KR1020080069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8546A/ko
Publication of KR20100008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5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21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action of a n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2Screw-ring or screw-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specially adapted to a specific shape of cables, e.g. corrugated cables, twisted pair cables, cables with two screens or hollow cables
    • H01R24/564Corrugated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24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action of a clamping member, e.g. screw fasten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Abstract

본 발명은 둘 이상의 동축케이블 연결 작업을 손쉽고 간편하게 하면서도 동축케이블 간의 긴밀한 접속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동축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동축케이블(10)의 내도체(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 핀(81)과, 절연부(83)로 핀(81)을 감싸 절연되게 내장하고 동축케이블(10)이 연결되는 단부의 외면에는 제1,2걸림턱(84a, 84b)의 이격 범위로 제한된 가이드홈(84c)이 동축케이블의 연결방향을 따라 형성된 도전성 하우징(84')과, 하우징(84')의 단부에 노출된 핀(81)의 전방에 배치되고 하우징(84')과 통전하는 통전체(87)를 구비한 모듈(80'); 가이드홈(84c)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맞물리되 제1,2걸림턱(84a, 84b)에 걸려 결합되는 걸림수단을 매개로 하우징(84')과 고정되고, 내면을 따라 제1고정나사산(23)이 형성된 고정너트(20'); 동축케이블(10)이 관통해 고정되고, 고정너트(20')에 삽입되는 외면에는 제1고정나사(23)와 맞물리는 제2고정나사(42)가 형성된 고정관(40'); 및 동축케이블(10)이 관통해 고정되고, 통전체(87)와의 접촉을 위해 절곡된 동축케이블(10)의 외도체(13) 말단을 지지하면서 고정관(40') 내에 삽입되는 클램프(60)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동축케이블 커넥터{Coaxial cable connector}
본 발명은 둘 이상의 동축케이블 연결 작업을 손쉽고 간편하게 하면서도 동축케이블 간의 긴밀한 접속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동축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통신분야에서 RF 데이터 전송용으로 널리 쓰이는 동축케이블(10; 도 1 참조)은 중심축을 이루는 심 형태의 내도체(11)와, 내도체(11)를 절연하도록 감싸는 절연체(12)와, 절연체(12)를 중심으로 내도체(11)와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외도체(13)와, 외도체(13)를 감싸면서 동축케이블(10) 전체를 절연하는 절연피복(14)을 포함한다.
이러한 동축케이블(10)은 다른 동축케이블 또는 장비와의 전기적/물리적인 연결을 커넥터를 매개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 커넥터를 이용한 동축케이블의 연결과정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는 동축케이블(10)을 연결하기 위한 기구로, 입력 신호가 들어오는 동축케이블(10)의 연결을 위한 입력부(A)와, 수신한 입력신호를 출력하면서 하나 이상의 동축케이블이 연결되는 출력부(B)를 포함하며, 동축케이블(10)과 커넥터 간의 연결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커넥터는 둘 이상의 동축케이블(10)을 전기적/물리적으로 연결하는 모듈(80)과, 동축케이블(10)과 모듈(80)을 연결하는 커넥터 본체(70)와, 동축케이블(10)과 커넥터 본체(70)를 연결하는 고정관(40)과, 외도체(13) 말단의 절곡방향을 안내하면서 동축케이블(10)을 고정관(40)에 고정하는 클램프(60)와, 커넥터 본체(70)와 모듈(80)을 조여 고정하는 고정너트(20)를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 커넥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축케이블(10)의 연결을 위해 분해된다.
한편, 동축케이블(10)은 말단부의 절연피복(14)을 탈피하고, 외도체(13)가 드러난 상태에서 내도체(11)를 충분히 인출한다. 여기서, 도 1에서는 외부로 드러난 외도체(13)의 말단이 외측으로 절곡된 것으로 하였지만, 절연피복(14)의 탈피시 실제 외도체(13)의 형상은 가상선(이점쇄선: PHANTOM)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되지 않은 상태일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커넥터와의 연결을 위해 상술한 동축케이블(10)이 준비되면, 커넥터 본체(70)에 고정너트(20)를 끼운다. 여기서, 고정너트(20)는 내면 에 제3나사산(21)을 형성하고, 모듈(80)과 대향하는 말단 내면에는 체결턱(24)을 형성한다. 한편, 고정너트(20)는 동축케이블(10)에 우선적으로 끼워질 수도 있으므로, 고정너트(20)의 초기 결합순서는 제시된 예시에 한정하지 않는다.
고정너트(20)가 끼워지면, 제1개스킷(30)을 동축케이블(10)에 끼운다. 제1개스킷(30)은 탈피된 동축케이블(10)의 외도체(13)를 긴밀하게 감싸면서 절연피복(14)에 준하는 외경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데, 이에 대한 이유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개스킷(30)이 끼워지면, 고정관(40)을 동축케이블(10)에 끼운다. 고정관(40)의 외면에는 제1나사산(41)이 형성되고, 동축케이블(10)로의 끼움시 제1개스킷(30)까지 감싸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개스킷(30)은 고정관(40)의 내면과 긴밀하게 접촉하면서 밀착되므로, 동축케이블(10)과 고정관(40)을 통한 기류가 완전히 차단됨은 물론, 제1개스킷(30)과 고정관(40) 간의 마찰로 인해 상호 견고히 접촉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동축케이블(10)에 고정너트(20), 제1개스킷(30) 및 고정관(40)이 끼워지면, 탈피된 외도체(13)를 클램프(60)로 감싼다. 클램프(60)는 반원의 호 형상 또는 부채꼴의 호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편(조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외도체(13)를 감싸면서 탄성을 갖는 바인더(61)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외도체(13)와 긴밀하게 밀착 고정된다.
참고로, 클램프(60)는 전도성을 갖는 도전체이다.
한편, 클램프(60)는 외도체(13)의 말단이 모듈(80)을 향해 인출되게 위치해야하고, 이렇게 인출된 부분을 제외하고 탈피된 외도체(13)의 대부분은 고정관(40) 및 클램프(60)가 촘촘히 감싸 드러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모듈(80)을 향해 인출된 외도체(13)의 말단은 클램프(60)의 측면과 밀착하도록 절곡되면서 사방으로 벌어지게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개스킷(50)을 고정관(40) 둘레에 긴밀히 감싸고, 고정너트(20), 제1,2개스킷(30, 50), 고정관(40) 및 클램프(60)가 끼워진 동축케이블(10)을 커넥터 본체(70)에 삽입한다.
커넥터 본체(70)는 내도체(11)와 접촉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전핀(71)과, 통전핀(71)을 감싸면서 상호 절연되는 도전성 재질의 바디(72)를 포함한다. 바디(72)는 동축케이블(10)의 내도체(11) 및 외도체(13)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모듈(80)과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것으로서, 모듈(80)과의 물리적 연결을 위한 체결관(72a)이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은 고정너트(20), 제1,2개스킷(30, 50), 고정관(40) 및 클램프(60)가 끼워진 동축케이블(10)이 삽입되어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접속구(72b)가 형성된다.
여기서, 커넥터 본체(70)의 접속구(72b)는 고정관(40)과 클램프(60)를 감싸는 충분한 깊이로 형성될 것이다. 한편, 접속구(72b)의 내면에는 고정관(40)의 제1나사산(41)에 상응하는 제2나사산(75)이 형성되어서, 제1,2나사산(41, 75) 결합을 통해 고정관(40)과 커넥터 본체(70)가 상호 단단히 연결된다. 또한, 제2개스 킷(50)에 의해 접속구(72b)가 완전히 밀폐될 것이다.
계속해서, 체결관(72a)은 내측에 통전핀(71)이 돌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체결관(72a)은 모듈(80)과의 긴밀한 연결을 위한 것으로서, 모듈(80)의 입력부(A) 및/또는 출력부(B)에는 체결관(72a)이 맞물리는 체결홈(85)이 형성된다. 즉, 체결홈(85)으로 체결관(72a)의 단부가 압입되면서, 모듈(80)과 커넥터 본체(70) 간의 물리적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체결관(72a) 내측에 돌출된 통전핀(71)은 모듈(80)이 구비한 접속수단(82)과 맞물리는데, 접속수단(82)은 모듈(80)의 핀(81)과 연결되므로, 모듈(80)과 커넥터 본체(70)는 전기적으로 결합하게 된다.
사방으로 절곡된 외도체(13)의 말단은 접속구(72b)로 삽입되면서 접속구(72b) 내에 구비된 통전부재(77)와 밀착된다. 통전부재(77)는 도전성 재질인 바디(72)와 접촉되므로, 동축케이블(10)의 외도체(13)에 흐르는 신호는 바디(72)로 통전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바디(72)는 체결관(72a)과 체결홈(85)의 긴밀한 맞물림으로 인해 모듈(80)의 하우징(84)과 통전된다.
참고로, 모듈(80)은 도전성 핀(81)과, 핀(81)을 탑재하는 도전성 하우징(84)과, 핀(81)과 하우징(84) 간을 절연하는 절연부(83)를 포함하고, 핀(81)의 단부에는 커넥터 본체(70)의 통전핀(71)과 맞물리는 접속수단(82)이 구비된다.
모듈(80)과 커넥터 본체(70) 간의 결합이 완료되면, 결합상태를 굳건히 하기 위해 동축케이블(10)에 초기에 끼워진 고정너트(20)를 모듈(80)에 연결한다. 이를 위해 모듈(80)의 입력부(A) 및/또는 출력부(B)의 둘레에는 제4나사산(86)이 형성되 고, 고정너트(20)에는 제4나사산(86)에 상응하는 제3나사산(21)이 형성되었음을 전술한 바 있다. 한편, 제3나사산(21)의 말단에는 체결턱(24)이 형성되고, 이에 상응해서 커넥터 본체(70)에는 체결돌기(78)가 형성되는데, 이 체결돌기(78)는 체결홈(85)에 삽입되지 않는 체결관(72a)의 단부에 위치하므로, 제3,4나사산(21, 86)이 조여질수록 체결턱(24)이 체결돌기(78)를 모듈(80) 쪽으로 밀면서 모듈(80)과 커넥터 본체(70) 간의 견고한 결합을 이루게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70)의 해당 위치에는 제3개스킷(76)이 포함되면서, 모듈(80)과 커넥터 본체(70) 간의 기밀성과, 커넥터 본체(70)와 고정너트(20) 간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70)는 내도체(11) 및 외도체(13) 이외에 특별한 기계적 장치가 없는 동축케이블(10)을 모듈(80)과 전기적/물리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종래 커넥터에는 반드시 구비되어야 할 구성이었다.
그런데, 커넥터 본체(70) 외에도 종래 커넥터는 다양한 구성을 포함하면서, 동축케이블(10)의 연결작업이 전술한 바와 같이 매우 번거롭고 복잡했다. 또한, 구성 즉, 부재 수의 증가는 종래 커넥터의 제작비를 증가시키고, 부재의 보관과 관리 및 사용방식에 대한 지식이 요구되면서, 종래 커넥터를 이용한 동축케이블(10)의 연결작업은 부재의 관리와 실제 작업에 있어서 총제적으로 난해하고 어려울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동축케이블의 전기적/물리적인 연결 작업이 수월하고, 작업에 필요한 부재의 제작이 경제적이며, 그 관리 또한 용이한 동축케이블 커넥터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동축케이블의 내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 핀과, 절연부로 핀을 감싸 절연되게 내장하고 동축케이블이 연결되는 단부의 외면에는 제1,2걸림턱의 이격 범위로 제한된 가이드홈이 동축케이블의 연결방향을 따라 형성된 도전성 하우징과, 하우징의 단부에 노출된 핀의 전방에 배치되고 하우징과 통전하는 통전체를 구비한 모듈;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맞물리되 제1,2걸림턱에 걸려 결합되는 걸림수단을 매개로 하우징과 고정되고, 내면을 따라 제1고정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너트;
동축케이블이 관통해 고정되고, 고정너트에 삽입되는 외면에는 제1고정나사와 맞물리는 제2고정나사가 형성된 고정관; 및
동축케이블이 관통해 고정되고, 통전체와의 접촉을 위해 절곡된 동축케이블의 외도체 말단을 지지하면서 고정관 내에 삽입되는 클램프;
를 포함하는 동축케이블 커넥터이다.
상기 본 발명은, 커넥터를 구성하는 부재 수를 획기적으로 줄임으로서 동축케이블의 연결 작업을 신속하고 수월히 할 수 있고, 커넥터의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하며, 제작비 또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효과를 갖추면서도 동축케이블 간의 전기적/물리적 연결상태는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이용한 동축케이블의 연결과정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모듈(80')과 고정너트(20')와 고정관(40') 및 클램프(60)를 포함하며, 각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동축케이블과 커넥터의 연결작업 순서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 1을 참조해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대상이 되는 동축케이블(10)은 탈피를 통해 외도체(13)가 드러나도록 하고, 내도체(11)는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듈(80')을 향해 돌출시킨다.
이 작업이 완료되면 제1개스킷(30)을 노출된 외도체(13)를 감싸듯 끼운 후, 고정관(40')을 동축케이블(10) 안쪽에 끼운다. 이때, 고정관(40')은 동축케이블(10)이 관통하는 중공을 갖추고, 외면에는 제2고정나사산(42)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개스킷(30)은 외도체(13)를 긴밀하게 감싸면서 고정관(40')과 맞물리므로, 고정관(40')과 동축케이블(10) 간의 결속력을 높인다.
도 7을 참조하면, 동축케이블(10)에 제1개스킷(30)과 고정관(40')이 끼워지면, 노출된 외도체(13) 둘레에 클램프(60)를 감싸 고정하되, 클램프(60)는 고정관(40') 내측으로 삽입된다. 결국, 탈피된 동축케이블(10)의 노출된 외도체(13)는 고정관(40') 및 클램프(60)에 의해 감싸이고, 모듈(80')을 향해 돌출된 내도체(11) 만이 외부로 드러나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모듈(80')은 핀(81), 접속수단(82'), 절연부(83) 및 하우징(84')을 포함하되, 하우징(84')의 단부인 입력부(A') 및/또는 출력부(B')의 외면에는 가이드홈(84c)을 형성하는 제1,2걸림턱(84a, 84b)이 구비된다.
한편, 입력부(A') 및/또는 출력부(B')가 위치한 하우징(84')의 단부에는 통전체(87)가 접속수단(82')의 전방으로 배치되며, 통전체(87)는 하우징(84')과 통전하도록 고정된다.
전술한 구조를 갖는 모듈(80')에 고정너트(20')가 끼워진다. 고정너트(20')는 입력부(A') 및/또는 출력부(B')를 감싸듯 끼워지며, 제1,2걸림턱(84a, 84b)으로 제한된 가이드홈(84c) 내에서 모듈(8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고정너트(20')의 내면에 링(24)을 끼워서 제1,2걸림턱(84a, 84b)과 걸리도록 하고, 아울러 고정너트(20')와 모듈(80') 간의 긴밀한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링(24)은 제1,2걸림턱(84a, 84b)과의 걸림을 위해 적용된 구체적인 실시예이므로, 이하의 청구범위에서는 링(24)을 대신해 '걸림수단'이란 용어를 사용하도록 한다. 즉, 제1,2걸림턱(84a, 84b)과 맞물려서 고정너트(20')를 하우징(84')과 가이드홈(84c)의 범위 내로 이동가능하게 연결하되 서로 분리는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라면, 링(24)에 한정되지 않고 '걸림수단'으로서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고정너트(20')의 내면에는 제2고정나사산(42)에 상응하는 제1고정나사산(23)이 형성된다.
고정관(40')이 끼워진 동축케이블(10)과 고정너트(20')가 끼워진 모듈(80')은 상기 제1,2고정나사산(23, 42)의 결합에 의해 물리적으로 고정되고, 아울러 돌출된 내도체(11)는 통전체(87)를 지나 접속수단(82')으로 삽입되며, 사방으로 절곡된 외도체(13)는 클램프(60)에 지지를 받으며 통전체(87)와 밀착된다. 즉, 내도체(11)와 접속수단(82'), 외도체(13)와 통전체(87) 간의 접촉으로, 모듈(80')과 통전케이블(10)이 전기적으로 고정된다.
한편, 제1,2고정나사산(23, 42)이 서로 결속된 고정너트(20')를 돌려 조이면, 제1걸림턱(84a)과 맞물린 링(24)은 모듈(80')을 고정관(40') 쪽으로 밀면서, 고정관(40')과 모듈(80')이 서로 긴밀하게 결합하도록 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최소한의 구성으로 동축케이블(10) 간의 연결을 매개하면서 전기적/물리적으로 안정되게 하므로, 연결 작업의 용이성은 물론 커넥터를 제작하기 위한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재 수의 감소로 인해 커넥터의 관리 또한 수월할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다른 실시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부(A')와 출력부(B') 중 하나 이상에 적용된다. 한편, 커넥터는 둘 이상의 출력부(B')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한 실시예를 보면, 하나의 입력부(A')에 둘 이상의 제1,2출력부(B', B")가 형성되고, 입력부(A')와 제1,2출력부(B', B") 간의 통전은 입력부(A') 및 제1,2출력부(B', B")에 배치된 제1,2,3핀(81a, 81b, 81c)을 통해 이루어진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또 다른 실시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낙뢰 등에 의해 발생한 고전압의 DC전압 등이 동축케이블(10) 및 커넥터의 핀(81)을 따라 흐르지 않도록 추출하는 어레스터(ARRESTOR)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동축케이블은 쇼트가 발생하더라도 RF 신호가 문제없이 통전하도록 설계되지만, 낙뢰와 같이 일시적인 큰 전압이 동축케이블 또는 커넥터에 가해지면 고압의 DC전압이 생성되어 통신교란은 물론, 동축케이블 및 커넥터 등의 파손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핀(81) 및 내도체(11)를 따라 흐르는 고전압을 추출하기 위해 모듈(80b)의 하우징(84")과 핀(81)을 통전하는 접지핀(88)과, 하우징(84")에 접지선(미도시함)을 고정하는 접지선 고정부(89)가 더 포함된다.
즉, 낙뢰 등에 의해 핀(81)과 내도체(11)의 수용한계를 넘는 과전압이 흐르면, 접지핀(88)으로 이를 추출해서 하우징(84")을 통해 접지선으로 흘려 접지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지선 고정부(89)는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 또는 핀 형상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접지선을 하우징(84")과 통전하게 연결하면서도 기계적으로 단단히 고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통신교란을 일으킬 수 있는 과전압은 접지핀(88)을 통해 제거되고, 동축케이블(10)을 통한 통신상태는 안정화된다.
한편, 고전압의 DC전압을 효과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접지핀(88)은 충분한 저항을 갖는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하우징(84")은 일지점이 인출된 가지관(84d)을 구비하고, 접지핀(88)은 가지관(84d) 내에 내설된다. 또한, 과전압의 통전으로 인해 접지핀(88)이 훼손되면 이를 교체할 수 있어야 하므로, 작업자가 모듈(80b)을 해체하지 않아도 외부에서 접지핀(88)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접지핀(88)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따라서, 노출된 접지핀(88)을 덮어 보호하기 위한 캡(84e)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 커넥터를 이용한 동축케이블의 연결과정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이용한 동축케이블의 연결과정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다른 실시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또 다른 실시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 동축케이블 11; 내도체
12; 절연체 13; 외도체
14; 절연피복 20, 20'; 고정너트
30; 제1개스킷 40, 40'; 고정관
60; 클램프 70; 커넥터 본체
71; 통전핀 80, 80', 80a, 80b; 모듈
81; 핀 82, 82'; 접속수단
83; 절연부 84, 84', 84"; 하우징
88: 접지핀 89; 접지선 고정부

Claims (2)

  1. 동축케이블(10)의 내도체(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 핀(81)과, 절연부(83)로 핀(81)을 감싸 절연되게 내장하고 동축케이블(10)이 연결되는 단부의 외면에는 제1,2걸림턱(84a, 84b)의 이격 범위로 제한된 가이드홈(84c)이 동축케이블의 연결방향을 따라 형성된 도전성 하우징(84')과, 하우징(84')의 단부에 노출된 핀(81)의 전방에 배치되고 하우징(84')과 통전하는 통전체(87)를 구비한 모듈(80');
    가이드홈(84c)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맞물리되 제1,2걸림턱(84a, 84b)에 걸려 결합되는 걸림수단을 매개로 하우징(84')과 고정되고, 내면을 따라 제1고정나사산(23)이 형성된 고정너트(20');
    동축케이블(10)이 관통해 고정되고, 고정너트(20')에 삽입되는 외면에는 제1고정나사(23)와 맞물리는 제2고정나사(42)가 형성된 고정관(40'); 및
    동축케이블(10)이 관통해 고정되고, 통전체(87)와의 접촉을 위해 절곡된 동축케이블(10)의 외도체(13) 말단을 지지하면서 고정관(40') 내에 삽입되는 클램프(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80')은 핀(81)과 하우징(84')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지핀(88) 과, 접지선을 하우징(84')과 통전하게 고정하는 접지선 고정부(8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 커넥터.
KR1020080069091A 2008-07-16 2008-07-16 동축케이블 커넥터 KR201000085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091A KR20100008546A (ko) 2008-07-16 2008-07-16 동축케이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091A KR20100008546A (ko) 2008-07-16 2008-07-16 동축케이블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546A true KR20100008546A (ko) 2010-01-26

Family

ID=41817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9091A KR20100008546A (ko) 2008-07-16 2008-07-16 동축케이블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854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49276B (zh) * 2010-09-14 2014-08-11 Dai Ichi Seiko Co Ltd 電連接器及電連接器組合體
KR102225872B1 (ko) * 2020-07-08 2021-03-11 (주)이음엔지니어링 건축 통신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연결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49276B (zh) * 2010-09-14 2014-08-11 Dai Ichi Seiko Co Ltd 電連接器及電連接器組合體
KR102225872B1 (ko) * 2020-07-08 2021-03-11 (주)이음엔지니어링 건축 통신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5423B2 (en) Tapered ground strap shield connector
MXPA05014000A (es) Conector de cordon que tiene un sello resistente al agua.
US20130090010A1 (en) Surge Protector Components Having a Plurality of Spark Gap Members Between a Central Conductor and an Outer Housing
SG161143A1 (en) Apparatus for a connection point between two electrical high-voltage cables
US3193792A (en) Connector-contact adapter
BR102016003840A2 (pt) capa em várias peças para conector separável
CN105305362A (zh) 一种电缆连接头
US3401370A (en) Separable connector for underground system
KR101037722B1 (ko) 매설형 지중전선 커넥터
KR20100008546A (ko) 동축케이블 커넥터
KR101037721B1 (ko) 감전방지용 지중배전함의 절연구조
CN204732629U (zh) 电气设备绝缘快速连接构件
JP5043412B2 (ja) 測定用端子
CN205070032U (zh) 可带电连接的绝缘导线连接端子构件
US10460886B2 (en) Single phase underground fused tap
CN203218823U (zh) 电缆终端接地固定装置
KR20120090420A (ko) T형 엘보커넥터 유닛
JP5337770B2 (ja) 電力ケーブル接続部
CN218334390U (zh) 一种插拔式电缆终端及其连接装置
CN215770729U (zh) 一种快速插拔式避雷器
CN204668510U (zh) 连接端子以及包括该连接端子的电气装置
CN219226755U (zh) 可分离连接器及具有其的开关设备
CN213181616U (zh) 一种电力高压试验线保护装置
CN110034422B (zh) 一种用于额定电压35kV以下输配电的电缆连接头
JP5804443B2 (ja) 短絡接地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