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8540U - 유아용 침구 - Google Patents
유아용 침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08540U KR20100008540U KR2020090001852U KR20090001852U KR20100008540U KR 20100008540 U KR20100008540 U KR 20100008540U KR 2020090001852 U KR2020090001852 U KR 2020090001852U KR 20090001852 U KR20090001852 U KR 20090001852U KR 20100008540 U KR20100008540 U KR 20100008540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dding
- infant
- right surfaces
- folded
- handl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3443 Unconscious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02 health proble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19 thick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306 turnov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05—Cradles ; Bassinets foldabl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 A47D15/008—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in beds, play-pens or crad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용 침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아의 안전 및 휴대의 편리를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침대형 및 휴대형으로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침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아용 침구는 바닥면, 절반 접이가 가능한 상면과 하면, 좌면과 우면, 상기 좌면과 우면이 바닥면으로부터 직립하고 이용하여 내측으로 절곡될 때, 마주보는 모서리를 상호 결합시킬 수 있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침구는 길이 방향으로 말거나 접어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와, 손잡이를 더 포함한다.
유아, 침구, 침대, 휴대, 슬롯, 손잡이
Description
본 고안은 유아용 침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전성과 활용성을 고려하여 침대형 및 휴대형으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유아용 침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들은 휴식이나 수면 중에 뒤척이거나 구르다가 이불을 벗어나게 되는 것이 보통이고, 자기 통제가 불가능하여 이러한 상황에 스스로 대처하지 못한다. 그리하여 예컨대 처음에는 안전하게 취침하다가도 어느 순간 대기에 노출되어 있는 일이 많이 발생한다. 공기가 찬 실내 또는 야외에서는 건강상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며, 높은 위치에서 자고 있었을 경우에는 안전상의 문제를 유발할 수 도 있다. 한편, 유아를 동반하여 외출하고자 하는 경우에 통상의 침구를 휴대하기는 여러 가지로 불편한 문제가 있어 꺼려진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많은 제안이 있어 왔다. 실용신안등록 제20-329370호 공보에 개시된 "아기용 안전침구"가 그 예이다. 여기에 개시된 안전침구 는, 도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양 옆(2, 3)이 이불(1)의 안쪽 방향으로 접히고 끈(4, 5)으로 서로 연결되어, 전체에서 양 옆을 포개 접어 조금 두껍게 형성하게 되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 한편, 양 옆(2, 3)이 접혀진 상태에서 세로로 두세번 정도 접어 휴대할 수 있도록 손잡이(6)를 구성하였다.
상기한 안전침구는 이불의 양 옆을 포개어 두껍게 함으로써, 유아가 이불의 좌우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고 말할 수는 있다. 그러나 유아가 의식중이든 무의식중이든 움직이는 힘이나 범위를 생각하면, 이 구조에서 유아의 위치를 고정시키 효과는 매우 작을 수 밖에 없으며, 실제로 그러한 효과를 기대하기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이불은 솜이나 쿠션을 포함한 직물로 된 것이므로, 이불의 양 옆을 포개어 조금 두껍게 하였다고는 하나, 이 두께는 살짝만 눌러도 없어지는 것이고, 또 몇 번 사용하다 보면 아예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되는 문제가 있다.
더구나, 유아가 누울 수 있는 바닥을 제공하는 가운데 부분을 두텁게 하는 것이 침구로서는 당연히 좋다고 할 수 있는데, 이 구조에서는 가장자리가 두터워야만 하므로 이러한 형성이 불가능하게 된다.
한편, 양 옆(2, 3)이 이불(1)의 안쪽 방향으로 접힌 상태에서 끈(4, 5)으로 서로 연결되는 구조는 양 옆(2, 3)을 고정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인데, 이것이 오히려 유아의 발, 손 기타 신체 부위를 다치게 하거나 활동을 억압하는 요소로 작용하게 되는 위험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유아용 침구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보다 안전하고 편안한 휴식 및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침대형"으로 조립 형성될 수 있는 유아용 침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으로 편리하게 소지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휴대형"으로 조립 형성될 수 있는 유아용 침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유아용 침구는 직물을 소재로 형성되며: 유아가 누울 수 있는 면적의 바닥면; 상기 바닥면의 상·하측에 대칭적으로 연장되고, 절반 접이가 가능하여 하기 좌면과 우면의 절곡된 부분을 덮을 수 있는 상면과 하면; 상기 절반의 폭과 바닥면 및 상·하측 절반을 포함한 길이로 바닥면의 좌·우측에 대칭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하측 절반과의 사이에는 슬릿이 형성되는 좌면과 우면; 상기 좌면과 우면이 바닥면으로부터 직립하고 상기 슬릿을 이용하여 내측으로 절곡될 때, 마주보는 모서리를 상호 결합시킬 수 있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좌면과 우면은 절반 접이를 통하여, 상기 상면 또는 하면의 절반의 폭이 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침구는 좌면과 우면이 바닥면에 포개어진 상태에서 길이 방향으로 말거나 접어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 그리고 상 기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침구는 바닥면을 제외한 네면이 직립한 침대를 형성하게 되며, 마주보게 되는 좌면 및 우면의 모서리 부분은 절반 접이된 상면 또는 하면으로 제공되는 평평한 면으로 마감된다. 따라서 유아가 보다 안전하고 편안하게 수면을 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편, 길이 방향으로 포개어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재 및 손잡이를 포함함으로써 휴대용으로 편리하게 소지하고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위에 기재된 또는 기재되지 않은 본 고안의 특징과 효과는,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침구는 부호 10으로 표시된다. 상기 침구(10)는 직물을 소재로 솜이나 쿠션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바닥면(11), 상면(12)과 하면(13), 좌면(14)과 우면(15), 그리고 체결부재(16a,16b)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면(1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침구(10)를 이용하여 침대를 형성하는 경우에, 유아가 누울 수 있는 면적을 제공하는 부분이다. 즉, 상기 바닥 면(11)은 상면(12)과 하면(13), 좌면(14)과 우면(15)이 직립하는 경우에 누울 수 있는 면적을 제공하는 중앙면이다. 이 바닥면(11)은 본 구조에서 상면(12)과 하면(13), 좌면(14)과 우면(15)에 비하여 두텁게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면(12)과 하면(13), 좌면(14)과 우면(15)은 바닥면(11)에 대하여 직립하기 때문이다.
상기 상면(12)과 하면(13)은 바닥면(11)의 상·하측에 대칭적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폭의 절반(d) 접이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면(12)과 하면(13)은 유아용 침구(10)를 이용하여 침대를 형성하는 경우에 후술하는 좌면(14)과 우면(15)의 절곡된 부분을 덮을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좌면(14)과 우면(15)은, 상기 절반(d)의 폭과 바닥면(11) 및 상·하측 절반(d)을 포함한 길이(L)로서, 바닥면(11)의 좌·우측에 대칭적으로 연장된다. 이 때 상기 좌면(14)과 우면(15) 및 상·하측 절반(d)과의 사이에는 각각 슬릿(17)이 형성된다. 이 슬릿(17)은 침구(10)를 이용하여 침대를 형성하는 경우에 좌면(14)과 우면(15)이 내측으로 절곡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면에서, 상기 좌면(14)과 우면(15)은 절반(d) 접이를 통하여, 상기 상면(12) 또는 하면(13)의 절반(d)의 폭이 되도록 구성한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침대의 형성을 견고히 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른 실시예에서는 접이 없이 절반의 폭(d)이 되도록 단순하게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체결부재(16a,16b)는 좌면(14)과 우면(15)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고정된다. 그리하여 상기 좌면(14)과 우면(15)이 바닥면(11)으로부터 직립하고 상기 슬릿(17)을 이용하여 내측으로 절곡될 때, 좌면(14)과 우면(15) 마주보는 모서리를 상호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체결부재(16a,16b)로서 클립형태의 파스너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침구는 좌면과 우면이 바닥면에 포개어진 상태에서 길이 방향으로 말거나 접어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도 2의 18a 및 도 4의 18b), 그리고 상기 상면(12) 또는 하면(13)에 형성된 손잡이(도 4의 19)를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고정부재(18a,18b)로서 벨크로 테입을 예시하였고, 손잡이(19)는 상면(12)의 배면에 고정된 것을 예시하였다. 다만, 상기한 고정부재(18a,18b)의 종류나 위치 그리고 손잡이(19)의 위치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침구(10)를 이용하여 침대를 형성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좌면(14)과 우면(15)을 절반 접이한 후 바닥면(11)으로부터 직립시킨다. 그런 다음, 슬릿(17)을 이용하여 좌면(14)과 우면(15)을 내측으로 절곡시킨다. 그러면, 좌면(14)과 우면(15)의 모서리가 서로 마주보게 되는데, 이 때 체결부재(16a,16b)를 이용하여 모서리를 상호 결합시킨다.
마지막으로, 상기 상면(12)과 하면(13)을 절반(d) 접이하여 밖에서부터 안으로 넘기면(도 5 화살표 참조), 좌면(14)과 우면(15)의 절곡된 부분을 덮으면서 하나의 침대가 완성된다. 이 때, 좌면(14)과 우면(15)의 절곡된 부분과 모서리 및 체결부재(16a,16b)는 접이된 상면(12)과 하면(13)의 평평한 면으로 커버된다. 도 5의 부호 20은 상면(12) 또는 하면(13)에 제공되어 상면(12) 또는 하면(13)을 체결부재(16a,16b)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끈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잘 포개어지고 고정되어 휴대용으로 소지할 수 있는 형태로 될 수 있다. 먼저, 좌면(14)과 우면(15)을 중앙 내측의 바닥면(11)을 향하여 포갠다. 그리고 포개어진 상태에서 하면(13)부터 상측으로 길이 방향으로 말거나 접은 다음 고정부재(18a,18b)를 이용하여 형태를 고정시킨다(차례대로 화살표 ①,②,③ 및 ④). 그러면, 간편한 꾸러미 형태가 되는데, 이 때 노출되는 손잡이(19)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소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유아용 침구의 일예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침구의 전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저면도.
도 5는 도 2의 유아용 침구를 침대형으로 형성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6은 도 5의 완성도.
도 7은 도 2의 유아용 침구를 휴대형으로 형성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8은 도 7의 완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바닥면 12. 상면
13. 하면 14. 좌면
15. 우면 16. 체결부재
17. 슬릿 19. 손잡이
Claims (5)
- 직물을 소재로 솜이나 쿠션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유아용 침구에 있어서,유아가 누울 수 있는 면적의 바닥면;상기 바닥면의 상·하측에 대칭적으로 연장되고, 절반 접이가 가능하여 하기 좌면과 우면의 절곡된 부분을 덮을 수 있는 상면과 하면;상기 절반의 폭(d)과 바닥면 및 상·하측 절반을 포함한 길이(L)로 바닥면의 좌·우측에 대칭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하측 절반과의 사이에는 슬릿이 형성되는 좌면과 우면;상기 좌면과 우면이 바닥면으로부터 직립하고 상기 슬릿을 이용하여 내측으로 절곡될 때, 마주보는 모서리를 상호 결합시킬 수 있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침구.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좌면과 우면은 절반 접이를 통하여, 상기 절반의 폭(d)이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침구.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유아용 침구는 좌면과 우면이 바닥면에 포개어진 상태에서 길이 방향으로 말거나 접어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침구.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상면 또는 하면에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침구.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바닥면은 상면과 하면, 좌면과 우면에 비하여 두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침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1852U KR20100008540U (ko) | 2009-02-19 | 2009-02-19 | 유아용 침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1852U KR20100008540U (ko) | 2009-02-19 | 2009-02-19 | 유아용 침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8540U true KR20100008540U (ko) | 2010-08-27 |
Family
ID=44449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01852U KR20100008540U (ko) | 2009-02-19 | 2009-02-19 | 유아용 침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08540U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8444Y1 (ko) * | 2012-04-20 | 2013-08-16 | 추정순 | 유아용 다목적 담요 |
-
2009
- 2009-02-19 KR KR2020090001852U patent/KR20100008540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8444Y1 (ko) * | 2012-04-20 | 2013-08-16 | 추정순 | 유아용 다목적 담요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877176B2 (en) | Infant support system | |
US5822817A (en) | Infant mattress system with sleeping recess | |
US20050217030A1 (en) | Mattress sheet and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 |
US20090007337A1 (en) | Portable cushion and bumper device | |
JP3186007U (ja) | 添い寝用クッション | |
KR200440481Y1 (ko) | 휴대용 아기 침낭 | |
US20180352967A1 (en) | Bed sheet with an integrated body positioner | |
US7003831B1 (en) | Secured position pillow | |
KR20120058963A (ko) | 유아용 범퍼 침대 | |
KR20100008540U (ko) | 유아용 침구 | |
KR101196868B1 (ko) | 휴대용 유아침대 | |
KR200271294Y1 (ko) | 다기능 쿠션 | |
KR200475194Y1 (ko) | 유아용 침구 | |
KR101606378B1 (ko) | 영유아용 베개 | |
US20040019968A1 (en) | Sheet | |
KR101499053B1 (ko) | 휴대시 개는 작업이 용이한 유아용 침구 | |
KR200458940Y1 (ko) | 유아용 침구 | |
AU2001281608A1 (en) | A sheet | |
KR200235477Y1 (ko) | 다기능 쿠션 패드 | |
KR20130006150U (ko) | 휴대용 유아침구 | |
KR200437196Y1 (ko) | 유아용 침구 | |
CN209789333U (zh) | 一种儿童睡袋 | |
KR20130009107A (ko) | 육아용 침구 | |
KR101330676B1 (ko) | 유아용 침구 | |
KR20230043265A (ko) | 쿠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속싸개 어셈블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