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444Y1 - 유아용 다목적 담요 - Google Patents

유아용 다목적 담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444Y1
KR200468444Y1 KR2020120003244U KR20120003244U KR200468444Y1 KR 200468444 Y1 KR200468444 Y1 KR 200468444Y1 KR 2020120003244 U KR2020120003244 U KR 2020120003244U KR 20120003244 U KR20120003244 U KR 20120003244U KR 200468444 Y1 KR200468444 Y1 KR 2004684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blanket
button
buttons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32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정순
Original Assignee
추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정순 filed Critical 추정순
Priority to KR20201200032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4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4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4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06Slip-in bags; Swaddling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07Blankets; Duvets
    • A47G9/0223Blan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8Sleeping bags
    • A47G9/083Sleeping bags for babies and infa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38Bed linen
    • A47G9/0261Blanket or duvet enclosing covers, e.g. bag-like
    • A47G2009/0269Devices for use in fitting blanket or duvet enclosing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용 다목적 담요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덮개는 클립 연결부에 일정길이의 고무밴드가 결합되어 있어 아기띠나 유모차 또는 유아를 업거나 안은 보호자의 목 등에 고르게 고정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덮개를 사용치 않을 경우 보관하거나 휴대하기 위하여 덮개 몸판에 지퍼가 달린 주머니를 부착하였기 때문에 덮개를 펼쳐서 사용할 때 연약한 피부를 가진 유아들이 지퍼에 의해 쉽게 상처를 입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아기띠 또는 유모차에 탈부착 할 수 있는 유아용 담요를 구성함에 있어서, 담요본체(100)의 일측 가장자리부(110) 양쪽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제1밴드(200a)와 제2밴드(200b)를 설치하되 가장자리부(110)에 근접되는 제1밴드(200a)와 제2밴드(200b)의 내측단에는 스냅형의 제1 숫단추(310a)와 제1 암단추(310b) 중 어느 하나를 설치하고, 제1밴드(200a)와 제2밴드(200b)의 외측단에는 각 내측단에 설치된 단추와 대응되는 제2,3,4 암단추(320b)(330b)(340b)나 제2,3,4 숫단추(320a)(330a)(340a) 다수개를 일정간격으로 설치한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은 제1밴드(200a)와 제2밴드(200b)의 결착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아기띠나 유모차 또는 유아를 업거나 안은 보호자의 목 등에 고루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담요를 보관하거나 휴대할 경우에도 제1밴드와 제2밴드를 활용하는 것이므로 담요에 불필요한 부품이 설치되지 않아 이로인해 연약한 유아의 피부에 상처 입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유아용 다목적 담요{Multipurpose baby blanket}
본 고안은 유아용 다목적 담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영,유아(이하 유아라 칭함)들이 추운날씨에 외출할 경우 덮어주는 담요를 아기띠나 유모차, 유아를 업거나 안은 보호자의 목에 관계없이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담요를 보관하거나 휴대할 경우에도 담요에 별도의 부품을 설치하지 않고서도 보관 및 휴대할 수 있어 부품으로 인해 연약한 유아의 피부에 상처 입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유아용 다목적 담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잘 걷지 못하는 영,유아가 외출을 할 경우에는 보호자가 포대기나 아기띠, 유모차 등의 유아 운반도구를 사용하여 유아를 앞, 또는 등에 업거나 유모차에 태워 외출을 하여야 하는데 외출하는 날의 날씨가 춥거나 바람이 불 경우에는 유아를 보호하기 위하여 통상 보호자의 외투나 일반 담요, 유아용 담요(이하 담요라 칭함) 등으로 유아를 감싸게 된다.
그런데 담요로 유아를 덮을 경우 담요를 고정하지 않으면 담요가 쉽게 흘러 내리기 때문에 즉, 유모차에 탄 유아에게 담요를 덮어 주었을 경우 유아가 답답하여 담요를 발로 걷어차게 되면 담요가 흘러 내려가 유아를 안정적으로 덮어주지 못하거나 또는 담요가 땅바닥에 떨어지면서 먼지나 이물질로 부터 오염되어 위생상 청결하지 못하기 때문에 보호자가 항상 신경을 써서 담요가 약간이라도 흘러 내려 갔을 경우에는 신속하게 담요를 끌어 올려 주어야 하는 등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아기띠를 이용하여 유아를 안거나 포대기를 이용하여 업은 상태에서 담요를 덮어줄 경우에도 보호자가 담요를 잡아주지 않으면 담요가 쉽게 흘러 내려가기 때문에 이역시 수시로 담요을 끌어 올려주어야 하고 보호자는 담요가 흘러 내려가지 않도록 신경을 써야 하므로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따라 이런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제안된 기술이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73775호(2005.01.11. 등록)(고안의 명칭: 방한 조끼로 사용되는 다목적 유아용 보온 덮개)(이하, "종래기술"이라 약칭함)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종래기술은 몸판 상단부에는 좌우 클립 연결부가 있으며, 그 안에서 고무밴드가 봉제 결합으로 몸판에 고정되면서 밖으로 돌출하여 좌우 클립과 연결되어 이를 사용할 경우에는 좌우 클립으로 외부의 물체에 고정하면 고무밴드에 의해 몸판의 상단부가 주름이 잡히면서 밀착하게 된다.
그리고 몸판 중심부에는 지퍼가 달린 주머니가 설치되어 있어 덮개를 사용치 않을 경우에는 접어서 주머니속으로 집어넣어 보관하도록 되어 있다.
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73775호(2005.01.11. 등록)(고안의 명칭: 방한 조끼로 사용되는 다목적 유아용 보온 덮개)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클립 연결부에 일정길이의 고무밴드가 결합되어 있어 아기띠나 유모차 또는 유아를 안거나 업은 보호자의 목 등에 고르게 고정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기술은 덮개를 사용치 않을 경우 덮개의 몸판에 설치된 주머니에 접어서 지퍼를 닫아 보관하는 것이기 때문에 덮개에 항상 지퍼가 돌출되어 있어 펼쳐서 사용할 때 지퍼에 의해 연약한 피부를 가진 유아들이 쉽게 상처를 입을 우려가 있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필요에 따라 밴드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아기띠나 유모차 또는 유아를 업거나 안은 보호자의 목 등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고, 또한, 담요를 보관하거나 휴대시 밴드를 이용하기 때문에 담요에 지퍼와 같은 불필요한 부품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담요를 펼쳐서 사용하더라도 유아의 피부에 상처를 입힐 우려가 없는 유아용 다목적 담요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아기띠 또는 유모차에 탈부착 할 수 있는 유아용 담요를 구성함에 있어서, 담요본체의 일측 가장자리부 양쪽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제1밴드와 제2밴드를 설치하되 가장자리부에 근접되는 제1밴드와 제2밴드의 내측단에는 스냅형의 제1숫단추와 제1암단추 중 어느 하나를 설치하고, 제1밴드와 제2밴드의 외측단에는 각 내측단에 설치된 단추와 대응되는 제2,3,4 암단추나 제2,3,4 숫단추 다수개를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여 제1밴드와 제2밴드의 결착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제1밴드와 제2밴드의 결착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아기띠나 유모차 또는 유아를 업거나 안은 보호자의 목 등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또한, 담요를 보관하거나 휴대할 경우에도 제1밴드와 제2밴드를 활용하는 것이므로 담요에 불필요한 부품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이로인해 유아의 피부에 상처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서 제1,2밴드가 고정된 담요를 예시한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담요에서 제1밴드와 제2밴드가 각각 결착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서 제1,2밴드가 분리되는 담요를 예시한 사시도.
도 4 는 도 3 의 담요에서 제1,2밴드를 결합한 후 담요를 뒤집어 제1밴드와 제2밴드가 각각 결착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5a,5b는 본 고안에 따른 담요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도면으로서 도5a는 유모차에 사용한 상태이고, 5b는 아기띠에 사용한 상태이다.
도6a,6b 는 고안에 따라 밴드가 결착되는 상태를 예시한 도면으로서 도6a는 아기띠에 결착한 상태이고, 6b는 아기를 안은 보호자의 목에 결착한 상태이다.
도 7 은 본 고안의 담요를 평상시 이불로 사용할 때를 예시한 도면.
도 8a,8b는 본 고안의 담요를 보관하거나 휴대하기 위하여 접은 상태를 예시한 도면으로서 8a는 담요를 접은 후 밴드로 묶어주기 전의 상태이고, 8b는 묶어준 이후이다.
이하 본 고안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서 제1,2밴드가 고정된 담요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담요에서 제1밴드와 제2밴드가 각각 결착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에서 제1,2밴드가 분리되는 담요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4 는 도 3 의 담요에서 제1,2밴드를 결합한 후 담요를 뒤집어 제1밴드와 제2밴드가 각각 결착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며 도 5a,5b는 본 고안에 따른 담요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도면으로서 도5a는 유모차에 사용한 상태이고, 5b는 아기띠에 사용한 상태이고, 도6a,6b 는 고안에 따라 밴드가 결착되는 상태를 예시한 도면으로서 도6a는 아기띠에 결착한 상태이고, 6b는 아기를 안은 보호자의 목에 결착한 상태이며, 도 7 은 본 고안의 담요를 평상시 이불로 사용할 때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8a,8b는 본 고안의 담요를 보관하거나 휴대하기 위하여 접은 상태를 예시한 도면으로서 8a는 담요를 접은 후 밴드로 묶어주기 전의 상태이고, 8b는 묶어준 이후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아기띠 또는 유모차에 탈부착 할 수 있는 유아용 담요를 구성함에 있어서,담요본체(100)의 일측 가장자리부(110) 양쪽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제1밴드(200a)와 제2밴드(200b)를 설치하되 가장자리부(110)에 근접되는 제1밴드(200a)와 제2밴드(200b)의 내측단에는 스냅형의 제1 숫단추(310a)와 제1 암단추(310b) 중 어느 하나를 설치한다.
그리고 제1밴드(200a)와 제2밴드(200b)의 외측단에는 각 내측단에 설치된 단추와 대응되는 제2,3,4 암단추(320b)(330b)(340c)나 제2,3,4 숫단추 (320a)(320b)(320c) 다수개를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여 제1밴드(200a)와 제2밴드(200b)의 결착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담요를 평상시에는 집안에서 유아를 덮어주는 용도로 사용하다가 유아를 아기띠나 유모차를 이용하거나 또는 보호자가 업거나 안고서 외출할 경우 담요로 유아를 덮어주되 고정구를 이용하여 담요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것은 일반적인 기술구성이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의 특징은 고정구를 제1밴드(200a)와 제2밴드(200b)로 구분하고 제1밴드(200a)와 제2밴드(200b)의 결착 길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고정부위의 두께에 따라 그때그때 밴드의 길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도 1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제1밴드(200a)와 제2밴드(200b)의 내측단에는 스냅형의 제1 숫단추(310a)와 제2 암단추(310b)중 어느 하나를 설치하고, 외측단에는 각 내측단에 설치된 단추와 대응되는 제2,3,4 암단추(320b)(330b)(340b)와 제2,3,4숫단추(320a)(330a)(340a)다수개를 설치하였다.
즉, 제1밴드(200a)의 내측단에 설치되는 단추가 제1 숫단추(310a)인 경우 그 외측단에는 제2,3,4 암단추(320b)(330b)(330c)를 설치하고, 제2밴드(200b)의 내측단에 설치된 단추가 제1 암단추(310b)인 경우에는 그 외측단에는 제2,3,4 숫단추(320a)(330a)(330a)를 설치하는 것으로 제1밴드(200a)와 제2밴드(200b)의 내측단에 설치되는 단추 형상에 따라 제1밴드(200a)와 제2밴드(200b)의 외측단에 설치되는 단추의 형상을 달리한 것이다.
이렇게 본 고안에서는 제1밴드(200a)에는 제1 숫단추(310a)와 제2,3,4 암단추(320b)(330b)(340b)가 설치되고, 제2밴드(200b)에는 제1 암단추(310b)나 제2,3,4 숫단추 (320a)(330a)(330a)를 설치한 것이므로 제1밴드(200a)를 예로들어 설명하면 제4 암단추(340b)를 제1 숫단추(310a)에 체결하면 큰 구경의 공간이 생기는 것이고, 제3 암단추(330b)를 제1 숫단추(310a)에 체결하면 그보다 작은 구경의 공간이 생기고, 제2 암단추(320b)를 제1 숫단추(320a)에 체결하면 더 작은 구경의 공간이 생기는 것이므로 필요에 따라 제1밴드(200a)의 구경을 달리할 수 있어 고정시키고자 하는 물체의 두께에 따라 다르게 결착할 수 있으므로 도 5a에서와 같이 유모차에 고정시키거나 도 5b에서와 같이 아기띠 또는 도 6b에서와 같이 유아를 안은 보호자의 목 등에 자유롭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제1밴드(200a)와 제2밴드(200b)는 도1, 도2 에서와 같이 담요본체(100)의 일측 가장자리부(110)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고, 도 3, 도4에서와 같이 담요본체(100)의 일측 가장자리부(110)양쪽에 스냅형의 제6 숫단추(360a)와 제6 암단추(360b)중 어느하나를 설치하고, 제1밴드(200a)와 제2밴드(200b)의 내측 끝단에는 가장자리부(110)에 설치된 단추와 대응되면서 서로 결합되는 제5 암단추(350b)와 제5 숫단추(350a)를 설치하여 제1밴드(200a)와 제2밴드(200b)를 담요본체(100)에서 필요에 따라 탈부착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7에서와 같이 담요본체(100)에서 제1밴드(200a)와 제2밴드(200b)를 분리하면 집안에서 이불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같이 제1밴드(200a)의 내측단에 설치되는 단추가 제1 숫단추(310a)인 경우 그 외측단에는 제2,3,4 암단추 (320b)(330b)(340b)를 설치하고, 제2밴드(200b)의 내측단에 설치되는 단추가 제1암단추(310b)인 경우 그 외측단에는 제2,3,4 숫단추(320a)(330a)(340a)를 설치하여 제1밴드(200a)와 제2밴드(200b)의 제5 암단추(350b)와 제5 숫단추(350a)및 제2,3,4암단추(320b)(330b)(340b)와 제2,3,4 숫단추(320a)(330a)(340a)를 서로간의 맞물림하여 크기가 서로 다른 공간(400a)(400b)을 이용해서 담요본체(100)를 조그맣게 여러번 접어서 담요본체(100)를 묶거나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담요본체(100)를 접어서 휴대할 경우에는 도 8a와 같이 담요본체(100)에서 제1밴드(200a)와 제2밴드(200b)를 분리한 후 제1밴드(200a)의 제5 암단추(350b)와 제2밴드(200b)의 제5 숫단추(350a)를 결합하여 제1밴드(200a)와 제2밴드(200b)가 서로 결합되게 한다.
이처럼 제1밴드(200a)와 제2밴드(200b)의 끝단을 서로 결합 한 상태에서 담요본체(100)를 원하는 사이즈로 접어 주는데 본 고안에서는 담요본체(100)의 일측 가장자리부(110)양쪽에는 서로 결합 가능한 스냅형의 제6 숫단추(360a)와 제6 암단추(360b)가 설치되어 있어 담요본체(100)를 접어서 제6 숫단추(360a)와 제6 암단추(360b)의 맞물림에 의해 접힌 상태가 유지된 상태로 연속 접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담요본체(100)의 타측 가장자리부(110) 양쪽 끝단에는 서로 결합되면서 제1,2 밴드(200a)(200b) 내측 끝단의 제5 암단추(350b)와 숫단추(350a)가 결합되는 제7 암단추(370b)와 제7 숫단추(370a)를 설치하였다.
따라서 담요본체(100)를 접을 때는 제7 암단추(370b)와 제7 숫단추(370a)의 맞물림에 의해 반으로 접힌 상태가 유지되면서 접히게 한 것은 물론 담요본체(100)를 사용시에는 제1밴드(200a)와 제2밴드(200b)를 담요본체(100)의 제6 암,숫단추 (360b)(360b) 또는 제7 암,숫단추(370b)(370a)에 임의로 결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렇게 담요본체(100)를 접어 준후 서로 결합된 제1밴드(200a)와 제2밴드(200b)로 담요본체(100)를 감싼 후 도 8a 에서와 같이 제1밴드(200a)의 제5 암단추(350b)와 제2밴드(200b)의 제5 숫단추(350a)를 맞물리게 한 후 제1밴드(200a)의 제2암단추(320b)와 제2밴드(200b)의 제2숫단추(320a)를 결합하여 공간(400a)가 형성되게 하고, 제1밴드(200a)의 제4암단추(340b)와 제2밴드(200b)의 제4숫단추(340a)를 서로 결합하여 공간(400b)가 형성되게 한다.
이후 공간(400a)속으로는 도 8b에서와 같이 접어진 담요본체(100)를 넣어주고, 공간(400b)는 손잡이로 활용하면 된다.
여기서 공간(400a)과 공간(400b)의 구경은 담요본체(100)의 접어진 두께에 따라 구경을 달리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담요본체(100)를 보관하거나 휴대시 담요본체(100)에서 제1밴드(200a)와 제2밴드(200b)를 분리하여 서로 결합시킨 상태에서 담요본체(100)를 묶어주는 것이므로 종래처럼 담요를 보관 및 휴대하기 위하여 지퍼가 달린 주머니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담요본체(100)를 펼쳐서 사용시 유아의 피부에 종전처럼 지퍼로 인한 상처를 입을 우려가 없는 것이다.
100 : 담요본체 110 : 가장자리
200a,200b : 제1,2밴드
310a,320a,330a,340a,350a,360a,370a : 제1,2,3,4,5,6,7 숫단추
310b,320b,330b,340b,350b,360b,370b : 제1,2,3,4,5,6,7 암단추
400a,400b : 공간

Claims (4)

  1. 아기띠 또는 유모차에 탈부착 할 수 있는 유아용 담요를 구성함에 있어서,
    담요본체(100)의 일측 가장자리부(110) 양쪽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제1밴드(200a)와 제2밴드(200b)를 설치하되
    가장자리부(110)에 근접되는 제1밴드(200a)와 제2밴드(200b)의 내측단에는 스냅형의 제1 숫단추(310a)와 제1 암단추(310b) 중 어느 하나를 설치하고,
    제1밴드(200a)와 제2밴드(200b)의 외측단에는 각 내측단에 설치된 단추와 대응되는 제2,3,4 암단추(320b)(330b)(340b)나 제2,3,4 숫단추(320a)(330a)(340a) 다수개를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여
    제1밴드(200a)와 제2밴드(200b)의 결착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다목적 담요.
  2. 제 1 항에 있어서,
    담요본체(100)의 일측 가장자리부(110) 양쪽에는 스냅형의 제6 숫단추(360a)와 제6 암단추(360b) 중 어느 하나를 설치하고,
    제1밴드(200a)와 제2밴드(200b)의 내측 끝단에는 가장자리부(110)에 설치된 단추와 대응 결합되는 제5 암단추(350b) 또는 제5 숫단추(350a)를 설치하여
    담요본체(100)로부터 제1밴드(200a)와 제2밴드(200b)를 탈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다목적 담요.
  3. 제 1 항에 있어서,
    담요본체(100)의 일측 가장자리부(110) 양쪽에는 서로 결합 가능한 스냅형의 제6 숫단추(360a)와 제6 암단추(360b)를 설치하여 담요본체(100)를 접을 때는 제6 숫단추(360a)와 제6 암단추(360b)의 맞물림에 의해 접힌 상태가 유지된 상태로 연속 접을 수 있게 하고,
    제1밴드(200a)와 제2밴드(200b)의 내측 끝단에는 가장자리부(110)에 설치된 단추와 대응되면서 서로 결합되는 제5 암단추(350b)와 제5 숫단추(350a)를 설치하여 담요본체(100)로부터 제1,2밴드(200a)(200b)의 탈부착이 가능함과 아울러 분리된 제1,2밴드(200a)(200b)를 제5 암,숫단추(350b)(350a)에 의해 서로 결착되게 하며,
    제1밴드(200a)의 내측단에 설치되는 단추가 제1 숫단추(310a)인 경우 그 외측단에는 제2,3,4 암단추(320b)(330b)(340b)를 설치하고, 제2밴드(200b)의 내측단에 설치되는 단추가 제1 암단추(310b)인 경우 그 외측단에는 제2,3,4 숫단추(320a)(330a)(340a)를 설치하여
    제1,2밴드(200a)(200b)의 제5 암,숫단추(350b)(350a) 및 제2,3,4 암,숫단추(320b)(330b)(340b),(320a)(330a)(340a) 서로간의 맞물림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400a)(400b)을 이용하여 조그맣게 여러번 접힌 담요본체(100)를 묶거나 손잡이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다목적 담요.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담요본체(100)의 타측 가장자리부(110) 양쪽 끝단에는 서로 결합되면서 제1,2 밴드(200a)(200b) 내측 끝단의 제5 암,숫단추(350b)(350a)가 결합되는 제7 암단추(370b)와 제7 숫단추(370a)를 설치하여
    담요본체(100)를 접을 때는 제7 암,숫단추(370b)(370a)의 맞물림에 의해 반으로 접힌 상태가 유지되면서 접히게 하고,
    담요본체(100) 사용시는 제1밴드(200a)와 제2밴드(200b)를 담요본체(100)의 제6 암,숫단추(360b)(360a) 또는 제7 암,숫단추(370b)(370a)에 임의로 결착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다목적 담요.
KR2020120003244U 2012-04-20 2012-04-20 유아용 다목적 담요 KR2004684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244U KR200468444Y1 (ko) 2012-04-20 2012-04-20 유아용 다목적 담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244U KR200468444Y1 (ko) 2012-04-20 2012-04-20 유아용 다목적 담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444Y1 true KR200468444Y1 (ko) 2013-08-16

Family

ID=51399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3244U KR200468444Y1 (ko) 2012-04-20 2012-04-20 유아용 다목적 담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4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8822B1 (ko) * 2016-12-26 2018-11-14 손서원 견착부의 위치 변경이 가능한 유아용 워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6520U (ja) * 1998-08-07 1999-02-26 多恵 森 携帯袋兼用敷き布団カバー
KR20090059484A (ko) * 2007-12-06 2009-06-11 변효성 유아용 다기능 침구
KR20100006061U (ko) * 2008-12-05 2010-06-15 김유경 낮잠매트
KR20100008540U (ko) * 2009-02-19 2010-08-27 홍형석 유아용 침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6520U (ja) * 1998-08-07 1999-02-26 多恵 森 携帯袋兼用敷き布団カバー
KR20090059484A (ko) * 2007-12-06 2009-06-11 변효성 유아용 다기능 침구
KR20100006061U (ko) * 2008-12-05 2010-06-15 김유경 낮잠매트
KR20100008540U (ko) * 2009-02-19 2010-08-27 홍형석 유아용 침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8822B1 (ko) * 2016-12-26 2018-11-14 손서원 견착부의 위치 변경이 가능한 유아용 워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6045B2 (en) Blanket backpack
US20090180715A1 (en) Convertible bag
US20050045674A1 (en) Baby carrier with enclosure system
US20150026884A1 (en) Blanket with multiple functionality and system
US20080235870A1 (en) Blanket With Tie Straps
US20120102645A1 (en) Infant Blanket Wrap with Bifurcated Legs
US20120151657A1 (en) Nursing Cover-up
US20140013509A1 (en) Infant blanket, nursing privacy cover, and stroller cover
US9565951B2 (en) Small child and baby carrier and extension element for the use as a part of a small child and baby carrier
US20090193561A1 (en) Combination Infant Shade and Nursing Blanket
US8950023B2 (en) Multipurpose attachable protective blanket
US20160347220A1 (en) Child Protection Liner
US20150196126A1 (en) Attachable child blanket and nursing cover
CA2829098A1 (en) Diapering restraint
US8608246B1 (en) Safety belt holder
US20120280543A1 (en) Multifunctional blanket and covering device
US20110197364A1 (en) Infant Support Device
US20120159707A1 (en) Infant bed support systems
KR200468444Y1 (ko) 유아용 다목적 담요
US20130015689A1 (en) Child conveyance device and blanket for same
JP3202267U (ja) 乳幼児用防寒具
US20140132043A1 (en) Stroller Blanket
US20120272926A1 (en) Shopping cart and walking harness
CN203168661U (zh) 长袍睡袋
KR101426760B1 (ko) 유모차 부착 보관형 미끄럼 방지 안전담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