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8475U - 도어 손잡이 - Google Patents

도어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8475U
KR20100008475U KR2020090001777U KR20090001777U KR20100008475U KR 20100008475 U KR20100008475 U KR 20100008475U KR 2020090001777 U KR2020090001777 U KR 2020090001777U KR 20090001777 U KR20090001777 U KR 20090001777U KR 20100008475 U KR20100008475 U KR 2010000847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ase
handle
presen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17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7807Y1 (ko
Inventor
양재국
Original Assignee
양재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국 filed Critical 양재국
Priority to KR20200900017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807Y1/ko
Publication of KR201000084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4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8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8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07Knob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76Transmission of human force
    • E05Y2201/68Handles, cranks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는, 하측 면에 피 고정체인 도어에 부착되는 부착부재가 구비되며 단차를 갖고 형성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장착되는 고정체;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고정체의 사이에 게재되며 쿠션부재로 구비된 손잡이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는, 흡착력에 의해 피 고정체인 도어에 부착되는 흡착부재가 구비되며 단차를 갖고 형성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장착되는 고정체;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고정체의 사이에 게재되며 쿠션부재로 구비된 손잡이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는, 하측 면에 피 고정체인 도어에 부착되는 부착부재가 구비된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장착되며 손잡이의 기능을 하는 고정체로 구비된 것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제4 실시 예는, 흡착력에 의해 피 고정체인 도어에 부착되는 흡착부재가 구비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장착되며 손잡이의 기능을 하는 고정체로 구비된 손잡이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어 손잡이를 접착력 또는 진공 흡착력에 의해 베란다 문이나 창문 등에 부착 사용한다.
손잡이, 베이스, 고정체, 흡착부재, 부착부재

Description

도어 손잡이{door handle}
본 고안은 도어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 손잡이의 구조를 개선하여 베란다 문이나 창문 등 일상 생활주변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도어에 선택적으로 장착 사용하는 도어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 핸들은 도어 락과 함께 설치되어 도어를 잠그거나 열 때 사용되는 손잡이다.
도 1에 도시된 일반적인 도어 핸들은 가장 대중화, 보편화된 것으로 도어 핸들(100)의 중앙부에는 키 홈(110)이 설치된다.
물론 상기와 같은 도어 핸들(100)은 도어를 매개로 한 쌍이 대칭된 형상으로 결합되어 사용되지만 결국 대동소이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한 개의 도어 핸들을 도시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도어를 개방할 때에는 도어 핸들(100)을 잡아 회전시키면서 개방하고, 도어를 폐쇄할 때에는 상기의 도어 핸들(100)과 대칭된 형상으로 결합되는 또 다른 도어 핸들에 구비된 잠금 버튼이을 눌러 도어를 폐쇄하고 다시 폐쇄된 도어를 개방할 때에는 도어 핸들(100)의 중앙부에 노출된 키 홈(110)에 열쇠를 삽입 후 돌려서 폐쇄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일반적인 도어 핸들이 장착되지 않은 도어 예를 들어 베란다 도어나 창문 등은 손잡이가 없어서 프레임을 잡고 문을 여닫거나 또는 일부 매립되거나 돌출된 별도의 손잡이를 사용하여 도어를 개폐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별도의 도어 핸들이 설치되지 않은 도어는 개폐할 때마다 도어 핸들을 잡을 수 없으므로 손가락의 힘을 이용하여 도어를 개폐해야 하므로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도어 핸들이 설치되지 않은 베란다 도어 또는 창문 등의 구조적인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도어 손잡이를 개선하여 베란다 문이나 창문 등에 선택적으로 부착 사용할 수 있는 도어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도어 손잡이의 구조를 개선하여 각종 도어에 효과적으로 호환하며 사용할 수 있는 도어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는, 하측 면에 피 고정 체인 도어에 부착되는 부착부재가 구비되며 단차를 갖고 형성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장착되는 고정체;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고정체의 사이에 게재되며 쿠션부재로 구비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도어 손잡이를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1 변형 예는, 상기 손잡이는 그 내측에 상기 베이스의 일 부분인 단차부와 상기 고정체의 일 부분이 수용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는, 흡착력에 의해 피 고정체인 도어에 부착되는 흡착부재가 구비되며 단차를 갖고 형성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장착되는 고정체;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고정체의 사이에 게재되며 쿠션부재로 구비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도어 손잡이를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2 변형 예는, 상기 손잡이는 그 내측에 상기 베이스의 일 부분인 단차부와 상기 고정체의 일 부분이 수용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는, 하측 면에 피 고정체인 도어에 부착되는 부착부재가 구비된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장착되며 손잡이의 기능을 하는 고정체로 구비된 도어 손잡이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제4 실시 예는, 흡착력에 의해 피 고정체인 도어에 부착되는 흡착부재가 구비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장착되며 손잡이의 기능을 하는 고정체로 구비된 손잡이를 제공한다.
상기 제3,4 실시 예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변형 예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고정체 중 어느 하나에는 쿠션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손잡이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도어 손잡이를 창문 또는 베란다 문이나 생활 주변의 각종 도어에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사용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도어 손잡이를 간단한 구조로 개선함으로써 사용 범위를 확대하고 또 사용상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도어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와 도 3에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예와 다른 예를 보인 도어 손잡이의 분해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와 도 6에는 본 고안에 따른 제3,4 실시 예를 보인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손잡이(1)는 하측 면에 피 고정체인 도어에 부착되는 부착부재(11)가 구비되며 단차를 갖고 형성되는 베이스(10)가 구비된다.
상기 부착부재(11)는 양면 테잎 등과 같이 접착성이 있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고 이형지(30)에 의해 보호된다.
또 상기 베이스(10)의 상측에는 고정체(12)가 장착된다.
상기 고정체(12)는 상기 베이스(10)의 상측에 나사 결합식으로 결합될 수 있지만 억지끼움 방식으로 장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10)와 상기 고정체(12)의 사이에는 손잡이(13)가 설치된다.
상기 손잡이(13)는 그 내측에 상기 베이스(10)의 일 부분인 단차부와 상기 고정체(12)의 일 부분이 수용된다.
더욱 효과적으로는 상기 손잡이(13)는 탄성력이 있고 푹신푹신한 쿠션력이 있는 합성수지로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다.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로는 상기 베이스(10)는 제1 실시 예와 같이 접착력에 의해 부착되지 않고 별도의 흡착부재(20)를 설치함으로써 흡착부재(20)의 진공 흡착력에 의해 피 고정체인 도어에 부착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제1,2 실시 예와 같이 별도의 손잡이가 구비되지 않고 부착부재(11)가 구비된 베이스(10)와 및 상기 베이스(10)의 상측에 장착되며 손잡이의 기능을 하는 고정체(12)로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고정체(12)는 그 형상을 둥그렇게 만들고 질감과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질로 제작하면 상기한 제1,2 실시 예와 같이 세개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 고 두 개의 부품으로 제작하여 부품수를 줄이면서도 본 고안에 따른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는 도 6과 같이 흡착력에 의해 피 고정체인 도어에 부착되는 흡착부재(20)가 구비된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의 상측에 장착되며 손잡이의 기능을 하는 고정체(12)로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제3,4 실시 예와 같이 고정체를 손잡이의 형상으로 제작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 베이스(10) 또는 상기 고정체(12) 중 어느 하나에는 쿠션부재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 베이스(10)와 상기 고정체(12)의 사이에 게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처음 본 고안이 도어에 설치된 상태는 도 4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상기의 상태는 부착부재(11)의 부착력 또는 흡착부재(20)의 흡착력에 의해 베이스(10)는 베란다 도어 또는 창문 등 피 고정체인 각종 도어에 부착된 상태가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도어를 개폐할 때에는 쿠션부재로 제작된 손잡이(13)를 이용하여 도어를 개폐하거나 또는 제 3,4 실시 예와 같이 손잡이의 형상을 갖고 제작된 베이스(10) 또는 고정체(12)를 잡고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핸들의 사용시 질감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사용상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손잡이가 필요한 생활 주변의 각종 도어에 선택적으로 부착 사 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해당 분야에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이 본 고안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도어 핸들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도어 손잡이의 제1 실시 예를 보인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손잡이의 제2 실시 예를 보인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손잡이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손잡이의 제3 실시 예를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손잡이의 제4 실시 예를 보인 예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 베이스 11 : 부착부재
12 : 고정체 13 : 손잡이
20 : 흡착부재 30 : 이형지

Claims (7)

  1. 하측 면에 피 고정체인 도어에 부착되는 부착부재가 구비되며 단차를 갖고 형성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장착되는 고정체;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고정체의 사이에 게재되며 쿠션부재로 구비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도어 손잡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그 내측에 상기 베이스의 일 부분인 단차부와 상기 고정체의 일 부분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손잡이.
  3. 흡착력에 의해 피 고정체인 도어에 부착되는 흡착부재가 구비되며 단차를 갖고 형성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장착되는 고정체;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고정체의 사이에 게재되며 쿠션부재로 구비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도어 손잡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그 내측에 상기 베이스의 일 부분인 단차부와 상기 고정체의 일 부분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손잡이.
  5. 하측 면에 피 고정체인 도어에 부착되는 부착부재가 구비된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장착되며 손잡이의 기능을 하는 고정체로 구비된 도어 손잡이.
  6. 흡착력에 의해 피 고정체인 도어에 부착되는 흡착부재가 구비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장착되며 손잡이의 기능을 하는 고정체로 구비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도어 손잡이.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고정체 중 어느 하나에는 쿠션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손잡이.
KR2020090001777U 2009-02-18 2009-02-18 도어 손잡이 KR2004578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777U KR200457807Y1 (ko) 2009-02-18 2009-02-18 도어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777U KR200457807Y1 (ko) 2009-02-18 2009-02-18 도어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475U true KR20100008475U (ko) 2010-08-26
KR200457807Y1 KR200457807Y1 (ko) 2012-01-03

Family

ID=44453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1777U KR200457807Y1 (ko) 2009-02-18 2009-02-18 도어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80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49781A (zh) * 2013-08-26 2014-02-05 宋孟光 粘贴式橱柜门手柄
KR102501022B1 (ko) * 2021-07-30 2023-02-17 주식회사 이삭 대상 안경에 탈부착되는 도수 안경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287A (ja) * 1996-07-20 1998-02-10 Masaharu Kumagai 貼着式引手
KR20020061943A (ko) * 2001-01-19 2002-07-25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제조에서 산화 물질층을 형성하는 방법
KR200261943Y1 (ko) * 2001-05-17 2002-02-06 김춘동 흡착판 달린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7807Y1 (ko) 2012-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67948S1 (en) Incubator for newborn infants
US9347240B2 (en) Pocket door pull devices
US20040148734A1 (en) Doorknob cover capable of attracting or being attracted magnetically
KR200457807Y1 (ko) 도어 손잡이
KR100911950B1 (ko) 도어 자동 잠금장치
KR100864565B1 (ko) 커버가 형성된 문 손잡이
KR200486939Y1 (ko) 탈부착이 용이한 미닫이 도어 손잡이
KR200325942Y1 (ko) 도어 고정장치
KR100716026B1 (ko) 푸쉬버튼식 창문용 잠금장치
KR200453991Y1 (ko) 회전 푸쉬버튼식 창문 잠금 장치
KR100821533B1 (ko) 이중 창문 잠금장치
KR101388198B1 (ko) 매립형 손잡이
JP3175086U (ja) 引戸の戸先用クッション材
KR200442810Y1 (ko) 양면 프라이팬 손잡이의 잠금장치
CN221053438U (zh) 一种免钥匙锁定功能口袋锁
CN210067664U (zh) 一种新型的防盗门
KR200480622Y1 (ko) 미닫이문용 손잡이
KR200401116Y1 (ko) 요철형 경첩
KR101169996B1 (ko) 내부에서 개폐가 가능한 이중 창호
KR200405300Y1 (ko) 신축캡을 갖는 봉 커튼용 지지봉
KR200252605Y1 (ko) 열린 문 고정장치
KR200375364Y1 (ko) 이.미용기구세트의 보관상자
TWI266297B (en) Locking member for an external optical disk drive
JP2007092394A (ja) 引戸装置
JP2006348619A (ja) 扉開き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