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8357U - 정ㆍ역회전 제어에 따른 수중교반 및 수중 폭기장치 - Google Patents

정ㆍ역회전 제어에 따른 수중교반 및 수중 폭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8357U
KR20100008357U KR2020090001608U KR20090001608U KR20100008357U KR 20100008357 U KR20100008357 U KR 20100008357U KR 2020090001608 U KR2020090001608 U KR 2020090001608U KR 20090001608 U KR20090001608 U KR 20090001608U KR 20100008357 U KR20100008357 U KR 2010000835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water
air
flow rate
reverse rotation
ai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16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6162Y1 (ko
Inventor
강대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장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장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장호
Priority to KR20200900016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162Y1/ko
Publication of KR201000083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3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1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1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4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surface aeration
    • C02F3/16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surface aeration the aerator having a vertical ax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02F3/205Moving, e.g. rotary, diffusers; Stationary diffusers with moving, e.g. rotary, distributors
    • C02F3/207Moving, e.g. rotary, diffusers; Stationary diffusers with moving, e.g. rotary, distributors with axial thrust prope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8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역회전 제어에 따른 수중교반 및 수중 폭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오·폐수의 유기물 및 영양염류(질소, 인)를 제거하는 공정에서 단일 반응조내에 산소를 공급하여 유기물 제거 및 질산화를 위한 호기영역의 폭기기능과, 영양염류를 제거하기 위한 혐기영역의 교반기능이 정·역회전 제어에 따라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호기공정시 수중교반기의 임펠러를 역회전시켜 나선형 유속상승 장치를 통해 난류를 형성하여 산기관에서 발생되는 공기방울과 강하게 접촉시킴으로써 수두손실을 최소화하여 소요동력을 저감하고, 기액전달속도를 배가시켜 산소흡수율을 크게 상승시키는 특징이 있다.
난류(TURBULENT FLOW), 수두(유체(流體)가 지니는 에너지를 길이의 단위), 수중교반기

Description

정ㆍ역회전 제어에 따른 수중교반 및 수중 폭기장치{Underwater airation and underwater agitating device by control of rotating·backlashing}
본 고안은 정ㆍ역회전 제어에 따른 수중교반 및 수중 폭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오ㆍ폐수에 포함된 유기물 및 영양염류(질소, 인)를 제거하는 공정에서 단일 반응조내에 산소를 공급하여 유기물 및 영양염류 및 질산화를 위한 호기영역의 폭기기능과, 유기물 및 영양염류를 제거하기 위하여 정ㆍ역회전 제어에 따른 교반기능이 혐기영역에 마련되어 호기공정시 수중 교반기의 임펠러를 역회전시키면 나선형 유속상승 장치를 통해 난류(TURBULENT FLOW)를 형성되어 산기관에서 발생되는 공기방울과 유기물 및 영양염류를 강하게 접촉시킴으로써 수두손실을 최소화하여 소요동력을 저감하고, 기액전달속도를 배가시켜 산소흡수율을 크게 상승시키는 정ㆍ역회전 제어에 따른 수중교반 및 수중 폭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가 공업화, 산업화되어 감에 따라 가정이나 산업현장에서 배출되는 오폐수는 그 량이나 오염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그에 따라 오 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이나 시설을 위한 종래기술 또한 상당히 많이 나와 있다.
일반적으로 오, 폐수를 처리하기 위해서 많이 쓰이는 방법은 화학적으로 처리하는 방법과 생물학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이 있다.
화학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은 그 처리속도는 빠르나 화학약품에 의한 추가오염의 문제가 있으므로 생물학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이 널리 쓰이며, 그 중 활성오니법에 의한 방법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활성오니법이란 오폐수를 활성오니(호기성 세균)와 함께 폭기조에서 폭기, 교반하여 BOD(생물학적 산소요구량)를 거의 만족시키도록 하며, 하수 속의 콜로이드상이나 용해한 물질이 침전하거나 활성오니에 접착되어 깨끗한 물로 되는데 한 차례의 정화작용을 한 후, 침전된 물질을 분리하거나 필요에 따라 폐기 또는 다시 본처리 과정으로 반송하여 오폐수를 처리하는 방법을 말한다.
또한, 활성오니법에 사용되는 폭기장치는 통상적으로 브로워(BLOWER)를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강제 급기식 수중폭기장치와, 단일 임펠러의 회전력에 의해 오수와 공기를 흡입시키는 자흡식 단일 임펠러형 수중폭기장치로 나누어진다.
상기 강제 급기식 수중폭기장치는 공기 공급관과 연결하여 사용하고, 교반 및 급기 겸용으로 탈질 탈인처리를 할 수 있으며, 고효율 설계로 뛰어난 산소 전달 능력과 송기량을 증감 또는 단속운전함으로써 산소 공급량의 조절이 용이하다.
또한, 자흡식 단일 임펠러형 수중폭기장치 강한 지흡력으로 송풍기관련 배관이 필요 없어 설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 발생률이 낮으며, 소음이 적으므로 어느 장소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강제 급기식 수중폭기장치는 산소 전달률은 우수하나 이에 따른 브로와 및 배관 설비 등의 추가적인 부대설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흡식 단일 임펠러형 수중폭기장치 또는 이중 임펠러형 수중폭기장치는 강제 급기식 폭기장치에 비해 별도의 브로워 및 배관 설비 등을 포함한 부대설비가 요구되지는 않으나, 단위동력(KW)당 산소 전달율이 강제 급기식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에, 생물학적으로 많은 량의 산소를 필요로 하여 미생물을 이용한 오폐수를 처리하는 수중폭기장치로서는 부적합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일 반응조내에서 상부에는 호기영역의 폭기기능과 하부에는 혐기영역을 위한 교반기능이 일체로 구비된 상태에서 교반기능의 정·역회전 제어에 의해 상호 보완적으로 다기능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호기공정시 혐기영역에서 수중교반기의 임펠러를 역회전시키면 내부가 나선형인 유속상승 장치를 통해 발생되는 난류가 상승하여 산기관에서 발생되는 공기방울과 접촉시키는 수중교반 및 수중 폭기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수중교반 및 수중 폭기장치는 단일 반응조내에서 호기공정시 수중교반기의 임펠러를 역회전시켜 나선형 유속상승 장치를 통해 유기물 및 영양염류가 포함된 난류를 형성시켜 산기관에서 발생되는 공기방울 과 강하게 충돌시킴으로써 수두손실을 최소화하여 소요동력을 저감하고, 기액전달속도를 배가시켜 산소흡수율을 크게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별도의 배관이 필요 없어 설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 발생률이 낮으며, 소음이 적으므로 어느 장소에도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수중교반 및 수중폭기장치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 수중교반 및 수중폭기장치를 도시해 보인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수중교반 및 수중폭기장치를 도시해 보인 결합단면도이다.
본 고안 수중교반 및 수중폭기장치(1)는 오ㆍ폐수를 정화하기 위해 단일 반응조 내(10)에 설치하여 하부방향에서 상부방향으로 혐기영역(12), 완충영역, 호기영역(11)으로 구분하고, 혐기영역(12)에서는 교반기능과 호기영역(11)에는 폭기기능이 더 부가된다.
따라서 상기 수중교반 및 수중폭기장치(1)중 유속상승장치(22)는 원통형상에 상ㆍ하부방향으로 대향지게 호퍼(35, 35')가 형성되어 장구형상을 이루고, 상기 원통형상의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나선형(23)을 형성하여 교반되는 무기물 및 영양염류가 나선형(23)을 따라 빠르게 상승하는 과정에서 난류가 발생하여 상부로 공급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유속상승장치(22)는 반응조(10)의 바닥에서 이격되도록 한 쌍의 받침대(36)를 마련하여 하부에 위치하는 호퍼(35')의 외주면으로 부착한다.
또한, 상기 유속상승장치(22)는 원통형상이기 때문에 내부로 삽입되는 수중교반기(33)가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형(23)과 간격을 형성하고, 상기 수중교반기(33)의 하부 외주면에는 유속상승장치(22)의 하부 내주면에 고정하도록 고정부재(24)를 볼트 체결한다.
상기 수중교반기(33)는 내부에 정ㆍ역회전하는 수중모터(30)가 수밀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회전축(31)만 수직방향으로 외부로 노출되어 끝단에 임펠러(26)가 부착되도록 수중모터(30)를 밀폐하는 수밀케이싱(34)이 형성된다.
상기 수밀케이싱(34)의 상부에는 수중교반기(33) 또는 수중교반 및 수중폭기장치(1)를 인양할 수 있도록 인양고리(28)와 수중모터(30)에 전원을 공급하는 리드선이 인출된다.
따라서 상기 수중교반기(33)는 유속상승장치(22) 내부로 관통되어 임펠러(26)는 유속상승장치(22)의 하부로 노출되어 받침대(36) 사이에 위치하고, 상부는 유속상승장치(22)의 상부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게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속상승장치(22)의 상부에 형성된 호퍼(35) 둘레에는 수중교반기(33)와 수평하게 원형 또는 사각의 링형상을 갖는 공기배관(32)이 위치하고, 상기 공기배관(32)을 지지하기 위해서는 공기배관(32)의 저면과 받침대(36)의 상면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각각의 포스트(25)가 부착되어 사방에서 고정한다.
한편, 상기 공기배관(32)은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유동할 수 있도록 통공되고, 상면 일측에는 도면에 미 도시 하였으나 공기호스와 연결되는 강제급기구(27)가 형성되어 공기를 외부에서 공급한다.
또한, 상기 공기배관(32)의 상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산기관(21)이 부착되어 공기배관(32)으로 공급되어 유동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공기방울(29)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 고안 수중교반 및 수중 폭기장치(1)는 유기물 제거 및 질산화 공정의 호기영역(11)에서 임펠러(26)가 역회전하면서 내부가 나선형(23)인 유속상승장치(22)를 통해 난류가 형성되어 산기관(21)에서 발생되는 공기방울(29)과 무기물 및 영양염류가 강하게 충돌되고, 탈질화 및 탈인공정의 혐기영역(12)에서는 임펠러(26)를 정회전시켜 교반함으로서 반응을 촉진한다.
도 3은 본 고안 유속상승장치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면으로 원통형상으로 내주면에 나선형(23)이 형성되어 나선형(23)을 따라 상승속도를 가속하는 것은 물론 나선형(23)을 따라 상승하는 과정에 소용돌이 모양처럼 회전되어 난류가 발생하는 구조이다.
도 5는 본 고안 수중교반 및 수중폭기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해 보인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은 정·역회전 제어에 따른 수중교반 및 수중 폭기장치(1)를 반응조(10)에 설치하여 오·폐수의 유기물 및 영양염류(질소, 인) 제거 공정에서 단일 반응조(10)내에 산소를 공급하여 유기물 제거 및 질산화를 위한 호기영역(11)에서 폭기기능이 부가되어 영양염류를 제거하기 위해 혐기영역(12)에서 교반기능을 갖는수중교반기(33)의 수중모터(30)를 호기공정시 수중교반기(33)의 임펠러(26) 를 역회전시키면 내부가 나선형인 유속상승 장치(22)를 통해 난류(TURBULENT FLOW)을 형성시켜 산기관(21)에서 발생되는 공기방울(29)과 강하게 충돌시킴으로써 수두손실을 최소화하여 소요동력을 저감하고, 기액전달속도를 배가시켜 산소흡수율을 크게 상승시키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수중교반 및 수중폭기장치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수중교반 및 수중폭기장치를 도시해 보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유속상승장치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 수중교반 및 수중폭기장치를 도시해 보인 결합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수중교반 및 수중폭기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해 보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수중교반 및 수중폭기장치 10: 반응조
11: 호기영역 12: 혐기영역
21: 산기관 22: 유속상승장치
23: 나선형 24: 고정부재
25: 포스트 26: 임펠러
27: 강제급기구 28: 인양고리
29: 공기방울 30: 수중모터
31: 회전축 32: 공기배관
33: 수중교반기 34: 수밀케이싱
35, 35': 호퍼

Claims (4)

  1. 단일 반응조(10)내에 삽입되어 바닥면과 이격되도록 받침대(36)가 부착되어, 반응조(10) 하부에 침전된 무기물 및 영양염류를 상부에 위치한 산기관(21)으로 상승시 난류를 형성하는 유속상승장치(22)와;
    상기 유속상승장치(22)의 내부로 관통되게 삽입 설치된 수밀케이싱(34)은 상면에 인양고리(28)와, 내부에는 정ㆍ역회전이 가능한 수중모터(30)가 설치되고, 상기 수중모터(30)의 회전축(31) 끝단은 유속상승장치(22)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임펠러(26)가 체결되어 역회전시 무기물 및 영양염류를 교반하여 유속상승장치(22)로 상승시키는 수중교반기(33)와;
    상기 유속상승장치(22)의 상부에는 상승하는 난류와 공기방울(29)이 충돌하도록 수밀케이싱(34)과 수평하게 위치하여 인입된 공기가 유동하도록 통공되는 공기배관(32)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배관(32)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일측 상면에 형성된 강제급기구(27)와,
    상기 강제급기구(27)를 통해 공기배관(32)으로 공급되어 유동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공기방울(29)을 형성하는 산기관(21)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ㆍ역회전 제어에 따른 수중교반 및 수중 폭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속상승장치(22)는 원통형상으로 상ㆍ하부 끝단에는 대향지게 호퍼(35, 35')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나선형(23)을 형성 하여 무기물 및 영양염류를 포함한 오폐수가 나선형(23)을 따라 상승할 때 난류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ㆍ역회전 제어에 따른 수중교반 및 수중 폭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기관(21)은 공기배관(32)의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ㆍ역회전 제어에 따른 수중교반 및 수중 폭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관(32)을 지지하기 위하여 공기배관(32)과 받침대(36) 사이에는 수직방향으로 포스트(25)가 각각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ㆍ역회전 제어에 따른 수중교반 및 수중 폭기장치.
KR2020090001608U 2009-02-13 2009-02-13 정ㆍ역회전 제어에 따른 수중교반 및 수중 폭기장치 KR2004561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608U KR200456162Y1 (ko) 2009-02-13 2009-02-13 정ㆍ역회전 제어에 따른 수중교반 및 수중 폭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608U KR200456162Y1 (ko) 2009-02-13 2009-02-13 정ㆍ역회전 제어에 따른 수중교반 및 수중 폭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357U true KR20100008357U (ko) 2010-08-23
KR200456162Y1 KR200456162Y1 (ko) 2011-10-17

Family

ID=44453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1608U KR200456162Y1 (ko) 2009-02-13 2009-02-13 정ㆍ역회전 제어에 따른 수중교반 및 수중 폭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16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841B1 (ko) * 2014-02-17 2014-04-16 신현덕 축소지하화를 위한 하·폐수 처리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5423B2 (ja) 1998-07-07 2005-05-11 株式会社荏原製作所 水中攪拌曝気装置
KR100583052B1 (ko) * 2004-10-19 2006-05-26 한상배 포기용량과 산기기능이 개선된 수중포기기
KR100806994B1 (ko) 2006-10-02 2008-02-25 한상배 산소전달율과 안정성이 개선된 수중포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841B1 (ko) * 2014-02-17 2014-04-16 신현덕 축소지하화를 위한 하·폐수 처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6162Y1 (ko) 2011-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815C (zh) 需氧处理污水的方法与处理池
KR100512089B1 (ko) 고속 고효율 폭기장치
CN101284696A (zh) 一种双叶轮液下曝气机
KR101043917B1 (ko) 쌍방향 흡입 교반장치
KR101012273B1 (ko) 고효율의 선회와류식 표면포기장치를 이용한 하폐수의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US4532038A (en) Flow control apparatus for aerobic sewage treatment
CN102010062B (zh) 双环沟mbr废水处理系统
CN213202505U (zh) 一种螺旋推流曝气装置
CN108516616A (zh) 一种防止污泥堆积的好氧池
KR101750449B1 (ko) 고정형 속도가변식 표면포기장치와 부유식 배출장치를 이용한 sbr공법의 소규모 하 폐수 처리장치 및 공정
KR200456162Y1 (ko) 정ㆍ역회전 제어에 따른 수중교반 및 수중 폭기장치
US8056887B2 (en) Apparatus for surface mixing of gasses and liquids
KR200172329Y1 (ko) 폭기식 폐수처리 장치
KR100997446B1 (ko) 미세 기포발생기 및 그를 구비한 오폐수처리시설
US8877045B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0407871B1 (ko) 폐타이어 담체를 이용한 생물학적 하.폐수 처리 장치
JP2002001379A (ja) 汚水処理装置及び方法
KR20210083520A (ko) 수중 포기장치
CN202519098U (zh) 微动力多功能曝气装置
JP2002035786A (ja) 水中攪拌式散気装置
JP2010023036A (ja) 汚水処理装置
SU93171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биохим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KR102319034B1 (ko) 자흡식 싸이클론 폭기장치
US11406943B1 (en) Apparatus for treating fluids having improved aeration efficiency and dual function operation
KR0126422B1 (ko) 하, 폐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