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5841B1 - 축소지하화를 위한 하·폐수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축소지하화를 위한 하·폐수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5841B1
KR101385841B1 KR1020140018055A KR20140018055A KR101385841B1 KR 101385841 B1 KR101385841 B1 KR 101385841B1 KR 1020140018055 A KR1020140018055 A KR 1020140018055A KR 20140018055 A KR20140018055 A KR 20140018055A KR 101385841 B1 KR101385841 B1 KR 101385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reaction
sewage
reactor
wastewater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8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덕
Original Assignee
신현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덕 filed Critical 신현덕
Priority to KR1020140018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58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5Combinations of activated sludge treatment with precipitation, flocculation, coagulation and separation of phosph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21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comprising treatment of the recirculated slud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02F3/305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denitr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8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폐수처리시스템은 생물학적 고도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PrimaUltraCLEANTM 공정을 적용하여 기존의 노후화된 하·폐수처리장을 철거하고 지하화함으로써 악취 발생을 방지하고, 하·폐수처리장의 상부 지상공간의 일부를 생태공원이나 체육시설 또는 태양광 발전소와 같은 신재생에너지 생산기지로 활용할 뿐만 아니라 설치면적을 축소함으로써 부지의 일부를 장래 처리장 증설부지로 비축하거나 택지로 개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노후화된 하·폐수처리장의 리모델링을 용이하게 하는 축소지하화를 위한 하·폐수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축소지하화를 위한 하·폐수 처리시스템{Underground Sewage an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은 하·폐수처리시스템은 생물학적 고도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노후화된 하·폐수처리장을 철거하고 지하화함으로써 악취 발생을 방지하고, 하·폐수처리장의 상부 지상공간의 일부를 생태공원이나 체육시설 또는 태양광 발전소와 같은 신재생에너지 생산기지로 활용할 뿐만 아니라 설치면적을 축소함으로써 부지의 일부를 장래 처리장 증설부지로 비축하거나 택지로 개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노후화된 하·폐수처리장의 리모델링을 용이하게 하는 축소지하화를 위한 하·폐수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정 및 산업현장으로부터 하수나 폐수가 다량으로 배출되고 있다. 이러한 하수나 폐수에는 각종 유기물이나 질소, 인과 같은 영양염류가 포함되어 하천이나 토양, 해양의 환경을 오염시킨다. 이에 따라 하수나 폐수를 정화한 후 배출함으로써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도록 관련 법령으로 규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하·폐수처리장은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기물과 영양염류를 제거하는 생물학적 고도처리공정이 적용되고 있다. 이를 위해 하·폐수처리장은 혐기조, 무산소조, 호기조, 침전조 등으로 구성되는 생물학적 고도처리시설이 적용되고 있다.
생물학적 고도처리공정은 자연상태의 생물의 수계 내에서 일어나는 분해 작용 과정과 비교될 수 있는데, 유입단계에서 기계처리 과정과 화학처리 과정을 거친 하수가 생물 반응조로 들어와 활성슬러지 형태의 미생물과 혼합되고, 산소를 공급받아 미생물이 활성화되어 유기질과 영양염류를 분해하는 것이다.
한편, 생물학적 인·질소제거 공정은 반드시 하나의 시스템 내에서 질산화, 탈질 인 방출 및 축적, 유기물 산화반응 등이 함께 달성되어야 하며, 관여 미생물들의 특성에 맞는 시간적 또는 공간적 상 분할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반응상 분할방식에 따라 생물학적 영양염류 제거 공정은 공간적 분할방식과 시간적 분할방식, 그리고 두 가지 분할방식을 합친 시공간 동시분할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공간적 분할방식에 의한 처리공법은 혐기조, 무산소조 및 호기조 등이 각각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형태의 시스템을 말하며, 대표적으로 A2/O 공정이 여기에 속한다. 공간적 분할방식에 의한 처리공법은 각상별 반응조의 배열 및 용량이 고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A2/O공정은 탈질 반응에 필요한 무산소조, 인의 방출을 위한 혐기조 및 질산화와 인의 흡수, 유기물의 분해를 위한 호기조로 구성된다.
시간적 분할방식에 의한 처리공법은 산기장치의 제어를 통하여 하나의 반응조 내에서 혐기, 무산소, 호기 상태를 처리목적에 따라 교차하여 운전하는 공법으로, 대표적으로 SBR이 있다.
시간적 분할방식을 이용한 처리공법은 공간적 분할방식과 달리 유입수의 변동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내부순환 등의 추가적인 설비가 필요 없고, 적은 부지면적으로도 유기물, 질소, 인의 동시제거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시간적 분할방식에 의한 처리공법은 유입, 반응, 침전, 배출을 하나의 반응조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하 폐수를 반응조에 유입시킨 후, 혐기성 반응단계에서 인을 방출시키고, 혼합액을 폭기하여 인을 섭취함과 동시에 질산화가 가능하다. 그리고 탈질은 무산소 단계를 도입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간적 분할방식을 이용할 경우, 인 질소 동시 제거를 위해 여러 반응단계의 조합이 가능하다.
한편, 하·폐수처리장은 우리 생활에 꼭 필요한 시설인데도 자신의 주거 지역에 설치하는 것을 기피하는 혐오시설로 여겨져 지방자치단체에서 설치 및 운영하는데 많은 고충을 겪고 있다. 특히 기존의 하수처리장치의 경우는 민원의 주원인이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하·폐수처리장의 지하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하화된 하·폐수처리장은 악취 발생을 차단하여 민원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뿐만 아니라 상부 부지를 활용하여 생태공원이나 체육시설 또는 자치센터나 환경체험관 등 공공시설이나 태양광 발전소와 같은 신재생에너지 생산기지를 조성함으로써 혐오시설이라는 이미지를 벗을 수 있다. 또한, 하·폐수처리시스템을 지하화는 상부 부지 활용의 이점 외에도 안정적인 처리 효율에도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하·폐수처리장의 지하화는 공사비 등 경제적 부담이 클 뿐만 아니라 새로운 부지를 확보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즉, 도시의 팽창으로 기존 하수처리장이 도심에 가까워짐에 신규의 하수처리장을 설치하기 위한 부지를 확보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또한, 건설부지가 다행히 마련되더라도 하수처리장의 규모를 확장하는 경우 주민의 저항을 피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기존 하수처리장을 지하화하여 악취에 관한 민원을 해결하고, 지상에는 공원이나 공공시설을 조성해 주민들에게 휴식과 문화공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하수처리장의 설치 부지면적을 축소하여 주민의 저항을 회피하고 절약한 부지를 활용하여 장래 처리장 증설부지를 확보하거나 하수처리장 건설에 소요되는 자금 확보를 위한 택지 개발 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하·폐수처리시스템이 요청되고 있다.
(0001) 국내등록특허 제10-0423801호 하폐수 고도 처리 시스템(2004.03.22) (0002) 국내등록특허 제10-0695538호 고도처리공법을 적용하여 리모델링한 하수처리시설(2007.03.16)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PrimaUltraCLEANTM 공정을 적용하여 기존 하수처리장 부지의 일부에 지하화된 하수처리장을 건설하여 민원의 원인이 되는 악취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부 지상공간에 생태공원이나 체육시설 또는 자치센터나 환경체험관 등 공공시설이나 태양광 발전소와 같은 신재생에너지 생산기지를 조성할 수 있는 축소지하화를 위한 하·폐수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기존 하수처리장 부지의 일부에 지하화된 하수처리장을 건설할 때 부지면적을 최소화하여 절약한 부지를 장래 하수처리장 증설부지로 활용하거나 하수처리장 건설에 소요되는 자금 마련을 위한 택지 개발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 하수처리장의 리모델링을 용이하게 하는 축소지하화를 위한 하·폐수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기물과 영양염류를 제거하는 생물학적 고도처리공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처리효율을 향상시키고 부지면적을 줄일 수 있는 축소지하화를 위한 하·폐수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공간적 분할방식에 의한 처리공법이 적용되는 공간분할 반응조와 시간적 분할방식에 의한 처리공법이 적용되는 시간분할 반응조를 혼합하여 유입수질의 성상 및 유량이나 기후변동에 따른 다양한 운전 조건에서도 유기물과 인, 질소의 영양염류를 함께 처리하여 수질환경기준에 맞는 처리수를 방류할 수 있는 축소지하화를 위한 하·폐수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하수처리장 부지의 일부에 지하화된 하수처리장을 건설할 때 부지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심층반응조와 저층반응조를 혼합하여 절약한 부지를 장래 하수처리장 증설부지로 활용하거나 하수처리장 건설에 소요되는 자금 마련을 위한 택지 개발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축소지하화를 위한 하·폐수처리시스템은, 장방형의 외벽 상기 외벽의 내부에 설치된 다수 개의 격벽에 의해 구획된 다수 개의 장방형의 반응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다수 개의 장방형의 반응조는, 공간적 분할방식에 의한 처리공법이 적용되는 공간분할 반응조와 시간적 분할방식에 의한 처리공법이 적용되는 시간분할 반응조로 구분된다.
상기 공간분할 반응조는 상기 외벽의 내부 가운데에 일렬로 설치된 활성슬러지반송조, 전무산조소, 혐기조, 후무산소조 및 호기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시간분할 반응조는 상기 공간분할 반응조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1 반응침전조 및 제2 반응침전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공간분할 반응조의 전무산소조에는 하수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시간분할 반응조의 제1 반응침전조 및 제2 반응침전조에는 제1 및 제2 처리수유출관이 설치되며, 상기 전무산조소, 혐기조, 후무산소조 및 호기조 사이에는 하수유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호기조와 제1 반응침전조 및 제2 반응침전조 사이에는 혼합액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반응침전조 및 제2 반응침전조 사이에는 슬러지반송관이 설치되고, 상기 활성슬러지반송조와 전무산소조 사이에는 슬러지유출구가 설치된다.
상기 공간분할 반응조는 수심 14~16m 이상의 깊이로 이루어진 심층반응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간분할 반응조는 수심 5~8m 이하의 깊이로 이루어지는 저층반응조로 구성된다.
상기 심층반응조는 반응조의 중간 부분에 반응조 내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다수 개의 산기장치가 설치되고, 반응조의 바닥에 반응조 내의 공기전달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수를 교반 하기 위한 다수 개의 수중교반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외벽과 격벽의 상부에는 천정이 형성되어 악취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상기 천정의 상부 지상공간의 일부를 생태공원이나 체육시설 또는 태양광 발전소와 같은 신재생에너지 생산기지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 반응침전조 및 제2 반응침전조에는 처리수 배출장치와 슬러지인발관이 더 설치된다.
상기 수중교반장치는 반응조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반응조의 바닥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임펠러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수중모터와, 상기 수중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임펠러로 전달하는 회전축과, 상기 임펠러를 교체하거나 수리할 때 인양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된 인양로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임펠러는 내부가 비어 있는 상협하광의 원뿔형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측 경사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하되 상기 몸체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되고 상부로 일정 높이 돌출되는 교반날개로 이루어져 상기 임펠러의 상부에 하향류를 형성한다.
상기 산기장치는, 크게 미세기포를 발생시키는 다수 개의 산기관으로 이루어진 산기관모듈과, 상기 산기관모듈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 포스트와, 상기 산기관모듈을 상하로 이송시키기 위한 인양수단과, 상부로 인양된 산기관모듈을 수평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수단, 그리고 상기 산기관모듈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인양수단은 상기 가이드 포스트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가이드 포스트와, 상기 회전 가이드 포스트의 상단에 설치된 두 개의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된 두 개의 회전롤러와, 상기 회전롤러의 외주면을 통해 상기 산기관모듈에 고정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를 권취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 가이드 포스트의 중간부에 설치된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축소지하화를 위한 하·폐수처리시스템에 따르면, 생물학적 고도처리시설을 지하에 매립하므로 민원의 원인이 되는 악취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수처리장의 상부 지상공간을 생태공원이나 체육시설 또는 환경체험과 등 공공시설이나 태양광 발전소와 같은 신재생에너지 생산기지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생물학적 고조처리에 있어 공간적 분할방식에 의한 처리공법이 적용되는 공간분할 반응조와 시간적 분할방식에 의한 처리공법이 적용되는 시간분할 반응조를 조합하여 질소와 인과 같은 영양물질과 유기물을 함께 제거하는 고도 처리공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하수처리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간분할 반응조를 수심 14~16m 이상 깊이로 이루어지는 심층반응조로 구성하여 설치부지를 최소화함으로써 절약한 부지를 장래 하수처리장 증설부지를 확보하거나 하수처리장 건설에 소요되는 자금 마련을 위한 택지개발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심층반응조의 바닥면에 수중교반장치의 임펠러에서 발생하는 하향류의 수류를 이용하여 심층반응조의 중간 부분에 설치된 산기장치에서 발생하는 공기방울을 반응조의 바닥까지 전달함으로써 산기장치의 작동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약하고 심층 포기 후의 탈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산기장치는 인양수단을 채용하여 한 명의 작업자가 쉽게 산기관블럭을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으므로, 수리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는 반응조를 비우지 않고도 산기관블럭을 물 위로 인양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쉽게 반응조의 바깥쪽에서 작업할 수 있으므로 고도처리장치의 가동을 중단하지 않고도 유지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소지하화를 위한 하·폐수처리시스템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심층반응조의 일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교반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측면도와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산기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와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처리수 배출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축소지하화를 위한 하·폐수처리시스템 작용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축소지하화를 위한 하·폐수처리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하기의 설명은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소지하화를 위한 하·폐수처리시스템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축소지하화를 위한 하·폐수처리시스템(1)(이하, '하수처리시스템'이라 한다.)는, 장방형으로 이루어지는 외벽(11)과, 상기 외벽(11)의 내부에 설치된 다수 개의 격벽(12)에 의해 구획된 다수 개의 장방형의 반응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하수처리시스템(1)은, 반응조 내의 하수를 교반하기 위한 수중교반장치(100)와, 반응조 내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산기장치(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하수처리시스템(1)은, 하수가 유입되는 하수유입관(13), 처리수를 배출하기 위한 처리수배출관(14a,14b), 슬러지를 반송하기 위한 슬러지반송관(15a,15b), 하수를 이송하기 위한 하수유출구(16a,16b,16c,16d), 혼합액을 이송하기 위한 혼합액유출구(17a,17b) 및 슬러지인출관(18)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외벽(11)과 반응조는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장방형으로 이루어진다. 장방형 외벽(11)과 반응조는 지하화에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외벽(11)의 내부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반응조는, 상기 외벽(11)의 내부에 설치되는 격벽(12)에 의하여, 공간적 분할방식에 의한 처리공법이 적용되는 공간분할 반응조(20)와, 시간적 분할방식에 의한 처리공법이 적용되는 시간분할 반응조(30)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공간적 분할방식에 의한 처리공법은 생물학적 인·질소의 제거를 위한 질산화, 탈질 인 방출 및 축적, 유기물 산화반응 등의 각 공정을 혐기조, 무산소조 및 호기조 등과 같이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반응조를 거치면서 수행하는 것이고, 시간적 분할방식에 의한 처리공법은 하나의 반응조 내에서 산기장치와 교반장치를 이용하여 혐기, 무산소, 호기 상태를 처리목적에 따라 교차하여 운전하는 것이다.
즉, 공간적 분할방식을 이용한 처리공법은 서로 분리된 반응조를 이용하여 각 공정을 수행하므로 운전이 쉽고 각 공정의 효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시간적 분할방식을 이용한 처리공법은 하나의 반응조를 이용하여 여러 공정을 수행하므로 운전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나 유입수의 변동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고, 내부순환 등의 추가적인 설비가 필요 없으며 적은 부지면적으로도 유기물, 질소, 인의 동시제거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수처리시스템(1)은, 구조를 단순하게 하고 처리용량을 늘려서 축소지하화가 용이하도록 공간적 분할방식에 의한 처리공법이 적용되는 공간분할 반응조(20)와, 시간적 분할방식에 의한 처리공법이 적용되는 시간분할 반응조(30)를 혼합하여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간분할 반응조(20)는, 상기 외벽(11)의 내부 가운데에 일렬로 설치되는, 활성슬러지반송조(21), 전무산조소(22), 혐기조(23), 후무산소조(24) 및 호기조(25)로 구성된다.
그리고 시간분할 반응조(30)는, 상기 공간분할 반응조(2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반응침전조(31) 및 제2 반응침전조(32)로 구성된다.
그리고 공간분할 반응조(20)의 일 측에는 하수유입관(13)이 설치되고, 상기 제1 반응침전조(31) 및 제2 반응침전조(32)의 일 측에는 제1 처리수유출관(14a)과 제2 처리수유출관(14b)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하수유입관(13)은 공간분할 반응조(20)의 전무산조소(22)로 연결되어 오염물질을 함유한 하수가 전무산소조(22)로 유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하수유입관(13)을 통해서 유입된 하수는 전무산소조(22), 혐기조(23), 후무산소조(24)를 거쳐 호기조(25)로 유입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혐기조(23), 후무산소조(24) 및 호기조(25) 사이에 설치된 격벽(12)에는 각각 하수유출구(16b,16c,16d)가 각각 구비된다. 따라서 유입 하수는 상기 하수유출구(16b,16c,16d)를 통해서 상기 호기조(24)로 자연유하 방식으로 흐르게 된다.
그리고 호기조(25)로 유입된 하수는 제1 반응침전조(31)와 제2 반응침전조(32) 중 어느 한쪽으로 유입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호기조(25)와 제1 반응침전조(31)와 제2 반응침전조(32) 사이에 설치된 격벽(12)에는 혼합액유출구(17a)(17b)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혼합액유출구(17a)(17b)을 통한 혼합액의 흐름은 제1 반응침전조(31)와 제2 반응친전조(32)의 운전 모드에 따른 수두차에 의해서 자연유하 방식으로 흐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반응침전조(31) 및 제2 반응침전조(32)와 활성슬러지반송조(21) 사이의 격벽(12)에는 슬러지반송관(15a,15b)이 설치된다. 상기 슬러지반송관(15a,15b)에는 제어밸브가 설치되어 반송슬러지의 흐름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슬러지반송관(15a,15b)에는 도시되지 않은 펌프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반응침전조(31) 및 제2 반응침전조(32)의 하부에는 잉여슬러지를 인출하기 위한 슬러지인출관(18a,18b)가 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하수처리시스템(1)은 도시되지 않은 천장을 포함한다. 상기 천장은 콘크리트 슬라브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벽(11)과 격벽(12)에 세워진 기둥에 의해 지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수처리시스템(1)은 상기 천장에 의해서 밀폐된 구조이므로 악취를 차단하거나 제어하여 악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의 상부 지상에 생태공원이나 체육시설 또는 태양광 발전소와 같은 신재생에너지 생산기지를 설치하여 주민에게 문화 및 휴식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하수처리장은 우리 생활에 꼭 필요한 시설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혐오시설로 여겨져 신규 하수처리장을 설치하기 위한 부지를 확보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또한, 하수처리장의 건설부지가 마련되더라도 주민의 저항을 피할 수 없다. 이에 따라 기존의 하수처리장을 철거하고 지하에 생물학적 고도처리가 가능한 하수처리장을 건설함으로써 주민의 저항을 피할 뿐만 아니라 남은 부지를 장래의 증설 부지로 활용하거나 택지 개발을 통해 신규 하수처리장의 건설에 필요한 자금을 확보할 수 있다.
즉, 낡고 악취가 심하게 발생하는 오래된 하수처리장을 지하화하여 악취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지상에 공원 등을 조성해 주민들에게 휴식공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설치부지의 일부를 장래의 증설 부지로 활용하거나 택지 개발을 통해 신규 하수처리장 건설에 필요한 재원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하수처리장보다 작은 설치부지를 필요로 하면서도 처리효율을 높이고 처리용량을 증대할 수 있는 새로운 하수처리시스템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하수처리시스템(1)은, 반응조의 일부를 수심 14~16m 이상 깊이의 심층반응조(20a)로 하여 하수처리장치의 부지면적을 최소화하면서 하수 처리능력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공간분할 반응조(20)는 심층반응조(20a)로 구성하고, 상기 시간분할 반응조(30)는 저층반응조(30a)로 구성하여 부지면적을 줄일 수 있다. 즉, 활성슬러지반송조(21), 전무산소조(22), 혐기조(23), 후무산소조(24) 및 호기조(25)와 같은 공간분할 반응조(20)는 수심 14~16m 이상 깊이의 심층반응조(20a)로 구성하고, 제1 반응침전조(31)와 제2 반응침전조(32)와 같은 시간분할 반응조(30)는 수심 5~8m 이하 깊이의 저층반응조(30a)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공간분할 반응조(20)를 심층반응조(20a)로 구성하면 부지면적을 반 이상 절감할 수 있게 되어 기존 하수처리장의 리모델링이 용이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수처리장치의 부지면적을 줄이고 처리용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심층반응조(20a)의 사용을 늘리는 것이 유리하지만 반응조의 유효수심이 5~8m를 넘으면 슬러지의 침전 작용이 어렵기 때문에 모든 반응조를 심층반응조(20a)로 구성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간분할 반응조(20)는 심층반응조(20a)로 구성하고, 시간분할 반응조(30)는 저층반응조(30a)로 구성함으로써 처리효율을 높이면서 부지면적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심층반응조(20a)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심층반응조(20a)는 수심 14~16m 이상의 깊이로 이루어지는 반응조로서,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바닥(26)과 측벽(27)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은 하수 또는 혼합액유출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심층반응조(20a)의 내부에는 반응조 내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산기장치(200)와, 공기전달효율을 높이기 위해 반응조 내의 하수를 교반하는 수중교반장치(10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산기장치(200)를 수심 5~8m의 깊이에 설치하여 심층반응조(20a)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수중교반장치(100)는 반응조의 바닥면에 설치하여 수심 14~16m 이상 깊이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산기장치(200)를 수심 5~8m의 깊이에 설치하는 이유는, 그 이상의 깊이로 산기장차(200)를 설치하면, 높은 수압으로 인해서 공기 공급을 위한 에너지가 과도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과포화된 질소가 재기포화가 되어 침전단계에서 침강성이 불량하게 되고, 탈질을 위한 탈기조가 별도로 필요하여 운영비와 건설비가 상승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심층반응조(20a)는, 상기 산기장치(200)를 작동할 때는 반드시 수중교반장치(100)도 함께 작동하여야 한다. 즉, 심층반응조(20a)의 바닥면에 설치된 수중교반장치(100)가 작동하면 상기 수중교반장치(100)의 상부에 하향류의 수류가 형성되어 상기 산기장치(200)에서 발생하는 공기방울을 반응조의 하부로 이송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상기 수중교반장치(100)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는, 심층반응조의 중심에서는 하향류를 형성하고, 심층반응조의 바닥(26)의 중심에서 부딪힌 후 측벽(17)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측벽(27)를 따라 상향류를 형성하여 반응조 내부에 대류를 형성하므로 산기장치(200)에서 발생하는 공기를 심층반응조 하부까지 전체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수처리시스템(1)은 기존의 노후화된 하수처리장치를 지하화할 때, 반응조의 일부를 심층반응조(20a)로 구성함으로써 설치부지를 절약하고 부지의 일부를 택지 등으로 개발하여 신규 하수처리장 건설비용을 충당할 수 있다. 또한, 심층반응조(20a)의 하부에 설치된 수중교반장치(100)는 반응조의 하부에 슬러지가 축적되지 않도록 하므로 반응조의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전무산소조(22), 혐기조(23), 후무산소조(24)와 같은 심층반응조(20a)에는 반응조의 바닥(26)에 하수와 활성슬러지를 교반하기 위한 하나 또는 다수 개의 수중교반장치(100)가 설치된다.
또한, 호기조(25)와 같은 심층반응조(20a)에는 반응조의 중간 부분에 반응조 내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다수 개의 산기장치(200)가 설치되고. 반응조의 바닥면에는 반응조 내의 공기전달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수를 교반 하는 다수 개의 수중교반장치(100)가 설치된다.
또한, 제1 및 제2 반응침전조(31)(32)와 같은 저층반응조(30a)에는 반응조의 바닥(26)에 반응조 내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다수 개의 산기장치(200)와, 반응조 내의 공기전달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수를 교반하는 다수 개의 수중교반장치(10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반응침전조(31)(32)에는 처리수를 배출하기 위한 하나 또는 다수 개의 처리수 배출장치(300)가 더 설치된다. 상기 처리수 배출장치(300a,300b)는 제1 및 제2 처리수배출구(14a)(14b)와 연결되어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교반장치(100)의 일 예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중교반장치(100)는 반응조의 바닥(26)에 설치되는 것으로, 반응조의 바닥(26)에 설치되는 프레임(102)과, 상기 프레임(10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임펠러(150)와, 상기 프레임(102)의 상부에 설치된 수중모터(111)와, 상기 수중모터(111)의 회전력을 상기 임펠러(150)로 전달하는 회전축(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임펠러(15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상협하광의 원뿔형 몸체(151)와, 상기 몸체(151)의 외측 경사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하되 몸체(151)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되고 상부로 일정 높이 돌출되는 교반날개(152)로 이루어진다. 상기 교반날개(152)는 외측 경사면에 방사형으로 형성하되 직선이나 스크류 형상으로 한다.
상기 임펠러(150)는 플라스틱이나 FRP로 제작되며, 저면은 반응조의 바닥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개방되어 있다. 상기 임펠러(150)의 몸체(151) 상단에는 상기 회전축(140)이 고정된다. 미설명 부호 153은 몸체(151)의 하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보조날개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중교반장치(100)의 임펠러(150)는, 반응조의 수압이 상협하광의 원뿔형 몸체(151)의 외측 경사면에 가해지기 때문에 심층부에서 회전할 때 수압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 또한, 원뿔형 몸체(151)의 내부가 중공 상태이므로 수중에서 회전할 때 저항을 적게 받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중교반장치(100)의 교반날개(152)는 외측 경사면의 표면에 형성되므로 수중에서 회전할 때 저항이 크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교반날개(152)에 의해서 형성되는 수류가 하향류를 형성하고, 반응조의 바닥 중심에 부딪힌 수류가 바깥 측벽(27) 쪽으로 이동하여 교반 면적이 확대되고 바닥에 슬러지가 쌓이지 않는 효과가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임펠러(150)를 구동시키기 위한 수중모터(111)는 프레임(102) 위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중모터(111)의 하단에는 감속기(112)가 설치되고, 이 감속기(112)의 축(113)의 하단에 회전축(140)이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102)은 수중모터(111)와 임펠러(150)를 고정하고 회전축(14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임펠러(150)를 교체하거나 수리할 때 인양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02)이 상단에 인양로프(105)가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심층반응조(20a)의 바닥에 하향류를 형성하는 수중교반기(100)를 설치함으로써 산기장치(200)를 심층반응조(20a)의 중간 부분에 설치하더라도, 상기 수중교반장치(100)의 교반날개(152)에 의한 물흐름에 의해 반응조 내부에 대류가 발생하여 산기장치(200)에서 발생하는 공기방울을 심층반응조(20a)의 바닥 외곽까지 전달되므로 사각 지대 없이 심층반응조(20a) 전체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어,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산기장치(200)의 일 예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산기장치(200)는 크게 미세기포를 발생시키는 다수 개의 산기관(211)이 수평으로 배열된 산기관모듈(210)과, 상기 산기관모듈(210)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 포스트(230)와, 상기 산기관모듈(210)을 상하로 이송시키기 위한 인양수단(250)과, 상부로 인양된 산기관모듈을 수평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수단(270), 그리고 상기 산기관모듈(210)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수단(2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산기관모듈(210)은 다수의 산기관(211)이 좌우로 연통되게 배열되어 일정한 크기의 사각 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산기관모듈(210)은 플렉시블 관(293), 수직배관(213) 및 산기관(211) 등으로 구성된 공기공급수단(280)을 통해서 미세공기를 반응조 내로 공급한다. 이때, 심층반응조(20a)에 설치되는 산기관모듈(210)은 반응조의 측벽에 수평으로 설치된 브래킷(290)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상기 산기관모듈(210)은 수리나 점검이 필요할 경우에 상기한 가이드 포스트(23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플레이트(216)와 상기 산기관모듈(210)의 상면에 연결된 와이어(256)를 권취하는 인양장치(250)를 통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인양수단(250)은 회전 가이드 포스트(233)의 상단에 설치된 두 개의 지지 플레이트(251) 사이에 설치된 두 개의 회전롤러(252,253)와, 이들 회전롤러(252,253)의 외주면을 통해 상기 산기관모듈(210)에 고정된 와이어(256)와, 상기 와이어(256)를 권취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 가이드 포스트(233)의 중간부에 설치된 구동모터(25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미설명 부호 290은 상하로 이동하는 산기관모듈(2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반응조의 내측벽에 수평으로 설치된 브래킷이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254)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와이어(256)가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기 산기관모듈(210)을 상하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산기관모듈(210)은 회동수단(270)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360°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산기관모듈(210)을 용이하게 반응조 바깥쪽에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산기관모듈(210)을 손으로 밀거나 잡아당겨 회전시키면, 쉽게 회전하므로 용이하게 산기관모듈(210)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반응조 바깥쪽에 놓여 있는 산기관모듈(210)을 반응조 내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산기관모듈(210)을 반응조의 상부로 회동시킨 다음 상기 구동모터(254)를 작동시켜 상기 산기관모듈(210)을 반응조의 내부로 서서히 하강시키고 상기 산기관모듈(210)이 반응조에 측면에 설치된 브래킷(290)에 닿으면 플렉시블 관(293)을 연결하고 제어밸브를 개방하여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어서, 도 8은 제1 및 제2 반응침전조(31)(32)의 수면에 설치되는 처리수 배출장치(300)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처리수 배출장치(300)는 상등수를 배출하기 위한 디켄터(315)와, 상기 디켄터 후드(310) 측면에 설치된 스컴수집박스(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등수와 스컴을 함께 인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디켄터 후드(310)는 디켄터(315)와 지지대로 연결되어 디켄터(315)를 완전히 덮으며, 디켄터(315)와 대기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디켄터 후드(31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압력에 의해 대기압과 차이가 나게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디켄터(315)의 일측에는 처리수 배출관(317)이 설치된다.
그리고 스컴수집박스(320)는 디켄터 후드(310) 측면에 고정되고, 외측벽은 반응조의 수면과 일치하게 설치하여 스컴이 잘 모일 수 있도록 하며, 일측에 배출구(330)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구(330)에 스컴 배출관(322)을 연결하며 상기 스컴 배출관(322)에 연통되게 스컴 인발펌프(321)를 연결하여 스컴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처리수 배출장치(300)의 스컴 인발원리는 생물반응조 운전주기에 의해 반응조 내의 유기물을 제거한 후 처리수를 유출하기 위해 침강시키는 단계에서 스컴 인발펌프(621)를 작동하여 상등수 일부와 함께 스컴을 인발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처리수 배출장치(300)는 교반, 폭기, 침강 단계에서 혼합액과 고형물이 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반응조 내의 반응이 일어날 때에는 공기의 공급을 통해 처리수의 수두를 유지시켜 처리되지 않은 원수가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침전이 시작되면 생물반응조 운전주기에 의해 스컴 인발펌프(321)를 가동하여 스컴을 인발한 후 처리한다. 또한, 침전이 완료되면 처리수를 배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처리시스템(1)(PrimaUltraCLEAN 공정)의 작용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수유입관(13)을 통해 유입된 하수는 공간분할 반응조(20)의 전무산조소(22), 혐기조(23), 후무산소조(24) 및 호기조(25)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한다.
상기 전무산소조(22) 및 후무산소조(24)에서는 수중교반장치(100)를 이용하여 하수와 슬러지를 혼합하여 탈질 반응이 일으키고, 상기 혐기조(23)에서는 인의 방출이 일어나도록 하며, 상기 호기조(25)에서는 수중교반장치(100)를 작동하여 하량류의 수류를 일으키는 동시에 산기장치(200)를 작동시켜 반응조 내부에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유기질 분해와 질산화 및 인 과잉흡수가 일어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호기조(25)의 혼합액은 제1 반응침전조(31) 및 제2 반응침전조(32) 사이에 설치된 제1 및 제2 혼합액유출구(17a)(17b)를 통해서 제1 및 제2 반응침전조(31)(32)로 보내진다.
그러면, 상기 제1 및 제2 반응침전조(31)(32)로 유입된 혼합액은 인 방출을 위해서 일정 시간 혐기성 상태로 방치하고 인이 방출되면 상기 산기장치(200)를 통해 산소를 공급해 유기물을 분해하고 인을 과량 흡수시킨다. 그리고 폭기를 멈춘 후 중력침전에 의해 슬러지와 처리수를 고액 분리한 후 침전된 슬러지의 일부는 공간분할 반응조(20)의 활성슬러지반송조(21)로 반송하고, 일부는 슬러지인발관(18)을 통해 잉여슬리지로 배출한다. 그리고 상기 활성슬러지반송조(21)의 활성슬러지는 전무산소조(22)로 유입되어 하수와 혼합되어 생물학적 탈질 및 인 제거 공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수처리시스템(1)은, 활성슬러지반송조(21), 전무산소조(22), 혐기조(23), 후무산소조(24) 및 호기조(25)로 구성된 공간분할 반응조(20)에서 각 반응조(20)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탈질 반응과, 인의 방출, 유기질 분해, 질산화 및 인 과잉흡수와 같은 인· 질소 제거 공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반응침전조(31)(32)로 구성된 시간분할 반응조(30)에서는, 상기 수중교반장치(100)와 산기장치(200)를 간헐적으로 작동시켜, 인 방출을 위해 무산소/혐기 공정과, 유기물을 분해하고 질산화 및 인 과량흡수를 위한 호기 공정, 슬러지와 처리수를 고액 분리하기 위한 침전 공정을 수행한다. 또한, 혼합된 슬러지의 일부는 활성슬러지반송조(21)로 반송하고, 고액 분리된 슬러지의 일부는 잉여슬리지로 인발하고, 상부의 처리수는 제1 및 제2 처리수배출관(14a,14b)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수처리장치(1)(PrimaUltraCLEAN 공정)는, 공간분할 반응조(20)에서 1차 처리한 후, 시간분할 반응조(30)에서 유기물과 질소, 인과 같은 영양염류를 다시 처리한 다음 침전 공정을 통해서 고액분리하고 분리되 슬러지의 일부는 공간분할 반응조(20)로 반송하여 인 질소 제거 공정을 중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수처리장치(1)(PrimaUltraCLEAN 공정)는 공간분할 반응조(20)와 시간분할 반응조(30)를 조합하여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고 심층반응조(20a)와 저층반응조(30a)를 조합하여 설치부지를 최소화함으로써 하수처리장의 지하화를 용이하게 하고 하수처리장의 지하화에 필요한 자금을 절약한 부지의 택지 개발 등을 통해서 확보할 수 있게 하여 기존 하수처리장의 리모델링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 하·폐수처리시스템 11: 외벽
12: 격벽 13: 하수유입관
14: 처리수배출관 15: 슬러지반송관
16: 하수유출구 17: 혼합액유출구
18: 슬러지인출관 20: 공간분할 반응조
20a: 심층반응조 21: 활성슬러지반송조
22: 전무산조소 23: 혐기조
24: 후무산소조 25: 호기조
30: 시간분할 반응조 30a: 저층반응조
31: 제1 반응침전조 32: 제2 반응침전조
100: 수중교반장치 200: 산기장치
300: 처리수 배출장치

Claims (7)

  1. 장방형의 외벽;
    상기 외벽의 내부에 설치된 다수 개의 격벽에 의해 구획된 다수 개의 장방형의 반응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다수 개의 장방형의 반응조는, 공간적 분할방식에 의한 처리공법이 적용되는 공간분할 반응조와, 시간적 분할방식에 의한 처리공법이 적용되는 시간분할 반응조로 구분되되, 상기 공간분할 반응조는 상기 외벽의 내부 가운데에 일렬로 설치된 활성슬러지반송조, 무산조소, 혐기조, 및 호기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시간분할 반응조는 상기 공간분할 반응조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1 반응침전조 및 제2 반응침전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공간분할 반응조의 무산소조에는 하수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시간분할 반응조의 제1 반응침전조 및 제2 반응침전조에는 제1 및 제2 처리수유출관이 설치되며, 상기 무산조소, 혐기조, 및 호기조 사이에는 하수유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호기조와 제1 반응침전조 및 제2 반응침전조 사이에는 혼합액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반응침전조 및 제2 반응침전조와 활성슬러지반송조 사이에는 슬러지반송관이 설치되고, 상기 활성슬러지반송조와 무산소조 사이에는 슬러지유출구가 설치되며;
    상기 공간분할 반응조는 수심 14~16m 이상의 깊이로 이루어진 심층반응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간분할 반응조는 수심 5~8m 이하의 깊이로 이루어지는 저층반응조로 구성되며;
    상기 심층반응조 중 혐기조와 무산소조의 바닥에는 반응조 내의 하수를 교반하기 위한 수중교반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심층반응조 중 호기조는, 반응조의 중간 부분에 반응조 내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산기장치를 설치하고, 반응조의 바닥에 반응조 내의 공기전달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수를 교반하는 수중교반장치를 설치하며, 상기 저층반응조인 제1 반응침전조 및 제2 반응침전조에는 반응조의 바닥에 산기장치와 수중교반장치를 설치하여 생물학적 고도처리의 효율을 향상시켜 지화하를 용이하게 하고 부지면적을 줄여서 기존 하수처리장의 리모델링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지하화를 위한 하·폐수처리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과 격벽의 상부에는 천정이 형성되어 악취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상기 천정의 상부 지상공간의 일부를 생태공원이나 체육시설 또는 태양광 발전소와 같은 신재생에너지 생산기지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지하화를 위한 하·폐수처리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응침전조 및 제2 반응침전조에는 슬러지와 상등수를 고액 분리하기 위한 처리수 배출장치와 슬러지인발관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지하화를 위한 하·폐수처리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무산소조는 상기 혐기조의 전단에 설치된 전무산소조와 상기 혐기조의 후단에 설치된 후무산소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지하화를 위한 하·폐수처리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교반장치는 반응조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반응조의 바닥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임펠러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수중모터와, 상기 수중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임펠러로 전달하는 회전축과, 상기 임펠러를 교체하거나 수리할 때 인양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된 인양로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지하화를 위한 하·폐수처리시스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산기장치는, 크게 미세기포를 발생시키는 다수 개의 산기관으로 이루어진 산기관모듈과, 상기 산기관모듈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 포스트와, 상기 산기관모듈을 상하로 이송시키기 위한 인양수단과, 상부로 인양된 산기관모듈을 수평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수단, 그리고 상기 산기관모듈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지하화를 위한 하·폐수처리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수단은 상기 가이드 포스트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가이드 포스트와, 상기 회전 가이드 포스트의 상단에 설치된 두 개의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된 두 개의 회전롤러와, 상기 회전롤러의 외주면을 통해 상기 산기관모듈에 고정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를 권취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 가이드 포스트의 중간부에 설치된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지하화를 위한 하·폐수처리시스템.
KR1020140018055A 2014-02-17 2014-02-17 축소지하화를 위한 하·폐수 처리시스템 KR101385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055A KR101385841B1 (ko) 2014-02-17 2014-02-17 축소지하화를 위한 하·폐수 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055A KR101385841B1 (ko) 2014-02-17 2014-02-17 축소지하화를 위한 하·폐수 처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5841B1 true KR101385841B1 (ko) 2014-04-16

Family

ID=50657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8055A KR101385841B1 (ko) 2014-02-17 2014-02-17 축소지하화를 위한 하·폐수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58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890B1 (ko) * 2016-07-08 2017-02-13 (주)단엔지니어링 단계별 하수처리 진단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538B1 (ko) * 2005-12-23 2007-03-16 프리마에이텍(주) 고도처리공법을 적용하여 리모델링한 하수처리시설
KR20100008357U (ko) * 2009-02-13 2010-08-23 주식회사 장호 정ㆍ역회전 제어에 따른 수중교반 및 수중 폭기장치
KR20110102783A (ko) * 2010-03-11 2011-09-19 (주)나우조경 자연 순환식 조경 시스템
KR20130061877A (ko) * 2011-12-02 2013-06-12 김응일 폐기물처리장의 악취 저감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538B1 (ko) * 2005-12-23 2007-03-16 프리마에이텍(주) 고도처리공법을 적용하여 리모델링한 하수처리시설
KR20100008357U (ko) * 2009-02-13 2010-08-23 주식회사 장호 정ㆍ역회전 제어에 따른 수중교반 및 수중 폭기장치
KR20110102783A (ko) * 2010-03-11 2011-09-19 (주)나우조경 자연 순환식 조경 시스템
KR20130061877A (ko) * 2011-12-02 2013-06-12 김응일 폐기물처리장의 악취 저감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890B1 (ko) * 2016-07-08 2017-02-13 (주)단엔지니어링 단계별 하수처리 진단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57359B (zh) 一种季戊四醇生产废水处理装置
JP5961756B2 (ja) 生物学的汚水処理装置及び方法
CN109133332A (zh) 生物转盘池及污水处理设备
CN108996827B (zh) 一种基于甲烷氧化的污水厂尾水深度脱氮装置
CN207405026U (zh) 污水处理回收装置
KR101385841B1 (ko) 축소지하화를 위한 하·폐수 처리시스템
CN106865821A (zh) 一种基于太阳能的生活污水净化处理装置
CN210736460U (zh) 一种削减分散排污口污染入河装置
CN114656104A (zh) 一种节能自循环a3o-mbbr污水处理装置及其方法
CN210150802U (zh) 一种mbbr+mbr一体化污水处理设备
CN208594093U (zh) 村镇分散式污水处理反应器
CN105712579A (zh) 一种海上平台高盐生活污水处理回用装置
CN201915003U (zh) 新型侧沟式一体化生物反应废水处理装置
CN202390255U (zh) 用于大型人工湿地污水处理系统的配水装置
JP2017104780A (ja) 生物処理装置の変換方法および更新方法
CN210313917U (zh) 一种生活污水处理装置
CN205933556U (zh) 一种高效、集约化城镇污水处理装置
CN217350913U (zh) 一种污水处理淋滤塔装置
CN105502661B (zh) 一种斜体式氧化沟
CN104843931B (zh) 一种污水处理系统
CN215756915U (zh) 沉淀池及污水处理系统
CN110002687B (zh) 一种循环式高效提标系统
CN203238094U (zh) 污水生化处理装置
CN211311238U (zh) 一种基于mabr的扩容式高速公路污水处理系统
RU2776536C1 (ru) Карусельный аэротенк с заглубленной шахто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