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422B1 - 하, 폐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하, 폐수처리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422B1
KR0126422B1 KR1019940022271A KR19940022271A KR0126422B1 KR 0126422 B1 KR0126422 B1 KR 0126422B1 KR 1019940022271 A KR1019940022271 A KR 1019940022271A KR 19940022271 A KR19940022271 A KR 19940022271A KR 0126422 B1 KR0126422 B1 KR 0126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aeration
waste water
aeration tank
waste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2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0552A (ko
Inventor
김운창
Original Assignee
김운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운창 filed Critical 김운창
Priority to KR1019940022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6422B1/ko
Publication of KR960010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4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4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surface a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bstract

본 발명은 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대기와 차단되도록 밀폐된 상태로 그 하단은 탱크(11)로부터 용수가 이동할 수 있도록 통로(14)가 형성된 격실(12) 내부로 서식되는 미생물에 의해 원수유입관(13)으로 유입된 용수를 처리시키는 폭기조(10)와; 이 폭기조(10)의 외측으로 탱크(11) 사이에 위치되어 폭기조(10)로부터 처리된 용수를 2차 처리시키며, 그 상부가 개방되는 폭기침전조(20)와; 상기 폭기조(10)에 모터(31)의 구동으로 팬(32)을 회전시켜 미생물의 접촉을 증대시키는 교반기(30)가 구비되어, 토목 시공이 용이하여, 특히 그 시공이 어려운 지역에 손쉽게 설치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공사비가 저렴하고 소요 면적을 적게 차지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폭기조의 깊이를 매우 깊게(20m 내외) 설치할 수가 있어 용적부하가 1.5-2.5사이로 커지게 된다.
따라서, 산소의 용해 및 이용율이 매우 높아 유지비가 절감되고, 유기질의 처리 효율이 크게 증가된다.

Description

하, 폐수처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장치도.
제2도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폭기조11 : 탱크
20 : 폭기침전조21 : 경사판
30 : 교반기32 : 팬
40 : 바이패스관41 : 디퓨져
본 발명은 각종 폐수를 효율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한 폐수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 알려진 생활 및 공장하수 및 유기성 폐수 등의 처리장치는 대개 화학물질 등을 투입하여 화학적 반응에 의해 처리토록 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최근에는 폭기방식을 이용한 생물학적인 처리방법을 사용하여 유기물질을 제거하고 있다.
종래, 알려진 폭기방식으로 미국특허 제4,192,740호에서와 같이 침전조로부터 반송 오니와 원수가 혼합되는 폭기조가 개방된 상태에서 처리가 이루어지는 공기 폭기방식과, 이 폭기조가 밀폐된 상태에서 처리가 이루어지는 순산소 폭기방식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장치들은 토목시공이 복잡하고 어려워 시공비가 많이 소요된다.
또, 소요 면적이 넓으며 처리속도가 늦어 비경제적이다.
그리고, 폭기조의 수심을 최대 6-7m 이상으로는 설비할 수 없는 관계로, 상기 공기 폭기방식의 경우 용적부하가 1이하로 작게 되며, 또한 순산소 폭기방식도 이보다 크기는 하나 그 용적부하는 1-2 사이가 한계치이다.
따라서, 산소 용해도가 낮아 전체적으로 처리효율이 저하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그 시공 및 설비가 난해한 지역에서도 간단히 설치할 수 있도록 한 하, 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처리효율이 우수한 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와 대기와 차단되도록 밀폐된 상태로 탱크(11)로부터 통로(14)에 하, 폐수가 이동할 수 있도록 격실벽체(12)가 형성되고, 내부로 서식되는 미생물에 의해 원수유입관(13)으로 유입된 하, 폐수를 처리하는 폭기조(10)와; 이 폭기조(10)의 외측으로 탱크(11)사이에 위치되어 폭기조(10)로부터 처리된 하, 폐수를 2차 처리시키며, 그 상부가 개방되는 폭기침전조(20)와; 상기 폭기조(10)에 모터(31)의 구동으로 팬(32)을 회전시켜 미생물의 접촉을 증대시키는 교반기(3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폭기조(10)에는 잉여산소를 이용하는 유도관(22)이 설치되고, 상기 폭기조(10)의 하단으로 펌프(P)에 의해 탈수기로 이송되는 하, 폐수를 폭기조(10)로 반환시키는 바이패스관(40)에는 이 젝터(41)가 구비되며, 폭기침전조(20)에는 디퓨져(51)에서 기고 혼합액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50)이 설치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산소의 용해 및 이용율이 매우 높아 유지비가 절감되고, 유기물의 처리 효율이 크게 증가될 뿐만 아니라, 산소 전달율이 증가되어 유김물 생체로의 전환율이 커지며, 보다 높은 비기질이용속도(比基質利用速度)를 가진다.
또, 침전 효율이 우수하고, 스러지의 선침강속도(線沈降速度)가 커지며, 이에 따라 BOD의 처리 부하도 커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를 보인 개략도이며, 도 2는 평면도이다.
이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폭기조(10)는 그 내부로 이물질의 분해작용을 하는 미생물을 서식시켜 인입되는 원수를 1차로 분해 유기시킨다.
이 폭기조(10)는 탱크(11)의 내부로 그 상부가 대기와 밀폐된 상태로 하단이 탱크(11)의 저면 사이로 통로(14)를 형성한 상태로 격실벽체(12)가 구비되어, 탱크(11)의 내부를 구획하여 대략 중앙측에 위치되는 것이다.
이때 격실벽체(12)은 상부가 좁고 하부의 작용 공간은 넓게 그 형상을 결정하게 되며, 밀폐된 공간내의 안전을 위해 상부에는 안전밸브(15)를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폭기조(10)의 하단에는 펌프(P)에 의해 탈수기로 이송되는 오니를 일부 반환시키기 위한 바이패스관(40)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 바이패스관(40)에 이젝터(41)를 설치하여 산소가 공급되어 용해되도록 한다.
상기 폭기침전조(20)는 폭기조(10)에 의해 1차 처리된 하, 폐수를 2차로 처리하고, 부상에 의해 고액 분리토록 한다.
이 폭기침전조(20)는 폭기조(10)를 구획하는 격실벽체(12)의 하단이 탱크(11) 바닥 사이의 통로(14)를 형성하고 있어, 이 통로(14)로 물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상부에는 경사판(21)을 설치한다.
이 경사판(21)은 표면적을 증대하는 결과로 침강속도를 크게 한다.
그리고, 방지판(16)으로 고액분리의 효율을 높인다.
또, 폭기조(10)내의 잉여산소를 활용하여 폭기침전조(20)로 재공급하기 위하여 격실벽체(12)를 유도관(22)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상기 교반기(30)는 팬(32)의 회전에 의해 미생물과 하, 폐수가 교반되어 그 분해 효과를 증대시킴과 아울러, 산소의 용해도 돕도록 하는 것이다.
이 교반기(30)는 폭기조(10)의 상부에 위치되는 모터(31)의 구동으로 대략 중간부로 샤프트(33)를 연장시켜 팬(32)을 구동시키게 되는데, 이 샤프트(33)에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한 스키머(34)를 함께 설치하는 것도 좋다.
즉, 제1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부상법으로 고액 분리할 경우 기고혼합액(氣固混合液)을 공급관(50)의 단부에 접속되는 디퓨져(51)에서 분사하는 것에 의해 스컴이 부상되므로, 이 스컴을 수면에서 회전되는 스키머(34)가 제거한 후 제거탱크(35)로 수거하여 관으로 인출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는, 에어를 강제 공급하여 기포 부상에 의해 이물질이 함께 부상하는 부상방식에 적용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폭기조 및 폭기침전조가 하나의 탱크 내에서 설치되므로 토목 시공이 용이하며, 특히 그 시공이 어려운 지역에 손쉽게 설치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공사비가 저렴하고 소요 면적을 적게 차지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폭기조의 깊이를 매우 깊게(20m 내외) 설치할 수가 있어 용적부하가 1.5-2.5 사이로 설계 가능하다.
따라서, 산소의 용해 및 이용율이 매우 높아 유지비가 절감되고, 유기물의 처리 효율이 크게 증가된다.
또, 산소 전단율이 증가되어 유김물 생체로의 전환율이 커지며, 보다 높은 비기질이용속도(比基質利用速度)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침전 효율이 우수하고, 스러지의 선침강속도(線沈降速度)가 커지며, 이에 따라 BOD의 처리 부하도 커지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상부가 대기와 차단되도록 밀폐된 탱크(11)로부터 통로(14)에 하, 폐수가 이동할 수 있도록 격실벽체(12)가 형성되고, 내부로 서식되는 미생물에 의해 원수유입관(13)으로 유입된 하, 폐수를 처리하는 폭기조(10)와; 이 폭기조(10)의 외측으로 탱크(11) 사이에 위치되어 폭기조(10)로부터 처리된 하, 폐수를 2차 처리시키며, 그 상부가 개방되는 폭기침전조(20)와; 상기 폭기조(10)에 모터(31)의 구동으로 팬(32)을 회전시켜 미생물의 접촉을 증대시키는 교반기(3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폭기조(10)에는 잉여산소를 이용하는 유도관(22)이 설치되고, 상기 폭기조(10)의 하단으로 펌프(P)에 의해 탈수기로 이송되는 하, 폐수를 폭기조(10)로 반환시키는 바이패스관(40)에는 이젝터(41)가 구비되며, 폭기침전조(20)에는 디퓨져(51)에서 기고 혼합액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5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 폐수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30)에는 팬(32)을 구동하기 위한 샤프트(33)에 스컴을 제거탱크(35)로 제거하기 위한 스키머(34)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 폐수처리장치.
KR1019940022271A 1994-09-05 1994-09-05 하, 폐수처리장치 KR0126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2271A KR0126422B1 (ko) 1994-09-05 1994-09-05 하, 폐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2271A KR0126422B1 (ko) 1994-09-05 1994-09-05 하, 폐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552A KR960010552A (ko) 1996-04-20
KR0126422B1 true KR0126422B1 (ko) 1997-12-19

Family

ID=19392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2271A KR0126422B1 (ko) 1994-09-05 1994-09-05 하, 폐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64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287B1 (ko) * 2001-12-07 2007-11-08 주식회사 포스코 오일 새퍼레이터 부유이물 슬러지 연속 자동 제거장치
KR100908699B1 (ko) * 2002-09-13 2009-07-22 주식회사 포스코 폐수처리설비 오일분리조의 부유물 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421B1 (ko) * 2007-09-14 2008-02-05 윤창영 골재 세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287B1 (ko) * 2001-12-07 2007-11-08 주식회사 포스코 오일 새퍼레이터 부유이물 슬러지 연속 자동 제거장치
KR100908699B1 (ko) * 2002-09-13 2009-07-22 주식회사 포스코 폐수처리설비 오일분리조의 부유물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552A (ko) 199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0511A (en) Sewage purification apparatus
KR100512089B1 (ko) 고속 고효율 폭기장치
US3733263A (en) Waste treatment system
GB1359341A (en) Waste disposal
US20110084012A1 (en) Hydrocyclone flotation system and water pollution prevention system equipped with the same
KR100762885B1 (ko) 다단 혼합 구조를 갖는 슬림형 고속 폭기장치
US3173866A (en)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sewage
KR100705271B1 (ko) 전기응집을 이용한 폐수정화장치
KR200385782Y1 (ko) 고농도 슬러지 수집 및 교반장치
KR0126422B1 (ko) 하, 폐수처리장치
KR101750449B1 (ko) 고정형 속도가변식 표면포기장치와 부유식 배출장치를 이용한 sbr공법의 소규모 하 폐수 처리장치 및 공정
US3448861A (en) Aerotor plants for treatment of sewage and industrial wastes
KR100246493B1 (ko) 하.폐수 처리장치
CN101054231B (zh) 平板膜污泥同步浓缩消化处理工艺
JP2006320777A (ja) 排水処理装置
KR100997446B1 (ko) 미세 기포발생기 및 그를 구비한 오폐수처리시설
KR100220189B1 (ko) 하.폐수 처리장치
KR0175710B1 (ko) 관로형 플록 강화 기기에 의한 슬러지 가압 부상장치
JPH09206780A (ja) 好気性生物処理装置
SU93171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биохим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KR100447812B1 (ko) 일체형 오폐수 처리장치의 생물 반응조 구성 방법 및 장치
CS216658B2 (en) Method of flotation cleaning of liquids and device for executing the said method
JPH03270798A (ja) 水域浄化装置
KR960037587A (ko) 통합 반응조 및 수질 조정조를 이용한 하 · 폐수의 생물 · 화학적 순환 고도 처리 시스템
JPH0316687A (ja) 高速排水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