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7840U - 이탈방지부를 갖는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이탈방지부를 갖는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7840U
KR20100007840U KR2020090000945U KR20090000945U KR20100007840U KR 20100007840 U KR20100007840 U KR 20100007840U KR 2020090000945 U KR2020090000945 U KR 2020090000945U KR 20090000945 U KR20090000945 U KR 20090000945U KR 20100007840 U KR20100007840 U KR 201000078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material
cut
packaging
attached
preven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09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두
김재형
홍종철
이정규
김교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조용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조용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20200900009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7840U/ko
Publication of KR201000078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84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05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탈방지부를 갖는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는, 일부분을 절취하여 내용물을 취득할 수 있는 포장재; 및 상기 포장재의 일정 영역에 부착되어, 상기 포장재를 절취할 시, 상기 포장재의 절취된 부분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절취된 포장재의 일부분을 유실하여 환경을 오염시킬 우려를 없앨 수 있다.
포장재, 포장지, 커피, 커피믹스, 일회용, 이탈방지, 이지 컷, Easy Cut

Description

이탈방지부를 갖는 포장용기{Packing Bag having Separating Prevention Part}
도1은 종래의 포장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종래의 포장재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도3에 도시된 포장용기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7은 도6에 도시된 포장용기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8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9는 본 고안에 따른 이탈방지부를 갖는 포장용기에서 이탈방지부가 포장재에 부착될 수 있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포장용기
310 : 포장재
311 : 상부 접합부
312 : 상부 접힘부
313 : 하부 접합부
314 : 하부 접힘부
320 : 이탈방지부
본 고안은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포장재의 일부를 절취하여 내용물을 취득할 수 있는 포장재에서 절취된 포장재의 일 부분을 수월하게 회수할 수 있는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낵, 과자, 라면, 빙과, 조미료, 분말커피 등의 제품은 일정한 크기로 재단된 후, 상하부(경우에 따라 좌우)가 접합된 비닐 재질의 포장재에 담겨져 유통된다. 이러한 포장재에 담겨진 내용물을 사용자(소비자)가 취득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포장재를 강제로 뜯어 인출구를 형성시키거나, 가위나 칼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포장재 일부분을 절취하여야만 하는데, 포장재를 강제로 개봉하는 데에 필요 이상의 힘이 요구되고, 또는 도구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면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재의 접합되어 있는 상하부(경우에 따라 좌우)를 톱니 모양으로 형성시키거나, 포장재 일 지점에 노치(notch, 새김눈)를 형성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톱니 부분 또는 노치 부분을 잡고 포장재 일 부분을 뜯어내어 내용물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톱니 모양이 날카롭기 때문에 사용 부주의로 인해 다칠 우려가 있고, 또한 원하는 형태로 포장재를 개봉하는 것이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68981호, 국내 등록특허 제871590호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포장재 일부분에 레이저를 이용하여 이지 컷(Easy Cut)을 형성시킴으로써, 포장재를 잡아 뜯을 시,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이지 컷 부위가 손쉽게 절취되도록 하는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도면2의 (a) 및 (b)에는 이러한 이지 컷이 형성된 포장재와 이지 컷 부위가 절취되어 떨어진 모습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에서 설명한 톱니 형성, 노치 형성, 이지 컷 형성 기술들 모두 포장재의 일부분을 절취하여 내용물을 취득할 수 있는 기술들인데, 일반적으로 포장재의 절취된 부분은 내용물이 포함되지 않은 부분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내용물이 포함된 부분만을 중요시 여기고 제품을 사용하게 되며, 이로부터 떨어져 나간 포장재의 일부분은 소홀하게 생각하여 방치하는 일이 잦다. 이로 인해 포장재의 절취된 부분이 제대로 회수 처리되지 않아 방치된 쓰레기로 남거나, 환경을 오염 시키는 등 적지 않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포장재를 절취하더라도, 절취된 부분이 나머지 부분과 이탈하지 않도록 하여 포장재 모두를 손쉽게 회수 처리할 수 있는 이탈방지부를 갖는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이탈방지부를 갖는 포장용기는, 일부분을 절취하여 내용물을 취득할 수 있는 포장재; 및 상기 포장재의 일정 영역에 부착되어, 상기 포장재를 절취할 시, 상기 포장재의 절취된 부분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포장재의 절취가 수월하도록 상기 포장재 일부분에 레이저를 이용한 이지 컷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포장재에 형성된 이지 컷 영역의 일 지점과 교차하도록 상기 포장재에 부착될 수 있다.
또,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이지 컷 영역의 일 지점과 교차하는 부분으로부터 일정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포장재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장재는, 재단된 비닐지의 양 측면을 상호 접합하고, 상부 및 하부를 각각 접합하여 상부 접합부 및 하부 접합부를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포장재의 상부 접합부의 일 측 접힘부로부터 하부 접합부의 일 측 접힘부로 연장되는 연장선 상의 일부분에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포장재 재질의 강도 이상의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포장재의 외부면 또는 내부면 중 하나 이상의 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고안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면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부(320)를 갖는 포장용기(3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면4는 도면3에 도시된 포장용기(300)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3 내지 도면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부(320)를 갖는 포장용기(300)는, 포장재(310) 및 이탈방지부(320)를 포함한다.
포장재(310)는, 폴리에틸렌 수지 등의 비닐지인 것이 바람직하나, 종이 등의 다른 재질로 제작되었다 하더라도,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바를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포장재(310)는, 인쇄층인 PET층, 접착층인 PE층, 베리어(Barrier)층인 알루미늄 호일층, 열접착층인 PE층, 구김방지 및 형태유지를 위한 LLD층으로 이루어진 비닐지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포장재(310)는, 내용물에 따라 적당한 크기로 재단된 비닐지의 양 측면을 접합하고, 다시 상부 및 하부를 접합하여 상부 접합부(311) 및 하부 접합부(313)를 형성함으로써 완성 된다.
이때, 내용물에 따라 비닐지의 접합 과정은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내부용기(미도시)에 과자가 담겨 있는 제품을 포장할 경우, 내부용기를 비닐지로 둘러 싼 후 양 측면을 접합(여기서, 비닐지에 인쇄된 내용을 기준으로 한다면, 비닐지의 상 하부를 상호 접합) 하고, 상부 및 하부(비닐지에 인쇄된 내용를 기준으로 한다면, 비닐지의 좌측 접합 및 우측 접합)를 각각 접합하여 포장재(310)를 완성할 수 있다.
반면, 분말로 된 커피나 조미료 등을 포장할 경우에는, 비닐지의 양 측면을 접합하고, 하부를 접합하여 하부 접합부(313)를 형성한 후, 내용물을 담은 뒤 상부를 접합하여 상부 접합부(311)를 형성함으로써 포장을 완료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렇게 완성된 포장재(310)의 일부분을 절취하여 내용물을 취득할 수 있다. 이때, 포장재(310)의 상부 접합부(311), 하부 접합부(313) 중 하나 이상을 톱니 모양으로 형성시키거나, 포장재(310)의 상부 또는 하부 일 지점에 노치(notch : 새김눈)(미도시)를 형성시켜 사용자가 포장재(310)의 톱니 모양 또는 노치 부분을 손으로 잡고 쉽게 절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완성된 포장재(310)의 일정 영역에는 포장재(310)의 절취된 부분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320)가 부착된다. 이탈방지부(320)는 쉽게 찢어지지 않도록 포장재(310)의 강도보다 큰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나, 포장재(310)와 같은 재질의 이탈방지부(320)라 하더라도, 이탈방지부(320)는 쉽게 절취되지는 않는다. 즉 절취가 시작된 포장재(310)는 적은 힘으로도 절취 부분이 연장되어 가면서 쉽게 절취 되지만, 서로 다른 개체인 이탈방지부(320)까지 절취선이 연장되지는 않기 때문에, 같은 힘으로는 이탈방지부(320)가 절취되지 않는 것이다.
이탈방지부(320)를 포장재(310)에 접합하는 과정은, 재단된 비닐지의 양측을 접합하고, 상부 접합부(311) 및 하부 접합부(313)를 형성시킴으로써 포장재(310)를 완성한 뒤, 포장재(310)의 일정 영역에 이탈방지부(320)를 부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제작 공정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재단된 비닐지의 일정 영역, 바람직하게는 상부 접합부(311)와 하부 접합부(313)가 각각 접합될 시 접히는 부분의 연장선 상에 이탈방지부(320)를 부착하고, 이후 비닐지의 양 측면을 접합하고, 상부 접합부(311) 및 하부 접합부(313)를 형성시킴으로써 포장재(310)를 완성하는 과정으로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300)가 도출될 수 있다.
여기서, 이탈방지부(320)는 포장재(310)의 상부와 하부 방향의 일정 영역 어느 곳에나 접합될 수 있으나, 상부 접합부(311) 또는 하부 접합부(313)에 형성된 톱니 모양 부분으로부터 시작된, 또는 노치(미도시)로부터 시작된 포장재(310)의 절취가 마무리 지어지는 부분에 부착되어, 절취에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도, 완전 절취가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탈방지부(320)는, 포장재(310)의 상부 접합부(311)의 일 측 접힘부(상부 접힘부)(312)로부터 하부 접합부(313)의 일 측 접힘부(하부 접힘부)(314)로 연장되는 연장선 상의 일부분에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탈방지부(320)는 도면3 내지 도면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재(310)의 상부 및 하부의 전 영역에 걸쳐 부착될 수도 있겠지만, 도면9의 (a) 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상되는 절취 지점, 예컨대, 포장지에 인쇄된 바를 기준으로 상부 일정 영역에만 이탈방지부(920)가 부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특히 이후 설명하게 되는 이지 컷이 형성된 포장재일 경우, 이지 컷 영역과 교차하도록 이탈방지부가 부착되어 있으면 된다.
이렇게 완성된 본 고안에 따른 이탈방지부(320)를 갖는 포장용기(300)에 의하면, 도면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재(310)를 절취하더라도, 포장재(310)의 절취된 부분이 완전 절취되지 않고, 이탈방지부(320)에 의하여 나머지 부분과 연결된 상태로 남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포장재(310)의 절취된 부분이 회수 되지 않아 쓰레기로 방치되어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가 있다.
<제2실시예>
도면5의 (a)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부(520)를 갖는 포장용기(5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면5의 (b)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부(520)를 갖는 포장용기(500)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부(520)를 갖는 포장용기(500)는, 포장재(510) 및 이탈방지부(520)를 포함한다.
포장재(510)는, 폴리에틸렌 수지 등의 비닐지인 것이 바람직하나, 종이 등의 다른 재질로 제작되었다 하더라도,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바를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포장재(510)는, 인쇄층인 PET층, 접착층인 PE층, 베리어(Barrier)층인 알루미늄 호일층, 열접착층인 PE층, 구김방지 및 형태유지를 위한 LLD층으로 이루어진 비닐지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포장재(510)는, 내용물에 따라 적당한 크기로 재단된 비닐지의 양 측면을 접합하고, 다시 상부 및 하부를 접합하여 상부 접합부(511) 및 하부 접합부(513)를 형성함으로써 완성 된다.
이때, 내용물에 따라 비닐지의 접합 과정은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내부용기(미도시)에 과자가 담겨 있는 제품을 포장할 경우, 내부용기를 비닐지로 둘러 싼 후 양 측면을 접합(여기서, 비닐지에 인쇄된 내용을 기준으로 한다면, 비닐지의 상 하부를 상호 접합) 하고, 상부 및 하부(비닐지에 인쇄된 내용를 기준으로 한다면, 비닐지의 좌측 접합 및 우측 접합)를 각각 접합하여 포장재(510)를 완성할 수 있다.
반면, 분말로 된 커피나 조미료 등을 포장할 경우에는, 비닐지의 양 측면을 접합하고, 하부를 접합하여 하부 접합부(513)를 형성한 후, 내용물을 담은 뒤 상부 를 접합하여 상부 접합부(511)를 형성함으로써 포장을 완료할 수 있다.
그리고, 포장재(510)의 절취가 수월하도록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이지 컷(515)(Easy Cut)이 형성된다. 이지 컷(515)은, 포장재(510)(비닐지)의 상부 또는 하부 어느 한 곳에 형성될 수 있으나, 포장재(510)에 인쇄 된 바를 기준으로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지 컷(515)은, 포장재(510)(비닐지)의 둘레를 따라 전 영역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지만, 포장재(510) 둘레의 일 부분, 예컨대, 상대적으로 두꺼운 비닐지의 양 측면이 접합된 부분(즉, 포장재(510)의 배면)과 절취가 시작될 수 있는 부분, 즉 상부 접합부(511)의 접힘부(512)와 하부 접합부(513)의 접힘부(514)를 연장한 선 상에 형성되거나, 이를 포함한 일부 영역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지 컷(515)은, 재단된 비닐지에 레이저 빔을 조사함으로써 형성시킬 수 있는데, 이때 레이저 빔은 비닐지를 완전 투과하는 것이 아니고, 일정 깊이까지만 가공을 하여 파단강도를 약화시키면서도 수분 투과도 또한 낮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비닐지가 인쇄층인 PET층, 접착층인 PE층, 베리어(Barrier)층인 알루미늄 호일층, 열접착층인 PE층, 구김방지 및 형태유지를 위한 LLD층으로 구성되 어 있다면, 알루미늄 호일층에서 레이저 빔이 반사되기 때문에 알루미늄 호일층 이하의 훼손을 방지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지 컷(515)은 비닐지 양측을 접합하고, 상부 접합부(511) 및 하부 접합부(513)를 형성 시킨 이후 또는 이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지 컷(515)을 형성시키면, 사용자는 이지 컷(515) 부분을 잡아 뜯음으로써, 이지 컷(515)이 형성된 부분이 수월하게 절취되어 내용물을 취득할 수 있다. 물론 도면에는, 포장재(510)의 상부 접합부(511)와 하부 접합부(513)에 톱니 모양을 형성시켜 톱니 모양을 잡고 절취할 수 있도록 해 두었으나, 이지 컷(515)을 형성시켰다면, 굳이 톱니 모양을 형성시키지 않아도 무방하다.
그리고, 이지 컷(515)이 형성된 완성된 포장재(510)의 일정 영역에는 포장재(510)의 절취된 부분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520)가 부착된다. 이탈방지부(520)는 쉽게 찢어지지 않도록 포장재(510)의 강도보다 큰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나, 포장재(510)와 같은 재질의 이탈방지부(520)라 하더라도, 이탈방지부(520)는 쉽게 절취되지는 않는다. 즉 절취가 시작된 포장재(510)는 적은 힘으로도 절취 부분이 연장되어 가면서 쉽게 절취 되지만, 서로 다른 개체인 이탈방지부(520)까지 절취선이 연장되지는 않기 때문에, 같은 힘으로는 이탈방지부(520)가 절취되지 않는 것이다.
이탈방지부(520)를 포장재(510)에 접합하는 과정은, 비닐지의 양측을 접합하고, 상부 접합부(511) 및 하부 접합부(513)를 형성시킴으로써 포장재(510)를 완성한 뒤, 이지 컷(515)을 형성시키고 포장재(510)의 일정 영역에 이탈방지부(520)를 부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제작 공정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이지 컷(515)이 형성된 비닐지의 일정 영역, 바람직하게는 상부 접합부(511)와 하부 접합부(513)가 각각 접합될 시 접히는 부분의 연장선 상에 이탈방지부(520)를 부착하고, 이후 비닐지의 양 측면을 접합하고, 상부 접합부(511) 및 하부 접합부(513)를 형성시킴으로써 포장재(510)를 완성하는 과정으로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500)가 도출될 수 있다.
여기서, 이탈방지부(520)는 포장재(510)의 절취가 마무리 될 수 있는 부분에 부착되어, 절취에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도, 완전 절취가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탈방지부(520)는, 포장재(510)의 상부 접합부(511)의 일 측 접힘부(상부 접힘부)(512)로부터 하부 접합부(513)의 일 측 접힘부(하부 접힘부)(514)로 연장되는 연장선 상의 일부분에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절취가 이루어지는 이지 컷(515) 영역과 교차하도록 이탈방지부(520)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5의 (a) 또는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부(520)는, 포장 재(510)의 상부 및 하부의 전 영역에 걸쳐 부착될 수도 있겠지만, 예상되는 절취 지점의 일정 영역 즉, 이지 컷(515) 영역과 교차하는 일정 영역에만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 이렇게 이탈방지부가 이지 컷 영역과 교차하는 일정 영역에만 부착되는 예는, 제2실시예와 도면9에 도시된 바를 바탕으로 충분히 유추 가능한 것임을 명확히 한다.
이렇게 완성된 본 고안에 따른 이탈방지부(520)를 갖는 포장용기(500)에 의하면, 도면5의 (b)에서와 같이, 이지 컷(515) 부분을 잡아 당겨 포장재(510)를 절취하더라도, 포장재(510)의 절취된 부분이 완전 절취되지 않고, 이탈방지부(520)에 의하여 나머지 부분과 연결된 상태로 남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포장재(510)의 절취된 부분이 회수 되지 않아 쓰레기로 방치되어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가 있다.
<제3실시예>
도면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부(620)를 갖는 포장용기(6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면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부(620)를 갖는 포장용기(600)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6 및 도면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부(620)를 갖는 포장용기(600)는, 포장재(610) 및 이탈방지부(620)를 포함한다.
포장재(610)는, 폴리에틸렌 수지 등의 비닐지인 것이 바람직하나, 종이 등의 다른 재질로 제작되었다 하더라도,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바를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포장재(610)는, 인쇄층인 PET층, 접착층인 PE층, 베리어(Barrier)층인 알루미늄 호일층, 열접착층인 PE층, 구김방지 및 형태유지를 위한 LLD층으로 이루어진 비닐지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포장재(610)는, 내용물에 따라 적당한 크기로 재단된 비닐지의 양 측면을 접합하고, 다시 상부 및 하부를 접합하여 상부 접합부(611) 및 하부 접합부(613)를 형성함으로써 완성 된다.
이때, 내용물에 따라 비닐지의 접합 과정은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내부용기(미도시)에 과자가 담겨 있는 제품을 포장할 경우, 내부용기를 비닐지로 둘러 싼 후 양 측면을 접합(여기서, 비닐지에 인쇄된 내용을 기준으로 한다면, 비닐지의 상 하부를 상호 접합) 하고, 상부 및 하부(비닐지에 인쇄된 내용를 기준으로 한다면, 비닐지의 좌측 접합 및 우측 접합)를 각각 접합하여 포장재(610)를 완성할 수 있다.
반면, 분말로 된 커피나 조미료 등을 포장할 경우에는, 비닐지의 양 측면을 접합하고, 하부를 접합하여 하부 접합부(613)를 형성한 후, 내용물을 담은 뒤 상부 를 접합하여 상부 접합부(611)를 형성함으로써 포장을 완료할 수 있다.
그리고, 포장재(610)의 절취가 수월하도록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이지 컷(615)(Easy Cut)이 형성된다. 이지 컷(615)은, 포장재(610)(비닐지)의 상부 또는 하부 어느 한 곳에 형성될 수 있으나, 포장재(610)에 인쇄 된 바를 기준으로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지 컷(615)은, 포장재(610)(비닐지)의 둘레를 따라 전 영역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지만, 포장재(610) 둘레의 일 부분, 예컨대, 상대적으로 두꺼운 비닐지의 양 측면이 접합된 부분(즉, 포장재(610)의 배면)과 절취가 시작될 수 있는 부분, 즉 상부 접합부(611)의 접힘부(612)와 하부 접합부(613)의 접힘부(614)를 연장한 선 상에 형성되거나, 이를 포함한 일부 영역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지 컷(615)은, 재단된 비닐지에 레이저 빔을 조사함으로써 형성시킬 수 있는데, 이때 레이저 빔은 비닐지를 완전 투과하는 것이 아니고, 일정 깊이까지만 가공을 하여 파단강도를 약화시키면서도 수분 투과도 또한 낮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비닐지가 인쇄층인 PET층, 접착층인 PE층, 베리어(Barrier)층인 알루미늄 호일층, 열접착층인 PE층, 구김방지 및 형태유지를 위한 LLD층으로 구성되 어 있다면, 알루미늄 호일층에서 레이저 빔이 반사되기 때문에 알루미늄 호일층 이하의 훼손을 방지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지 컷(615)은 비닐지 양측을 접합하고, 상부 접합부(611) 및 하부 접합부(613)를 형성 시킨 이후 또는 이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지 컷(615)을 형성시키면, 사용자는 이지 컷(615) 부분을 잡아 뜯음으로써, 이지 컷(615)이 형성된 부분이 수월하게 절취되어 내용물을 취득할 수 있다. 물론 도면에는, 포장재(610)의 상부 접합부(611)와 하부 접합부(613)에 톱니 모양을 형성시켜 톱니 모양을 잡고 절취할 수 있도록 해 두었으나, 이지 컷(615)을 형성시켰다면, 굳이 톱니 모양을 형성시키지 않아도 무방하다.
그리고, 이지 컷(615)이 형성된 완성된 포장재(610)의 일정 영역에는 포장재(610)의 절취된 부분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620)가 부착된다. 이탈방지부(620)는 쉽게 찢어지지 않도록 포장재(610)의 강도보다 큰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나, 포장재(610)와 같은 재질의 이탈방지부(620)라 하더라도, 이탈방지부(620)는 쉽게 절취되지는 않는다. 즉 절취가 시작된 포장재(610)는 적은 힘으로도 절취 부분이 연장되어 가면서 쉽게 절취 되지만, 서로 다른 개체인 이탈방지부(620)까지 절취선이 연장되지는 않기 때문에, 같은 힘으로는 이탈방지부(620)가 절취되지 않는 것이다.
이탈방지부(620)를 포장재(610)에 접합하는 과정은, 비닐지의 양측을 접합하고, 상부 접합부(611) 및 하부 접합부(613)를 형성시킴으로써 포장재(610)를 완성한 뒤, 이지 컷(615)을 형성시키고 포장재(610)의 일정 영역에 이탈방지부(620)를 부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제작 공정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이지 컷(615)이 형성된 비닐지의 일정 영역, 바람직하게는 상부 접합부(611)와 하부 접합부(613)가 각각 접합될 시 접히는 부분의 연장선 상에 이탈방지부(620)를 부착하고, 이후 비닐지의 양 측면을 접합하고, 상부 접합부(611) 및 하부 접합부(613)를 형성시킴으로써 포장재(610)를 완성하는 과정으로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600)가 도출될 수 있다.
여기서, 이탈방지부(620)는 포장재(610)의 절취가 마무리 될 수 있는 부분에 부착되어, 절취에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도, 완전 절취가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탈방지부(620)는, 포장재(610)의 상부 접합부(611)의 일 측 접힘부(상부 접힘부)(612)로부터 하부 접합부(613)의 일 측 접힘부(하부 접힘부)(614)로 연장되는 연장선 상의 일부분에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절취가 이루어지는 이지 컷(615) 영역과 교차하도록 이탈방지부(620)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6 내지 도면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부(620)는, 포장 재(610)의 상부 및 하부의 전 영역에 걸쳐 부착될 수도 있겠지만, 예상되는 절취 지점의 일정 영역 즉, 이지 컷(615) 영역과 교차하는 일정 영역에만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 이렇게 이탈방지부가 이지 컷 영역과 교차하는 일정 영역에만 부착되는 예는, 제3실시예와 도면9에 도시된 바를 바탕으로 충분히 유추 가능한 것임을 명확히 한다.
여기서, 도면6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이탈방지부(620)가 포장재(610)에 형성된 이지 컷(615) 영역과 교차하는 일정 영역에 부착 될 시, 이지 컷(615)과 교차하는 일정 부분(A)은 제외하고 포장재(610)에 부착된다. 이는 도면7의 사용예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이지 컷(615) 부분을 잡아 당겨 포장재(610)를 절취할 시, 포장재(610)의 절취된 부분이 완전히 젖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도면5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이지 컷(515)과 교차하는 부분까지 이탈방지부(520)가 부착되어 있더라도, 본 고안에 따른 목적은 충분히 달성할 수 있으나, 절취가 마무리되는 부분에서 절취된 포장재(510)가 매달려 완전히 젖혀지지 않아 내용물을 취득하는데 다소 불편할 수가 있다. 따라서, 도면6에 도시된 제3실시예에서와 같이, 이지 컷(615) 영역과 교차하는 지점의 일정 부분(A)은 이탈방지부(620)가 포장재(610)에 부착되지 않도록 하면, 도면7에서와 같이, 포장재(610)의 절취된 부분이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완전히 떨어짐으로써(물론 이탈방지부(620)에 의해 매달려 있다), 절취된 부분이 내용물의 취득을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완성된 본 고안에 따른 이탈방지부(620)를 갖는 포장용기(600)에 의하면, 도면7에서와 같이, 이지 컷(615) 부분을 잡아 당겨 포장재(610)를 절취하면, 포장재(610)의 절취된 부분이 완전히 젖혀져 내용물의 취득을 방해하지 않으며, 또한, 이탈방지부(620)에 의하여 나머지 부분과 연결된 상태로 남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포장재(610)의 절취된 부분이 회수 되지 않아 쓰레기로 방치되어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가 있다.
<제4실시예>
도면8의 (a)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부(820)를 갖는 포장용기(8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면8의 (b)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부(820)를 갖는 포장용기(800)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부(820)를 갖는 포장용기(800)는, 포장재(810) 및 이탈방지부(820)를 포함한다.
포장재(810)는, 폴리에틸렌 수지 등의 비닐지인 것이 바람직하나, 종이 등의 다른 재질로 제작되었다 하더라도,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바를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포장재(810)는, 인쇄층인 PET층, 접착층인 PE층, 베리어(Barrier)층인 알루미늄 호일층, 열접착층인 PE층, 구김방지 및 형태유지를 위한 LLD층으로 이루어진 비닐지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포장재(810)는, 내용물에 따라 적당한 크기로 재단된 비닐지의 양 측면을 접합하고, 다시 상부 및 하부를 접합하여 상부 접합부(811) 및 하부 접합부(813)를 형성함으로써 완성 된다.
이때, 내용물에 따라 비닐지의 접합 과정은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내부용기(미도시)에 과자가 담겨 있는 제품을 포장할 경우, 내부용기를 비닐지로 둘러 싼 후 양 측면을 접합(여기서, 비닐지에 인쇄된 내용을 기준으로 한다면, 비닐지의 상 하부를 상호 접합) 하고, 상부 및 하부(비닐지에 인쇄된 내용를 기준으로 한다면, 비닐지의 좌측 접합 및 우측 접합)를 각각 접합하여 포장재(810)를 완성할 수 있다.
반면, 분말로 된 커피나 조미료 등을 포장할 경우에는, 비닐지의 양 측면을 접합하고, 하부를 접합하여 하부 접합부(813)를 형성한 후, 내용물을 담은 뒤 상부를 접합하여 상부 접합부(811)를 형성함으로써 포장을 완료할 수 있다.
그리고, 포장재(810)의 절취가 수월하도록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이지 컷(815)(Easy Cut)이 형성된다. 이지 컷(815)은, 포장재(810)(비닐지)의 상부 또는 하부 어느 한 곳에 형성될 수 있으나, 포장재(810)에 인쇄 된 바를 기준으로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지 컷(815)은, 포장재(810)(비닐지)의 둘레를 따라 전 영역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지만, 포장재(810) 둘레의 일 부분, 예컨대, 상대적으로 두꺼운 비닐지의 양 측면이 접합된 부분(즉, 포장재(810)의 배면)과 절취가 시작될 수 있는 부분, 즉 상부 접합부(811)의 접힘부(812)와 하부 접합부(813)의 접힘부(814)를 연장한 선 상에 형성되거나, 이를 포함한 일부 영역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지 컷(815)은, 재단된 비닐지에 레이저 빔을 조사함으로써 형성시킬 수 있는데, 이때 레이저 빔은 비닐지를 완전 투과하는 것이 아니고, 일정 깊이까지만 가공을 하여 파단강도를 약화시키면서도 수분 투과도 또한 낮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비닐지가 인쇄층인 PET층, 접착층인 PE층, 베리어(Barrier)층인 알루미늄 호일층, 열접착층인 PE층, 구김방지 및 형태유지를 위한 LLD층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알루미늄 호일층에서 레이저 빔이 반사되기 때문에 알루미늄 호일층 이하의 훼손을 방지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지 컷(815)은 비닐지 양측을 접합하고, 상부 접합부(811) 및 하부 접합부(813)를 형성 시킨 이후 또는 이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지 컷(815)을 형성시키면, 사용자는 이지 컷(815) 부분을 잡아 뜯음으로써, 이지 컷(815)이 형성된 부분이 수월하게 절취되어 내용물을 취득할 수 있다. 물론 도면에는, 포장재(810)의 상부 접합부(811)와 하부 접합부(813)에 톱니 모양을 형성시켜 톱니 모양을 잡고 절취할 수 있도록 해 두었으나, 이지 컷(815)을 형성시켰다면, 굳이 톱니 모양을 형성시키지 않아도 무방하다.
그리고, 이지 컷(815)이 형성된 완성된 포장재(810)의 일정 영역에는 포장재(810)의 절취된 부분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820)가 부착된다. 특히, 도면8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르면, 이탈방지부(820)는, 완성된 포장재(810)의 외관을 고려하여 포장재(810)의 내측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탈방지부(820)는 쉽게 찢어지지 않도록 포장재(810)의 강도보다 큰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나, 포장재(810)와 같은 재질의 이탈방지부(820)라 하더라도, 이탈방지부(820)는 쉽게 절취되지는 않는다. 즉 절취가 시작된 포장재(810)는 적은 힘으로도 절취 부분이 연장되어 가면서 쉽게 절취 되지만, 서로 다른 개체인 이탈방지부(820)까지 절취선이 연장되지는 않기 때문에, 같은 힘으로는 이탈방지부(820)가 절취되지 않는 것이다.
이탈방지부(820)를 포장재(810)에 접합하는 과정은, 이지 컷(815)이 형성된 비닐지의 일정 영역, 바람직하게는 상부 접합부(811)와 하부 접합부(813)가 각각 접합될 시 접히는 부분의 연장선 상에 이탈방지부(820)를 부착하고, 이후 비닐지의 양 측면을 접합하고, 상부 접합부(811) 및 하부 접합부(813)를 형성시킴으로써 포장재(810)를 완성하는 과정으로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800)가 도출될 수 있다. 물론, 이탈방지부(820)가 부착된 비닐지의 양 측면을 접합할 시, 이탈방지부(820)가 포장재(810)의 내측에 오도록, 즉 이탈방지부(820)를 감싸면서 양 측면을 접합한다.
여기서, 이탈방지부(820)는 포장재(810)의 절취가 마무리 될 수 있는 부분에 부착되어, 절취에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도, 완전 절취가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탈방지부(820)는, 포장재(810)의 상부 접합부(811)의 일 측 접힘부(상부 접힘부)(812)로부터 하부 접합부(813)의 일 측 접힘부(하부 접힘부)(814)로 연장되는 연장선 상의 일부분에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절취가 이루어지는 이지 컷(815) 영역과 교차하도록 이탈방지부(820)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8의 (a) 또는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부(820)는, 포장재(810)의 상부 및 하부의 전 영역에 걸쳐 부착될 수도 있겠지만, 예상되는 절취 지점의 일정 영역 즉, 이지 컷(815) 영역과 교차하는 일정 영역에만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 이렇게 이탈방지부가 이지 컷 영역과 교차하는 일정 영역에만 부착되는 예는, 제4실시예와 도면9에 도시된 바를 바탕으로 충분히 유추 가능한 것임을 명확 히 한다.
그리고, 도면8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3실시예에서와 같이, 완성된 포장재를 절취할 시, 절취된 부분이 완전히 젖혀질 수 있도록, 이탈방지부가 포장재에 부착될 시, 이지 컷 영역과 교차하는 일정 부분은 부착이 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이지 컷이 형성되지 않은 포장재일지라도, 이탈방지부가 포장재의 내측에 부착되는 실시예는, 제1실시예 및 제4실시예에 의해 충분히 유추가 가능한 것이고,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임을 명확히 한다.
이렇게 완성된 본 고안에 따른 이탈방지부(820)를 갖는 포장용기(800)에 의하면, 도면8에서와 같이, 이지 컷(815) 부분을 잡아 당겨 포장재(810)를 절취하더라도, 포장재(810)의 절취된 부분이 완전 절취되지 않고, 이탈방지부(820)에 의하여 나머지 부분과 연결된 상태로 남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포장재(810)의 절취된 부분이 회수 되지 않아 쓰레기로 방치되어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가 있다. 또한, 도면8에 도시된 제4실시예에 의하면, 이탈방지부(820)가 포장재(810) 내측에 부착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완성된 포장재(810)의 미관을 해칠 염려가 없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을 구체화한 일예들에 불과한 것일 뿐이기 때문에, 본 고안이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즉, 본 고안은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그러한 내용의 균등한 범위를 포함하는 기술사상을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내용물을 취득하기 위해 포장재의 일부분을 절취하더라도, 절취된 부분이 포장재의 나머지 부분과 이탈하지 않아, 절취된 부분이 방치되어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는 우려를 없애고 깔끔한 뒷정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포장재의 이지 컷 영역이 형성된 일정 부분에서는 이탈방지부를 부착하지 않도록 하여 절취된 부분이 완전히 젖혀지도록 하여 내용물 취득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포장재의 내측에 이탈방지부를 부착함으로써 포장재의 미관을 지켜줄 수 있다.

Claims (7)

  1. 일부분을 절취하여 내용물을 취득할 수 있는 포장재; 및
    상기 포장재의 일정 영역에 부착되어, 상기 포장재를 절취할 시, 상기 포장재의 절취된 부분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부를 갖는 포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의 절취가 수월하도록 상기 포장재 일부분에 레이저를 이용한 이지 컷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부를 갖는 포장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포장재에 형성된 이지 컷 영역의 일 지점과 교차하도록 상기 포장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부를 갖는 포장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이지 컷 영역의 일 지점과 교차하는 부분으로부터 일정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포장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부를 갖는 포장용기.
  5. 제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는, 재단된 비닐지의 양 측면을 상호 접합하고, 상부 및 하부를 각각 접합하여 상부 접합부 및 하부 접합부를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포장재의 상부 접합부의 일 측 접힘부로부터 하부 접합부의 일 측 접힘부로 연장되는 연장선 상의 일부분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부를 갖는 포장용기.
  6. 제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포장재 재질의 강도 이상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부를 갖는 포장용기.
  7. 제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포장재의 외부면 또는 내부면 중 하나 이상의 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부를 갖는 포장용기.
KR2020090000945U 2009-01-29 2009-01-29 이탈방지부를 갖는 포장용기 KR2010000784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945U KR20100007840U (ko) 2009-01-29 2009-01-29 이탈방지부를 갖는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945U KR20100007840U (ko) 2009-01-29 2009-01-29 이탈방지부를 갖는 포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840U true KR20100007840U (ko) 2010-08-06

Family

ID=44453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0945U KR20100007840U (ko) 2009-01-29 2009-01-29 이탈방지부를 갖는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784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92716B2 (ja) 包装容器の開孔装置
EP2347971B1 (en) Resealable packaging for food product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JP7448316B2 (ja) リサイクリング可能なバッグ
JP6188312B2 (ja) 包装袋
WO2009153558A1 (en) Container
WO2016096378A1 (en) Tamper-evident reusable package closure
KR100969662B1 (ko) 내용물 배출구 일체형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팩 및 포장팩용손잡이
JP4861660B2 (ja) 包装用容器
JP2007008532A (ja) 包装容器
CN112752716B (zh) 复合容器、主体坯件以及将顶部与主体分离的方法
AU2001279734B2 (en) Opening device for packaging containers
KR20100007840U (ko) 이탈방지부를 갖는 포장용기
JP5733496B2 (ja) 青果物包装トレイのラップシート
EP2342141A1 (en) A blister-type packaging unit having a weakened region to be torn
JP5051367B2 (ja) フィルム付容器
CA3114943A1 (en) Pastry ba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20160003642U (ko) 절단 띠를 구비한 일회용 보관용기
JP2003146339A (ja) 手提袋
JP6813999B2 (ja) キャップシール付き容器
US20190071232A1 (en) Resealable opening device and package comprising such an opening device
JP6267556B2 (ja) 注出補助具付きパウチ及びその製造方法
EP2776336B1 (en) Container for food products
EP2288555B1 (en) Zip sealed flexible pouch
JP3209502U (ja) 枠付き包装用フィルム
JP2007131321A (ja) 湯切り機能をもつ蓋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