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7773U - 보조마개가 구비된 수액백용 배액포트 - Google Patents

보조마개가 구비된 수액백용 배액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7773U
KR20100007773U KR2020090000865U KR20090000865U KR20100007773U KR 20100007773 U KR20100007773 U KR 20100007773U KR 2020090000865 U KR2020090000865 U KR 2020090000865U KR 20090000865 U KR20090000865 U KR 20090000865U KR 20100007773 U KR20100007773 U KR 201000077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bag
tube
injection tub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08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2452Y1 (ko
Inventor
이상운
윤응준
이영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파마플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파마플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파마플랜
Priority to KR20200900008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452Y1/ko
Publication of KR201000077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7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4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4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75Inlet or outlet 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68Venting means
    • A61J1/2075Venting means for external ven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액백용 배액포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액백에 저장된 약물을 배액하기 위하여 스파이크(Spike)를 삽입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배액이 끝나고 스파이크를 빼낸 이후에 백 내부에 남아있던 약물이 밖으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주입관을 막아주는 보조마개가 따로 구비된 수액백용 배액포트에 관한 것이다.
수액백, 배액포트, 보조마개

Description

보조마개가 구비된 수액백용 배액포트{Infusion port with auxiliary cap for medical bag}
본 고안은 수액백용 배액포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액백에 저장된 약물을 배액하기 위하여 스파이크(Spike)를 삽입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배액이 끝나고 스파이크를 빼낸 이후에 백 내부에 남아있던 약물이 밖으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주입관을 막아주는 보조마개가 따로 구비된 수액백용 배액포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넌-피브이씨(Non-PVC) 재질의 수액백(Parenteral nutrition bag)이 의료용으로 광범위 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액백의 일반적인 구조는 먼저 넌-피브씨 재질의 합성수지 필름을 접어서 3변을 고주파 실링(Sealing)하여 약액을 저장하는 주머니 형태의 백(Bag)을 제조하고, 상기 백의 개방된 일변에 포트(Port)를 설치한 다음, 이를 밀봉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포트는 백에 직접 실링되기도 하고, 백에 실링된 튜브 상단에 설치되기도 하며, 특별히 고안된 다관식 실링부재에 일체로 사출성형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수액백에 설치되는 포트로는 통상 스파이크를 삽입하여 백 내부에 저장된 약물을 배액하는데 사용되는 배액포트(Infusion port)와, 주사기를 꽂아 백 내부로 항생제 등 다른 약물을 주입할 때 사용되는 주입포트(Injection port)가 사용된다. 이러한 포트에는 상기 스파이크나 주사기를 꽂을수 있는 고무마개가 설치되는데, 상기 주입포트의 경우에는 가느다란 주사기가 삽입되기 때문에 고무마개를 사용해도 별 문제가 없으나, 굵은 스파이크가 삽입되는 배액포트의 경우에는 고무마개를 사용하면 스파이크를 삽입하기도 힘들 뿐 아니라 고무파편 등이 체내로 유입될 위험성이 있다는 논란이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최근에는 고무마개를 사용하지 않는 주입포트가 개발되어 있다. 예컨대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0440084호(등록일자; 2008.05.19.)에는 수액백에 실링되거나 튜브에 결합되며 상부에 차단막(12)이 형성된 주입관(11)과, 이 주입관(11)에 일체로 성형되어 상부에 결합홈(14)이 형성된 캡하우징(13)으로 이루어진 몸체(10)와; 상기 캡하우징(13)의 결합홈(14)에 요철결합되는 결합편(21)이 형성되고, 중앙에 하방향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삽입된 스파이크(S)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관(22)이 형성되고, 이 고정관(22)의 내주면에 분리가능하게 이탈부재(23)가 구비된 뚜껑(20)과; 상기 이탈부재(23)에 결합되며, 상기 이탈부재(23)와 함께 분리되는 플립캡(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수액백용 주입포트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주입포트는 고무마개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스파이크가 상기 주입관(11)과 고정관(22)의 내주면에 단단히 밀착되기 때문에 사용 도중에 스 파이크가 빠져나오거나 누액이 발생할 우려없이 안정적으로 약물을 배액할수 있다. 그러나, 배액이 끝나고 스파이크를 빼내고 나면, 상기 주입관(11)과 고정관(22)이 그대로 뚫려 있기 때문에 백 내부에 남아있던 약물이 그대로 흘러나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수액백의 용량이 대형인 경우에는 한번만에 백 내부의 약물을 모두 배액하지 않고, 일부 약물만 배약한 다음, 나머지 약물을 보관하고 있다가 후에 다시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 종래에는 튜브 중간부위에 클램프를 채워 약물이 흘러나오지 않도록 막아 두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배액포트를 수액백에 설치된 튜브에 삽입할 경우에는 삽입을 용이하게 하면서 누액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주입관(11)의 외주면에 사이클로헥사논과 같은 접착제를 바른 다음 튜브 속을 밀어 넣게 되는데, 이러한 작업은 시간이 지체되면 상지 접착제가 경화될수 있기 때문에 신속하게 진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주입관(11)을 용이하게 튜브 속으로 삽입하기 위해서 주입관(11)의 외경을 밑으로 갈수록 가늘게 구성하게 되는데, 그렇다고 상기 구입관(11)의 하단 외경이 너무 가늘게 되면 그 내경도 좁아져서 스파이크가 잘 삽입되지 않거나, 배액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액백에 실링된 튜브 상단에 삽입하는 배액포트에 있어서, 고무마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배액이 끝나고 스파이크를 빼낸 다음에도 백 내부에 남아있던 약물이 흘러나오지 않도록 주입관을 막아주는 수단이 구비된 수액백용 배액포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튜브 속으로 삽입되는 주입관의 내경이 좁아지지 않으면서도 주입관을 튜브 속으로 용이하게 삽입 시킬수 있도록 구성된 수액백용 배액포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수액백용 배액포트는 수액백에 저장된 약물을 배액하기 위해 스파이크(Spike)가 삽입되는 주입관과, 상기 주입관의 중간부위에서 관체 내부를 막고 있는 차단막과, 상기 주입관의 상단 외주면에서 양쪽으로 돌출된 지지편과, 상기 주입관 상단에서 지지편 위로 돌출된 슬리브로 구성된 몸체부와; 상기 슬리브의 바깥둘레를 둘러싸고 있는 원통체와, 상기 원통체의 외주면에서 양쪽으로 돌출된 손잡이와, 상기 원통체의 상단을 양쪽에서 압착하여 형성된 압착밀봉부로 구성된 분리캡과; 상기 지지편과 손잡이 사이에서 상기 슬리브의 바깥둘레를 따라 몸체부와 분리캡을 절단 가능하게 연결시켜 주는 절단환홈과; 상기 슬리브의 상단을 막을수 있는 슬리브캡과, 상기 슬리브캡을 상기 지지편의 일측에 매달아 두는 연결선으로 구성된 보조마개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수액백용 배액포트는 상기 주입관의 하단에 빗각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수액백용 배액포트는 주입관 상단을 막을수 있는 슬리브캡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어서, 배액이 끝나고 스파이크를 빼낸 다음에도 백 내부에 남아있던 약물이 흘러나오지 않도록 주입관을 차단하므로서 수액백의 재사용은 물론, 폐기 절차도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수액백용 배액포트는 튜브에 설치 할 경우, 주입관의 내경이 크게 축소되지 않으면서도 튜브에 용이하게 삽입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액백용 배액포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배액포트의 단면도이며, 도 3은 상기 배액포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수액백용 배액포트는 튜브에 삽입되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고, 수액백에 직접 실링되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특별히 고안된 다관식 실링부재에 일체로 사출성형 될 수도 있는데, 상기 도 1 내지 도 3은 이중에서 튜브에 삽입하는 용도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구조를 예시하여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수액백용 배액포트는 상기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몸체 부(10)와 분리캡(20), 절단환홈(30) 및 보조마개부(40)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액포트의 재질로는 의료용으로 사용가능한 넌-피브이씨(Non-PVC)재질의 합성수지라면 어느 것이라도 좋으나, 특히 밀도가 0.85 내지 0.91 g/㎤ 이고, SHORE 경도가 A 60 내지 D 50 인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상기 몸체부(10)는 수액백에 저장된 약물을 배액하기 위해 스파이크(Spike)가 삽입되는 주입관(11)과, 상기 주입관(11)의 중간부위에서 관체 내부를 막고 있는 차단막(12)과, 상기 주입관(11)의 상단 외주면에서 양쪽으로 돌출된 지지편(13)과, 상기 주입관(11) 상단에서 지지편(13) 위로 돌출된 슬리브(14)로 구성된다.
상기 주입관(11)은 튜브(T)에 삽입하기에 용이하도록 밑으로 내려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는 구조를 갖되, 특히 하단부에는 빗각경사면(15) 구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편(13)의 하단에는 주입관(11)의 외주면에 돌출된 걸림턱(17)을 설치하여 상기 주입관(11)을 튜브(T)에 삽입할 때 삽입정도를 제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입관(11)은 튜브에 삽입하지 않고, 수액백에 직접 실링될 수도 있고, 특별히 고안된 다관식 실링부재에 일체로 사출성형 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분리캡(20)은 상기 슬리브(14)의 바깥둘레를 둘러싸고 있는 원통체(21)와, 상기 원통체(21)의 외주면에서 양쪽으로 돌출된 손잡이(22)와, 상기 원통체(21)의 상단을 양쪽에서 압착하여 형성된 압착밀봉부(23)로 구성된다. 상기 분 리캡(20)은 상기 차단막(12)과 함께 수액백 내부를 차단하여 오염을 방지하고, 멸균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몸체부(10)와 분리캡(20)은 상기 지지편(13)과 손잡이(21) 사이에서 상기 슬리브(14)의 바깥둘레를 따라 형성된 절단환홈(30)에 의해서 절단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지지편(13)의 상단에는 주입관(11)의 외주면에 돌출된 하단환턱(1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22)의 하단에는 원통체(21)의 외주면에 돌출된 상단환턱(24)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하단환턱(16)과 상단환턱(24) 사이에 절단환홈(30)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의 특징인 보조마개부(40)는 상기 슬리브(14)의 상단을 막을수 있는 슬리브캡(41)과, 상기 슬리브캡(41)을 상기 지지편(13)의 일측에 매달아 두는 연결선(42)으로 구성된다. 상기 슬리브캡(41)은 고정편(43)에 의해서 손잡이(22)의 일측에 절단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선(42)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S'자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배액튜브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압착밀봉부(23)를 형성하지 않은 상태에서 몸체부(10)와 분리캡(20), 절단환홈(30) 및 보조마개부(40)를 일체로 사출 성형한 다음, 상기 분리캡(20)의 원통체(21) 상단을 양쪽에서 눌러 열 융착하거나 고주파 융착하여 압착밀봉부(23)를 형성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배액튜브가 설치된 수액백에서 약물을 배액하기 위해서는 먼저 한손으로 지지편(13)을 잡고, 다른 한손으로 손잡이(22)를 잡은 상태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비틀어 주면, 절단환홈(30) 부위가 절단되면서 분리캡(20)이 이탈된다. 이때, 상기 슬리브캡(41)을 고정하고 있던 고정편(43)도 절단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슬리브(14)를 통해 주입관(11) 속으로 스파이크를 찔러 넣으면, 차단막(12)이 파열되면서 스파이크를 통해 백 속에 저장된 약물을 배액할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슬리브(14)는 스파이크의 외주면에 밀착하여 누액을 방지하고, 스파이크가 저절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붙잡아 주는 기능을 한다.
배액이 끝나고 주입관(11)에서 스파이크를 빼낸 다음에는 도 3과 같이 슬리브(14) 상단을 슬리브캡(41)으로 차단한다. 이렇게 하면, 수액백 내부에 남아있던 약물이 주입관(11)을 통해 흘러나오지 않도록 차단된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주입관(11)이 튜브(T)에 삽입되는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에 따른 배액튜브는 상기 주입관(11)이 배액백에 바로 실링되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특별히 고안된 다관식 실링부재에 설치되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액백용 배액포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액백용 배액포트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액백용 배액포트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몸체부 11: 주입관
12: 차단막 13: 지지편
14: 슬리브(Sleeve) 15: 빗각경사면
16: 하단환턱 17: 걸림턱
20: 분리캡 21: 원통체
22: 손잡이 23: 압착밀봉부
24: 상단환턱 30: 절단환홈
40: 보조마개부 41: 슬리브캡(Sleeve cap)
42: 연결선 43: 고정편

Claims (4)

  1. 수액백에 저장된 약물을 배액하기 위해 스파이크(Spike)가 삽입되는 주입관(11)과, 상기 주입관(11)의 중간부위에서 관체 내부를 막고 있는 차단막(12)과, 상기 주입관(11)의 상단 외주면에서 양쪽으로 돌출된 지지편(13)과, 상기 주입관(11) 상단에서 지지편(13) 위로 돌출된 슬리브(14)로 구성된 몸체부(10)와;
    상기 슬리브(14)의 바깥둘레를 둘러싸고 있는 원통체(21)와, 상기 원통체(21)의 외주면에서 양쪽으로 돌출된 손잡이(22)와, 상기 원통체(21)의 상단을 양쪽에서 압착하여 형성된 압착밀봉부(23)로 구성된 분리캡(20)과;
    상기 지지편(13)과 손잡이(21) 사이에서 상기 슬리브(14)의 바깥둘레를 따라 몸체부(10)와 분리캡(20)을 절단 가능하게 연결시켜 주는 절단환홈(30)과;
    상기 슬리브(14)의 상단을 막을수 있는 슬리브캡(41)과, 상기 슬리브캡(41)을 상기 지지편(13)의 일측에 매달아 두는 연결선(42)으로 구성된 보조마개부(4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마개가 구비된 수액백용 배액포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11)의 하단에는 빗각경사면(1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마개가 구비된 수액백용 배액포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13)의 상단에는 주입관(11)의 외주면에 돌출된 하단환턱(1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22)의 하단에는 원통체(21)의 외주면에 돌출된 상단환턱(24)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하단환턱(16)과 상단환턱(24) 사이에 절단환홈(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마개가 구비된 수액백용 배액포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캡(41)은 고정편(43)에 의해서 손잡이(22)의 일측에 절단가능하게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마개가 구비된 수액백용 배액포트.
KR2020090000865U 2009-01-23 2009-01-23 보조마개가 구비된 수액백용 배액포트 KR2004524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865U KR200452452Y1 (ko) 2009-01-23 2009-01-23 보조마개가 구비된 수액백용 배액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865U KR200452452Y1 (ko) 2009-01-23 2009-01-23 보조마개가 구비된 수액백용 배액포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773U true KR20100007773U (ko) 2010-08-02
KR200452452Y1 KR200452452Y1 (ko) 2011-03-02

Family

ID=44244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0865U KR200452452Y1 (ko) 2009-01-23 2009-01-23 보조마개가 구비된 수액백용 배액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45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720B1 (ko) 2013-04-18 2015-04-10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수액누출 차단 플랩을 갖는 배액 포트 및 상기 배액 포트를 구비하는 수액용기
KR20170026051A (ko) 2015-08-27 2017-03-08 이상운 수액백용 배액포트
KR200492817Y1 (ko) 2020-05-14 2020-12-15 윤응준 수액백용 스파이크 포트
KR200497157Y1 (ko) 2021-07-26 2023-08-14 윤응준 수액백용 스파이크 포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4486A (ja) 2000-05-12 2001-11-13 Showa Denko Plastic Products Co Ltd 輸液容器用口栓体
JP4041303B2 (ja) 2001-11-27 2008-01-30 テルモ株式会社 輸液用容器
KR100803765B1 (ko) 2006-10-31 2008-02-15 주식회사 대한화성 수액백 포트 및 수액백 포트 제조방법
KR200443795Y1 (ko) * 2007-07-13 2009-03-23 주식회사 메디펙 넌 피브이씨 재질의 수액백용 포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2452Y1 (ko) 201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03494B2 (ja) 経皮入口器具
CN100577234C (zh) 用于容纳有医用液体的包装的连接器及用于医用液体的包装
AU2009248474A1 (en) Port closure system for intravenous fluid container
KR100746772B1 (ko) 수액백 및 수액세트의 연결구조물
KR200452452Y1 (ko) 보조마개가 구비된 수액백용 배액포트
MXPA02005674A (es) Sistema de retiro e inyeccion para soluciones medicas y un recipiente con dicho sistema de retiro e inyeccion.
KR200492817Y1 (ko) 수액백용 스파이크 포트
RU2673490C2 (ru) Колпачок для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ого контейнера
KR20170001921U (ko) 수액백용 배액포트
KR200450980Y1 (ko) 폴리올레핀계 넌-피브이씨 재질의 수액백용 실링부재
KR200443796Y1 (ko) 넌 피브이씨 재질의 수액백용 포트
KR200440084Y1 (ko) 위조방지 기능을 갖는 넌 피브이씨 재질의 수액용 포트
KR101892153B1 (ko) 루어록 접속구조를 갖는 의료용 배액 유니트
CN107580488B (zh) 用于医疗液体的容器
KR200429645Y1 (ko) 수액백용 포트
KR101968150B1 (ko) 위생적인 마개와 삼방밸브로 구성된 수액배출장치를 갖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 수액병 복합체
KR20130002532U (ko) 분리방지형 수액세트 이음부
KR200444613Y1 (ko) 의료용 플라스틱 백의 실링부재
KR20090007179U (ko) 넌 피브이씨 재질의 수액백용 포트
JP2004016437A (ja) 注射器接続ポート
KR101063400B1 (ko) 수액백용 포트
KR100648437B1 (ko) 수액팩용 밀봉캡
KR200444892Y1 (ko) 수액백용 포트
JPH054835Y2 (ko)
JP7447734B2 (ja) トランスファーニード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