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613Y1 - 의료용 플라스틱 백의 실링부재 - Google Patents

의료용 플라스틱 백의 실링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613Y1
KR200444613Y1 KR2020090000239U KR20090000239U KR200444613Y1 KR 200444613 Y1 KR200444613 Y1 KR 200444613Y1 KR 2020090000239 U KR2020090000239 U KR 2020090000239U KR 20090000239 U KR20090000239 U KR 20090000239U KR 200444613 Y1 KR200444613 Y1 KR 2004446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ealing member
injection
plastic bag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02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운
이영선
윤응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펙
Priority to KR20200900002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6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6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613Y1/ko
Priority to CN2009101779695A priority patent/CN101773449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75Inlet or outlet 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료용 플라스틱 백(Plastic bag)용 실링부재(Sealing component)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양측에 실링경사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를 관통하는 인출관(Infusion port)과 주입관(Injection port)이 일체로 구비되고, 특히 상기 인출관을 막아주는 마개봉과 마개봉 보관수단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어서 배액 후 상기 인출관을 통해 백(Bag) 속에 남아있던 잔류 약물이 흘러나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아줄수 있는 의료용 플라스틱 백의 실링부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료용 플라스틱 백의 실링부재{Sealing component for medical plastic bag}
본 고안은 의료용 플라스틱 백(Plastic bag)의 실링부재(Sealing component)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양측에 실링경사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를 관통하는 인출관(Infusion port)과 주입관(Injection port)이 일체로 구비되고, 특히 상기 인출관을 막아주는 마개봉과 마개봉 보관수단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어서 배액 후 상기 인출관을 통해 백(Bag) 속에 남아있던 잔류 약물이 흘러나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아줄수 있는 의료용 플라스틱 백의 실링부재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수술환자에게 공급되는 수액용기(Parenteral nutrition container)와 같이 의료용으로 광범위 하게 사용되는 플라스틱 백의 구조는 통상 넌-피브씨(Non-PVC) 재질의 합성수지 필름을 접어서 3변을 실링(Sealing)하여 주머니 형태의 백(Bag)을 제조하고, 상기 백의 개방된 일변에 각종 포트(Port)를 설치한 다음, 상기 백과 포트를 일체로 실링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포트로는 백 내부에 저장된 약물을 환자에게 배액하기 위하여 스파이크(Spike)를 삽입하는 인출관(Infusion port)과, 백 내부로 항생제 등 다른 약물을 주입하기 위해 주사기를 삽입하는 주입관(Injection port)이 사용된다.
그런데 이러한 의료용 백의 제조과정에서 백과 포트의 실링부위는 구조적으로 매우 취약하여 이 부분에서 약물이 누출되는 불량이 자주 발생한다. 그래서 종래에도 이러한 누액불량을 감소하기 위해 특별히 고안된 실링부재들이 종종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국내특허 제662698호(등록일자 2006.12.21.)에는 취출구(상기 '인출관'에 해당함)와 인입구(상기 '주입관'에 해당함)가 구비된 이원주입구 실링부재가 소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특허에 소개된 실링부재는 상기 취출구 및 인입구에 각각 밀봉 고무전과 이를 고정시켜 주는 캡(Cap)이 설치되어 있어서 여러개의 부품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제조원가가 높을 뿐 아니라, 상기 취출구에 설치된 고무전을 통해 굵은 스파이크를 삽입해야 하는 등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398805호(등록일자 2005.10.10.)에는 양측단에 경사면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도록 일체도 사출성형된 인출관 및 주입관으로 이루어지는 2관식 수액백용 실링부재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실링부재에서는 인출관의 내부에 차단막이 형성되어 있고, 그 외부에는 절단 가능한 파단부 및 나비형 절단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절단손잡이를 비틀어서 파단부를 분리한 다음, 상기 인출관의 내부에 스파이크를 삽입하여 약물을 환자에게 배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링부재의 경우, 인출관에는 고무전이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스파이크의 삽입이 용이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할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백 내부에 아직 약물이 일부 남아있는 상태에서 스파이크를 분리하게 되면, 상기 인출관을 통해서 약물이 밖으로 흘러나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인출관과 주입관이 한몸으로 사출성형된 의료용 플라스틱 백의 실링부재에 있어서, 상기 특허 제662698호의 경우와 같이 인출관이 고무전과 캡으로 밀봉된 경우에는 제조원가가 높고 사용이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398805호의 경우와 같이 상기 인출관에 파단부를 형성하여 이를 분리한 다음, 인출관 내부에 스파이크를 삽입하여 약물을 배액하도록 구성된 경우에는 배액 후 스파이크를 빼내고 나면, 인출관을 통해 백 내부에 남아있던 수액이 흘러나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제로 용량이 500ml 또는 1000ml 인 대용량 백의 경우에는 한번 만에 약물이 모두 배액되지 않고 잔류약물이 생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를 보관하거나 폐기하기 위해서는 스파이크를 빼낸 후에 별도의 집게나 클램프(Clamp)를 사용하여 인출관 입구를 막아주어야 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출관 및 주입관이 한몸으로 사출성형된 수액백용 실링부재에 있어서, 상기 인출관에 고무전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서 사용이 편리하고, 동시에 상기 인출관에서 스파이크를 빼낸 이후에도 백 내부에 남아있던 잔류 약물이 흘러나오지 않도록 상기 인출관을 막아주는 마개봉이 별도로 구비된 수액백용 실링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양측에 실링경사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를 관통하면서 그 상부로 돌출되는 인출관 및 주입관으로 이루어지는 의료용 플라스틱 백의 실링부재에 있어서, 상기 인출관은 관체 중간부위를 막고 있는 차단막과, 상기 차단막의 상부에서 관체 상단을 향해 이중관 구조를 형성하도록 돌출된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가 시작되는 지점의 관체 바깥둘레에 함몰된 절단홈과, 관체 상단을 양쪽에서 압착하여 형성시킨 압착밀봉부로 구성되고, 상기 주입관은 관체 상단부위를 막고 있는 차단막과, 상기 차단막의 상부에서 관체 내부에 삽입된 고무전과, 관체 상단에서 상기 고무전를 지지하며 상면에 고무전노출공이 형성된 고정캡과, 상기 고무전노출공의 테두리 부위에서 절단부를 통해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인출관마개봉으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의 상면에는 상기 인출관마개봉을 꽂아 보관할수 있는 마개봉 보관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플라스틱 백의 실링부재는 배액용 스파이크(Spike)를 삽입하는 인출관에 고무전 대신 스파이크를 붙잡아 주는 슬리브(Sleeve)가 형성되어 있어서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플라스틱 백의 실링부재는 상기 인출관을 막아주는 마개봉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어서 인출관에서 스파이크를 빼낸 이후에도 백 내부에 남아있던 잔류 약물이 흘러나오지 않도록 편리하게 막아줄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사전적 의미로만 사용된 것이 아니므로, 본 고안의 목적과 기술적 사상을 가장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도록 특별히 정의된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플라스틱 백의 실링부재는 도 1과 같이 몸체(10)와, 이 몸체(10)를 관통하면서 몸체(10) 상단으로 돌출되는 인출관(20)과 주입관(30), 그리고 상기 주입관(30) 상단에 설치된 인출관 마개봉(36) 및 상기 몸체(10) 상면에 구비되는 마개봉 보관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는 통상적인 실링부재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백(도시하지 않음) 상단에 열융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몸체(10)의 형상은 도 1과 같이 3층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양측에는 실링경사부(11)와 날개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링경사부(11)와 날개부(12)는 실링부재의 몸체(10)와 백 사이를 구조적으로 밀착시켜서 누액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인출관(20)은 장차 배액용 스파이크(Spike)를 삽입하여 백 내부의 약물을 환자에게 전달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도 2와 같이 관체 중간부위를 막고 있는 차단막(2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차단막(21)의 상부에서 관체 상단을 향해 이중관 구조를 형성하는 슬리브(22)가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22)가 시작되는 지점의 관체 바깥둘레에는 절단홈(23)이 함몰되어 있고, 관체 상단에 는 관체를 양쪽에서 압착하여 형성시킨 압착밀봉부(24)가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인출관(20)은 평소 상기 차단막(21)과 압착밀봉부(24)에 의해 이중으로 차단되어 있다가 상기 압착밀봉부(24)를 잡고 관체 상단을 비틀어 주거나 꺽어주면 도 3과 같이 상기 절단홈(23) 부위가 절단되면서 슬리브(22)가 노출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슬리브(22) 속으로 스파이크를 삽입하면, 상기 차단막(21)이 파열되면서 백 내부의 약물이 스파이크를 통해 배액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슬리브(22)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아서 스파이크를 삽입하면 그 직경이 약간 확대되면서 스파이크의 외면에 밀착되어 스파이크가 저절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단단히 붙잡아 주며, 동시에 누액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압착밀봉부(24)는 관체 상단을 양쪽에서 압착하면서 열융착 시킨 1 자형 구조로서, 그 제조공정이 간편하고, 특히 상기 절단홈(23) 부위를 절단할 때 손잡이로 사용하기에 편리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주입관(30)은 장차 주사기를 삽입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도 2와 같이 관체 상단부위에는 차단막(31)이 설치되고, 상기 차단막(31)의 상부에는 관체 내부에 고무전(32)이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고무전(32)은 고정캡(34)에 의해서 관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된다. 이때, 상기 고정캡(34)의 상면에는 고무전노출공(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무전노출공(33)의 안쪽 테두리 부위에는 절단부(35)를 통해 인출관마개봉(36)이 분리가능 하게 연결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고정캡(34)과 인출관마개봉(36)은 한몸으로 사출성형되며, 상기 고정캡(34)과 인출관마개봉(36) 사이에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절단부(35) 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출관마개봉(36)의 상단에는 손잡이부(37)가 구비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손잡이부(37)를 잡고 인출관마개봉(36)을 비틀거나 꺽어 주면, 상기 절단부(35)가 파열되면서 상기 고정캡(34)과 인출관마개봉(36)이 분리되고, 상기 고정캡(34)의 상단에는 주사기를 삽입할 수 있는 고무전노출공(33)이 노출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인출관마개봉(36)은 평소 고무전노출공(33)이 오염되지 않도록 보호하고 있다가 고정캡(34)에서 분리된 다음에는 장차 상기 인출관(20)을 막아주 는용도로 사용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입관(30)의 차단막(31) 중앙부위에는 도 2와 같이 하향 돌출된 호상(弧狀)돌부(38)가 설치된다. 상기 호상돌부(38)는 상기 고무전(32)에서 주사기를 찌른 자리를 통해 약물이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만일 상기 차단막(31)과 고무전(32)이 서로 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주사기를 빼낸 다음, 백에 약간의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차단막(31)과 고무전(32)을 관통하는 주사자국을 통해 액물이 밖으로 스며나오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그러나, 상기 호상돌부(38)는 차단막(31)과 고무전(32)을 이격시켜서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몸체(10) 상면에는 인출관마개봉(36)을 꽂아 보관할수 있는 마개봉 보관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마개봉 보관수단의 위치나 구조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2와 같이 인출관(20)과 주입관(30) 사이에 설치되고, 그 구조는 상기 몸체(10) 속으로 함몰되면서 그 가장자리에는 몸체(10) 위로 돌출된 플렌지부(41)가 형성된 삽입홈(40)의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마개봉 보관수단이 상기 몸체(10) 상면에 돌출되어 인출관마개봉(36) 속으로 삽입되는 돌기(도시하지 않음)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캡(34)에서 분리된 인출관마개봉(36)은 도 3과 같이 상기 마개봉 보관수단에 꽂아 보관하고 있다가, 배액이 끝난 이후에는 인출관(20)을 차단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즉, 상기 인출관(20)에서 스파이크를 빼낸 다음에는 도 4와 같이 상기 인출관(20)의 슬리브(22) 내부에 상기 인출관마개봉(36)을 꽂아 백 내부에 남아 있는 잔류 약물이 흘러나오지 않도록 인출관(20)을 차단한다. 따라서 상기 인출관마개봉(36)의 외경은 상기 슬리브(22)의 내경과 동일하게 하되, 밑부분으로 갈수록 외경이 약간 축소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수액백용 실링부재는 서로 분리된 3개의 부품이 조립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몸체(10)와 인출관(20) 및 주입관(30)을 구성하는 관체가 한몸으로 형성되고, 상기 주입관(30)에 설치되는 고정캡(34)과 인출관마개봉(36)이 다른 한몸으로 형성되며, 상기 주입관(30)에 설치되는 고무전(32)이 따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무전(32)을 제외한 첫번째 및 두번째 부품은 넌- 피브씨(Non-PVC) 재질, 바람직하기로는 밀도가 0.85 내지 0.91 g/㎤, 경도가 SHORE A 60 내지 SHORE D 50 인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으로 사출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실링부재는 먼저 세변이 밀봉된 플라스틱 백을 제조하고, 상 기 백의 개방된 일변을 통해 약물을 주입한 다음, 여기에 완성된 실링부재를 설치하여 백을 밀봉하는 소위 '선주입 후밀봉' 공정에 매우 적합하다.
종래에는 소위 '선밀봉 후주입' 공정, 즉 세변이 밀봉된 플라스틱 백에 먼저 미완성 실링부재, 즉 인출관(20)이나 주입관(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개방되어 있는 실링부재를 설치하여 백을 밀봉하고, 상기 개방된 관체를 통해 백 내부에 약물을 주입한 다음, 상기 관체 상단을 밀봉하는 공정으로 의료용 백을 제조해 왔다.
상기 '선주입 후밀봉' 공정은 '선밀봉 후주입' 공정에 비해 직경이 훨씬 큰 약물 주입노즐을 사용할 수 있기 백에 약물을 주입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50% 이상 대폭 단축하여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링부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링부재에 대한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실링부재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몸체 11: 실링경사부
20: 인출관 21: 차단막
22: 슬리브 23: 절단홈
24: 압착밀봉부 30: 주입관
31: 차단막 32: 고무전
33: 고무전노출공 34: 고정캡
35: 절단부 36: 인출관마개봉
37: 손잡이 38: 호상(弧狀)돌부
40: 삽입홈 41: 플렌지부

Claims (3)

  1. 양측에 실링경사부(11)가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를 관통하면서 그 상부로 돌출되는 인출관(20) 및 주입관(30)으로 이루어지는 의료용 플라스틱 백의 실링부재에 있어서,
    상기 인출관(20)은 관체 중간부위를 막고 있는 차단막(21)과, 상기 차단막(21)의 상부에서 관체 상단을 향해 이중관 구조를 형성하도록 돌출된 슬리브(22)와, 상기 슬리브(22)가 시작되는 지점의 관체 바깥둘레에 함몰된 절단홈(23)과, 관체 상단을 양쪽에서 압착하여 형성시킨 압착밀봉부(24)로 구성되고,
    상기 주입관(30)은 관체 상단부위를 막고 있는 차단막(31)과, 상기 차단막(31)의 상부에서 관체 내부에 삽입된 고무전(32)과, 관체 상단에서 상기 고무전(32)를 지지하며 상면에 고무전노출공(33)이 형성된 고정캡(34)과, 상기 고무전노출공(33)의 테두리 부위에서 절단부(35)를 통해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인출관마개봉(36)으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10)의 상면에는 상기 인출관마개봉(36)을 꽂아 보관할수 있는 마개봉 보관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플라스틱 백의 실링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30)의 차단막(31) 중앙부위에는 하향 돌출된 호상(弧狀)돌부(3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플라스틱 백의 실링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봉 보관수단은 인출관(20)과 주입관(30) 사이에 몸체(10) 속으로 함몰되고, 그 가장자리에는 몸체(10) 위로 돌출된 플렌지부(41)가 형성된 삽입홈(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플라스틱 백의 실링부재.
KR2020090000239U 2009-01-08 2009-01-08 의료용 플라스틱 백의 실링부재 KR2004446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239U KR200444613Y1 (ko) 2009-01-08 2009-01-08 의료용 플라스틱 백의 실링부재
CN2009101779695A CN101773449B (zh) 2009-01-08 2009-10-23 医用塑胶袋的密封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239U KR200444613Y1 (ko) 2009-01-08 2009-01-08 의료용 플라스틱 백의 실링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4613Y1 true KR200444613Y1 (ko) 2009-05-26

Family

ID=41348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0239U KR200444613Y1 (ko) 2009-01-08 2009-01-08 의료용 플라스틱 백의 실링부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44613Y1 (ko)
CN (1) CN1017734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51367A1 (en) * 2019-12-12 2022-09-07 Fresenius Medical Care Holdings, Inc. An injection port for connecting with a medical fluid container and methods for the production of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738811Y (zh) * 2004-06-28 2005-11-09 孔庆楠 输液专用帽
CN2889281Y (zh) * 2006-04-14 2007-04-18 湖南千山制药机械股份有限公司 大输液软袋用带有保护套的混药嘴的硬接口
CN201147486Y (zh) * 2007-11-23 2008-11-12 四川科伦药业股份有限公司 双管与内空船式单室输液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73449A (zh) 2010-07-14
CN101773449B (zh) 201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210586B2 (en)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a first reservoir to a second reservoir
AU2009248474A1 (en) Port closure system for intravenous fluid container
US20080262466A1 (en) Storage container
KR200443795Y1 (ko) 넌 피브이씨 재질의 수액백용 포트
US20020107500A1 (en) Infusion container
KR200444613Y1 (ko) 의료용 플라스틱 백의 실링부재
US20130174937A1 (en) Puncture Free Bottle Cork and the Application Thereof
KR200452452Y1 (ko) 보조마개가 구비된 수액백용 배액포트
KR200450980Y1 (ko) 폴리올레핀계 넌-피브이씨 재질의 수액백용 실링부재
JP2002172166A (ja)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KR200443796Y1 (ko) 넌 피브이씨 재질의 수액백용 포트
KR20170001921U (ko) 수액백용 배액포트
KR200429645Y1 (ko) 수액백용 포트
KR102403142B1 (ko) 수액 백용 포트
KR101968150B1 (ko) 위생적인 마개와 삼방밸브로 구성된 수액배출장치를 갖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 수액병 복합체
KR102003431B1 (ko) 위생적인 마개와 삼방밸브로 구성된 수액배출부를 갖는 수액팩 복합체
KR100900274B1 (ko) 약액 투입용 연결팁과 수액 인출용 연결팁 및 이들을 갖는수액 용기 세트
EP4082600A1 (en) Valve, method of manufacturing a valve, cap for a fluid container comprising such valve, fluid container containing such ca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cap
KR200444892Y1 (ko) 수액백용 포트
JP5615688B2 (ja) 液体注入部品及び医療用具
JP2010214003A (ja) 液体収容容器
CN217645552U (zh) 一种医用药瓶留置接头
KR20190001115U (ko) 주름통 구조의 수액용기
CN202802179U (zh) 医疗用塑胶袋的双重接口
KR100984283B1 (ko) 약액주입관이 수액 인출부에 일체로 형성된 수액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