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3400B1 - 수액백용 포트 - Google Patents

수액백용 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3400B1
KR101063400B1 KR1020100109917A KR20100109917A KR101063400B1 KR 101063400 B1 KR101063400 B1 KR 101063400B1 KR 1020100109917 A KR1020100109917 A KR 1020100109917A KR 20100109917 A KR20100109917 A KR 20100109917A KR 101063400 B1 KR101063400 B1 KR 101063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ylindrical
sap
cylindrical head
hea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9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돈
Original Assignee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9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34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3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3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06Septums, pierceable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75Inlet or outlet ports
    • A61J1/1481Inlet or outlet ports with connection retaining means, e.g. thread or snap-fi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액백용 포트에 관한 것으로, 직경이 작은 상부 소관(21)과 직경이 상기 상부소관(21) 보다 큰 하부 대관(22)이 일체로 연결되어 그들이 만나는 부분에는 턱이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상부소관(21)의 외주면(外周面)이 수액백 본체(10)의 연결관(10a)에 끼워져 밀봉되어 수액백 본체(10) 내부의 수액을 인출하는 주입관(20)과; 그 원주면이 등분되도록 하는 다수의 슬릿(311)이 형성된 원기둥 머리부(31)와, 상기 원기둥 머리부(31)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주입관(20)의 상부 소관(21)에 끼워지는 원통형 중간부(32)와, 상기 원통형 중간부(32)에서 일체로 연장되는 원통형 하부(33) 및 상기 원통형 하부(33)의 단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부 플랜지(34) 및 상기 원통형 중간부(32)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턱(32a)으로 구성되는 삽입관(30)과; 상기 주입관(20)의 하단에 단턱지게 형성된 하부대관(22)에 끼워져 결합되고, 수액백 본체(10)의 연결관(10a)에 끼워져 밀봉되어 수액백 본체(10) 내부의 수액이 누출되지 못하도록 하는 결합캡(40)으로 구성되어 스파이크가 삽입되는 삽입관의 원기둥 머리부에 다수의 슬릿을 형성하여 스파이크의 삽입시에 전진하면서 원기둥 머리부가 벌어짐으로써 슬릿 사이로 수액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어 수액백 내부의 수액이 슬릿을 통해 수액셋트로 유입되더라도 인체에 유입될 우려가 있는 파편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액백용 포트{port for medical plastic bags}
본 발명은 수액백용 포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사기나 스파이크 삽입시 기밀부재(고무)의 고무파편이나 이 물질등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삽입된 스파이크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수액백용 포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를 치료하거나 수술행위를 하는 병원 등에서 사용하는 생리식염액, 포도당 등의 수액은 일정형 태를 가지고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져 파손될 염려가 없고 사용, 폐기가 용이한 플레시블한 재질의 수액백에 보관되어 병원에 공급된다.
병원에서 사용시에 수액백의 내부 약물을 인출할 수 있도록 수액용 포트가 끼워져 사용된다. 종래의 수액용 포트는 주입관의 중간에 차단막을 형성하거나 고무마개를 설치하여 밀봉하게 되는데, 스파이크를 삽입하여 차단막이나 고무마개를 뚫어서 내부수액을 관을 통해 환자에게 공급하게 된다.
이때, 차단막이나 고무마개의 파편이 내부수액에 혼합되어 내부수액과 함께 환자의 체내로 유입될 위험성이 있었다. 차단막을 사용하는 종래기술의 대표적인 예가 등록실용신안 20-0440084호에 개시된다.
도 1에 종래의 기술에 의한 수액백 포트의 분해단면도가 도시된다.
수액병이나 수액백에 실링되거나 튜브에 몸체(1)가 구비되고, 이 몸체(1)의 상부에 뚜껑(2)이 결합되고, 이 뚜껑(2)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립캡(3)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는 수액병이나 수액백에 실링되거나 튜브에 결합되는 주입관(1a)이 형성되고, 이 주입관(1a)에 일체로 성형되는 캡하우징(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입관(1a)은 상부에 차단막(5)이 형성되고, 하부는 수액병이나 수액백의 내부에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차단막(5)은 스파이크(S)의 꼽혀지는 과정에서 이물질 등의 유입을 차단함과 아울러 스파이크(S)를 견고하게 고정하거나 기밀성을 유지하여 누수(LEAK)방지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주입관(1a)의 상부에 막혀진 상태로 차단막(5)이 형성되어, 수액병이나 수액백 사용전에 수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종래의 수액백 포트는 고무마개나 차단막을 사용하여 주사기나 스파이크 삽입시에 고무마개나 차단막의 파편이 발생하여 인체에 주입될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파이크의 삽입시에 고무파편이나 차단막의 파편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수액백용 포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이 간편하고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폐기가 간편한 합성수지제 수액백에 사용할 수 있는 수액백용 포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직경이 작은 상부 소관과 직경이 상기 상부소관 보다 큰 하부 대관이 일체로 연결되어 그들이 만나는 부분에는 턱이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상부소관의 외주면(外周面)이 수액백 본체의 연결관에 끼워져 밀봉되어 수액백 본체 내부의 수액을 인출하는 주입관과; 그 원주면이 등분되도록 하는 다수의 슬릿(이 형성된 원기둥 머리부와, 상기 원기둥 머리부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주입관의 상부 소관에 끼워지는 원통형 중간부와, 상기 원통형 중간부에서 일체로 연장되는 원통형 하부 및 상기 원통형 하부의 단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부 플랜지 및 상기 원통형 중간부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턱으로 구성되는 삽입관과; 상기 주입관의 하단에 단턱지게 형성된 하부대관에 끼워져 결합되고, 수액백 본체의 연결관에 끼워져 밀봉되어 수액백 본체 내부의 수액이 누출되지 못하도록 하는 결합캡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삽입관의 원기둥 머리부는 3개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릿은 원기둥 머리부를 3개의 부채꼴 절개부로 나누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주입관의 상부소관의 내부는 상부의 직경 d1이 하부의 직경 d2보다 크게 형성되어 기밀턱이 형성되어 삽입관의 원기둥 머리부가 끼워져 있게 되고, 원기둥 머리부의 3개의 절개부가 서로 밀착되어 수액이 누출되지 못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파이크가 삽입되는 삽입관의 원기둥 머리부에 다수의 슬릿을 형성하여 스파이크의 삽입시에 전진하면서 원기둥 머리부가 파편의 발생없이 벌어짐으로써 슬릿 사이로 수액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어 수액백 내부의 수액이 슬릿을 통해 수액셋트로 유입되더라도 인체에 유입될 우려가 있는 파편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수액백 포트의 분해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수액백 포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a와 도3b는 본 발명에 의한 수액백용 포트가 조립되어 수액백에 결합되기 전과 결합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삽입관에 형성된 슬릿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액백용 포트를 도 3b의 B-B'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수액백용 포트에 스파이크를 삽입할 때 삽입관의 슬릿이 벌어져서 수액이 흐르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수액백 포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수액백 포트는 직경이 작은 상부 소관(21)과 직경이 상기 상부소관(21) 보다 큰 하부 대관(22)이 일체로 연결되어 그들이 만나는 부분에는 턱이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상부소관(21)의 외주면(外周面)이 수액백 본체(10)의 연결관(10a)에 끼워져 밀봉되어 수액백 본체(10) 내부의 수액을 인출하는 주입관(20)과;
그 원추면이 등분되도록 하는 다수의 슬릿(311)이 형성된 원기둥 머리부(31)와, 상기 원기둥 머리부(31)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주입관(20)의 상부 소관(21)에 끼워지는 원통형 중간부(32)와, 상기 원통형 중간부(32)에서 일체로 연장되는 원통형 하부(33) 및 상기 원통형 하부(33)의 단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부 플랜지(34) 및 상기 원통형 중간부(32)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턱(32a)으로 구성되는 삽입관(30)과;
상기 주입관(20)의 하단에 단턱지게 형성된 하부대관(22)에 끼워져 결합되고, 수액백 본체(10)의 연결관(10a)에 끼워져 밀봉되어 수액백 본체(10) 내부의 수액이 누출되지 못하도록 하는 결합캡(40)으로 구성된다.
주입관(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액백 본체(10)의 연결관(10a)에 삽입되는 상부 소관(21)과 상기 상부 소관(21)보다 직경이 커져서 단턱지도록 형성되는 하부대관(22)으로 구성된다. 상부소관(21)의 내부는 상부의 직경 d1이 하부의 직경 d2보다 크게 형성되어 기밀턱(21a)이 형성된다.
삽입관(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원기둥에 다수의 슬릿(311)이 형성된 원기둥 머리부(31)와, 상기 원기둥 머리부(31)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주입관(20)의 상부 소관(21)에 끼워지는 원통형 몸체부(32)와, 상기 원통형 몸체부(32)의 하단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부 플랜지(34) 및 상기 원통형 중간부(32)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턱(32a)으로 구성된다.
결합캡(40)은 상기 주입관(20)의 하부대관(22)의 외주면에 그 내면이 끼워져 기밀을 유지하도록 결합되고, 그 내부 바닥의 중심에 상기 삽입관(30)의 원통형 하부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는 돌출링(41)이 형성되어 상기 주입관에 끼워졌을 때 상기 삽입관(30)의 하부 플랜지(34)를 받쳐주도록 되어 있다.
도 3a와 도3b에 본 발명에 의한 수액백용 포트가 조립되어 수액백에 결합되기 전과 결합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삽입관에 형성된 슬릿의 확대도 "A"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액백용 포트(100)는 그 주입관(20)의 외부면이 수액백 본체(10)의 결합관(10a)에 끼워져 결합되고, 삽입관(30)이 상기 주입관(20)을 통해 수액백 본체(10)의 결합관(10a)에 끼워져 돌출되어 수액백(10)의 내부에 저장된 수액에 잠겨 있게 된다.
상기 주입관(20)의 상부소관(21)과 하부대관(22)의 외주면(外周面)이 결합관(10a)의 내주면(內周面)에 결합되어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수액백(10)의 내부에 저장된 수액은 주입관(20)의 내부를 통하지 않고는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다.
삽입관(30)의 원기둥 머리부(31)는 3개의 슬릿(3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릿(311)은 원기둥 머리부(31)를 3개의 부채꼴 절개부(31a, 31b, 31c)로 나누어지게 한다.
상기 원기둥 머리부(31)를 3개의 부채꼴 절개부(31a, 31b, 31c)가 주입관(20)의 상부소관(21)에 끼워져 있는 경우 상기 3개의 절개부(31a, 31b, 31c)들은 서로 밀착되고 또한 상부소관(21)의 내주면(內周面) 상부에 형성된 기밀턱(21a)에 끼워져 주입관(20)의 상부소관(21)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슬릿(311)을 통해 수액백 본체(10)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수액이 누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수액백을 사용하지 않는 평상시에는 수액백 본체(10)의 내부에 저장된 수액은 수액백 포트(100)에 의해 막혀서 저장상태를 유지하고, 주입관(20)의 하부 대관(22)의 외부면에는 결합캡(40)이 끼워져 제조후 유통경로를 통해 운반시에 외부의 불결한 오염원으로부터 주입관(20)이 접촉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에 본 발명에 의한 수액백용 포트를 도 3b의 B-B'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관(20)은 상부 소관(21)과 하부 대관(22)이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부 소관(21)의 직경은 작고 하부 대관(22)의 직경은 크므로 상부 소관(21)과 하부 대관(22)이 만나는 부분에는 걸림턱(22a)이 형성되어져 있다.
주입관(20)의 상부소관(21)의 내부는 상부의 직경 d1이 하부의 직경 d2보다 크게 형성되어 기밀턱(21a)이 형성되어 주입관(20)과 삽입간(30)의 조립시에 삽입관(30)의 원기둥 머리부(31)가 끼워져 있게 되고, 원기둥 머리부(31)의 3개의 절개부(31a, 31b, 31c)가 서로 밀착되어 수액이 누출되지 못하도록 한다.
상부 소관(21)의 외부면은 수액백 본체(10)의 연결관(10a)에 끼워져 밀착됨으로써 수액백 본체(10)의 수액은 주입관(20)의 외부와 연결관(10a) 사이로 누출되지 않고 주입관(20)을 통해서 인출되도록 되어 있다.
직경이 작은 상부 소관(21)의 내부로 삽입관(30)이 끼워질 때 주입관(20)의 걸림턱(22a)이 삽입관(30)의 하부 플랜지(34)에 걸려서 더 이상 주입관(20)의 내부로 삽입되지 못하게 된다.
즉 삽입관(30)의 하부 플랜지(34)는 주입관(20)의 상부 소관(21)의 직경보다 크고 하부 대관(22)보다 작아서 하부대관(22)에는 삽입되지만 상부소관(21)에는 삽입되지 못하고 걸려있게 됨으로써 삽입관(30)이 주입관(20)을 통과해서 수액백 본체(1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삽입관(30)은 도 3a의 확대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원기둥 머리부(31)는 3개의 슬릿(311)에 의해 3개의 부채꼴 절개부(31a, 31b, 31c)로 나누어지고, 도 3a의 확대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관(30)의 원기둥 머리부(31)가 주입관(20)의 상부소관(21)에 끼워져 조립되어 있을 때는 3개의 부채꼴 절개부(31a, 31b, 31c)는 서로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므로 수액백(10)의 수액은 슬릿(311)을 통해 누설되지 않는다.
도 4에 본 발명에 의한 수액백용 포트를 도 3a의 B-B'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가 도시된다.
상기 원기둥 머리부(31)에서 일체로 연장되는 원통형 중간부(32)는 속이 비어 있으며, 주입관(20)의 상부 소관(21)의 내부에 삽입되고, 수액 셋트(예를 들면, 스파이크 등)가 삽입될 때 수액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원통형 중간부(32)에서 일체로 연장되는 원통형 하부(33)도 속이 비어서 수액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원통형 하부(33)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부 플랜지(34)는 수액셋트 삽입시 삽입관(30)이 주입관(20)의 속으로 밀려 들어가서 수액백(10)으로 빠져 버리는 것을 방지한다.
도 5에 본 발명에 의한 수액백용 포트에 스파이크를 삽입할 때 삽입관의 슬릿이 벌어져서 수액이 흐르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된다.
삽입관(30)의 원통형 중간부(32)와 원통형 하부(33)는 속이 비어 있는 중공형태이며, 스파이크(S)가 상기 삽입관(30)의 밑면 중공부(M)에 끼워져 전진하면서 삽입될 때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관(30)도 함께 전진하게 되어 그 돌출턱(32a)이 기밀턱(21a)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이때, 삽입관(30)의 원기둥 머리부(31)를 형성하는 3개의 부채꼴 절개부(31a, 31b, 31c)가 벌어지게 되어 수액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즉 삽입관(30)의 원통형 중간부(32)에 스파이크(S)가 삽입되면 원통형 중간부(32)는 기밀턱(21a)에 눌리게 되고, 원기둥 머리부(31)는 기밀턱(21a)의 눌림으로부터 벗어나서 3개의 부채꼴 절개부(31a, 31b, 31c)가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스파이크(S)의 삽입 전에는 주입관(20)의 상부소관(21)의 기밀턱(21a)에 끼여서 서로 밀착되어 있던 원기둥 머리부(31)를 형성하는 3개의 부채꼴 절개부(31a, 31b, 31c)은 스파이크(S)의 삽입 후에는 원통형 중간부(32)가 기밀턱(21a)에 눌림에 반하여 삽입관(30)의 돌출턱(32a)과 원기둥 머리부(31)는 기밀턱(21a)의 눌림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그에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머리부(31)가 부착되어 있는 원통형 중간부(32)는 걸림턱(21a)으로 눌려지지만 원기둥 머리부(31)는 걸림턱(21a)의 눌림으로부터 벗어나서 자유롭게 되므로 3개의 부채꼴 절개부(31a, 31b, 31c)가 서로 밀착되지 못하고 바깥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렇게 벌어진 3개의 부채꼴 절개부(31a, 31b, 31c) 사이의 슬릿(311)으로 수액이 통과하고 상기 슬릿(311)을 통과한 수액이 스파이크(S)를 통해 수액셋트로 유입되어 환자에게 주입된다.
이때 원기둥 머리부(31)를 형성하는 3개의 부채꼴 절개부(31a, 31b, 31c)는 제조시에 어떠한 파편도 발생되지 않게 서로 분리되어 제조되므로 차단막의 파단에 의한 파편이나 고무부재에 스파이크나 주사기 바늘이 삽입시에 발생하는 파편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전술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수액백용 포트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수액백 본체 10a: 연결관
20 : 주입관 21 : 상부소관
21a : 기밀턱 22 : 하부대관
30 : 삽입관 31 : 원기둥 머리부
31a, 31b, 31c : 부채꼴 절개부 311 : 슬릿
32 : 원통형 중간부 32a :돌출턱
33 : 원통형 하부 34 : 플랜지
40: 결합캡 41: 돌출링
100: 수액백 포트 M: 중공부
S: 스파이크

Claims (3)

  1. 직경이 수액백 본체(10)의 연결관(10a)에 끼워지도록 작은 상부 소관(21)과 직경이 상기 상부소관(21) 보다 큰 하부 대관(22)이 일체로 연결되어 그들이 만나는 부분에는 턱이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상부소관(21)의 외주면(外周面)이 수액백 본체(10)의 연결관(10a)에 끼워져 밀봉되어 수액백 본체(10) 내부의 수액을 인출하는 주입관(20)과;
    그 원주면이 등분되도록 하는 다수의 슬릿(311)이 형성된 원기둥 머리부(31)와, 상기 원기둥 머리부(31)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주입관(20)의 상부 소관(21)에 끼워지는 원통형 중간부(32)와, 상기 원통형 중간부(32)에서 일체로 연장되는 원통형 하부(33) 및 상기 원통형 하부(33)의 단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부 플랜지(34) 및 상기 원통형 중간부(32)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턱(32a)으로 구성되는 삽입관(30)과;
    상기 주입관(20)의 하단에 단턱지게 형성된 하부대관(22)에 끼워져 결합되고, 수액백 본체(10)의 연결관(10a)에 끼워져 밀봉되어 수액백 본체(10) 내부의 수액이 누출되지 못하도록 하는 결합캡(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 포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30)의 원기둥 머리부(31)는 3개의 슬릿(3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릿(311)은 원기둥 머리부(31)를 3개의 부채꼴 절개부(31a, 31b, 31c)로 나누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 포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20)의 상부소관(21)의 내부는 상부의 직경 d1이 하부의 직경 d2보다 크게 형성되어 기밀턱(21a)이 형성되어 조립시에 삽입관(30)의 원기둥 머리부(31)가 끼워져 있게 되고, 원기둥 머리부(31)의 3개의 절개부(31a, 31b, 31c)가 서로 밀착되어 수액이 누출되지 못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 포트.

KR1020100109917A 2010-11-05 2010-11-05 수액백용 포트 KR101063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917A KR101063400B1 (ko) 2010-11-05 2010-11-05 수액백용 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917A KR101063400B1 (ko) 2010-11-05 2010-11-05 수액백용 포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3400B1 true KR101063400B1 (ko) 2011-09-07

Family

ID=44957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9917A KR101063400B1 (ko) 2010-11-05 2010-11-05 수액백용 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34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817Y1 (ko) * 2020-05-14 2020-12-15 윤응준 수액백용 스파이크 포트
KR102271658B1 (ko) 2020-07-06 2021-07-08 (주)에이디켐테크 수액백용 포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765B1 (ko) 2006-10-31 2008-02-15 주식회사 대한화성 수액백 포트 및 수액백 포트 제조방법
KR200444254Y1 (ko) 2007-10-25 2009-04-22 용 기 강 피막을 구비한 수액팩용 밀봉캡
KR100900274B1 (ko) 2007-10-31 2009-05-29 주식회사 중외 약액 투입용 연결팁과 수액 인출용 연결팁 및 이들을 갖는수액 용기 세트
KR200444892Y1 (ko) 2007-12-11 2009-06-12 (주)메디탑 수액백용 포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765B1 (ko) 2006-10-31 2008-02-15 주식회사 대한화성 수액백 포트 및 수액백 포트 제조방법
KR200444254Y1 (ko) 2007-10-25 2009-04-22 용 기 강 피막을 구비한 수액팩용 밀봉캡
KR100900274B1 (ko) 2007-10-31 2009-05-29 주식회사 중외 약액 투입용 연결팁과 수액 인출용 연결팁 및 이들을 갖는수액 용기 세트
KR200444892Y1 (ko) 2007-12-11 2009-06-12 (주)메디탑 수액백용 포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817Y1 (ko) * 2020-05-14 2020-12-15 윤응준 수액백용 스파이크 포트
WO2021230440A1 (ko) * 2020-05-14 2021-11-18 윤응준 수액백용 스파이크 포트
KR102271658B1 (ko) 2020-07-06 2021-07-08 (주)에이디켐테크 수액백용 포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71369B2 (ja) 流体の閉鎖移送のためのシステム
ES2380911T3 (es) Conector médico que tiene características de alto flujo
US20220226630A1 (en) Flexible Cap for Conical Connectors
JPWO2018056465A1 (ja) オスコネクタ、医療器具及び接続方法
JP2011025066A (ja) 自動密閉式雄コネクタ
JPH11197254A (ja) 医療用混注ポート
JP2007222472A (ja) 薬剤微量投与具セット
JP2018515264A (ja) 注射器用フィルター構造体およびこれを具備した注射器
JP7001838B2 (ja) デュアルルーメンivスパイク付き液体移送装置
WO2016117544A1 (ja) 医療用採液チップ、採液ノズル、及び注入器セット
KR101891787B1 (ko) 필터 주사기
US20200046959A1 (en) Medical connector
KR101063400B1 (ko) 수액백용 포트
JPWO2018174265A1 (ja) 医療用コネクタ
JP6591065B2 (ja) フィルター注射器
KR20170045609A (ko) 의료용 수액세트의 접속구
JP4156790B2 (ja)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用注射器および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KR200443796Y1 (ko) 넌 피브이씨 재질의 수액백용 포트
JP2023118849A (ja) バイアルアダプタ
KR20110003950A (ko) 약화사고 방지를 위한 주사액 혼합용 안전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수액 키트
KR200452452Y1 (ko) 보조마개가 구비된 수액백용 배액포트
KR101815632B1 (ko) 약액 주입용 여과기
KR200382163Y1 (ko) 주사기 및 주사침 폐기용기
KR20180037875A (ko) 루어록 접속구조를 갖는 의료용 배액 유니트
JP2004016772A (ja)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用注射器および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