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7515U - 유체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유체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7515U
KR20100007515U KR2020090000531U KR20090000531U KR20100007515U KR 20100007515 U KR20100007515 U KR 20100007515U KR 2020090000531 U KR2020090000531 U KR 2020090000531U KR 20090000531 U KR20090000531 U KR 20090000531U KR 20100007515 U KR20100007515 U KR 201000075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cover
locking jaw
spring
connect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05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옥남
Original Assignee
(주)언일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언일전자 filed Critical (주)언일전자
Priority to KR20200900005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7515U/ko
Publication of KR201000075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51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 F16L37/3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at least one of two lift valves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 F16L37/3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at least one of two lift valves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at least one of the valves having an axial bo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유체 연결 장치가 개시된다. 내주에 제1 걸림턱이 형성된 제1 연결관, 제1 연결관 내부에 설치되어 제1 걸림턱 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스프링, 제1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제1 걸림턱을 커버하도록 제1 스프링에 결합되어, 제1 연결관을 밀폐시키는 제1 개폐 커버, 제1 개폐 커버를 제1 걸림턱과 이격시키는 하중을 제공하도록 제1 연결관과 연통되어, 제1 연결관을 개방시키는 연통부, 및 제1 개폐 커버에 형성되어, 제1 개폐 커버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제1 걸림턱의 내주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1 돌출 가이드를 포함하는 유체 연결 장치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개폐 커버와 걸림턱 간의 편심을 방지할 수 있어, 유체의 연결을 차단할 시, 개폐 커버가 걸림턱을 정밀하게 커버할 수 있으므로, 연결관을 보다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유체, 연결, 돌출 가이드

Description

유체 연결 장치{Fluid connector}
본 고안은 유체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호스(hose) 등을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 장치를 사용한다. 이러한 연결 장치는, 일측에 호스가 연결되는 본체관, 본체관 내부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며 외력의 작용에 의해 본체관의 타측을 개폐하는 커버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연결 장치의 경우, 커버는 단순히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외력에 의해 커버가 밀려 본체관이 개방되어 호스를 통해 유체가 이송된 후, 외력을 제거하고 탄성력에 의해 다시 본체관이 커버에 의하여 폐쇄될 시, 본체관과 커버 간에 편심이 발생하여 서로 어긋나게 되어, 호스 내의 유체가 본체관과 커버 사이를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개폐 커버와, 연결관의 걸림턱 간의 편심을 방지하여, 유체의 차단 시 연결관을 보다 효과적으로 밀폐하는 유체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주에 제1 걸림턱이 형성된 제1 연결관, 제1 연결관 내부에 설치되어 제1 걸림턱 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스프링, 제1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제1 걸림턱을 커버하도록 제1 스프링에 결합되어, 제1 연결관을 밀폐시키는 제1 개폐 커버, 제1 개폐 커버를 제1 걸림턱과 이격시키는 하중을 제공하도록 제1 연결관과 연통되어, 제1 연결관을 개방시키는 연통부, 및 제1 개폐 커버에 형성되어, 제1 개폐 커버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제1 걸림턱의 내주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1 돌출 가이드를 포함하는 유체 연결 장치가 제공된다.
이 때, 제1 돌출 가이드의 외주는, 제1 걸림턱 내주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 가이드는, 테이퍼(taper) 형상으로 단부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걸림턱은, 제1 돌출 가이드를 제1 걸림턱의 내주로 가이드하도록, 제1 스프링의 탄성력 제공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개폐 커버 및 제1 걸림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개스킷(gaske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통부는, 내주에 제2 걸림턱이 형성되며, 단부가 제1 연결관의 단부에 삽입되어 제1 연결관과 연통되는 제2 연결관, 제2 연결관 내부에 설치되어 제2 걸림턱 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스프링, 제2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제2 걸림턱을 커버하도록 제2 스프링에 결합되어, 제2 연결관을 밀폐시키는 제2 개폐 커 버, 및 제2 개폐 커버에 형성되어, 제2 개폐 커버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제2 걸림턱의 내주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2 돌출 가이드를 포함하며, 제1 개폐 커버 및 제2 개폐 커버는, 제1 연결관 및 제2 연결관이 연통됨에 따라, 제1 걸림턱 및 제2 걸림턱과 각각 이격되도록 서로 하중이 작용하여, 제1 연결관 및 제2 연결관을 각각 개방시킬 수 있다.
이 때, 제1 돌출 가이드 및 제2 돌출 가이드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돌기가 형성되며, 다른 하나의 단부에 돌기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기의 단부는,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수용홈 입구의 사이즈(size)는, 돌기의 사이즈 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1 스프링 및 제2 스프링은, 탄성 계수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개폐 커버와, 연결관의 걸림턱 간의 편심을 방지할 수 있어, 유체의 연결을 차단할 시, 개폐 커버가 걸림턱을 편심없이 정확하게 커버할 수 있으므로, 연결관을 보다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유체 연결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결합, 설치 또는 형성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연결 장치(10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연결 장치(100)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연결 장치(100)의 다른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에 제1 걸림턱(111)이 형성된 제1 연결관(110), 제1 연결관(110) 내부에 설치되어 제1 걸림턱(111) 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스프링(120), 제1 스프링(120)의 탄성력에 의해 제1 걸림턱(111)을 커버하도록 제1 스프링(120)에 결합되어 제1 연결관(110)을 밀폐시키는 제1 개폐 커버(140), 제1 개폐 커버(140)를 제1 걸림턱(111)과 이격시키는 하중을 제공하도록 제1 연결관(110)과 연통되어, 제1 연결관(110)을 개방시키는 연통부(190), 및 제1 개폐 커버(140)에 형성되어, 제1 개폐 커버(140)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제1 걸림턱(111)의 내주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1 돌출 가이드(150)를 포함하는 유체 연결 장치(100)가 제시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걸림턱(111)의 커버 여부로 제1 연결관(110)의 개폐 여부를 조절하는 제1 개폐 커버(140)의 단부에, 제1 걸림턱(111)의 내주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 돌출 가이드(150)를 형성함에 따라, 제1 개폐 커버(14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가적인 가이드 레일 등이 없이도 제1 개폐 커버(140)와 제1 걸림턱(111) 간의 편심(偏心)을 방지할 수 있어, 유체의 연결을 차단할 시, 제1 개폐 커버(140)가 제1 걸림턱(111)을 정밀하게 커버할 수 있으므로, 제1 연결관(110)을 보다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연결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관(110) 내부에는 제1 스프링(120), 제1 개폐 커버(140) 및 제1 돌출 가이드(150), 연통부(190) 등이 설치된다.
이러한 연통부(190)는, 내주에 제2 걸림턱(113)이 형성되며, 단부가 제1 연결관(110)의 단부에 삽입되어 제1 연결관(110)과 연통되는 제2 연결관(112), 제2 연결관(112) 내부에 설치되어 제2 걸림턱(113) 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스프링(122), 제2 스프링(122)의 탄성력에 의해 제2 걸림턱(113)을 커버하도록 제2 스프링(122)에 결합되어, 제2 연결관(112)을 밀폐시키는 제2 개폐 커버(142), 제2 개폐 커버(142)에 형성되어, 제2 개폐 커버(142)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제2 걸림턱(113)의 내주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2 돌출 가이드(152)를 구비하며, 이 때, 제1 개폐 커버(140) 및 제2 개폐 커버(142)는, 제1 연결관(110) 및 제2 연결관(112)이 연통됨에 따라, 제1 걸림턱(111) 및 제2 걸림턱(113)과 각각 이격되도록 서로 하중이 작용하여, 제1 연결관(110) 및 제2 연결관(112)을 각각 개방시킨다.
본 실시예의 경우, 연통부(190)가 제2 연결관(112), 제2 스프링(122), 제2 개폐 커버(142) 및 제2 돌출 가이드(152)로 구성된 경우를 일 예로서 제시하였으나, 이외에 연통부가 중공형 부재 및 제1 개폐 커버(140)에 하중을 가하도록 중공형 부재에 형성된 돌출부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한편, 제1 및 제2 연결관(110, 112)이 서로 연통되는 측의 반대측 단부에는 각각 호스(hose, 180) 등이 연결되어 유체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대칭되도록 내부에 제1 및 제2 스프링(120, 122), 제1 및 제2 개폐 커버(140, 142) 및 제1 및 제2 돌출 가이드(150, 152) 등이 설치된 제1 및 제2 연결관(110, 112) 중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에 삽입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개폐 커버(140, 142)는, 제1 및 제2 연결관(110, 112)을 연통시키는 외력에 의해 서로에게 하중이 작용하여 제1 및 제2 연결관(110, 112)을 각각 개방시키게 된다.
즉, 도 1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한 제1 연결관(110)의 단부를 좌측에 위치한 제2 연결관(112)의 단부에 삽입시키면, 제1 및 제2 연결관(110, 112) 내부의 제1 및 제2 는 서로를 밀어내며 제1 및 제2 스프링(120, 122)을 각각 압축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개폐 커버(140)와 제1 걸림턱(111), 및 제2 개폐 커버(142)와 제2 걸림턱(113)이 각각 서로 이격되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가 제1 및 제2 연결관(110, 112)을 통하여 유동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1 연결관(110) 및 제2 연결관(112)을 서로 분리하게 되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의 제1 및 제2 개폐 커버(140, 142)가 제1 및 제2 스프링(120, 122)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 및 제2 걸림턱(111, 113)을 각각 커버하여 제1 및 제2 연결관(110, 112)을 각각 밀폐시킴으로써, 유체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체 연결 장치(100)는, 예를 들어, 온수 순환 매트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온수 순환 매트란, 매트 내에 배치된 유체 순환관에 가열된 유체를 순환시켜 매트에 열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본 유체 연결 장치(100)를 순환관의 단부 및 순환관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체 탱크의 출구에 각각 설치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순환관과 유체 탱크를 연통시켜 유체 탱크로부터 유체를 순환관으로 이송시키거나, 순환관과 유체 탱크 사이의 유동을 단절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 제1 스프링(120)과 제2 스프링(122)은 탄성 계수가 서로 동일하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연결관(112)을 제1 연결관(110)에 삽입시킴에 따른 작용 반작용에 의하여 제1 및 제2 개폐 커버(140, 142)에 동일한 하중이 각각 작용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프링(120) 및 제2 스프링(122)은 동일한 변위만큼 압축된다. 결과적으로, 제1 연결관(110) 및 제2 연결관(112)에는 서로 대칭된 유로가 형성되므로, 유동 손실을 감소시켜 보다 효과적인 유체의 유동이 형성될 수 있다.
또 한편, 제1 및 제2 돌출 가이드(150, 152)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돌기(153)가 형성되며, 다른 하나의 단부에 돌기(153)가 수용되는 수용홈(154)이 형성된다. 즉, 도 1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한 제1 돌출 가이드(150)의 단부에는 수용홈(154)이 형성되며, 우측에 위치한 제2 돌출 가이드(152)의 단부에는 수용 홈(154)에 수용되는 돌기(153)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서로 대응되는 돌기(153)와 수용홈(154)이 제1 돌출 가이드(150) 및 제2 돌출 가이드(152)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연결관(110, 112)의 연통 시, 제1 및 제2 돌출 가이드(150, 152)는 서로 어긋남이 없이 일직선 상에 정렬되어 서로에 대해 하중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유체의 유로를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균일하고 안정적인 유체의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돌기(153)의 단부는, 볼록한 형상이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153)는 외부를 향하여 볼록하도록 단부가 형성되므로, 돌기(153)가 수용홈(154)에 수용될 시 돌기(153)와 수용홈(154) 간의 편심이 다소 발생하는 경우라도, 볼록한 단부가 수용홈(154)의 입구에서 슬라이딩을 일으키며 보다 효과적으로 수용홈(154) 내로 돌기(153)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수용홈(154) 입구의 사이즈(size)는, 돌기(153)의 사이즈 보다 크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154)은, 그 입구의 직경(d1)이 돌기(153)의 직경(d2)보다 크도록 형성되고, 바닥면을 향하여 직경이 감소하도록, 입구에 인접한 내벽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돌기(153)가 수용홈(154)에 수용될 시 돌기(153)와 수용홈(154) 간의 편심이 다소 발생하는 경우라도, 돌기(153)의 단부가 수용홈(154)의 입구 및 그 인접한 내벽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보다 효과적으로 수용홈(154) 내로 돌기(153)가 수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을 기준으로 좌측의 제1 연결관(110) 내주면에 개스킷(170)이 설 치되어, 우측의 제2 연결관(112)이 좌측의 제1 연결관(110)에 삽입될 시, 이송되는 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제1 및 제2 연결관(110, 112) 및 그 내부에 설치된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1 및 제2 연결관(110, 112)은, 내주에 제1 및 제2 걸림턱(111, 113)이 각각 형성된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연결관(110, 112)의 내주면에는 그 원주 방향을 따라 환형의 제1 걸림턱(111) 및 제2 걸림턱(113)이 각각 형성된다. 제1 및 제2 개폐 커버(140, 142)는 이러한 제1 및 제2 걸림턱(111, 113)에 각각 걸려 제1 걸림턱(111) 및 제2 걸림턱(113)을 각각 커버함으로써, 제1 연결관(110) 및 제2 연결관(112)을 밀폐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스프링(120, 122)은, 제1 및 제2 연결관(110, 112) 내부에 각각 설치되어 제1 걸림턱(111) 및 제2 걸림턱(113) 측으로 탄성력을 각각 제공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프링(120)의 일단은 제1 걸림턱(111) 반대측의 제1 연결관(110)에, 제2 스프링(122)의 일단은 제2 걸림턱(113) 반대측의 제2 연결관(112)에 각각 결합되며, 제1 및 제2 스프링(120, 122)의 타단은 제1 및 제2 개폐 커버(140, 142)에 각각 결합된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 스프링(120, 122)은, 제1 및 제2 걸림턱(111, 113) 측, 즉, 제1 및 제2 스프링(120, 122)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탄성력을 각각 제공함으로써, 제1 및 제2 스프링(120, 122)의 타단에 각각 결합된 제1 및 제2 개폐 커버(140 142)가 제1 및 제2 걸림턱(111 113)을 각각 커버하도록 유지시키며, 이에 따라, 제1 및 제2 개폐 커버(140, 142)에 제1 및 제2 스프링(120, 122)의 탄성력과 반대 방향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제1 및 제2 연결관(110, 112)이 각각 밀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개폐 커버(140, 142)는, 제1 및 제2 스프링(120, 122)의 탄성력에 의해 제1 및 제2 걸림턱(111, 113)을 각각 커버하여 제1 및 제2 연결관(110 112)을 각각 밀폐시키도록 제1 및 제2 스프링(120 122)에 각각 결합되되, 외력에 의해 제1 및 제2 걸림턱(111, 113)과 각각 이격되어 제1 및 제2 연결관(110, 112)을 각각 개방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개폐 커버(140, 142)는 제1 및 제2 스프링(120, 122)의 타단에 각각 결합되어 제1 및 제2 스프링(120, 122)으로부터 제1 및 제2 걸림턱(111, 113)을 향하는 탄성력을 각각 제공받게 되므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제1 및 제2 개폐 커버(140, 142)는 제1 및 제2 걸림턱(111, 113)을 각각 커버하여 제1 및 제2 연결관(110, 112)을 각각 밀폐시키며, 제1 및 제2 스프링(120, 122)의 탄성력 보다 큰 반대 방향의 외력이 각각 작용하는 경우, 제1 및 제2 스프링(120, 122)이 압축되며 제1 및 제2 개폐 커버(140, 142)와 제1 및 제2 걸림턱(111, 113)이 서로 이격되므로 제1 및 제2 연결관(110, 112)은 개방되어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개스킷(160, 162)이 제1 개폐 커버(140) 및 제1 걸림턱(1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제2 개폐 커버(142) 및 제2 걸림턱(1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스킷(160, 162)은 제1 및 제2 개폐 커버(140, 142)에 각각 설치되어 제1 및 제2 개폐 커버(140, 142)에 의한 제1 및 제2 걸림턱(111, 113)의 커버 시, 제1 개폐 커버(140)와 제1 걸림턱(111)의 사이 및 제2 개폐 커버(142)와 제2 걸림턱(113)의 사이에 개재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연결관(110, 112)의 밀폐 시 유체의 누설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돌출 가이드(150, 152)는, 제1 및 제2 개폐 커버(140, 142)에 각각 형성되어, 제1 및 제2 개폐 커버(140, 142)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각각 제1 및 제2 걸림턱(111, 113)의 내주를 따라 슬라이딩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돌출 가이드(150, 152)는, 제1 및 제2 걸림턱(111, 113)을 각각 통과하도록 제1 및 제2 개폐 커버(140, 142)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돌출 가이드(150, 152)는, 제1 및 제2 스프링(120, 122) 및 외력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제1 및 제2 개폐 커버(140, 142)가 이동할 시, 제1 및 제2 걸림턱(111, 113)의 내주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어, 제1 및 제2 개폐 커버(140, 142)가 제1 및 제2 걸림턱(111, 113)과 편심되지 않고 정렬을 유지하며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특히, 제1 및 제2 스프링(120, 122)의 탄성력에 의해 제1 및 제2 개폐 커버(140, 142)가 제1 및 제2 걸림턱(111, 113)을 향하여 각각 이동할 시, 제1 및 제2 돌출 가이드(150, 152)가 없는 경우 제1 개폐 커버(140)와 제1 걸림턱(111), 제2 개폐 커버(142)와 제2 걸림턱(113)이 편심되어 제1 및 제2 연결관(110, 112)이 밀폐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제1 및 제2 개폐 커 버(140, 142)에 제1 및 제2 돌출 가이드(150, 152)를 각각 형성하는 경우, 별도의 가이드 레일 등이 없더라도, 제1 및 제2 돌출 가이드(150, 152)에 의해, 제1 및 제2 개폐 커버(140, 142)가 제1 및 제2 걸림턱(111, 113)과의 정렬을 유지하면서 편심없이 제1 및 제2 걸림턱(111, 113)을 커버할 수 있으므로, 제1 및 제2 연결관(110, 112)의 밀폐 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제1 및 제2 돌출 가이드(150, 152)의 외주는, 각각 제1 및 제2 걸림턱(111, 113) 내주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돌출 가이드(150, 152)가 제1 및 제2 걸림턱(111, 113)의 내주를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제1 및 제2 개폐 커버(140, 142)의 이동을 보다 정확하게 가이드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돌출 가이드(150, 152)의 외주 형상은 제1 및 제2 걸림턱(111, 113)의 내주 형상과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 및 제2 돌출 가이드(150, 152)는, 테이퍼(taper) 형상으로 단부가 연장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돌출 가이드(150, 152)는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걸림턱(111, 113)을 각각 커버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스프링(120, 122)의 탄성력에 의해 제1 및 제2 개폐 커버(140, 142)가 이동할 시 제1 및 제2 개폐 커버(140, 142)와 제1 및 제2 걸림턱(111, 113) 간에 편심이 다소 발생하는 경우라도, 제1 및 제2 돌출 가이드(150, 152)의 테이퍼진 단부가 제1 및 제2 걸림턱(111, 113)에 슬라이딩을 일으키며 보다 효과적으로 제1 및 제2 걸림턱(111, 113)과 정렬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제1 및 제2 걸림턱(111, 113)은, 제1 및 제2 돌출 가이드(150, 152)를 제1 및 제2 걸림턱(111, 113)의 내주로 가이드하도록, 제1 및 제2 스프링(120, 122)의 탄성력 제공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스프링(120, 122)의 탄성력 제공 방향, 즉, 제1 및 제2 스프링(120, 122)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 연결관(110, 112)의 내경이 감소하도록 제1 및 제2 걸림턱(111, 113)의 내벽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걸림턱(111, 113)을 커버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스프링(120, 122)의 탄성력에 의해 제1 및 제2 개폐 커버(140, 142)가 이동할 시 제1 및 제2 개폐 커버(140, 142)와 제1 및 제2 걸림턱(111, 113) 간에 편심이 다소 발생하는 경우라도, 제1 및 제2 돌출 가이드(150, 152)가 제1 및 제2 걸림턱(111, 113)의 경사진 내벽을 슬라이딩하면서 보다 효과적으로 제1 및 제2 걸림턱(111, 113)과 정렬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연결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연결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연결 장치의 다른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유체 연결 장치 110: 제1 연결관
111: 제1 걸림턱 120: 제1 스프링(first spring)
140: 제1 개폐 커버 150: 제1 돌출 가이드
154: 수용홈 160: 개스킷(gasket)
170: 개스킷 180: 호스(hose)
190: 연통부 112: 제2 연결관
113: 제2 걸림턱 122: 제2 스프링
142: 제2 개폐 커버 152: 제2 돌출 가이드
153: 돌기 162: 개스킷

Claims (10)

  1. 내주에 제1 걸림턱이 형성된 제1 연결관;
    상기 제1 연결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걸림턱 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스프링;
    상기 제1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걸림턱을 커버하도록 상기 제1 스프링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연결관을 밀폐시키는 제1 개폐 커버;
    상기 제1 개폐 커버를 상기 제1 걸림턱과 이격시키는 하중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 연결관과 연통되어, 상기 제1 연결관을 개방시키는 연통부; 및
    상기 제1 개폐 커버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개폐 커버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1 걸림턱의 내주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1 돌출 가이드를 포함하는 유체 연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 가이드의 외주는, 상기 제1 걸림턱 내주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연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 가이드는, 테이퍼(taper) 형상으로 단부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연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턱은, 상기 제1 돌출 가이드를 상기 제1 걸림턱의 내주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1 스프링의 탄성력 제공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연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 커버 및 상기 제1 걸림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개스킷(gasket)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연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는,
    내주에 제2 걸림턱이 형성되며, 단부가 상기 제1 연결관의 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연결관과 연통되는 제2 연결관;
    상기 제2 연결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걸림턱 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 는 제2 스프링;
    상기 제2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걸림턱을 커버하도록 상기 제2 스프링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연결관을 밀폐시키는 제2 개폐 커버; 및
    상기 제2 개폐 커버에 형성되어, 상기 제2 개폐 커버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2 걸림턱의 내주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2 돌출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개폐 커버 및 상기 제2 개폐 커버는, 상기 제1 연결관 및 상기 제2 연결관이 연통됨에 따라, 상기 제1 걸림턱 및 상기 제2 걸림턱과 각각 이격되도록 서로 하중이 작용하여, 상기 제1 연결관 및 상기 제2 연결관을 각각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연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 가이드 및 상기 제2 돌출 가이드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돌기가 형성되며, 다른 하나의 단부에 상기 돌기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연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단부는, 볼록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연결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 입구의 사이즈(size)는, 상기 돌기의 사이즈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연결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 및 상기 제2 스프링은, 탄성 계수가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연결 장치.
KR2020090000531U 2009-01-15 2009-01-15 유체 연결 장치 KR2010000751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531U KR20100007515U (ko) 2009-01-15 2009-01-15 유체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531U KR20100007515U (ko) 2009-01-15 2009-01-15 유체 연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515U true KR20100007515U (ko) 2010-07-23

Family

ID=44452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0531U KR20100007515U (ko) 2009-01-15 2009-01-15 유체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751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64547A (zh) * 2021-10-21 2021-12-31 信阳富地燃气有限公司 一种燃气管道连接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64547A (zh) * 2021-10-21 2021-12-31 信阳富地燃气有限公司 一种燃气管道连接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32451A (ko) 연결 조립체
US10156114B2 (en) Poppet assembly for use in a subsea connection system
US11326727B2 (en) Quick connector
CA3120536C (en) Sealing structure
CZ2003661A3 (cs) Zástrčná přípojka
CN219198484U (zh) 一种自密封快锁接头
EP3286477A1 (en) Push-to-connect and pull-to-disconnect quick coupling
KR20100007515U (ko) 유체 연결 장치
EP3380767B1 (en) A domestic appliance system with push-fit fluid coupling
KR20090056148A (ko) 퀵 커넥터
US20140102561A1 (en) Quick-release connectors and connection assemblies for fluidic coupling
KR20110125792A (ko) 파이프 연결용 소켓
KR101368437B1 (ko) 유체이송관용 연결커플러
CN110966474B (zh) 一种具有快接水嘴的电磁阀
KR101843005B1 (ko) 퀵 커플러
CN209876235U (zh) 连接组件、管路组件和卫浴设备
KR102626901B1 (ko) 상이한 밀도의 유체들의 분리 배출을 위한 배출 연결구
KR101962939B1 (ko) 커플링 장치
CN107061806B (zh) 卫浴回流防止阀
CN113090835B (zh) 一种管接头组件
CN210397838U (zh) 安全阀和热水器
US20090229690A1 (en) Rigid mount anti-leak fluid coupler
KR200493614Y1 (ko) 파이프 삽입 확인 장치
US20090159825A1 (en) Fluid Coupling with a Valve Arrangement
WO2019027113A1 (ko) 관붙이 앵글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