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6504A - 자동도어 - Google Patents

자동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6504A
KR20100006504A KR1020080066751A KR20080066751A KR20100006504A KR 20100006504 A KR20100006504 A KR 20100006504A KR 1020080066751 A KR1020080066751 A KR 1020080066751A KR 20080066751 A KR20080066751 A KR 20080066751A KR 20100006504 A KR20100006504 A KR 20100006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lose contact
opening
automatic doo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6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유근
Original Assignee
배유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유근 filed Critical 배유근
Priority to KR1020080066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6504A/ko
Publication of KR20100006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5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6Rain or draught deflectors, e.g. under sliding wings also protection against light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자동도어는, 도어프레임과, 도어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어 있는 고정도어와, 도어프레임의 타측에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이동하여 고정도어와 중첩하는 개폐도어와, 개폐도어의 끝단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을 가지며, 수용공간 내외를 승강가능하게 수용 결합되어 바닥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밀착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지면이 경사져있더라도 바닥면과 발생되는 틈을 완전히 제거하여 바닥의 방풍처리 및 차염, 차연기능이 부가된 자동도어가 제공된다.
자동도어, 틈, 밀착, 방풍, 방연

Description

자동도어{Automatic Door}
본 발명은, 자동도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의 경사도에
따라 밀착부의 각도조정이 가능한 자동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이나 병원, 사무실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각종 건물에는 건물이나 일정공간의 출입시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킴과 더불어, 비용절감을 최소화한 무인 경비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자동 개폐되는 자동도어의 설치가 증대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도어(1)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도어(1)는 도어프레임(10)과, 도어프레임(10)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고정도어(20)와, 도어프레임(10)에 선택적으로 이동가능 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개폐도어(30)로 구성된다.
도어프레임(10)은 자동도어(1)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부프레임(11)과, 자동도어(1)의 측면에 설치되어 문틀기능을 하는 측면프레임(18)으로 구성된다.
상부프레임(11)의 양측에는 각각 구동풀리(12) 및 종동풀리(13)가 상호 벨트(14) 또는 체인 등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벨트(14)의 하측에는 벨트(14)와 평 행하게 도어가이드레일(16)이 설치되며, 구동풀리(12)에는 구동풀리(12)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벨트(14)에 이동력이 부여되도록 하는 구동모터(15)가 결합된다.
또한,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는 벨트(14)의 하측부분에는 벨트(14)의 이동에 따라 연동하면서 그 몸체에 결합된 로울러가 도어가이드레일(16)에 가이드되어 주행함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는 브라켓트(17)가 고정결합된다.
브라켓트(17)의 하측에는 출입자의 유무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 개폐되는 개폐도어(30)가 설치된다.
개폐도어(30)와 인접한 일측에는 상부프레임(11)의 하부 일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개폐도어(30)의 개방시에 개폐도어(30)와 선택적으로 겹쳐지는 고정도어(20)가 설치된다.
자동도어(1)의 일정지점에 설치된 센서 또는 발판(미도시)등으로부터 발생되는 감지신호나 개폐도어(30)와 인접한 지점에 설치되는 버튼부(미도시)등의 조작 등에 의해 구동모터(15)가 구동되면서 구동풀리(12) 및 종동풀리(13)를 통하여 벨트(14)를 이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벨트(14)에 결합된 브라켓트(17)가 도어가이드레일(16)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면서 개폐도어(30)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도어(1)는 개폐도어(30)가 폐쇄된 상태에서 일부분이 상호 겹쳐지는 고정도어(20)와 개폐도어(30)의 맞닿는 단부사이 및 개폐도어(30)의 일측단부와 맞닿는 측면프레임(18)의 사이에 일정공간의 틈이 발생한다.
그래서, 고정도어(20)와 개폐도어(30)의 맞닿는 단부사이 및 개폐도어(30)의 일측단부와 맞닿는 측면프레임(18)의 사이에 스폰지 등의 탄성부재를 부착하거나, 고정도어(20)와 개폐도어(30)의 하부단면에 모헤어를 부착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도어의 이러한 탄성부재는 겹침현상이 발생하여 개폐도어의 개폐작동을 지연시켰다.
또한, 종래의 자동도어는 폐쇄되었을 경우, 바닥면의 경사도에 따라 바닥면과의 사이에 일정공간의 틈이 발생하여 별도의 지반가공이 필요했다.
건물의 화재시에는 이러한 틈을 통하여 화염이 번지거나, 각종 유독가스가 연통되어 인명 및 재산상의 피해가 증대되었다.
또한, 종래의 자동도어에 장착된 탄성부재 등은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화재시에 쉽게 소실되어 이러한 화재에 대한 차염이나 차연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했다.
또한, 바람에 대한 방풍기능과 소음에 대한 방음기능도 제대로 발휘하지 못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바닥면이 경사져 있더라도, 바닥면과 발생되는 틈을 완전히 제거하여 방풍, 방음, 차염 및 차연 기능이 부가되는 자동도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출입구에 설치되어 출입자의 유무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자동도어에 있어서,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어 있는 고정도어와, 상기 도어프레임의 타측에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도어와 중첩하는 개폐도어와, 상기 개폐도어의 끝단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수용공간 내외를 승강가능하게 수용 결합되어 바닥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도어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밀착부는, 일단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타단은 바닥면에 밀착되어 바닥면의 경사도에 따라 승강하는 밀착브라켓과, 상기 수용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밀착브라켓을 바닥면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는 탄성부재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밀착브라켓은 상기 탄성부를 가압 및 가압해제하며 승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밀착브라켓은, 상기 밀착브라켓이 승강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밀착브라켓이 수용공간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도어는, 바닥면이 경사져 있더라도, 별도의 지반가공 없이 바닥면과 밀착가능하게 하여 방풍 및 방음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자동도어의 폐쇄시에 발생되는 틈을 완전히 제거하여 차염 및 차연기능이 부가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도어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자동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도어는 도어프레임(100)과, 도어프레임(100)의 일측에 고정 결합된 고정도어(200)와, 도어프레임(100)의 타측에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개폐도어(300)와, 개폐도어(300)의 끝단부에 마련되어 바닥면과 밀착되는 밀착부(400)를 갖는다.
도어프레임(100)은 자동도어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부프레임(110)과, 자동도어의 측면에 설치되어 문틀기능을 하는 측면프레임(120)으로 구성된다.
상부프레임(110)의 하측에는 출입자의 유무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 개폐되는 개폐도어(300)가 설치된다.
개폐도어(300)와 인접한 일측에는 상부프레임(110)의 하부 일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개폐도어(300)의 개방시에 개폐도어(300)와 선택적으로 겹쳐지는 고정도어(200)가 설치된다.
자동도어의 일정지점에 설치된 센서 또는 발판(미도시)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감지신호나 개폐도어(300)와 인접한 지점에 설치되는 버튼부(미도시)등의 조작 등에 의해 개폐도어(300)가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되는 동작원리는 종래의 자동도어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도 3a와 도 3b는 도 2의 주요부분이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부(400)는 개폐도어(300)의 끝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밀착부(400)는 바닥면과 밀착되는 밀착브라켓(410)과, 밀착브라켓(410)이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있는 수용공간(420)과, 수용공간(420)에 마련된 탄성부(430)를 갖는다.
밀착브라켓(410)은 T자 형상으로 마련되어 수용공간(420)에 부분적으로 걸쳐져 있다. 밀착브라켓(410)의 상단은 수용공간(420)에 걸쳐져 있고, 하단은 바닥면에 밀착되어 있다.
밀착브라켓(410)의 상단에는 밀착브라켓(410)이 수용공간(420)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턱(415)이 장착되어 있다. 걸림턱(415)은 밀착브라켓(410)이 승강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닥면이 고를 경우에는 밀착브라켓(410)은 전면이 도 3a와 같이 수용공간(420)내에 걸쳐져 있는 상태로 있다. 바닥면이 경사져 있을 경우는 경사도에 따라 밀착브라켓(410)의 일측은 도 3a와 같이 걸쳐져 있고, 밀착브라켓(410)의 타측은 도 3b와 같이 탄성부(430)를 가압하며 상승한다.
밀착브라켓(410)은 바닥면의 경사도에 따라 상하로 승강하며 수용공간(420)에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밀착브라켓(410)은 바닥면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승강하므로, 어떠한 바닥면에 대하여도 슬라이딩하게 밀착된다.
수용공간(420)은 개폐도어(300)의 끝단부에 홈의 형상으로 마련된다. 수용공간(420)의 내부에는 밀착브라켓(410)을 바닥면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탄성부(430)가 수용되어 있다.
탄성부(430)는 스프링이나, 스폰지, 합성고무 등의 탄성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430)는 없고 수용공간(420)만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탄성부(430)가 스프링으로 마련되었을 때는 수용공간(420)에 수용되어 밀착브라켓(410)과 개폐도어(300)를 탄성적으로 연결한다. 또한, 탄성부(430)가 스폰지나 합성고무 등의 탄성부재로 마련되었을 때는 수용공간(420)에 수용되어 밀착브라켓(410)을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탄성부(430)는 바닥면의 경사도에 따라 탄성적으로 가압 및 가압해제되어 밀착브라켓(410)을 지지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도어가 작동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a는 도 2의 자동도어가 개방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b는 도 2의 자동도어가 폐쇄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자가 접근하면, 센서 또는 감지신호나 버튼부등의 조작 등에 의해 개폐도어(300)가 개방된다. 개폐도어(300)의 하부면에 마련된 밀착브라켓(410)은 바닥면의 경사도에 따라 탄력적으로 승강하며 고정도어(200)와 중첩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자의 출입 후에는 개폐도어(300)는 폐쇄되고, 개폐도어(300)의 하부면에 마련된 밀착브라켓(410)은 바닥면의 경사도에 따라 탄력적으로 승강하며 바닥면에 슬라이딩하게 밀착된다.
밀착브라켓(410)이 바닥면의 경사도에 따라 탄력적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므 로 바닥면과 자동도어의 틈은 최소화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바닥면이 경사져 있더라도 별도의 지반가공 없이 바닥면과의 틈을 최소화하여 방풍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자동도어가 바닥면과 밀착되어 있으므로, 외부 소음에 대한 방음효과 또한 현저히 증가된다.
또한, 밀착부(400)가 바닥면에 따라 탄력적으로 승강하므로 자동도어의 개폐를 부드럽게 한다.
또한, 건물의 화재시에 틈을 통하여 화염이 번지거나, 각종 유독가스가 연통되어 인명 및 재산상의 피해가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아파트 등의 계단실에 설치된 자동폐쇄장치가 설치된 외여닫이식 방화문이나, 쌍여닫이식 방화문일 수도 있고, 자동도어가 아니라 방풍처리 등이 필요한 일반도어일 수도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자동도어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자동도어의 사시도,
도 3a와 도 3b는 도 2의 주요부분이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4a는 도 2의 자동도어가 개방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4b는 도 2의 자동도어가 폐쇄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도어프레임 200 : 고정도어
300 : 개폐도어 400 : 밀착부
410 : 밀착브라켓 415 : 걸림턱
420 : 수용공간 430 : 탄성부

Claims (4)

  1. 출입구에 설치되어 출입자의 유무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자동도어에 있어서,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어 있는 고정도어와,
    상기 도어프레임의 타측에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도어와 중첩하는 개폐도어와,
    상기 개폐도어의 끝단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수용공간 내외를 승강가능하게 수용 결합되어 바닥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일단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타단은 바닥면에 밀착되어 바닥면의 경사도에 따라 승강하는 밀착브라켓과,
    상기 수용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밀착브라켓을 바닥면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도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탄성부재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밀착브라켓은 상기 탄성부를 가압 및 가압해제하며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도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브라켓은,
    상기 밀착브라켓이 승강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밀착브라켓이 수용공간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도어.
KR1020080066751A 2008-07-09 2008-07-09 자동도어 KR201000065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751A KR20100006504A (ko) 2008-07-09 2008-07-09 자동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751A KR20100006504A (ko) 2008-07-09 2008-07-09 자동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504A true KR20100006504A (ko) 2010-01-19

Family

ID=41815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6751A KR20100006504A (ko) 2008-07-09 2008-07-09 자동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650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4392B1 (ko) 비상탈출용 여닫이 문을 구비한 미서기식 방화유리 자동문
JP6764730B2 (ja) シャッター装置の電源切替方法及びそのシャッター装置
AU721399B2 (en) Fire protection door
KR101997724B1 (ko) 자동 잠금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KR101655305B1 (ko) 공동주택용 복도 안전창문구조
KR20100094084A (ko) 고정도어가 개폐되는 방화 자동문
JP2003089490A (ja) エレベータ用防災装置
KR20210041760A (ko) 자동 방화문 장치
KR102521315B1 (ko) 인접 세대로의 격벽 피난구
KR20100006504A (ko) 자동도어
KR100676916B1 (ko) 발코니용 회전식 방화판
KR20080004762A (ko) 풀오픈 도어시스템
KR100496491B1 (ko) 아파트 베란다용 낙하방지장치
KR102497554B1 (ko) 재난시 인접세대로의 비상탈출 구조물
KR101896427B1 (ko) 밀폐형 슬라이딩 자동문
KR101031096B1 (ko) 자동문 및 자동문 제어방법
JP7066500B2 (ja) 防水扉
JP7066501B2 (ja) 防水シャッター
KR102075747B1 (ko) 문짝의 기밀성이 향상된 행거도어
KR102336573B1 (ko) 방화 자동문
US5850672A (en) Apparatus or kit for closing sliding closure
KR200385576Y1 (ko) 이동식 방범창
KR200463601Y1 (ko) 자동 미닫이문 장치
UA75878C2 (en) Sectional lifting or folding door
US20070068084A1 (en) Vertically-movable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