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913U - 곶감 건조기 - Google Patents

곶감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913U
KR20100005913U KR2020080016022U KR20080016022U KR20100005913U KR 20100005913 U KR20100005913 U KR 20100005913U KR 2020080016022 U KR2020080016022 U KR 2020080016022U KR 20080016022 U KR20080016022 U KR 20080016022U KR 20100005913 U KR20100005913 U KR 2010000591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immon
hanger
dried
hook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60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5652Y1 (ko
Inventor
송낙호
Original Assignee
송낙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낙호 filed Critical 송낙호
Priority to KR20200800160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652Y1/ko
Publication of KR201000059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9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6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6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5Preserving by heating
    • A23B7/01Preserving by heating by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감의 꼭지를 걸어서 건조되도록 함으로서 건조 완료된 곶감의 모양을 일정하게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균일한 건조로 곶감의 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곶감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양측에 감을 끼워서 건조시키는 감유지구와, 상기 감유지구를 걸어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걸이구로 구성하고, 상기 감유지구는 바 타입의 유지구바디와, 상기 유지구바디 양끝단에 방향을 달리하여 감의 꼭지를 끼울 수 있게 구비하는 꼭지끼움구와, 상기 유지구바디의 중앙에 걸이구와 연결할 수 있게 형성하는 연결공을 포함하고, 상기 걸이구는 원호형상으로 구비하는 걸이구바디와, 상기 걸이구바디 상측에 형성하여 걸이구와 걸이구를 연결 또는 건조기 전체를 걸어서 유지하는 상부걸고리와, 상기 걸이구바디의 하측에 형성하여 감유지구와 결합하는 유지구핀과, 상기 유지구핀의 후방에 상부걸고리가 연결될 수 있게 형성하는 걸고리공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곶감, 건조기, 감, 꼭지

Description

곶감 건조기{A drying tool for the persimmon}
본 고안은 곶감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다 통풍성이 좋게 하면서도 위생적으로 곶감을 건조할 수 있도록 개선한 건조기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곶감은 감이 홍씨로 완전히 익기 전에 이를 수확하여 껍질을 제거한 후 건조시켜 완성하는 것으로서 건시(乾枾) 라고도 불리워진다.
상기와 같이 곶감을 만들기 위한 건조기는 종래에도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특허 또는 실용신안으로 출원된 바 있으며, 본원 출원인 또한 실용신안등록 제 290900 호로 등록받은 바 있으며 이러한 기술내용을 도 1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이 적용되는 건조기(35)는, 상,하측에 걸림훅(36)을 가지는 걸이구(37)를 통과시켜 건조바디(38)를 구비하고, 상기 건조바디(38)의 측면에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연결대(39)의 끝단부에 감안치대(40)를 구비한다.
상기 감안치대(40)는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한 안치판(42)의 중앙에 돌출되어 감(P)의 꼭지부위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43)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핀(43)의 주 위에 안치되는 감(P)의 밑부분을 받쳐줄 수 있도록 방사형태로 배치되는 받침돌기(44)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감을 안치한 상태에서 건조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감이 건조되면서 곶감으로 변하는 과정에서 감 자체의 자중에 의하여 납작한 모양으로 변하여 곶감으로 완성되는 시점에서 꼭지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곶감의 내부에 위치하여 가려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은 물론, 전통적인 곶감과 같은 형태로 완성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감이 안치되는 밑부분에는 통기의 용이성을 제공하기 위한 받침돌기가 있으나 감이 건조되는 과정에서 감이 익으면서 육질이 연하여질 때 자중에 의하여 납작한 형태로 변하면서 받침돌기를 밀폐하는 형태가 된다.
이로 인하여 실질적으로 통기를 필요로 하는 시기에는 받침돌기가 막혀있는 상태가 되어 통기성이 좋지 못하기 때문에 감의 밑부분에는 곰팡이가 서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감의 밑부분은 부패 된 상태로 곶감화가 됨으로서 완성된 곶감의 품질이 우수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감이 안치되는 부위는 외부에 노출된 부위보다 건조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노출된 부위의 건조상태를 보고 포장할 경우에는 미처 건조되지 못한 밑부분이 포장된 상태에서 건조되지 못하고 부패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등 건조의 용이성을 제공하여 못하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 서 양측에 감을 끼워서 건조시키는 감유지구와, 상기 감유지구를 걸어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걸이구로 구성하고, 상기 감유지구는 바 타입의 유지구바디와, 상기 유지구바디 양끝단에 방향을 달리하여 감의 꼭지를 끼울 수 있게 구비하는 꼭지끼움구와, 상기 유지구바디의 중앙에 걸이구와 연결할 수 있게 형성하는 연결공을 포함하고, 상기 걸이구는 원호형상으로 구비하는 걸이구바디와, 상기 걸이구바디 상측에 형성하여 걸이구와 걸이구를 연결 또는 건조기 전체를 걸어서 유지하는 상부걸고리와, 상기 걸이구바디의 하측에 형성하여 감유지구와 결합하는 유지구핀과, 상기 유지구핀의 후방에 상부걸고리가 연결될 수 있게 형성하는 걸고리공간을 포함하여,
감의 꼭지를 걸어서 건조되도록 함으로서 건조 완료된 곶감의 모양을 일정하게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균일한 건조로 곶감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곶감으로 만들기 위하여 껍질을 제거한 감의 꼭지를 잡아서 건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감 전체가 고르고 균일하게 건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전통적인 곶감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건조기를 제공하여 건조의 용이성을 제공하여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면서 건조 완료된 곶감의 품질을 높여 대외적인 경쟁력을 확보 가능한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고안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 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곶감 건조기를 도시한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곶감 건조기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곶감 건조기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곶감 건조기의 A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곶감 건조기에 곶감을 건조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되는 곶감 건조기(100)는 양측에 곶감으로 만들기 위한 감(101)을 끼워서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감유지구(102)와 상기 감유지구(102)를 걸어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걸이구(103)로 구성한다.
상기 감유지구(102)는 바 타입으로 구비되는 유지구바디(105)의 양끝단에 서로 방향을 달리하여 건조하고자 하는 감(101)의 꼭지(106)를 끼워서 유지할 수 있도록 꼭지끼움구(107)를 일측에서는 전방으로 다른 측에서는 후방을 향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꼭지끼움구(107)는 한 쌍의 끼움편(108,109)을 돌출시켜 꼭지(106)를 끼울 수 있는 끼움홈(110)을 중앙에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끼움편(108,109)의 상면에는 유지구바디(105)와 보강리브(111)로 연결하여 충분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끼움홈(110)은 외측 방향에서 내측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하여 꼭지(106)의 크기에 관계없이 끼울 수 있도록 하고, 끼움홈(110)은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서 꼭지(106)가 마르면서 크기가 작아지더라도 자중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좁은 쪽으로 이동하여 끼움 상태를 지속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유지구바디(105)의 중앙에는 걸이구(103)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공(112)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공(112) 주위에는 걸이구(103)에 대하여 감유지구(102)가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동방지돌기(113)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걸이구(103)는 무게중심을 잡을 수 있도록 전방으로 돌출되어 원호형상을 가지는 걸이구바디(115)를 판상 형태로 구비하고, 상기 걸이구바디(115)의 상측에는 다단으로 연결되는 걸이구(103)의 하측과 연결하거나 건조기(100) 전체를 걸어서 유지하기 위한 상부걸고리(116)를 형성한다.
상기 걸이구바디(115)의 하측에는 감유지구(102)를 결합하기 위한 유지구핀(117)을 돌출시키고, 상기 유지구핀(117)의 하측에는 감유지구(102) 결합시 방향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일체형의 후육부(118)를 형성한다.
상기 유지구핀(117)의 후방에는 걸고리공간(119)을 형성하여 상부걸고리(116)를 용이하게 걸어서 다단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곶감 건조기(100)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감유지구(102)를 구성하는 유지규바디(105) 양끝단에 끼움편(108,109)에 의하여 형성되는 끼움홈(110)에 껍질을 제거하여 건조하고자 하는 감(101)의 꼭지(106)를 끼워서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유지구바디(105)의 중앙에 형성되는 연결공(112)을 통하여 걸이구(103)의 하단에 형성되는 유지구핀(117)에 결합시키면, 유지구핀(117)에 일체로 형성되는 휴육부(118)도 함께 연결공(112)과 치합되어 방향성을 유지하게 된다.
동시에 연결공(112) 주위에 형성되는 회동방지돌기(113)가 후육부(118) 양측 전,후측에 위치 함으로서 감유지구(102)가 인위적으로 회동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는 곶감 건조기(100)를 다단으로 유지하여 처마 밑이나 별도로 구비하는 건조와이어에 최 상측에 위치한 걸이구(103)의 상부걸고리(116)를 걸어 둠으로서 건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곶감 건조기(100)를 다단으로 연결하고자 할 경우에도 상부걸고리(116)를 감유지구(102)를 결합한 유지구핀(117)의 후방에 형성된 걸고리공간(119)에 걸림 되도록 함으로서 다단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감(106)을 건조하는 과정에서 건조로 인하여 꼭지(106)의 크기가 줄어들게 되더라도 끼움편(108,109)에 의하여 형성되는 끼움홈(110)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면서 경사지게 되어 있기 때문에 감(101)의 자중에 의하여 외측 방향에서 내측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하기 때문에 부수적인 일손을 덜어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끼움홈(110)의 폭이 다르기 때문에 건조하고자 하는 감(101)의 꼭지(106) 크기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장점도 가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곶감 건조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곶감 건조기를 도시한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곶감 건조기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곶감 건조기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곶감 건조기의 A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곶감 건조기에 곶감을 건조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곶감 건조기
102; 감유지구
103; 걸이구
108,109; 끼움편
110; 끼움홈
116; 상부걸고리
117; 유지구핀

Claims (2)

  1. 양측에 감(101)을 끼워서 건조시키는 감유지구(102)와;
    상기 감유지구(102)를 걸어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걸이구(103)로 구성하고;
    상기 감유지구(102)는 바 타입의 유지구바디(105)와;
    상기 유지구바디(105) 양끝단에 방향을 달리하여 감(101)의 꼭지(106)를 끼울수 있게 구비하는 꼭지끼움구(107)와;
    상기 유지구바디(105)의 중앙에 걸이구(103)와 연결할 수 있게 형성하는 연결공(112)과;
    상기 연결공(112) 주위에 형성하여 걸이구(103)에 대하여 감유지구(102)가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동방지돌기(113)를 포함하고;
    상기 걸이구(103)는 원호형상으로 구비하는 걸이구바디(115)와;
    상기 걸이구바디(115) 상측에 형성하여 걸이구(103)와 걸이구(103)를 연결 또는 건조기(100) 전체를 걸어서 유지하는 상부걸고리(116)와;
    상기 걸이구바디(115)의 하측에 형성하여 감유지구(102)와 결합하는 유지구핀(117)과;
    상기 유지구핀(117)의 하측에 감유지구(102)의 방향성을 유지할 수 있게 형성하는 후육부(118)와;
    상기 유지구핀(117)의 후방에 상부걸고리(116)가 연결될 수 있게 형성하는 걸고리공간(11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곶감 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꼭지끼움구(107)는 한 쌍의 끼움편(108,109)을 돌출시켜 꼭지(106)를 끼울 수 있는 끼움홈(110)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홈(110)은 외측 방향에서 내측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게 형성하여 꼭지(106)의 크기에 관계없이 끼울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끼움홈(110)은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꼭지(106)가 마르면서 작아지더라도 자중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좁은 쪽으로 이동하여 끼움 상태를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곶감 건조기.
KR2020080016022U 2008-12-02 2008-12-02 곶감 건조기 KR2004556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022U KR200455652Y1 (ko) 2008-12-02 2008-12-02 곶감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022U KR200455652Y1 (ko) 2008-12-02 2008-12-02 곶감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913U true KR20100005913U (ko) 2010-06-10
KR200455652Y1 KR200455652Y1 (ko) 2011-09-16

Family

ID=44451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6022U KR200455652Y1 (ko) 2008-12-02 2008-12-02 곶감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65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428B1 (ko) * 2011-07-26 2013-08-26 김승 곶감 제조용 건조기
KR200471696Y1 (ko) * 2011-11-08 2014-03-13 송낙호 곶감 건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026Y1 (ko) 2010-08-17 2012-10-12 곽근탁 곶감 제조용 감 건조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539Y1 (ko) * 2003-11-17 2004-02-18 박광운 곶감꽂이용 걸이구
KR200398983Y1 (ko) 2005-07-22 2005-10-18 김경식 곶감건조용 걸이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428B1 (ko) * 2011-07-26 2013-08-26 김승 곶감 제조용 건조기
KR200471696Y1 (ko) * 2011-11-08 2014-03-13 송낙호 곶감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5652Y1 (ko) 201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5652Y1 (ko) 곶감 건조기
JP4547456B1 (ja) マグネット付きフック
KR101560152B1 (ko) 접이식 옷걸이
KR20100097263A (ko) 옷걸이
KR102199669B1 (ko) 옷걸이
KR200389170Y1 (ko) 캐비넷 옷걸이봉 지지구
US6729509B1 (en) Mini-blind holder and clothes hanger combination
KR200461651Y1 (ko) 빨래 건조대
KR102238995B1 (ko) 옷걸이
JP2006230946A (ja) 衣類用ハンガーセット
KR101197479B1 (ko) 옷걸이
KR200393623Y1 (ko) 접이식 다단 걸이부를 가진 옷걸이
KR200369332Y1 (ko) 곶감 건조기
JP3079062U (ja) 衣料用ハンガー
KR200285427Y1 (ko) 황토 옷걸이
JP2012183222A (ja) 洗濯物乾燥補助具
JPH0354711Y2 (ko)
KR200374805Y1 (ko) 옷걸이
JP3067744U (ja) 洗濯ピンチ係止体
JP2006141659A (ja) ハンガー
JP2006255361A (ja) ハンガーカバー
KR200466768Y1 (ko) 빨래건조대의 행거 고정구조
KR200471695Y1 (ko) 곶감 건조기
JP2007330739A (ja) 物干ハンガーの補助具
KR20130040444A (ko) 착탈이 가능한 세탁물건조대용 빨래걸이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