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780A - 전등용 덕트의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전등용 덕트의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780A
KR20100005780A KR1020080065819A KR20080065819A KR20100005780A KR 20100005780 A KR20100005780 A KR 20100005780A KR 1020080065819 A KR1020080065819 A KR 1020080065819A KR 20080065819 A KR20080065819 A KR 20080065819A KR 20100005780 A KR20100005780 A KR 20100005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fastened
connection
fastening
du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5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7086B1 (ko
Inventor
고재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riority to KR1020080065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7086B1/ko
Publication of KR20100005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7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7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7/00Cable-stowing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e.g. r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등기구와 배선이 함께 설치되는 전등용 덕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상하 높이 차를 두고 설치되는 전등용 덕트를 안정적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각 전등용 덕트 사이에 연결되는 배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전등용 덕트의 배치구조를 다양화할 수 있는 전등용 덕트의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 하측에는 램프가 설치되고 내부 상측에는 전기배선이 배선되는 복수 개의 전등용 덕트를 상호 연결하는 접속장치에 있어서,
중공형태로 일측개방부가 어느 한 전등용 덕트의 일단부와 체결되는 제1접속관과, 중공형태로 일측개방부가 다른 전등용 덕트에 체결되고 타측개방부가 상기 제1접속관의 타측개방부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제2접속관을 포함하되,
상기 제1접속관과 제2접속관은 상호 연결부위가 특정각도로 꺽여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덕트, 등기구, 연결, 접속장치

Description

전등용 덕트의 접속장치{A connecting device of duct for lamp}
본 발명은 내부에 등기구와 배선이 함께 설치되는 전등용 덕트에 관한 것으로, 상하 높이 차를 두고 설치되는 전등용 덕트를 안정적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각 전등용 덕트 사이에 연결되는 배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전등용 덕트의 배치구조를 다양화할 수 있는 전등용 덕트의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이나 가정의 컴퓨터, 전화기, 프린터 등의 전기배선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방치되어 전선들끼리 꼬이거나 엉켜 미관상 좋지 못하고 외부물체와의 접촉에 의해 훼손되어 안전사고 발생의 우려가 크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배선덕트를 각 전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시켜 각 케이블을 내부에 함께 수용하여 케이블의 정리가 가능하고 외부로부터의 접촉을 차단하여 훼손을 방지하고 있다.
더불어 최근에는 케이블의 배선 정리 기능뿐만 아니라 조명기구가 일체로 구비되어 자체가 하나의 등기구 역할을 할 수 있는 전등용 덕트가 본 출원인에 의해 많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전등용 덕트는 일반적으로 벽체 내부에 일부가 매입된 상태이거나 천장에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고 배선 작업을 위해 설치되는 벽면이나 천장의 길이에 맞게 단위길이나 모듈의 형태로 절단 적용된다.
이처럼 벽체나 천장에 설치됨에 따라 벽체 및 천장의 구조나 기타 작업환경에 맞게 여러 개의 전등용 덕트를 조합하여 상호 접속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단순 직선방향으로 배치되는 전등용 덕트 간의 연결은 별도의 연결막대를 통해 연결하고, 수직연결이 필요할 경우 어느 한 전등용 덕트의 측벽을 절개하고 타 전등용 덕트의 일단부를 상기 절개부위에 삽입하여 'T' 형상을 하도록 연결한다.
하지만, 각 전등용 덕트가 상하 높이 차를 두고 위치할 경우 각 전등용 덕트 간 연결이 불가능하여 내부 케이블이 이격 지점에서는 외부로 노출될 수밖에 없고 이렇게 덕트 간 연결이 불가능함에 따라 전체적인 덕트 연결구조가 불안정할 수밖에 없다.
더불어 이렇게 전등용 덕트의 수평배치가 용이하지 못하기 때문에 설치환경에 따라 덕트의 가능한 배열구조가 한정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전등용 덕트 간 접속연결이 가능하도록 하여 배선의 노출을 차단함과 동시에 안정된 덕트구조의 구현이 가능한 전등용 덕트 접속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전등용 덕트 간 수평 또는 수직으로 연결이 가능함에 따라 설치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덕트 배열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덕트 접속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 하측에 램프가 설치되고 내부 상측에는 전기케이블이 배선되는 복수 개의 전등용 덕트를 연결하는 접속장치에 있어서,
중공형태로 일측개방부가 어느 한 전등용 덕트의 일단부와 체결되는 제1접속관과, 중공형태로 일측개방부가 다른 전등용 덕트에 체결되고 타측개방부가 상기 제1접속관의 타측개방부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제2접속관을 포함하되,
상기 제1접속관과 제2접속관의 연결부위는 임의의 접속관의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각 전등용 덕트의 측벽 외부면에는 체결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 고, 상기 제1접속관과 제2접속관의 양 측벽에는 결합 시 각각 상기 체결홈과 연통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체결부재로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접속관과 제2접속관의 일측개방부에는 일부가 절개되어 중공부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부 하측에 램프가 설치되고 내부 상측에는 전기케이블이 배선되는 복수 개의 전등용 덕트를 연결하는 접속장치에 있어서,
수평으로 설치되는 어느 한 전등용 덕트의 일측 단부와 체결되는 제2삽입부와, 수직으로 설치되는 다른 전등용 덕트의 일측 단부와 체결되는 제3삽입부를 포함하고 중공의 형태를 가지는 상측접속부재와,
상기 수직으로 설치되는 다른 전등용 덕트의 타측 단부와 체결되는 제1삽입부와, 수평으로 설치되는 또 다른 전등용 덕트가 체결되는 절개부를 포함하는 하측접속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측접속부재의 제1삽입부를 상기 수직으로 체결되는 전등용 덕트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제1삽입부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각 전등용 덕트의 측벽 외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된 체결홈과, 상기 상측접속부재의 제2삽입부와 제3삽입부의 측면 및 상기 하측접속부재의 제1삽입부의 측면과 절개부의 측면에 구비된 체결공을 포함하고, 체결수단이 상기 체결공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덕트의 형태가 다른 복수 개의 이종(異種) 덕트를 상호 연결하는 접속장치에 있어서,
케이블이 삽입되는 덕트가 체결되는 절개부와, 램프가 설치되고 전기케이블이 배선되는 전등용 덕트가 체결되는 삽입부와, 상기 형태가 다른 덕트의 접속에 의해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단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개부의 차단되는 일측면과, 상기 삽입부의 측면에 구비된 체결공에, 체결수단이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덕트의 형태가 다른 복수 개의 이종(異種) 덕트를 상하 높이 차를 가지고 평행으로 연결하는 접속장치에 있어서,
케이블이 삽입되는 덕트가 체결되는 삽입부와, 램프가 설치되고 전기케이블이 배선되는 전등용 덕트가 체결되는 절개부와, 상기 삽입부와 절개부 사이에 구비된 이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부 및 절개부의 측면에 구비된 체결공에 체결수단이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상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전등용 덕트 중 상측에 위치하는 제1덕트와 하측 에 위치되는 제2덕트가 접속장치를 통해 수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접속장치의 중공부와 각 덕트의 상측공간이 상호 연통됨에 따라 접속장치 구간을 지나가는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훼손의 우려가 차단된다.
또한, 이렇게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각 전등용 덕트를 연결할 수 있음에 따라 전체 덕트의 배열 구조가 견고해질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천장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전등용 덕트를 원하는 구조로 배열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등용 덕트(100)는 내부 중앙의 격벽(190)을 기준으로 상측의 상측공간(120)에는 케이블과 안정기 등이 설치되고, 하측의 하측공간(140)에는 램프홀더 및 램프(170)가 설치된다.
그리고 양 측벽(180)의 외부면에는 일정 깊이의 체결홈(22)이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상측공간(120)은 측벽(180) 및 덮개(180a)에 의해 사방이 폐쇄되고 하측공간(140)은 램프의 빛의 발산을 위해 하부가 개방된 형태를 띠며 상기 하측공간(140)의 내벽면에는 램프로부터 방출된 빛이 소정의 반사율로 반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굴곡면을 띠는 반사면이 구비된다.
상기 반사면은 알루미늄 본체를 그대로 이용하여 반사면을 갖도록, 알루미늄 중에서 아노다이징 알루미늄판(Anodized Aluminium Sheet)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알루미늄판을 이용하여 전등용 덕트(100)의 저면을 아노다이징 공법으로 처리된 반사면으로 구성하면, 총 반사율이 94%이상, 등기구 효율이 90% 이상으로 고조도, 고효율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면은 타원형으로 굴곡면을 형성할 수 있지만, 그 사용 용도 및 외관 상의 인테리어효과를 위해 다면으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아노다이징 알루미늄판을 이용하지 않고, 반사율이 높은 반사용 고조도 백색도장을 이용하여 처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반사용 고조도 백색도장의 반사율은 그 재료의 특성에 따라 반사율을 달리하나, 백색도장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94% 이상의 반사율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전등용 덕트(100)는 상부에 결합되는 행거수단을 통해 천장에 매달린 형태로 설치되고 일정 길이로 분할되어 연결되는 형태로 배열된다.
이때 천장의 구조 등에 따라 전등용 덕트(100)의 일부는 [도 3]처럼 상하 높이 차를 두고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배열될 수 있는데, 이때 수평 상태의 각 덕트(이하 제1덕트(20), 제2덕트(30)라 함)를 연결하기 위해 접속장치(40)를 사용한다.
상기 접속장치(40)는 제1접속관(42)과 제2접속관(4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접속관(42)은 사각 중공관 형태로 중공부의 단면은 제1덕트(20)의 외관 단면과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일측개방부(42a)의 상측이 일부 개방된 형태를 갖는다. 즉, 양 측벽(42b)과 바닥은 차단되지만, 상측은 개방된 형태를 띤다.
이렇게 상기 일측개방부(42a)의 상측을 개방하는 이유는 상기 제1덕트(20)의 일단부가 삽입될 때 상기 일측개방부(42a)와 상기 제1덕트(20) 간의 삽입 위치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일측개방부(42a)의 양 측벽(42b)에는 제1체결공(1000)을 형성하여 제1덕트(20)가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B) 등을 통해 상기 제1덕트(20)와 양 측벽(42b) 간의 체결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체결공(1000)은 상기 제1덕트(20)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1덕트(20)의 체결홈(22)과 체결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한다.
상기 제1접속관(42)은 상기 제1덕트(2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2접속관(43)은 제2덕트(30)와 연결된다.
상기 제2접속관(43)은 제1접속관(42)과 마찬가지로 사각 중공관의 형상으로, 일단부가 상기 제1접속관(42)의 타측개방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제1접속관(42)과 제2접속관(43)의 중공부가 상호 연통되는 형태를 가진다.
이때 제2접속관(43)은 제1접속관(42)과 수직형태로 연결되어 마치 'ㄱ'자 형태로 절곡된 형상을 띠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접속관(43)의 일측개방부(43a)는 제1접속관(42)과는 달리 전후측 일부가 개방되어 양 측벽(43b)만 차단된 형태를 갖는다. 이는 제2접속관(43)의 일측개방부(43a)가 제2덕트(30)의 상부에 수직으로 결합될 때, 상기 제2덕트(30)의 길이 방향이 일측개방부(43a)에 원활히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더불어 상기 제2접속관(43)의 일측개방부(43a)의 양 측벽(43b)에도 제2체결공(2000)을 형성시켜 볼트(B)와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제2덕트(30)와 체결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제2체결공(2000)도, 상기 제1접속관의 제1체결공(1000)과 마찬가지로 제2덕트(30)와 결합되었을 때, 제2덕트(30)의 체결홈(32)과 체결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한다.
상기 제2접속관(43)이 제2덕트(30)의 상면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제2덕트(30)의 커버(3000)는 제2접속관(43)이 결합되는 지점이 일부 절개된 형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제2접속관(43)과 제1접속관(42) 간의 연결되는 부분의 절곡 각도는 반드시 수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한 전등용 덕트가 기울어진 형태로 설치될 경우 수직 이외의 각도로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덕트(20)가 제1접속관(42) 내로 삽입되는 형태가 아니라, 반대로 제1접속관(42)이 제1덕트(20) 내로 삽입되는 형태로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접속관(43)의 상하 길이는 제1덕트(20)와 제2덕트(30) 사이의 상하 간격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제1접속관(42)의 횡 방향 길이 또한 제1덕트(20)와 제2덕트(30)의 연결부위 간 간격에 맞게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관(43)의 일측개방부(43a)의 양 측벽(43b)을 개방하고, 개방된 면을 측벽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접속장치를 사용하면, 제1덕트(20)와 제2덕트(30)는 '┯'의 형상으로 결합하게 된다. 즉, 상하 높이 차를 가지며 수직으로 설치되는 덕트의 결합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접속관(42)과 제2접속관(43)의 위치를 서로 바꾸어서, 상부가 제2접속관의 형상을 가지고, 하부가 제1접속관의 형상을 가지도록 제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접속장치(40)를 이용하여 상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각 전등용 덕트 간의 결합 과정 및 결합에 의한 효과를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덕트(20)의 일단부를 제1접속관(42)의 일측개방부(42a) 내에 삽입하는데, 이때 제1접속관(42)의 일측개방부(42a) 상측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제1덕트(20)와 접속 위치를 일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볼트(B)가 제1접속관(42)의 양 측 제1체결공(1000)을 각각 관통하여 제1덕트(20)의 양측 체결홈(22)에 체결됨으로써 제1접속관(42)과 제1덕트(20) 간의 결합이 완료된다.
따라서, 상기 제1접속관(42)의 일측개방부(42a)를 통해 제1덕트(20)의 상측공간(120)과 제1접속관(42)의 중공부가 연통된 형태가 된다.
그 후, 제2덕트(30)를 들어올려 커버(3000)의 절개부위를 통해 양 측벽의 상단부가 상기 제2접속관(43)의 일측개방부(43a)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볼트(B)가 제2접속관(43)의 양측 제2체결공(2000)을 각각 관통하여 제2덕트(30)의 양측 체결홈(32)에 체결됨으로써 제2접속관(43)의 제2덕트(30) 간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렇게 결합이 완료됨에 따라 접속장치(40)의 형상에 의해 상측에 위치되는 제1덕트(20)와 하측에 위치되는 제2덕트(30)가 접속장치(40)를 통해 수직으로 연결되고, 접속장치(40)의 중공부와 각 덕트 간 상측공간이 상호 연통됨에 따라 접속장치(40) 구간을 지나가는 케이블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훼손의 우려가 차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는, 결합하려는 덕트와 덕트 사이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상 떨어져 있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수직 또는 수평으로 덕트를 결합할 수 있는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상측접속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하측접속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이용하여 덕트와 덕트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3덕트(50)는 천장에 설치되고, 제5덕트(70)는 바닥에 설치된다고 가정할 때, 상기 제3덕트(50)와 제5덕트(70)를 연결하여 결합하면 벽면을 따라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벽면에 노출되는 케이블을 제4덕트(60)에 삽입하고, 상측접속부재(600)를 사용하여 상기 제4덕트(60)와 제3덕트(50)를 결합하고, 하측접속부재(500)를 사용하여 제4덕트(60)와 제5덕트(70)를 결합한다.
상기 상측접속부재(600)에 대해 [도 5]를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상측접속부재(600)는 육면체의 형상에서, 일측 모서리를 깍아서 경사진면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630)과 맞닿는 두 개의 면을 개방하여 제2삽입부(610) 와 제3삽입부(620)를 형성한다.
상기 경사면(630)과, 제2삽입부(610)와, 제3삽입부(620)를 포함하는 상측접속부재(600)의 상면과 후면은 차단하여, 상기 상측접속부재(600)의 내부는 중공으로 형성한다.
상기 제2삽입부(610)는 제3덕트(50)의 외관 단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측접속부재(600) 본체의 양 측면(640) 중 상기 제2삽입부와 가까운 쪽에 다수 개의 체결공(612)을 형성하여 상기 제3덕트(50)가 상기 제2삽입부(610)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B)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체결공(612)은 상기 제3덕트(50)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체결수단이 관통하여 상기 제3덕트(5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체결홈(52)에 체결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한다.
상기 제3삽입부(620)는 제4덕트(60)의 외관 단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측접속부재(600) 본체의 양 측면(640) 중 상기 제3삽입부와 가까운 쪽에 다수 개의 체결공(622)을 형성하여 상기 제4덕트(60)가 상기 제3삽입부(620)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B)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공(622)은 상기 제4덕트(60)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체결수단이 관통하여 상기 제4덕트(6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체결홈(62)에 체결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한다.
상기 제3덕트(50)가 제2삽입부(610)에 삽입되고, 상기 제4덕트(60)가 제3삽입부(620)에 삽입되면, 상기 제3덕트(50)와 상기 제4덕트(60)는 수직을 이루게 되 며, 덕트 내에 삽입된 케이블이 상기 상측접속부재(600)의 중공 내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케이블의 설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제4덕트(60)의 길이는 설치되는 위치에 맞게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4덕트(60)의 일측 단부는 상기 상측접속부재(600)의 제3삽입부(620)에 삽입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하측접속부재(500)의 제1삽입부(510)에 삽입된다. 상기 하측접속부재(500)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4덕트(60)와 수평으로 설치되는 제5덕트(70)를 연결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하측접속부재(500)는 제4덕트(60)가 삽입되는 제1삽입부(510)와, 상기 제1삽입부(510)의 사면이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된 제1삽입부 측면(514)과, 상기 제1삽입부 측면(514)에 제4덕트(60)와의 체결을 위해 형성된 체결공(512)과,
제5덕트(70)가 삽입되는 절개부(520)와, 체결공(522)을 포함하는 상기 절개부(520)의 양 측면(524)과, 상기 절개부의 양 측면(524)에 제5덕트(70)와의 체결을 위해 형성된 체결공(522)으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로 하여 상기 하측접속부재(500)의 각 부를 설명한다.
상기 제1삽입부(510)에는 상기 상측접속부재(600)의 제3삽입부(620)에 일측 단부가 삽입되어 접속 결합하는 제4덕트(60)의 타측 단부가 삽입된다.
상기 제1삽입부(510)는 상기 제4덕트(60)의 외관 단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삽입부(510)를 상기 제4덕트(6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시켜 제1삽입부 측면(514)을 형성한다.
상기 제1삽입부 측면(514)에는 다수 개의 체결공(512)을 형성하며, 상기 제4 덕트(60)가 상기 제1삽입부(510)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B)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해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체결공(512)은 상기 제4덕트(60)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4덕트(60)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체결홈(62)에 상기 체결수단이 체결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한다.
상기 체결공(512)은 상기 제1삽입부 측면(514) 중 상기 제4덕트(60)의 체결홈(62)이 접하는 양 측면에 다수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면당 두 개의 체결공(512)을 형성한다.
상기 절개부(520)는 상기 제5덕트(70)가 수평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도면 상의 좌/우측 면의 하단부를 절개하여 형성한다.
상기 절개부(520)는 상기 제5덕트(7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5덕트(70)의 상부면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절개부(520)의 양 측면(524)에는 상기 제5덕트(70)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공(522)이 다수 개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522)은 상기 제5덕트(70)가 상기 절개부(520)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B)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해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체결공(522)은 상기 제5덕트(70)가 결합될 때, 상기 제5덕트(7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체결홈(72)에 체결수단이 체결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한다.
상기 체결공(522)은 다수 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측면에 세 개의 체결공(522)을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접속 결합하려는 덕트와 덕트 사이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상일 경우 사용할 수 있는 상기 상측접속부재(600)와 하측접속부재(500)를 사용하여 배치되는 전등용 덕트 간의 결합과정을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접속부재(600)는 제3덕트(50)와 제4덕트(60)를 접속 결합하고, 상기 하측접속부재(500)는 제4덕트(60)와 제5덕트(70)를 접속 결합하기 위해 사용한다.
상기 제3덕트(50)의 일측 단부가 상기 상측접속부재(600)의 제2삽입부(610)에 삽입되고, 상기 상측접속부재(600)의 측면(640)에 구비된 체결공(612)에 볼트(B)를 관통시켜 상기 제3덕트(50)의 체결홈(52)에 체결하여 상기 제3덕트(50)와 상측접속부재(600)의 결합이 완료된다.
상기 제4덕트(60)와 상기 상측접속부재(600)와의 결합은, 상기 상측접속부재(600)의 제3삽입부(620)에 상기 제4덕트(60)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상측접속부재(600)의 측면에 구비된 체결공(622)에 볼트(B)를 관통시켜 상기 제4덕트(60)의 체결홈(62)에 체결하여 완료된다.
즉, 케이블은 상기 제2삽입부(610)와 제3삽입부(620)를 관통하며, 상기 제2삽입부(610)와 제3삽입부(620)가 맞닿는 경사면(630)에 의해 상기 상측접속부재(200) 내부의 중공에 수납되고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4덕트(60)의 타측 단부가 상기 하측접속부재(500)의 제1삽입부(510)에 삽입되고, 상기 제1삽입부 측면(514)의 체결공(512)에 볼트(B)를 관통시켜 상기 제4덕트(60)의 체결홈(62)에 체결하여 결합된다.
상기 하측접속부재(500)와 제5덕트(70)의 결합은 상기 하측접속부재(500)의 절개부(520)에 상기 제5덕트(70)가 삽입되고, 상기 절개부의 측면(524)에 구비된 체결공(522)에 볼트(B)를 관통시켜 상기 제5덕트(70)의 체결홈(72)에 체결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 간 접속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결합하는 덕트의 종류가 다른 경우에 사용하는 이종(異種) 덕트 수직 결합용 접속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상기 이종 덕트 수직 결합용 접속장치를 사용하여 이종 덕트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는 서로 다른 형태의 두 덕트가 같은 평면 상에서 수직으로 접속하여 결합할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이종 덕트 수직 결합용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3실시예와 제4실시예에서는 내부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덕트(이하 '두께가 얇은 덕트'라 함, 90)와, 내부 하측에 램프가 설치되고 내부 상측에는 전기케이블이 삽입되는 덕트(이하 '두께가 두꺼운 덕트'라 함, 80)가 접속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이종 덕트 수직 결합용 접속장치(700)는 절개부(720), 절개부 측면(724), 단턱부(730), 체결공(712, 722), 삽입부(710), 삽입부 측면(71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절개부(720)에는 덕트의 두께가 얇은 덕트(90)가 삽입되며, 상기 절개부(720)의 상부와 일측면(이하 '절개부 측면'이라 함, 724)은 밀폐되고, 하부와 타 측면은 개방되어 형성된다.
상기 타 측면의 하단부에는 두께가 얇은 덕트(90)가 상기 절개부(720)에 삽입되었을 때, 두께가 두꺼운 덕트(80)와 내부의 중공부가 연결되고,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단턱부(7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턱부(730)는 상기 두께가 두꺼운 덕트(80)와 두께가 얇은 덕트(90)의 두께의 차이만큼의 높이를 가진다.
상기 절개부 측면(724)은 상기 단턱부(730)의 높이까지만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 측면(724)에는 두께가 얇은 덕트(90)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722)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722)은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이 관통하여 상기 덕트(90)에 결합하도록 한다.
상기 삽입부(710)에는 두께가 두꺼운 덕트(80)가 삽입되고, 상부, 하부 및 양 측면이 차단되고 내부에는 공간을 구비한 형상을 가진다.
상기 삽입부의 측면(714)에는 체결공(71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덕트(80)를 상기 삽입부(710)에 삽입하고,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관통시켜 상기 덕트(80)의 체결홈(82)에 체결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체결공(712)은 상기 덕트(80)가 결합될 때, 상기 덕트(8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체결홈(82)에 체결수단이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한다.
[도 9]를 참고로 결합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삽입부(710)에 상기 두께가 두꺼운 덕트(80)를 삽입하고, 체결수단이 상기 체결공(712)을 관통시키도록 하여 상기 덕트(80)의 체결홈(82)에 체결하여 결 합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두께가 얇은 덕트(90)를 들어올려 상기 절개부(720)에 삽입하고, 체결수단이 상기 체결공(722)을 관통하도록 하여 상기 덕트(90)에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의 과정을 거쳐, 상기 접속장치(700)를 이용하여 상기 두께가 얇은 덕트(90)과 상기 두께가 두꺼운 덕트(80)를 연결 결합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 간 접속장치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이종(異種) 덕트 상하 평행 결합용 접속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이종 덕트 상하 평행 결합용 접속장치를 사용하여 이종 덕트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이종 덕트 상하 평행 결합용 접속장치(800)는 삽입부(860), 체결공(862), 절개부(820), 체결공(822), 측면(824), 이음부(8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부(860)는 두께가 얇은 덕트(9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두께가 얇은 덕트(90)의 외관 단면과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860)에 두께가 얇은 덕트(90)가 삽입되어 결합할 때, 상기 측면(824)에 형성된 체결공(862)을 볼트(B)와 같은 체결수단이 관통하여 체결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절개부(820)는 두께가 두꺼운 덕트(8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두께 가 두꺼운 덕트(80)의 상부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820)에 상기 두께가 두꺼운 덕트(80)를 삽입하고, 측면(824)의 하단부에 구비된 체결공(822)에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체결하여 결합한다.
상기 체결공(822)은 상기 덕트(80)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덕트(8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체결홈(82)에 체결수단이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한다.
상기 이음부(840)는 상하로 평행하게 결합되는 각 덕트 간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접속 결합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삽입부(860)에 두께가 얇은 덕트(90)를 삽입하고, 볼트를 체결공(862)에 관통시켜 상기 덕트(90)에 체결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두께가 두꺼운 덕트(80)를 들어올려 상기 절개부(820)에 삽입하고,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공(822)을 관통시켜 상기 덕트(80)의 체결홈(82)에 체결하여 결합한다.
즉,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접속장치(800)는, 상부에는 두께가 얇은 덕트(90)가, 하부에는 두께가 두꺼운 덕트(80)가 위치되어, 이종 덕트 간에 상하 수평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에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간격을 두고 수평 또는 수직으로 배열되는 각 전등용 덕트를 연결할 수 있음에 따라 전체 덕트 배열 구조가 견고해질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천장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전등용 덕트를 원하는 구조로 배열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발생된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전등용 덕트 접속장치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되고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들이 상하 간격을 두고 수평배열되는 전등용 덕트를 수직연결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케이블의 노출을 방지함과 동시에 천장의 구조에 상관없이 견고한 덕트 배열이 가능하도록 한 구조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전등용 덕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전등용 덕트가 상하 높이 차를 두고 수평 위치된 상태에서, 접속장치와 각 전등용 덕트 간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3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상측접속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하측접속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덕트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이종 덕트 수직 결합용 접속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접속장치를 사용하여 이종 덕트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이종 덕트 상하 평행 결합용 접속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에의 접속장치를 사용하여 이종 덕트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등용 덕트 120 : 상측공간
140 : 하측공간 170 : 램프 및 램프홀더
180 : 측벽 190 : 격벽
20 : 제1덕트 30 : 제2덕트
22, 32 : 체결홈 40 : 접속장치
42 : 제1접속관 42a : 제1접속관의 일측개방부
43 : 제2접속관 43a : 제2접속관의 일측개방부

Claims (10)

  1. 내부 하측에 램프가 설치되고 내부 상측에는 전기케이블이 배선되는 복수 개의 전등용 덕트를 상호 연결하는 접속장치에 있어서,
    중공형태로 일측개방부가 어느 한 전등용 덕트의 일단부와 체결되는 제1접속관과, 중공형태로 일측개방부가 다른 전등용 덕트에 체결되고 타측개방부가 상기 제1접속관의 타측개방부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제2접속관을 포함하되,
    상기 제1접속관과 제2접속관은 연결부위를 기준으로 특정한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용 덕트의 접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전등용 덕트의 측벽 외부면에는 체결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접속관과 제2접속관의 양 측벽에는 결합 시 각각 상기 체결홈과 연통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체결부재로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용 덕트의 접속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관과 제2접속관의 일측개방부에는 일부가 절개되어 중공부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용 덕트의 접속장치.
  4. 내부 하측에 램프가 설치되고 내부 상측에는 전기케이블이 배선되는 복수 개의 전등용 덕트를 상호 연결하는 접속장치에 있어서,
    수평으로 설치되는 어느 한 전등용 덕트의 일측 단부와 체결되는 제2삽입부와, 수직으로 설치되는 다른 전등용 덕트의 일측 단부와 체결되는 제3삽입부를 포함하고 중공의 형태를 가지는 상측접속부재와,
    상기 수직으로 설치되는 다른 전등용 덕트의 타측 단부와 체결되는 제1삽입부와, 수평으로 설치되는 또 다른 전등용 덕트가 체결되는 절개부를 포함하는 하측접속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용 덕트의 접속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접속부재의 제1삽입부를 상기 수직으로 체결되는 전등용 덕트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제1삽입부 측면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용 덕트의 접속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전등용 덕트의 측벽 외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된 체결홈과, 상기 상측접속부재의 제2삽입부와 제3삽입부의 측면 및 상기 하측접속부재의 제1삽입부의 측면과 절개부의 측면에 구비된 체결공을 포함하고, 체결수단이 상기 체결공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전등용 덕트의 접속장치.
  7. 덕트의 형태가 다른 복수 개의 이종 덕트를 상호 연결하는 접속장치에 있어서,
    케이블이 삽입되는 덕트가 체결되는 절개부와, 램프가 설치되고 전기케이블이 배선되는 전등용 덕트가 체결되는 삽입부와, 상기 형태가 다른 덕트의 접속에 의해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단턱부를 포함하여, 상기 이종 덕트가 같은 평면상에서 수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덕트 수직 결합용 접속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의 차단되는 일측면과, 상기 삽입부의 측면에 구비되는 체결공에 체결수단이 관통하여 상기 각 덕트에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덕트 수직 결합용 접속장치.
  9. 덕트의 형태가 다른 복수 개의 이종 덕트를 상호 연결하는 접속장치에 있어서,
    케이블이 삽입되는 덕트가 체결되는 삽입부와, 램프가 설치되고 전기케이블이 배선되는 전등용 덕트가 체결되는 절개부와, 상기 삽입부와 절개부의 사이에 구비되는 이음부를 포함하여 상기 이종 덕트가 상하 높이 차를 가지며 평행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덕트 상하 평행 결합용 접속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 및 절개부의 측면에 구비된 체결공에 체결수단이 관통하여 상기 각 덕트에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덕트 상하 평행 결합용 접속장치.
KR1020080065819A 2008-07-08 2008-07-08 전등용 덕트의 접속장치 KR101027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819A KR101027086B1 (ko) 2008-07-08 2008-07-08 전등용 덕트의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819A KR101027086B1 (ko) 2008-07-08 2008-07-08 전등용 덕트의 접속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8420A Division KR20100087687A (ko) 2010-06-21 2010-06-21 이종 덕트 결합용 전등용 덕트의 접속장치
KR1020100058422A Division KR20100087688A (ko) 2010-06-21 2010-06-21 이종 덕트 수직결합용 전등용 덕트의 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780A true KR20100005780A (ko) 2010-01-18
KR101027086B1 KR101027086B1 (ko) 2011-04-05

Family

ID=41815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5819A KR101027086B1 (ko) 2008-07-08 2008-07-08 전등용 덕트의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70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2145B1 (ko) 2021-02-15 2023-06-13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용 덕트 연결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493Y1 (ko) * 2000-07-07 2000-12-15 김경미 배선덕트용 코너연결장치
KR200338447Y1 (ko) * 2003-10-06 2004-01-16 김경미 슬림형 배선덕트에 설치되는 배선기구를 결합하기 위한연결구
KR100714403B1 (ko) * 2005-06-24 2007-05-04 이영래 케이블용 덕트의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
KR100745194B1 (ko) * 2005-10-05 2007-08-01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덕트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7086B1 (ko) 2011-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6372B1 (en) Ceiling light fitting having light source and reflector arranged on narrow side of plate-shaped light guide
KR101257816B1 (ko) 개선된 구조의 엘이디 주차장 등기구
JP5498618B1 (ja) 照明器具
KR100820084B1 (ko) 전등용덕트의 접속장치
JP2003092006A (ja) 照明器具及び照明灯
US20160305618A1 (en) Luminaire
KR100820085B1 (ko) 등기구 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의 보호커버
KR20100005780A (ko) 전등용 덕트의 접속장치
US7147346B2 (en) Flat lighting fixture
EP2515033A1 (en) Lighting system
US11306886B2 (en) Light fixture
KR20100087688A (ko) 이종 덕트 수직결합용 전등용 덕트의 접속장치
KR20100087687A (ko) 이종 덕트 결합용 전등용 덕트의 접속장치
KR20090078594A (ko) 조명등기구가 설치되는 배선 덕트
KR200404598Y1 (ko) 전등용 덕트의 디퓨저 결합 구조
KR100721379B1 (ko) 다양한 고정구조에 적용 가능한 형광등기구 및 이를 이용한천정마감의 시공방법
KR200490707Y1 (ko) 설치가 편리한 부착형 등기구
JP6815188B2 (ja) 照明装置
JP2007066760A (ja) 照明器具
JP5139929B2 (ja) 照明器具
KR100474492B1 (ko) 천정매입형 형광등기구
US20090296404A1 (en) Universal mount lighting fixture
KR101014827B1 (ko) 전등용 덕트의 연결부재
JP6991617B2 (ja) 照明器具用取り付け具および照明装置
JP7203354B2 (ja) 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