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466U - 천장 점검구 - Google Patents

천장 점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466U
KR20100005466U KR2020080015413U KR20080015413U KR20100005466U KR 20100005466 U KR20100005466 U KR 20100005466U KR 2020080015413 U KR2020080015413 U KR 2020080015413U KR 20080015413 U KR20080015413 U KR 20080015413U KR 20100005466 U KR20100005466 U KR 201000054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outer frame
opening
ceiling
inn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54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숙
Original Assignee
김용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숙 filed Critical 김용숙
Priority to KR20200800154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5466U/ko
Publication of KR201000054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46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8Built-in cupboards; Masks of niches; Covers of holes enabling access to insta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장 점검구에 관한 것으로, 각종 건물의 천장 내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천장 점검구를 특정 보강구조를 통해 보다 견고하게 하고, 개폐부재를 폐쇄시킨 상태에서의 유동을 저감시킴과 아울러 개폐부재의 고장 시 보수작업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천장 점검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천장 점검구는, 정사각형틀 형상을 갖는 외부프레임 및 외면의 둘레가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면과 유사한 크기로 이루어져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부에 결합되는 내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외부프레임의 양측면 후단부 측에는 각각 결합홀이 천공되고 상기 내부프레임의 양측면 후단부 측을 관통해서는 힌지부가 구비되어 상기 힌지부가 결합홀을 관통하여 설치됨에 따라 상기 외부프레임 및 내부프레임은 상호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힌지부가 설치된 지점과 대응되는 상기 외부프레임 및 내부프레임에는 개폐장치가 설치되어 상기 내부프레임이 외부프레임 내에서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이루어진 천장 점검구에 있어서; 상기 외부프레임의 안착부 하측에 해당하는 외면을 따라서는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보강부가 형성되어, 천장재의 측면과 맞닿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면을 따라서는 상기 내부프레임의 폐쇄위치를 제한함과 아울러 보강재 역할을 하는 단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천장점검구, 내부프레임, 외부프레임, 개폐장치, 보강부, 단턱부, 천장재

Description

천장 점검구{A ACCESS DOOR}
본 고안은 천장 점검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건물의 천장 내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천장재 사이에 개폐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천장 점검구를 특정 구조의 개폐장치를 매개로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매우 견고한 구조를 갖으면서 외부 노출도 최소화 되도록 한 천장 점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물의 천장 슬라브 하측에는 앵커를 매립하여 상수도 및 하수도 배관과 전기배선 등의 각종 시설물을 고정 설치한 후 그 하측에 다양한 종류의 천장재를 설치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각종 시설물을 은폐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천장재가 설치되는 위치의 소정 지점에는 상술한 각종 시설물의 점검 및 유지보수 작업 등을 위해 해당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한 구조로 천장 점검구가 설치되게 된다.
이때, 상기 천장 점검구는 대략 사각틀 형상을 갖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그 몸체에는 다양한 구조를 갖는 개폐장치가 구비되어 작업자는 상기 개폐부재를 조작하면서 상기 천장 점검구를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에, 본 출원인은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391122호를 통하여, "대략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측면의 소정 위치에는 상호 마주보도록 한 쌍의 결합홀이 천공된 제 1프레임; 및 그 외면의 둘레가 상기 제 1프레임의 내면과 유사한 크기로 이루어져 그 일측에 구비된 힌지부를 매개로 상기 제 1프레임의 내부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 2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천장 점검구에 구비되는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프레임의 상기 힌지부와 대응되는 내면에는, 대략 “┗” 형상을 갖는 판형의 부재로 이루어져 그 상단부 측에는 관통홀이 천공되고 하단부 측에는 조작부가 절곡 형성됨과 아울러 그 몸체의 일측에는 대략 반원형상을 갖는 요입홈 및 상기 요입홈과 인접한 지점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유동부재;와 그 정면이 대략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몸체에는 상기 유동부재의 관통홀과 연통되는 관통홀이 천공됨과 아울러 그 하측에는 요입부가 형성되며 그 상단부 및 양단부 상측에는 플랜지가 형성된 브라켓트; 및 상기 유동부재 및 브라켓트의 관통홀을 관통하는 결합부재가 그 몸체를 관통함에 따라 상기 브라켓트 내에 상기 유동부재와 일체로 결합되고 그 양단부는 각각 브라켓트 상단부의 플랜지 및 상기 유동부재의 탄성돌기에 맞닿아 상기 유동부재에 소정 탄성력을 인가하는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개폐부재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개폐부재와 대응되는 상기 제 2프레임의 외면에는, 상기 유동부재의 요입홈 및 브라켓트의 요입부에 선택적으로 삽입 단속되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점검구의 개폐장치"를 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개폐장치를 갖는 천장 점검구에 있어서는, 상기 천장 점검구를 설치한 후 상기 개폐장치를 매개로 천장 점검구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개폐장치의 유격에 의해 약간의 유동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한편, 개폐부재의 고장 시에 개폐부재를 보수하기 위해서는 설치된 천장 점검구를 천장재로부터 분리시켜야만 상기 개폐부재를 해체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천장 점검구를 구성하는 프레임은 외부의 충격이나 설치 후 장기간 경과에 따라 임의적인 휨이나 뒤틀림 등이 발생될 수도 있으므로, 보다 견고한 천장 점검구를 요구하는 소비자의 만족도를 충족시키는데도 한계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각종 건물의 천장 내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천장 점검구를 특정 보강구조를 통해 보다 견고하게 하고, 개폐부재를 폐쇄시킨 상태에서의 유동을 저감시킴과 아울러 개폐부재의 고장 시 보수작업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천장 점검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천장 점검구는, 정사각형틀 형상을 갖는 외부프레임 및 외면의 둘레가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면과 유사한 크기로 이루어져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부에 결합되는 내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외부프레임의 양측면 후단부 측에는 각각 결합홀이 천공되고 상기 내부프레임의 양측면 후단부 측을 관통해서는 힌지부가 구비되어 상기 힌지부가 결합홀을 관통하여 설치됨에 따라 상기 외부프레임 및 내부프레임은 상호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힌지부가 설치된 지점과 대응되는 상기 외부프레임 및 내부프레임에는 개폐장치가 설치되어 상기 내부프레임이 외부프레임 내에서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이루어진 천장 점검구에 있어서; 상기 외부프레임의 안착부 하측에 해당하는 외면을 따라서는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보강부가 형성되어, 천장재의 측면과 맞닿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면을 따라서는 상기 내부프레임의 폐쇄위치를 제한함과 아울러 보강재 역할 을 하는 단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개폐장치는; 정면이 "┚” 형상을 갖는 판형의 부재로 이루어져 상단부 측에는 관통홀이 천공되고 하단부 측에는 조작부가 절곡 형성됨과 아울러 그 몸체의 일측에는 반원형상을 갖는 요입홈 및 상기 요입홈과 인접한 지점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유동부재와, 정면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몸체에는 상기 유동부재의 관통홀과 연통되는 관통홀이 천공됨과 아울러 그 하측에는 요입부가 형성되며 상단부 및 양단부에는 플랜지가 형성된 브라켓트 및, 상기 유동부재 및 브라켓트의 관통홀을 관통하는 결합나사가 그 몸체를 관통함에 따라 상기 브라켓트 내에 설치되고 양단부는 각각 브라켓트 상단부의 플랜지 및 상기 유동부재의 탄성돌기에 맞닿아 상기 유동부재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개폐부재가 상기 외부프레임 내면에 설치되고; 상기 개폐부재와 대응되는 상기 내부프레임 외면에는, 상기 유동부재의 요입홈 및 브라켓트의 요입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삽입 단속되도록 그 외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된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나사는 브라켓트를 관통한 후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면에서 외면을 관통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나사의 단부 측에 대응되는 외부프레임 외면에는 암나사부로 이루어진 고정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유동부재 조작부의 폭은 천장 점검구가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외부프레임 하면의 폭과 동일한 치수를 갖도록 이루어져, 천장 점검구의 노출부위가 최소화 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르면, 각종 건물의 천장 내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천장 점검구를 특정한 보강구조를 갖도록 하여 외력이나 장기간 경과에 따라 발생되는 휨이나 뒤틀림 등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보다 견고한 구조를 갖는 고품질의 천장 점검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특정 구조의 개폐장치를 매개로 한 천장 점검구의 폐쇄 시에 임의적인 유동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개폐부재의 고장 시에는 천장 점검구의 해체없이 간편하게 보수작업을 행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도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천장 점검구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천장 점검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및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천장 점검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 후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천장 점검구의 외부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천장 점검구의 개폐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먼저,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천장 점검구의 개폐장치는, 대략 정사각틀 형상을 갖는 외부프레임(100) 및 내부프레임(200), 상기 외부프레임(100) 내에 선택적으로 내부프레임(200)이 개폐되도록 장착되는 개폐부재(10) 및 걸림돌기(230)로 이 루어진 개폐장치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외부프레임(100)은 소정 크기의 대략 정사각형틀 형상을 갖으며, 상기 내부프레임(200)은 그 외면의 둘레가 상기 외부프레임(100)의 내면과 유사한 크기를 갖도록 이루어져 상기 외부프레임(100)의 내부에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외부프레임(100)의 양측면 후단부 측에는 각각 결합홀(140)이 천공되는 한편, 상기 내부프레임(200)의 양측면 후단부 측을 관통해서는 힌지부(220)가 구비되어 상기 힌지부(220)가 상기 결합홀(140)을 관통하여 설치됨에 따라 상기 외부프레임(100) 및 내부프레임(200)은 상호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며, 또한 상기 힌지부(220)가 설치된 지점과 대응되는 상기 외부프레임(100) 및 내부프레임(200)에는 특정 구조의 개폐장치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외부프레임(100)의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의 외면을 따라서는 점검구의 설치 시에 외부프레임(100)이 천장재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안착부(110)가 수평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안착부(100)의 하측에 해당하는 외면을 따라서는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두께가 얇아지도록 일정 기울기로 경사지게 형성된 보강부(120)가 형성되어, 외부프레임(100)의 강도를 크게 증대시키게 된다.
또, 상기 외부프레임(100)의 내면의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는 단턱부(130)가 수평으로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는데, 상기 단턱부(130)는 상기 내부프레임(200)의 폐쇄 시에 그 하면에 상기 내부프레임(200)의 안착부(210) 상면이 맞닿음에 따라 폐쇄위치를 제한하게 됨과 아울러 외부프레임(100)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참조부호 150 및 250은 외부프레임(100) 및 내부프레임(200)의 모서리부분에 각각 장착되어, 각 프레임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재를 나타낸다.
한편, 상기 외부프레임(100) 및 내부프레임(200)에 설치되는 개폐장치는, 상기 외부프레임(100)의 내면에 설치되는 개폐부재(10) 및 상기 내부프레임(200)의 외면에 설치되는 걸림돌기(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개폐부재(10)는 대략 “┗” 형상을 갖는 판형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상단부 측에는 관통홀(22)이 천공됨과 아울러 하단부 측에는 조작부(30)가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 형성되고, 몸체 일측에는 대략 반원형상을 갖는 요입홈(26)이 형성되며, 상기 요입홈(26)과 인접한 지점에는 일정 기울기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내부프레임(200)의 걸림돌기(230)가 가이드된 후 상기 요입홈(26)에 단속되도록 하는 가이드부(24)가 형성되고, 상기 요입홈(26)의 타측에는 토션스프링(60)의 일측 단부가 맞닿음에 따라 토션스프링(60)으로부터 소정 탄성력을 인가받는 탄성돌기(28)가 대략 수직으로 절곡 형성된 유동부재(20)와, 그 정면의 형상이 대략 정사각형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져 그 상단부 및 양단부에는 플랜지(44)가 대략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 형성되고, 그 몸체의 대략 중앙부분에는 상기 유동부재(20)의 관통홀(22)과 연통되는 관통홀(42)이 천공되며, 상기 관통홀(42)이 천공된 위치의 하측에는 요입부(46)가 형성된 브라켓트(40) 및, 정면이 대략 "<"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져 상기 브라켓트(40) 내에 설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브라켓트(40) 상단부 측의 플랜지 및 탄성돌기(28)에 각각 맞닿아 유동부재(20)에 소정 탄성력을 인가하는 토 션스프링(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토션스프링(60)은 그 몸체의 중심이 상기 브라켓트(40)의 관통홀(42) 및 유동부재(20)의 관통홀(22)을 관통하는 결합나사(50)에 관통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그 상측 단부는 상기 브라켓트(40) 상단부 측의 플랜지(44) 하면에 단속됨과 아울러, 그 하측 단부는 상기 유동부재(20)의 탄성돌기(28)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결합나사(50)는 브라켓트(40)를 관통한 후, 상기 외부프레임(100)을 내면에서 외면으로 관통한 상태로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결합나사(50)의 단부 측에 대응되는 외부프레임(100)의 외면에는 암나사부를 갖는 고정부재(70)가 설치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개폐부재(10)의 고장 시에는 상기 결합나사(50)만을 풀어 개폐부재(10)를 해체하여 용이하게 보수작업을 수행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프레임의(200)의 외면에 고정되는 상기 걸림돌기는(230) 대략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유동부재(20)의 요입홈(26) 및 브라켓트(40)의 요입부(46)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내부프레임(200)을 폐쇄시키게 되는데, 이때 그 단속상태를 견고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유동부재(20)의 요입홈(26) 및 브라켓트(40)의 요입부(46)와 대응되는 걸림돌기(230)의 외주면을 따라서는 홈(232)이 요입 형성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특정 구조의 개폐장치가 구비된 천장 점검구를 건물의 천장 일정 지점에 설치하는데 있어서는, 천장 점검구의 설치를 위한 천장재 사이의 정사각형 형상의 공간부 내에 점검구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외부프레임(100)의 안착부(110) 하면이 상기 공간부 주위의 천장재 가장자리 부분에 안착되도록 하여 천장 점검구를 설치하게 되며, 이때 천장재의 측면은 상기 외부프레임(100)의 보강부(120)와 맞닿은 상태가 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얇아지도록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 상기 보강부(120)의 하단 측과 천장재 사이에는 대략 2밀리미터[mm] 정도의 틈이 형성되게 되는데, 상기 틈에 실리콘 등의 마감재를 충진시키거나 도배지의 단부를 말아 넣음에 따라 견고하면서도 깔끔한 시공을 행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외부프레임(100)에 힌지부(220) 및 개폐장치를 통해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내부프레임(200)의 안착부(210) 하면에 천장재가 맞닿은 상태가 되도록 고정시킴에 따라 천장 점검구의 설치가 완료되게 된다.
이때, 상기 천장 점검구는 외부프레임(100) 및 내부프레임(200) 하단의 노출면적이 매우 적은 구조이므로, 천장 점검구의 노출에 따라 천장 미관을 해치는 것이 최소화될 수가 있게 된다.
또, 상기 내부프레임(200)의 개폐를 위한 조작부(30)의 폭(d1)도 상기 외부프레임(100) 하면의 폭(d2)과 동일한 치수를 갖도록 이루어져, 그 노출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천장 점검구의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천장 점검구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데 있어서는, 상기 내부프레임(100)에 설치된 유동부재(20)의 조작부(30)를 작업자가 하측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결합나사(50)를 중심으로 상기 유동부재(20)의 하단부 측이 연동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브라켓트(40)의 요입부(46)를 폐쇄시키고 있는 상기 유동부재(20)의 요입홈(26)이 상기 요입부(46)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상기 내부프레임(200)의 걸림돌기(230)가 상기 브라켓트(40)의 요입부(46)로부터 이탈하면서, 일측이 힌지부(220)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내부프레임(100)의 타측이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떨어지면서 상기 천장 점검구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조작부(30)는 천장 점검구의 개방 후, 인가된 가압력이 해제됨에 따라 그 내부에 구비된 토션스프링(60)의 탄성작용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상기 외부프레임(100)의 하면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또한, 개방된 천장 점검구를 폐쇄시키는데 있어서는, 상기 내부프레임(100)이 상기 외부프레임(200) 내에 위치되도록 내부프레임(100)의 타측에 상측을 향한 외력을 인가하게 되면, 상기 내부프레임(200)의 걸림돌기(230)의 홈(232)이 상기 유동부재(20)의 가이드부(24)를 타고 이동하면서 그 외력을 상기 가이드부(24) 측에 전달하게 되고, 특히 상기 걸림돌기(230)의 홈(232)이 상기 가이드부(24)와 요입홈(26)의 경계부분을 통과할 시에는 상기 걸림돌기(230)의 외력에 의해 상기 유동부재(20)가 일정 각도만큼 회동되게 된다.
이에, 상기 브라켓트(40)의 요입부(46)를 폐쇄시키고 있는 상기 유동부재(20)의 요입홈(26)이 약간 이동되면서 상기 요입부(46)를 순간적으로 개방시키게 되고, 이때 상기 내부프레임(200)의 걸림돌기(230) 홈(232) 부분이 상기 요입부(46) 내부로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유동부재(20)는 상기 탄성돌기(28)에 맞닿은 토션스프링(60)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다시 상기 요입부(46)를 폐쇄시켜 상기 걸림돌기(230)의 홈(232) 부분을 단속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내부프레임(200)의 폐쇄 시에는 상기 내부프레임(200)의 안착부(210) 상면이 상기 외부프레임(100)의 단턱부(130)에 맞닿음에 따라, 그 폐쇄위치가 제한되어 무리한 외력이 인가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즉, 이에 따라 상기 내부프레임(200)은 상기 요입홈(26) 및 요입부(46)를 매개로 형성된 공간부 내에 상기 걸림돌기(230)의 홈(232) 부분이 끼워져 단속됨에 따라, 유격에 의한 흔들림이 저감되면서 매우 견고한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 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고안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천장 점검구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천장 점검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및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천장 점검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 후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천장 점검구의 외부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천장 점검구의 개폐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개폐부재, 20: 유동부재,
22,42: 관통홀, 24: 가이드부,
26: 요입홈, 28: 탄성돌기,
30: 조작부, 40: 브라켓트,
44: 플랜지, 46: 요입부,
50: 결합나사, 60: 토션스프링,
70: 고정부재, 100: 외부프레임,
110,210: 안착부, 120: 보강부,
130: 단턱부, 140: 결합홀,
150,250: 보강부재, 200: 내부프레임,
220: 힌지부, 230: 걸림돌기,
232: 홈.

Claims (4)

  1. 정사각형틀 형상을 갖는 외부프레임 및 외면의 둘레가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면과 유사한 크기로 이루어져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부에 결합되는 내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외부프레임의 양측면 후단부 측에는 각각 결합홀이 천공되고 상기 내부프레임의 양측면 후단부 측을 관통해서는 힌지부가 구비되어 상기 힌지부가 결합홀을 관통하여 설치됨에 따라 상기 외부프레임 및 내부프레임은 상호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힌지부가 설치된 지점과 대응되는 상기 외부프레임 및 내부프레임에는 개폐장치가 설치되어 상기 내부프레임이 외부프레임 내에서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이루어진 천장 점검구에 있어서;
    상기 외부프레임의 안착부 하측에 해당하는 외면을 따라서는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보강부가 형성되어, 천장재의 측면과 맞닿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면을 따라서는 상기 내부프레임의 폐쇄위치를 제한함과 아울러 보강재 역할을 하는 단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점검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정면이 "┚” 형상을 갖는 판형의 부재로 이루어져 상단부 측에는 관통홀이 천공되고 하단부 측에는 조작부가 절곡 형성됨과 아울러 그 몸체의 일측에는 반원 형상을 갖는 요입홈 및 상기 요입홈과 인접한 지점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유동부재와, 정면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몸체에는 상기 유동부재의 관통홀과 연통되는 관통홀이 천공됨과 아울러 그 하측에는 요입부가 형성되며 상단부 및 양단부에는 플랜지가 형성된 브라켓트 및, 상기 유동부재 및 브라켓트의 관통홀을 관통하는 결합나사가 그 몸체를 관통함에 따라 상기 브라켓트 내에 설치되고 양단부는 각각 브라켓트 상단부의 플랜지 및 상기 유동부재의 탄성돌기에 맞닿아 상기 유동부재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개폐부재가 상기 외부프레임 내면에 설치되고;
    상기 개폐부재와 대응되는 상기 내부프레임 외면에는, 상기 유동부재의 요입홈 및 브라켓트의 요입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삽입 단속되도록 그 외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된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점검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나사는 브라켓트를 관통한 후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면에서 외면을 관통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나사의 단부 측에 대응되는 외부프레임 외면에는 암나사부로 이루어진 고정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점검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재 조작부의 폭은 천장 점검구가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외부프레임 하면의 폭과 동일한 치수를 갖도록 이루어져, 천장 점검구의 노출부위가 최소화 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점검구.
KR2020080015413U 2008-11-19 2008-11-19 천장 점검구 KR2010000546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413U KR20100005466U (ko) 2008-11-19 2008-11-19 천장 점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413U KR20100005466U (ko) 2008-11-19 2008-11-19 천장 점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466U true KR20100005466U (ko) 2010-05-27

Family

ID=44451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5413U KR20100005466U (ko) 2008-11-19 2008-11-19 천장 점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546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829Y1 (ko) * 2013-05-23 2013-07-08 김도영 점검구 개폐장치
KR101300696B1 (ko) * 2013-03-26 2013-08-26 주식회사 기연써프라이 천장 점검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696B1 (ko) * 2013-03-26 2013-08-26 주식회사 기연써프라이 천장 점검구
KR200467829Y1 (ko) * 2013-05-23 2013-07-08 김도영 점검구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8181B1 (ko) 이중차단형 도어 장치
KR20100005466U (ko) 천장 점검구
KR101230227B1 (ko) 드롭다운식 도어용 힌지장치
KR102372802B1 (ko) 가변형 내부 프레임을 이용한 도어구조
KR20120003576U (ko) 샤워 부스용 도어 어셈블리
JP5103094B2 (ja) 引戸装置
JP3634776B2 (ja) 既設ドア枠利用の簡易改装ドア
KR20200058916A (ko) 방화문의 조립식 인너프레임
KR101004557B1 (ko) 천정 점검구
KR100775020B1 (ko) 이중창용 내풍압 강화재
KR20240024563A (ko) 천장 점검구
JP6554290B2 (ja) 開閉装置用の開閉体及び該開閉体を用いた開閉装置
KR101098237B1 (ko) 기능성 방음문
JP4139320B2 (ja) 引き出し案内体を流し台の構造体に固定する方法
KR20110000695U (ko) 점검구 도어 힌지
KR101490401B1 (ko) 천장 점검구
JP6164825B2 (ja) 開口部装置
JP7476730B2 (ja) トイレキャビネット
KR200469571Y1 (ko) 천정 점검구
KR200388213Y1 (ko) 플로어힌지의 위치조절장치
KR100538132B1 (ko) 건축용 조립식 본문틀 구조
KR200357509Y1 (ko) 경첩용 고정브라켓트 설치구조
JPH10140948A (ja) シャッターケースの構造
KR101916232B1 (ko) 미닫이용 창틀 위에 직접 폴딩도어를 시공하는 방법
KR200403125Y1 (ko) 천정 점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