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428A - 프로젝터 - Google Patents

프로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428A
KR20100005428A KR1020080065458A KR20080065458A KR20100005428A KR 20100005428 A KR20100005428 A KR 20100005428A KR 1020080065458 A KR1020080065458 A KR 1020080065458A KR 20080065458 A KR20080065458 A KR 20080065458A KR 20100005428 A KR20100005428 A KR 20100005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bs
prism
block
spacer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5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준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5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5428A/ko
Publication of KR20100005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4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2Adjusting of projection op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006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for splitting or combining different wavelengths
    • G02B27/102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for splitting or combining different wavelengths for generating a colour image from monochromatic image signal sources
    • G02B27/1026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for splitting or combining different wavelengths for generating a colour image from monochromatic image signal sources for use with reflective spatial light modula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02B27/28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used for beam splitting or combi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8Reflectors in projection b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29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scanning a light beam on the display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 H04N9/3167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for polarizing the light bea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투사된 투사광에 의한 영상 이외의 영역에서 프로젝터 광학계 내부의 난반사에 의한 잔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
프로젝터, 반사형, LCOS, 잔상

Description

프로젝터{PROJECTOR}
본 발명은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투사된 투사광에 의한 영상 이외의 영역에서 프로젝터 광학계 내부의 난반사에 의한 잔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프로젝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젝터는 TV, VCR, DVD Player, PC, 캠코더 등의 각종 영상기기들의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구현한 뒤, 자체적으로 구비된 광원을 이용하여, 투사광으로 변환시킨 뒤 이를 스크린 등에 투사하여 사용자에게 확대된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프로젝터와 달리 현재의 LCD 프로젝터 등이, 디지털 영상기기와의 증가와 더불어 그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종래의 PRT 방식의 프로젝터는 작고 밝은 브라운관을 이용하여 투사될 영상을 구현한 뒤, 이것을 렌즈를 통해 스크린에 상이 맺히도록 하는 방식으로서, PRT가 하나인 1관식과 적색, 녹색, 청색 3 개의 PRT를 포함하는 가지는 3관식 PRT 방식의 프로젝터가 사용되었다. 1관식보다 해상도 등에서 유리한 3관식의 경우는 적색, 녹색, 청색 빛을 각각 제공하는 PRT 관이 3 개가 존재하며, 이것들을 하나의 스크린에 투사하여 색이 분리되어 보이지 않아서 1관식 프로젝터에 비하여 영상의 품질이 개선되었다.
그러나 3개의 PRT(CRT)가 광축이 동일하게 일치하지 않으므로 3 개의 PRT에서 투사되는 투사광의 초점을 일치시키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므로 종래의 PRT(CRT) 방식의 프로젝터를 대체하는 최근의 방식은 투사방식으로서 LCD 투사방식, DLP 투사방식 또는 LCOS 투사방식 등이 제공되고 있다.
상기 LCD 투사방식, DLP 투사방식 또는 LCOS 투사방식 프로젝터는 각각 세 개의 분리된 LCD 유리 패널을 갖추고 있는데, 이는 각각 비디오 시그널의 빨간색, 녹색, 파란색 성분을 위한 것이다.
광원에서 제공되는 빛이 LCD 패널을 통과 또는 반사할 때 전송되는 컬러량을 조절하기 위해 각각의 픽셀은 활성화될 수 있다.
LCD 투사방식은 광원에서 제공된 빛이 투과형 LCD 패널을 투과하며, 제공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색채가 부여되는 방식이며, DLP(Digital Light Processing)는 Digital Micromirror Device (디지털 미소반사 표시기)혹은 DLP 칩을 사용한다. 각각각의 DLP 칩은 2백만 개의 힌지 마운트 장방형 초소형 미러가 장착되어 있어서 초당 수천 번까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DLP 프로젝터는 단일한 혹은 세 개의 칩으로 구성되는 방식을 사용한다.
LCD 방식은 종종 빛의 처리가 효율적이고, 동일한 램프가 사용되는 경우, DLP보다 더 높은 안시루멘의 밝기를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투사되는 영상이 픽셀화 되는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DLP 방식은 색을 구별하는 필터의 스피닝휠에 의존하기 때문에 색의 순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서로 구별되는 순차색을 감지할 수 있는 사람들의 눈에는 “레인보우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최근, 각광받는 방식은 LCOS (Liquid Crystal on Silicon) 방식이다. LCD 패널과는 달리 LCOS 패널은 빛이 액정에 반사되는 방식이 적용되어 광원에서 제공된 빛이 반사될 때 만들어진다. 결과적으로 반사되는 빛은 손실이 줄어들 수 있다. 그러므로, LCOS 패널에서 제공된 빛이 손실없이 투사광으로 투사될 수 있다.
그러므로, 빛이 패널을 투과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을 줄일 수 있으므로, 개선된 화질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LCOS 투사방식은 하나의 광원에서 제공되는 빛을 LCOS 패널에 반사시키는 방식을 사용하므로, 아무리 정교한 과정을 거치더라도, 원래의 예정된 빛의 경로를 이탈하여 반사되는 빛이 스크린을 벗어난 곳에 도달하여, 스크린을 벗어나는 위치에 잔상을 남길 수 있다.
특히, 상기 LCOS 패널에서 반사된 빛을 프리즘 측으로 투과시키는 PBS 필름은 PBS 블럭 내부에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지만, PBS 필름의 크기는 제조상의 문제 예를 들면 접합의 문제 등으로 인해 PBS 블럭의 크기보다 작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LCOS 패널에서 반사된 빛이 프리즘에 도달하기 전에 PBS 블럭 내부에서 빛의 경로가 외곡되어 상기 PBS 필름을 통과하지 않고, 상기 PBS 블럭 내부에서 전반사되면 스크린을 벗어나는 위치에 잔상이 남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LCOS 패널을 사용하는 반사형 프로젝터에서 발생될 수 있는 잔상의 하나의 예를 도시한다. 프로젝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영상(S)는 스크린에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그러나, 상기 영상(S) 주변에 PBS 블럭 내부에서 난반사되어 비정상적인 경로로 프리즘에 입사된 투사광에 의한 잔상(L1, L2)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잔상(L1, L2)은 주된 영상(S)의 화질이 우수하더라도 사용자의 만족감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게 되며, 빛을 합성하여 하나의 영상을 구현하는 프리즘 내부에서 빛의 회절 등을 유발하여 영상(S)의 품질을 저해할 수 있다.
LCD 투과방식의 프로젝터에 비해, 해상도 등의 장점을 갖지만 스크린을 벗어나는 위치에 잔상을 남기게 되면, 어두운 곳에서 주된 스크린 근방에서 원치않는 영역이 밝아지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이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투사된 투사광에 의한 영상 이외의 영역에서 프로젝터 광학계 내부의 난반사에 의한 잔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프로젝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광을 제공하는 광원, 상기 광원에서 제공된 빛을 선택적으로 반사 또는 투과시키는 이색성 미러, 상기 이색성 미러에 의하여 반사 또는 투과된 광을 LCOS 패널에 반사시키고, 상기 LCOS 패널에서 반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PBS 필름이 구비된 PBS 블럭, 상기 LCOS 패널에서 반사되어 상기 PBS 블럭을 통과한 광을 합성하는 프리즘 및, 상기 프리즘과 상기 PBS 블럭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PBS 블럭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스페이서 글라스;를 포함하는 프로젝터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PBS 필름의 상기 PBS 블럭의 단면방향 폭은 상기 스페이서 글래스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 글래스가 개재되는 상기 PBS 블럭과 상기 프리즘의 대향하는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의 스페이서 글래스와 접촉하지 않는 부분은 빛의 투과 또는 반사를 방지할 수 있는 차단물질에 의하여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PBS 블럭과 상기 프리즘에 접하지 않는 상기 스페이서 글라스 의 측면은 빛의 투과 또는 반사를 방지할 수 있는 차단물질에 의하여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원에서 제공된 빛을 LCOS 패널에 반사시키는 적색, 녹색, 청색 PBS 필름이 각각 구비된 PBS 블럭 및, 상기 LCOS 패널에서 반사된 빛 중 상기 PBS 필름을 통과하지 못한 빛이 빛을 합성하여 투사하는 프리즘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상기 PBS 블럭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으며, 상기 프리즘과 상기 PBS 블럭 사이에 개재되는 스페이서 글라스;를 포함하는 프로젝터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스페이서 글래스가 개재되는 상기 PBS 블럭과 상기 프리즘의 대향하는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의 스페이서 글래스와 접촉하지 않는 부분은 빛의 투과 또는 반사를 차단하는 차단물질에 의하여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BS 블럭과 상기 프리즘에 접하지 않는 상기 스페이서 글라스의 측면은 빛의 투과 또는 반사를 방지할 수 있는 차단물질에 의하여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차단물질은 페인트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는 반사형 LCOS 패널을 사용하여, 종래의 프로젝터에 비해 투사된 영상의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에 의하면, 상기 LCOS 패널에서 반사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규칙 반사에 의한 스크린 이외의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잔상 을 예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개념도이다. 1개의 광원(Light source)과 3개의 반사형 LCOS 패널(108, 109, 110)을 사용한 프로젝션시스템의 기본 광학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와 같은 광원(101)으로부터 나온 광은 이색성 미러(102,103,104)에 의해 R,G,B 파장별로 분리되어 구분된 후, R,G,B에 해당하는 제1 내지 제3 편광 빔 스플리터(이하 제1 내지 제3 PBS 블럭, 105,106,107)로 입사된다. 상기 PBS 블럭(105,106,107)은 그 내부에 편광 PBS 필름(105a,106a,107a)이 대각선 방향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PBS 블럭(105,106,107)에 입사된 광은 PBS 필름(105a,106a,107a)에 의하여 편광되어 S-편광과 P-편광된 빛으로 나누어진다. 그리고, 이들 빛 중 S-편광된 빛(105b,106b,107b)이 LCOS 패널(108, 109, 110)에서 반사되어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즉, 1개의 광원(101)으로부터 나온 비편광 백색광은 제1 이색성 미 러(dichroic mirror)(102)로 입사되고, 상기 제 1 이색성 미러(102)는 레드 빛은 반사하며, 시안(cyan)색 빛은 투과시킨다. 상기 제 1 이색성 미러(102)에서 반사된 레드 빛은 다시 미러(104)에 의해 반사되어 제3 PBS 블럭(107)으로 입사된다.
상기 제3 PBS 블럭(107)은 입사된 레드 빛을 S 편광된 빛과 P 편광된 빛으로 분리한다. 이때, S 편광된 레드 빛은 다시 PBS(107)에 의해 반사되어 제 1 반사형 액정 패널(110)에 입사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이색성 미러(102)를 투과한 시안 빛은 제 2 이색성 미러(103)를 거쳐 그린(G)과 블루(B)로 분리되고, 상기 레드(R) 빛과 같은 과정으로 각각의 제 2 및 제 3 LCOS 패널(108,109)로 입사된다. 그리고, 각각의 LCOS 패널(107,108,109)을 거쳐 나온 빛들은 최종적으로 빛의 합성을 위한 프리즘(111)에 의해 세 가지 색이 합성된 후 프로젝션 렌즈(120)를 거쳐 스크린에 투사된다.
여기서, 각각의 PBS 블럭(105,106,107)과 상기 프리즘(111) 사이에 초점거리 조절을 위한 스페이서 글라스(135,136,137)이 구비된다.
상기 PBS 블럭(105,106,107)은 그 내부에 편광기능을 구비하는 PBS 필름을 대각선 방향으로 구비하지만, PBS 블럭(105,106,107)의 대각선 방향 끝단까지 PBS 필름(105a,106a,107a)이 도달되지 못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S-편광된 빛(105b,106b,107b)이 반사되어 상기 프리즘(111)으로 입사되는 빛 중 상기 PBS 블럭(105,106,107)의 측면에서 전반사되어, 상기 PBS 필름(105a,106a,107a)이 도달되지 않고 상기 PBS 블럭(105,106,107)을 빠져나와 상기 프리즘에 입사된 빛은 스크린 이외의 영역에 잔상을 남긴다.
도 3은 광원과 상기 이색성 미러를 제외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상기 이색성 미러 또는 미러에 의한 광원에서 제공된 빛의 분리는 도 2에 관한 설명과 공통되므로 생략한다.
도 3은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즉, LCOS 패널(108, 109, 110)에서 반사된 빛 중 불규칙적인 반사에 의하여 예상된 빛의 경로를 벗어나는 빛, 특히 상기 PBS 블럭(105,106,107) 내부에서 전반사되고, 상기 PBS 필름(105a,106a,107a)을 통과하지 못한 상태로 상기 프리즘(111)에 입사되는 빛을 물리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프리즘(111)과 각각의 PBS 블럭(105,106,107) 사이에 개재되는 스페이서 글라스(135,136,137)의 단면 폭이 PBS 블럭(105,106,107)의 단면 폭보다 작도록 구성된다.
도 4는 하나의 PBS 블럭(107)과 인접한 스페이서 글라스(137)의 확대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 글라스(137)의 폭(d1)은 PBS 블럭(107)의 폭(d3)보다 작고, 바람직하게는 PBS 필름(107a)의 PBS 블럭의 단면방향 폭(d2)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페이서 글라스(137)의 폭(d1)을 PBS 블럭(107)의 폭(d3) 또는 PBS 필름(107a)의 PBS 블럭의 단면방향 폭(d2)보다 작게 구성하는 이유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LCOS 패널(110)에서 반사된 빛 중 상기 PBS 블럭(107)에서 난반사 또는 전반사된 빛(l)이 상기 PBS 필름(107a)과 PBS 블럭(107) 사이의 유격(e)를 통하여 상기 프리즘(111)으로 입사되는 경로를 물리적으로 차단하기 위함이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규칙적인 반사에 의하여 상기 유격(e)을 통과한 빛은 상기 스 페이서 글라스에 진입하지 못하고 소멸될 것이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 글라스(137)의 크기를 줄여 상기 난반사된 빛이 상기 스페이서 글라스(137)을 경유하여 상기 프리즘으로 투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스페이서 글래스(137)가 개재(介在)되는 상기 PBS 블럭(107)과 상기 프리즘(111)의 대향하는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의 스페이서 글래스와 접촉하지 않는 부분(111c, 107c)에 빛의 투과 또는 반사를 방지할 수 있는 차단물질에 의하여 코팅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 글라스(137)의 크기를 줄이더라도 상기 PBS 블럭(107)에서 상기 프리즘(111)으로 직접 투사되는 빛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PBS 블럭(107)과 상기 프리즘(111)에 접하지 않는 상기 스페이서 글라스(111)의 측면(137c)에 빛의 투과 또는 반사를 방지할 수 있는 차단물질에 의하여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차단물질은 예를 들면 불투명 페인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빛이 투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로 코팅되면 스페이서 글라스(137)의 크기를 줄이는 방법과 함께 스크린 이외의 영역에서 발생될 수 있는 잔상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개념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01)으로부터 나온 광은 이색성 미러(102,103,104)에 의해 R,G,B 파장별로 분리되어 구분된 후, R,G,B에 해당하는 제1 내지 제3 편광 빔 스플리터(이하 제1 내지 제3 PBS 블럭, 105,106,107)로 입사된다.
따라서, 상기 PBS 블럭(105,106,107)에 입사된 광은 PBS 필름(105a,106a,107a)에 의하여 편광되어 S-편광과 P-편광된 빛으로 나누어진다.
즉, 1개의 광원(101)으로부터 나온 비편광 백색광은 이색성 미러(dichroic mirror)(102)로 입사되고, 상기 제 1 이색성 미러(102)는 레드 빛은 반사하며, 시안(cyan)색 빛은 투과시킨다. 상기 제 1 이색성 미러(102)에서 반사된 레드 빛은 다시 미러(104)에 의해 반사되어 제3 PBS 블럭(107)으로 입사된다.
상기 제3 PBS 블럭(107)은 입사된 레드 빛을 S 편광된 빛과 P 편광된 빛으로 분리한다. 이때, S 편광된 레드 빛은 다시 PBS(107)에 의해 반사되어 제 1 반사형 액정 패널(110)에 입사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이색성 미러(102)를 투과한 시안 빛은 제 2 이색성 미러(103)를 거쳐 그린(G)과 블루(B)로 분리되고, 상기 레드(R) 빛과 같은 과정으로 각각의 제 2 및 제 3 LCOS 패널(108,109)로 입사된다. 그리고, 각각의 LCOS 패널(107,108,109)을 거쳐 나온 빛들은 최종적으로 빛의 합성을 위한 프리즘(111)에 의해 세 가지 색이 합성된 후 프로젝션 렌즈(120)를 거쳐 스크린에 투사됨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프리즘(111)과 상기 PBS 블럭(105, 106, 107) 사이에 개재되는 스페이서 글라스는 그 폭이 도 4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PBS 블럭(105, 106, 107)의 폭보다 작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PBS 필름(105a,106a,107a)의 PBS 블럭의 단면방향 폭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페이서 글라스(135, 136, 137)의 폭(d1)을 PBS 블럭(105, 106, 107) 의 폭(d3) 또는 PBS 필름(107a)의 PBS 블럭의 단면방향 폭(d2)보다 작게 구성하여, LCOS 패널(108, 109, 110)에서 반사된 빛 중 상기 PBS 블럭(105, 106, 107)에서 난반사 또는 전반사된 빛이 상기 PBS 필름(105a,106a,107a)과 PBS 블럭(105, 106, 107) 사이의 유격를 통하여 상기 프리즘(111)으로 입사되는 경로를 물리적으로 차단한다.
또한,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 글라스(135, 136, 137)가 개재되는 상기 PBS 블럭(105, 106, 107)과 상기 프리즘(111)의 대향하는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의 스페이서 글래스와 접촉하지 않는 부분에 빛의 투과 또는 반사를 방지할 수 있는 차단물질에 의하여 코팅된다.
따라서, 상기 PBS 블럭(105, 106, 107)에서 불규칙적으로 반사되어, 상기 프리즘(111)로 입사되는 빛은 상기 스페이서 글라스(135, 136, 137)의 크기를 상기 PBS 블럭(105, 106, 107) 또는 상기 PBS 필름(105a,106a,107a)의 단면 폭 또는 단면방향 폭보다 줄임으로써, 빛의 전달경로를 차단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상기 스페이서 글라스(135, 136, 137)가 개재되는 상기 PBS 블럭(105, 106, 107)과 상기 프리즘(111) 사이의 노출부분에 예를 들면, 검은색 페인트로 코팅하여 상기 스페이서 글라스(135, 136, 137)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PBS 블럭(105, 106, 107)에서 상기 프리즘으로 직접 투사될 수 있는 투사광을 차단하므로, 스크린 이외의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잔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LCOS 패널을 사용하는 반사형 프로젝터에서 발생될 수 있는 잔상의 하나의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개념도이다.
도 3은 광원과 상기 이색성 미러를 제외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하나의 PBS 블럭과 인접한 스페이서 글라스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개념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8, 109, 110 : LCOS 패널
105a,106a,107a : PBS 필름
105,106,107 : PBS 블럭
135,136,137 : 스페이서 글라스

Claims (9)

  1. 광을 제공하는 광원;
    상기 광원에서 제공된 빛을 선택적으로 반사 또는 투과시키는 이색성 미러;
    상기 이색성 미러에 의하여 반사 또는 투과된 광을 LCOS 패널에 반사시키고, 상기 LCOS 패널에서 반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PBS 필름이 구비된 PBS 블럭;
    상기 LCOS 패널에서 반사되어 상기 PBS 블럭을 통과한 광을 합성하는 프리즘; 및,
    상기 프리즘과 상기 PBS 블럭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PBS 블럭보다 작은 폭을 갖는 스페이서 글라스;를 포함하는 프로젝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BS 필름의 상기 PBS 블럭의 단면방향 폭은 상기 스페이서 글래스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글래스가 개재되는 상기 PBS 블럭과 상기 프리즘의 대향하는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의 스페이서 글래스와 접촉하지 않는 부분은 빛의 투과 또는 반사를 방지할 수 있는 차단물질에 의하여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PBS 블럭과 상기 프리즘에 접하지 않는 상기 스페이서 글라스의 측면은 빛의 투과 또는 반사를 방지할 수 있는 차단물질에 의하여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물질은 페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6. 광원에서 제공된 빛을 LCOS 패널에 반사시키는 적색, 녹색, 청색 PBS 필름이 각각 구비된 PBS 블럭; 및,
    상기 LCOS 패널에서 반사된 빛 중 상기 PBS 필름을 통과하지 못한 빛이 빛을 합성하여 투사하는 프리즘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상기 PBS 블럭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으며, 상기 프리즘과 상기 PBS 블럭 사이에 개재되는 스페이서 글라스;를 포함하는 프로젝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글래스가 개재되는 상기 PBS 블럭과 상기 프리즘의 대향하는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의 스페이서 글래스와 접촉하지 않는 부분은 빛의 투과 또는 반사를 차단하는 차단물질에 의하여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 젝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PBS 블럭과 상기 프리즘에 접하지 않는 상기 스페이서 글라스의 측면은 빛의 투과 또는 반사를 방지할 수 있는 차단물질에 의하여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물질은 페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KR1020080065458A 2008-07-07 2008-07-07 프로젝터 KR201000054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458A KR20100005428A (ko) 2008-07-07 2008-07-07 프로젝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458A KR20100005428A (ko) 2008-07-07 2008-07-07 프로젝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428A true KR20100005428A (ko) 2010-01-15

Family

ID=41814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5458A KR20100005428A (ko) 2008-07-07 2008-07-07 프로젝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54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43231A1 (en) * 2016-07-29 2019-08-08 Sony Corporation Composite-optical-system unit and proj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43231A1 (en) * 2016-07-29 2019-08-08 Sony Corporation Composite-optical-system unit and proje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57232B2 (ja) 2板式液晶プロジェクタ
US5798819A (en) Projection-display apparatus and method providing improved brightness of projected color image
KR0147607B1 (ko) 반사형 액정 투사장치의 광학계
US9360609B2 (en) 2D/3D projector with rotating translucent cylinder for alternating light polarisation
KR101116248B1 (ko) 일렬로 2개의 이미저를 포함하는 2 스테이지 시스템에서 더 작은 이미저를 갖는 더 큰 아크 램프를 이용하는 시스템
US6157420A (en) Projection-type image display apparatus
US9316898B2 (en) Projection apparatus
US20100315596A1 (en) Wide color gamut projector
TWI269928B (en) LCoS display system with software/firmware correction enabling use of imperfect LCoS chips
JP2009538448A (ja) エタンデュ値が大きいディジタル映写システム
WO2001026383A1 (en) Off-axis image projection display system
JP2009538447A (ja) エタンデュ値が大きいディジタル映写システム
JP2010526337A (ja) 高い分解能の3d投射システム
US20140063466A1 (en) Projection apparatus
US20050280778A1 (en) Projection optical system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same
JP2004029220A (ja) 投写型表示装置および液晶パネル
KR20100005428A (ko) 프로젝터
JPH08220634A (ja) 背面投射型プロジェクタ−
JP3895907B2 (ja) 背面投写型表示装置
JP2877620B2 (ja) 液晶投射型表示装置
JP3640367B2 (ja) 液晶ビデオプロジェクタ
JP3535072B2 (ja) プロジェクターの照明装置
JP4806467B2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KR930004819B1 (ko) 투사용 액정 표시장치
JPH02309388A (ja) 投射型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