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390U - 가공배전선로용 y형 분기스리브 커버 - Google Patents

가공배전선로용 y형 분기스리브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390U
KR20100005390U KR2020090011722U KR20090011722U KR20100005390U KR 20100005390 U KR20100005390 U KR 20100005390U KR 2020090011722 U KR2020090011722 U KR 2020090011722U KR 20090011722 U KR20090011722 U KR 20090011722U KR 20100005390 U KR20100005390 U KR 201000053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cover
cover body
body portion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17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규
Original Assignee
(주) 진흥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진흥이엔지 filed Critical (주) 진흥이엔지
Priority to KR20200900117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5390U/ko
Publication of KR201000053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39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13Boxes split longitudinally in main cable dir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joining or terminating cables

Landscapes

  • Insulating Bodies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분기스리브의 압착부위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열화 및 누전 및 조류 사고를 효과적으로 미연에 방지하는 분기스리브 커버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분기스리브의 중앙부분을 내부에 안착시켜 보호하는 커버 몸체부, 상기 커버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분기 개소에 인입된 전원측 전선을 안착시켜 보호하는 전원측 인출부, 및 상기 커버 몸체부의 타측 부근에 형성되어, 상기 분기 개소에 인입된 분기측 두 전선을 Y자 형태로 안착시켜 보호하는 분기측 인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 몸체부, 전원측 인출부 및 분기측 인출부는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개방되는 구조를 갖는 양면으로 이루어질 때, 상기 분기 개소에 입입된 전선을 상기 양면의 분기스리브 커버 내에 안착후 상기 커버 몸체부의 개방된 타측을 잠금하는 직선부 잠금고리와, 분기측 두 전선 중 곡률반경을 갖고 상기 커버 몸체부의 하측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분기측 제2 전선을 안착후, 상기 분기측 인출부의 양면이 접촉하는 어느 한면의 부위를 잠금하는 곡률부 잠금고리를 포함한다.
분기스리브, 커버, 가공배전선로, 분기

Description

가공배전선로용 Y형 분기스리브 커버{Y-TYPE INSULATION COVER OF BRANCH CONNECTOR FOR OVERHEAD DISTRIBUTION LINE}
본 고안은 가공 배전선로용 분기개소 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기스리브의 압착부위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열화 및 누전 및 조류 사고를 효과적으로 미연에 방지하는 Y형 분기스리브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 및 특고압 가공배전선로의 전선 도체는 재질에 따라서는 알루미늄(AL)이나 동(CU)으로 되어있고 그 외부를 둘러싼 부분은 절연물질인 고무 등의 피복으로 되어 있다. 그러면 전선과 전선의 연결과 분기를 위해서는 전선을 분리하여 절단 후, 전선 상호간 외부 피복을 벗겨낸 후 분기스리브로 접속을 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분기스리브나 스리브는 구리 합금 등의 전기를 잘 통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압착부위는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는 관계로 빗물이나 이물질이 분기스리브의 내부로 침투할 수 있어 누전으로 이어지는 감전사고나 선로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그 동안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절연 특성이 좋은 분기스리브 커버(또는 '스리브 커버'라 칭하기도 함)를 덮 어 왔다.
도 1은 종래의 분기스리브 커버의 시공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분기스리브 커버의 시공 과정은 먼저 가공배전선로의 양 전선(10, 15)을 압착 접속시킨 분기스리브(20)를 절연, 보호하기 위하여 분기스리브 커버(30)를 씌운다. 이때, 분기된 두 개의 전선(10, 15)을 통합하여 분기스리브 커버(30)가 씌워지게 된다.
이후, 분기된 두 개의 전선(10, 15)을 통합하여 씌운 분기스리브 커버의 밑착되지 않은 부분은 테이프(50)로 테이핑 처리하고 있다. 커버의 결합 끝부분(31)이 벌어지고 틀어지는 현상에 의하여 제데로 분기된 두 개의 전선(10)을 감싸지 못하고 벌어지는 관계로, 종래의 분기스리브 커버(30)는 분기된 두 개의 전선(10)을 커버하는 접속부위에서 절연이 제데로 되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이물질 및 수분이 침투하여 열화 현상이 발생하고, 누전 및 감전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분기 되는 전선 중 곡률반경을 갖고 이루어진 전선과 직선으로 이루어진 전선 및 전원측 전선 모두에 대하여 시공이 용이하고, 접속 부위의 완전 방호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Y형 분기스리브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고안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일 태양에 따르면, 가공 배전선로의 분기 개소에 압착된 분기스리브를 절연하기 위한 Y형 분기스리브 커버로서, 상기 Y형 분기스리브 커버는, 분기스리브의 중앙부분을 내부에 안착시켜 보호하는 커버 몸체부, 상기 커버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분기 개소에 인입된 전원측 전선을 안착시켜 보호하는 전원측 인출부, 및 상기 커버 몸체부의 타측 부근에 형성되어, 상기 분기 개소에 인입된 분기측 두 전선을 Y자 형태로 안착시켜 보호하는 분기측 인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 몸체부, 전원측 인출부 및 분기측 인출부는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개방되는 구조를 갖는 양면으로 이루어질 때, 상기 분기 개소에 입입된 전선을 상기 양면의 분기스리브 커버 내에 안착후, 상기 커버 몸체부의 개방된 타측을 잠금하는 직선부 잠금고리와, 분기측 두 전선 중 곡률반경을 갖고 상기 커버 몸체부의 하측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분기측 제2 전선을 안착후 상기 분기측 인출부의 양면이 접 촉하는 어느 한면의 부위를 잠금하는 곡률부 잠금고리를 포함하는 것인 분기개소 커버가 제공된다.
상기 전원측 인출부는, 끝단의 양면이 상기 커버 몸체부와 접촉하는 상단의 양면보다 폭이 좁은 구조를 이루어 전원측 전선을 밀착시켜 보호하며, 상기 분기측 인출부는, 끝단의 양면이 상기 커버 몸체부와 접촉하는 상단의 양면보다 폭이 좁은 구조를 이루어 분기측 제2 전선을 밀착시켜 보호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Y자 형태의 분기측 인출부, 전원측 인출부의 구조와 분기스리브 커버의 양면을 잠금하는 직선부, 곡선부 잠금고리를 둠으로써, 전원, 분기측의 전선을 완전 방호시켜 커버의 왜형에 의한 감전, 조류, 절연전선 수명단축 및 열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달성된다.
후술하는 본 고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 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분기스리브 커버(100)의 예
도 2a 내지 도 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스리브 커버(100)를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구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기스리브 커버(100)는 가공 배전선로의 분기 개소에 압착된 분기스리브를 절연하기 위하여 한쪽만이 결합되고 타쪽에는 개방된 형태의 구조를 이뤄, 양면으로 이루어진 분기개소 커버로서, 커버 몸체부(110), 전원측 인출부(130), 분기측 인출부(120), 직선부 잠금고리(140) 및 곡률부 잠금고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분기개소 커버는 분기스리브 커버(100)을 포함하는 보다 넓은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의 커버 몸체부(110)는 분기스리브의 중앙 부분을 배치시키게 되는데, 분기스리브의 중앙부분을 내부에 안착시켜 배치하게 됨으로써, 안착된 분기스리브를 보호하게 된다. 여기서, 분기스리브는 양단에서 인입되는 전원측 전선 과 분기측 전선을 접속, 분기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분기스리브는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통상적인 분기스리브(2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분기스리브(200)는 일측에 전원측 전선(220)을 인입하고, 타측에 가공배전선로와 관련한 분기측 전선을 인입하여 고정시키는데, 다수의 분기측 전선, 예컨대 두 개의 전선(220, 240)을 인입하여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시 돌아와, 설명되지 않은 전원측 인출부(130)부터 설명하면, 본 고안의 전원측 인출부(130)는 커버 몸체부(110)의 일측에 형성되어, 분기 개소에 인입된 전원측 전선(220)을 안착시켜 보호하게 된다. 이때, 안착되는 전원측 전선(220)은 도 3에서 설명하였듯이 분기스리브(200)가 씌워진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을 모두 포함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전원측 인출부(130)는 끝단(131)의 양면이 커버 몸체부(110)와 접촉하는 상단의 양면보다 폭이 좁은 구조를 이루어 전원측 전선을 밀착시켜 보호함으로써, 비바람과 같은 외부 환경에 의해 빗물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분기측 인출부(120)는 제1 분기측 인출부(120a)와 제2 분기측 인출부(120b)로 이루어져 커버 몸체부(110)의 타측 부근에 형성되어, 분기 개소에 인입된 분기측 두 전선에 대응되게 Y자 형태를 갖고, 분기측 두 전선을 안착시켜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분기측 두 전선이 제1 전선(220) 및 제2 전선(240)으로 구분될 경우 제2 전선(240)이 커버 몸체부(110)의 하부 부근으로 나름 데로의 곡률반경을 갖고 인입되도록 제2 분기측 인출부(120b)가 커버 몸체부(110)의 타측 하부 부근에 형성되고, 제1 전선(220)이 커버 몸체부(110)의 직선 형성 방향으로 인입되도록 제1 분기측 인출부(120a)를 커버 몸체부(110)의 타측 일면에 형성됨으로써, 제1 분기측 인출부(120a)와 제2 분기측 인출부(120b)가 Y자 형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분기측 인출부(120)의 구조는 기존의 분기 개소에 인입되는 분기측 두 전선을 한꺼번에 인입시키는 구조보다 전선을 안전하게 완전 방호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커버의 왜형에 의한 감전, 조류, 절연전선 수명단축 및 열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의 분기측 인출부(120)는 끝단(121a, 121b)의 양면이 커버 몸체부(110)와 접촉하는 상단의 양면보다 폭이 좁은 구조를 이루어 분기측 제2 전선을 더욱 밀착시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직선부 잠금고리(140)는 분기스리브(100)가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개방되는 구조를 갖는 양면으로 이루어질 때, 분기 개소(분기스리브(210))에 입입된 전선을 양면의 분기스리브 커버(100) 내에 안착 후, 커버 몸체부(110)의 개방된 타측을 잠금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직선부 잠금고리(140)는 복수개로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의 곡률부 잠금고리(150)는 분기측 두 전선 중 곡률반경을 갖고 커버 몸체부(110)의 하측에 형성된 분기측 제2 전선을 안착 후, 분기측 인출부(120)의 양면이 접촉하는 어느 한면의 부위를 잠금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직선부 잠금고리(140) 및 곡률부 잠금고리(150)가 분기스리브 커 버(100)에 형성되어 고정됨으로써, 전선을 안전하게 더욱 더 완전 방호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3에서 설명한 양 전선을 연결 및 분기하는 분기스리브(200)가 도 2a 및 도 2b에서 설명한 분기스리브 커버(100)에 안착되었을 경우를 보여주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분기스리브(200)가 분기스리브 커버(100)내에 안착된 후, 직선부 잠금고리(140) 및 곡률부 잠금고리(150)에 의해 분기스리브 커버(100)를 잠금한 상태를 보여준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참조 부호는 도 2a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참조 부호와 동일하므로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분기스리브 커버의 시공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스리브 커버(100)를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구조도이다.
도 3은 통상적인 분기스리브(2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분기스리브(200)가 분기스리브 커버(100)에 안착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분기스리브(200)가 분기스리브 커버(100)내에 안착된 후, 직선부 잠금고리(140) 및 곡률부 잠금고리(150)에 의해 분기스리브 커버(100)를 잠금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분기스리브 커버 110 : 커버 몸체부
120 : 분기측 인출부 130 : 전원측 인출부
140 : 직선부 잠금고리 150 : 곡률부 잠금고리

Claims (3)

  1. 가공 배전선로의 분기 개소에 압착된 분기스리브를 절연하기 위한 Y형 분기스리브 커버로서,
    상기 Y형 분기스리브 커버는,
    분기스리브의 중앙부분을 내부에 안착시켜 보호하는 커버 몸체부, 상기 커버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분기 개소에 인입된 전원측 전선을 안착시켜 보호하는 전원측 인출부, 및 상기 커버 몸체부의 타측 부근에 형성되어, 상기 분기 개소에 인입된 분기측 두 전선을 Y자 형태로 안착시켜 보호하는 분기측 인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 몸체부, 전원측 인출부 및 분기측 인출부는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개방되는 구조를 갖는 양면으로 이루어질 때, 상기 분기 개소에 입입된 전선을 상기 양면의 분기스리브 커버 내에 안착후 상기 커버 몸체부의 개방된 타측을 잠금하는 직선부 잠금고리와, 분기측 두 전선 중 곡률반경을 갖고 상기 커버 몸체부의 하측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분기측 제2 전선을 안착후, 상기 분기측 인출부의 양면이 접촉하는 어느 한면의 부위를 잠금하는 곡률부 잠금고리를 포함하는 것인 분기개소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측 인출부는,
    끝단의 양면이 상기 커버 몸체부와 접촉하는 상단의 양면보다 폭이 좁은 구조를 이루어 전원측 전선을 밀착시켜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개소 커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측 인출부는,
    끝단의 양면이 상기 커버 몸체부와 접촉하는 상단의 양면보다 폭이 좁은 구조를 이루어 분기측 제2 전선을 밀착시켜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개소 커버.
KR2020090011722U 2008-11-17 2009-09-07 가공배전선로용 y형 분기스리브 커버 KR2010000539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722U KR20100005390U (ko) 2008-11-17 2009-09-07 가공배전선로용 y형 분기스리브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279 2008-11-17
KR2020090011722U KR20100005390U (ko) 2008-11-17 2009-09-07 가공배전선로용 y형 분기스리브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390U true KR20100005390U (ko) 2010-05-26

Family

ID=44450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1722U KR20100005390U (ko) 2008-11-17 2009-09-07 가공배전선로용 y형 분기스리브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539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98052A (zh) * 2023-12-25 2024-02-02 国网山东省电力公司淄博供电公司 一种电力电缆连接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98052A (zh) * 2023-12-25 2024-02-02 国网山东省电力公司淄博供电公司 一种电力电缆连接件
CN117498052B (zh) * 2023-12-25 2024-04-02 国网山东省电力公司淄博供电公司 一种电力电缆连接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516020A (ja) 電気的接続装置
EP2809551B1 (en) Protector and wire harness
US8866014B2 (en) Dead front cable terminal with isolated shield
KR200491327Y1 (ko) 연장형 인류클램프 절연커버(폴리머현수애자용)
KR200445173Y1 (ko) 가공 배전선로 활선 작업용 절연 커버
KR20100005390U (ko) 가공배전선로용 y형 분기스리브 커버
KR100941474B1 (ko) 도선용 절연 고정구
US3466593A (en) Termination
US3348180A (en) Electrical inductive apparatus having a multi-conductor bushing
CA2799592A1 (en) A high voltage direct current cable termination apparatus
KR100925040B1 (ko) 도선용 절연커버
KR102103114B1 (ko) 전력 케이블의 안전형 비일괄 공동 접지 시스템
CN208923472U (zh) 一种方便连接的电线电缆
EP0303740B1 (en) An assembly comprising a high voltage conductor and a fibre optic cable
KR100763001B1 (ko) 엘보우 접속재를 이용한 수배전반
JP2000299908A (ja) 電力ケーブル分岐接続部
CN220209571U (zh) 一种集束射频电缆组件
CA2835889C (en) Dead front cable terminal with isolated shield
CN208752976U (zh) 变压器引线及变压器系统
CN218770410U (zh) 一种海上风机用可分离连接器
JP7366412B2 (ja) 絶縁被覆導体接続体
US11756711B2 (en) Fuse cutout cover with extendable roof
CN214314500U (zh) 电缆终端的接地结构
CN208971077U (zh) 一种三相连体穿柜套管
KR200324461Y1 (ko) 배전선로의 분기슬리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