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117A - 각 형상 캔 - Google Patents

각 형상 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117A
KR20100005117A KR1020097023441A KR20097023441A KR20100005117A KR 20100005117 A KR20100005117 A KR 20100005117A KR 1020097023441 A KR1020097023441 A KR 1020097023441A KR 20097023441 A KR20097023441 A KR 20097023441A KR 20100005117 A KR20100005117 A KR 20100005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r
shape
mold
trunk
jo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3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7614B1 (ko
Inventor
스스무 오치아이
시게토시 호리우치
Original Assignee
혼슈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슈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슈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05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14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18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of polygonal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cans or tins; Closing same in a permanent man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cans or tins; Closing same in a permanent manner
    • B21D51/2669Transforming the shape of formed can bodies; Forming can bodies from flattened tubular blanks; Flattening can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65D1/42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42Details of metal walls
    • B65D7/44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65D7/46Corrug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Cabinets, Racks, Or The Like Of Rigid Construction (AREA)

Abstract

<과제>
재료가 되는 강판을 보다 얇게 해도 특히 코너부에 있어서 편하중에 대한 소망의 내구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각 형상 캔을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 수단>
대략 사각 형상의 통체로 되는 몸통부(10)의 개방하는 양단 각각에 끝판(20a, 20b)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각 형상 캔으로서, 몸통부(10)의 각 코너부(18a, 18b, 18c, 18d)의 정수리부(18top)에, 상기 양단의 각각으로부터 뻗어 있고, 또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1쌍의 세로 보강 볼록 비드(15a, 15b)가 형성된 구성으로 된다.
강판, 코너부, 편하중, 내구성, 각 형상 캔

Description

각 형상 캔{SQUARE CAN}
본 발명은 소위 18리터(liter) 캔(can) 등의 각 형상 캔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코너부(corner portion)에 세로 방향으로 뻗어 있는 보강 비드(bead)가 형성된 각 형상 캔에 관한 것이다.
소위 18리터 캔 등의 각 형상 캔에 있어서, 세로 방향 하중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통 형상의 몸통부에 세로 방향의 보강 비드를 형성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참조). 이러한 각 형상 캔에서는, 몸통부의 각 코너부에 있어서의 정점부(터짐 맞댐부 등)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각각 떨어져, 세로 방향으로 뻗어 있고, 또한 안쪽으로 돌출하는 보강 비드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몸통부의 각 코너부에 보강 비드가 형성됨으로써, 각 코너부에서의 세로 방향 하중에 대한 내구성이 증가하고, 예를 들면, 다단으로 쌓인 각 형상 캔이 적하물 붕괴 등에 의해 어긋나 코너부에 편하중이 걸렸다고 해도 그 코너부에서의 변형이나 좌굴(buckling)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특허문헌 1: 일본 실용신안공개 1977-142063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고 1977-43154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런데, 이러한 각 형상 캔에서는, 그 재료가 되는 강판을 보다 얇게 하는 것이 비용 삭감의 관점 및 경량화의 관점에서 요망되고 있다. 이와 같이 강판을 얇게 하는 것은 각 형상 캔의 내구성에는 불리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몸통부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비드(bead)를 어떻게 형성할지가 중요한 문제로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재료가 되는 강판 등의 금속제 판재를 보다 얇게 해도 특히 코너부에 있어서 편하중 등에 대한 소망의 내구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각 형상 캔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관계되는 각 형상 캔(can)은, 대략 사각 형상의 통체로 되는 몸통부의 개방하는 양단 각각에 끝판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각 형상 캔으로서, 상기 몸통부의 각 코너부(corner portion)의 정수리부에 걸쳐지고, 상기 양단의 각각으로부터 뻗어 있고, 또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1쌍의 세로 보강 볼록 비드(bead)가 형성된 구성으로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몸통부의 각 코너부의 정수리부에 그 양단의 각각으로부터 뻗어 있도록 형성된 적어도 1쌍의 세로 보강 볼록 비드에 의해 당해 코너부가 보강되게 된다.
상기 각 세로 보강 볼록 비드는 코너부의 정수리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라도 걸쳐지도록(미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또, 각 세로 보강 볼록 비드의 폭 및 길이를 포함하는 형상은, 각 형상 캔의 크기, 상정되는 하중, 충격, 재료의 물성 및 그 두께 등에 따라 최적인 것으로 결정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각 형상 캔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각 코너부의 상기 정수리부 상에, 상기 양단의 각각으로부터 뻗어 있고, 또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1쌍의 세로 보강 볼록 비드가 형성된 구성으로 할 수가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몸통부의 각 코너부의 정수리부 상에 그 양단의 각각으로부터 뻗어 있도록 형성된 1쌍의 세로 보강 볼록 비드에 의해 당해 코너부가 보강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각 형상 캔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각 코너부의 상기 정수리부를 따라 접합하고, 상기 양단의 각각으로부터 뻗어 있고, 또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2쌍의 세로 보강 볼록 비드가 형성된 구성으로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몸통부의 각 코너부의 정수리부를 따라 접합하고, 그 양단의 각각으로부터 뻗어 있도록 형성된 2쌍의 세로 보강 볼록 비드에 의해 당해 코너부가 보강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각 형상 캔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에 있어서의 상기 각 코너부의 양측 각각으로 이어지는 측벽면의 당해 코너부와의 경계 부분에, 일방의 끝판과의 접합 부위로부터 타방의 끝판과의 접합 부위까지 뻗어 있는 소정 폭의 세로 보강 비드가 형성된 구성으로 할 수가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또한 각 코너부의 인접 부위로부터의 편하중에 대한 충분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각 코너부가 그 근방에서의 변형 등에 수반하여 무너져 내리듯이 변형이나 좌굴(buckling)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각 형상 캔은, 직사각 형상의 금속제 판재의 양단 변을 겹쳐 맞추어 접합하고, 당해 접합 부분이 코너부로 되도록 형성된 대략 사각 형상의 통체로 되는 몸통부의 개방하는 양단 각각에 끝판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각 형상 캔으로서, 상기 몸통부의 상기 접합 부분이 있는 코너부를 제외한 각 코너부에만, 그 정수리부에 걸쳐지고, 상기 양단의 각각으로부터 뻗어 있고, 또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1쌍의 세로 보강 볼록 비드가 형성된 구성으로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몸통부의 접합 부분이 있는 코너부를 제외한 각 코너부가 그 정수리부에 걸쳐지고, 상기 몸통부의 양단의 각각으로부터 뻗어 있도록 형성된 적어도 1쌍의 세로 보강 볼록 비드에 의해 보강됨과 아울러, 접합 부분이 있는 코너부가 당해 접합 부분에 있어서의 금속제 판재의 겹침에 의해 보강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각 형상 캔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상기 접합부가 있는 코너부를 제외한 각 코너부에만, 그 정수리부 상에, 상기 양단의 각각으로부터 뻗어 있고, 또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1쌍의 세로 보강 볼록 비드가 형성된 구성으로 할 수가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몸통부의 접합 부분이 있는 코너부를 제외한 각 코너부의 정수리부 상에 그 양단의 각각으로부터 뻗어 있도록 형성된 1쌍의 세로 보강 볼록 비드에 의해 당해 코너부가 보강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각 형상 캔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상기 접합 부분이 있는 코너부를 제외한 각 코너부에만, 그 정수리부를 따라 접합하고, 상기 양단의 각각으로부터 뻗어 있고, 또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2쌍의 세로 보강 볼록 비드가 형성된 구성으로 할 수가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몸통부의 접합 부분이 있는 코너부를 제외한 각 코너부의 정수리부를 따라 접합하고, 그 양단의 각각으로부터 뻗어 있도록 형성된 2쌍의 세로 보강 볼록 비드에 의해 당해 코너부가 보강되게 된다.
또한, 상기 몸통부의 상기 접합 부분이 있는 코너부를 제외한 각 코너부에 1쌍의 세로 보강 볼록 비드가 형성된 본 발명에 관계되는 각 형상 캔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에 있어서의 각 코너부의 양측 각각으로 이어지는 측벽면의 당해 코너부와의 경계 부분에, 일방의 끝판과의 접합 부위로부터 타방의 끝판과의 접합 부위까지 뻗어 있는 세로 보강 비드가 형성된 구성으로 할 수가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또한 각 코너부의 인접 부위로부터의 편하중에 대한 충분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각 코너부가 그 근방에서의 변형 등에 수반하여 무너져 내리듯이 변형이나 좌굴(buckling)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관계되는 각 형상 캔에 의하면, 몸통부의 각 코너부의 정수리부에 걸쳐지고, 그 양단의 각각으로부터 뻗어 있도록 형성된 적어도 1쌍의 세로 보강 볼록 비드에 의해 당해 코너부가 보강되게 되므로, 또 몸통부의 상기 접합 부분이 있는 코너부를 제외한 각 코너부에 1쌍의 세로 보강 볼록 비드가 형성된 본 발명에 관계되는 각 형상 캔에 의하면, 몸통부의 접합 부분이 있는 코너부를 제외한 각 코너부가, 그 정수리부에 걸쳐지고, 상기 몸통부의 양단의 각각으로부터 뻗어 있도록 형성된 적어도 1쌍의 세로 보강 볼록 비드에 의해 보강됨과 아울러, 접합 부분이 있는 코너부가 당해 접합 부분에 있어서의 금속제 판재의 겹침에 의해 보강되게 되므로, 각각에 재료가 되는 금속제 판재를 보다 얇게 해도 특히 코너부에 있어서 편하중에 대한 소망의 내구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각 형상 캔(can)의 위로부터 본 평면도 (a)와 정면도 (b)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각 형상 캔의 사시도이다.
도 3은 각 형상 캔의 몸통부의 제조 순서 (a), (b), (c)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도 1 (b)에 있어서의 A-A 부분 단면도 (a)와 B-B 부분 단면도 (b)이다.
도 5는 몸통부를 제조하는 프레스(press) 장치의 금형 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금형 기구에 의해 몸통부를 프레스 성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각 형상 캔의 사시도 (a) 및 코너부(corner portion)의 단면도 (b)이다.
도 8은 각 형상 캔의 코너부에 있어서의 편하중 및 충격 하중에 대한 내구성에 대한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비교예로서의 각 형상 캔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a)와 그 코너부의 단면도 (b)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각 형상 캔의 위로부터 본 평면도 (a)와 정면도 (b)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각 형상 캔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각 형상 캔의 몸통부의 제조 순서 (a), (b)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각 형상 캔의 몸통부의 기초로 되는 사각 형상의 통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있어서의 영역 Ec의 확대 상세도이다.
도 15는 도 10 (b)에 있어서의 C-C 부분 단면도이다.
도 16은 몸통부에 있어서의 사이드 심부(side seam portion)(접합부 부분)를 가지는 코너부를 성형하는 프레스 장치의 금형 기구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나타내는 금형 기구의 부분에 의해 몸통부를 프레스 성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각 형상 캔의 사시도 (a) 및 코너부의 단면도 (b)이다.
<부호의 설명>
10 몸통부
12 세로 보강 비드(bead)
14 가로 보강 비드
15a, 15b 세로 보강 볼록 비드
15a1, 15a2, 15b1, 15b2 세로 보강 볼록 비드
16 직사각형 보강부
18a, 18b, 18c, 18d 코너부(corner portion)
18top 정수리부
20a 천판(天板)(끝판)
20b 저판(底板)(끝판)
110 원통체
120, 130 통체
201 코너 공간
210, 220 외(外)금형
211, 221 볼록부
230, 240 내(內)금형
231, 241 오목부
250, 270 코너(corner) 외금형
251 오목부
271 오목 형상 만곡면
260, 280 코너 내금형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일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각 형상 캔은,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듯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각 형상 캔을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 (a) 및 정면도 (b)이고, 도 2는 그 각 형상 캔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이 각 형상 캔(소위 18리터 캔)은 소정 두께의 강판으로 형성되고, 대략 사각 형상의 통체로 되는 몸통부(10)의 상단에 천판(天板)(20a)(끝판)이 권체(seaming)에 의해 접합 고정되고, 그 하단에 저판(20b)(끝판)이 권체에 의해 접합 고정된 구조로 되어 있다. 몸통부(10)의 각 측벽면에는 2개의 세로 보강 비드(bead)(12), 2개의 가로 보강 비드(14) 및 직사각형 보강부(16)(통칭, 액자)가 프레스(press)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직사각형 보강부(16)는 몸통부(10)의 각 측벽면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고, 2개의 가로 보강 비드(14)는 직사각형 보강부(16)의 상측 및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각 세로 보강 비드(12)는 몸통부(10)의 코너부(corner portion)(18a, 18b, 18b, 18c)의 각각의 양측 각각으로 이어지는 측벽면의 당해 코너부와의 경계 부분에, 천판(20a)과의 접합 부위로부터 저판(20b)과의 접합 부위까지 뻗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각 형상 캔의 몸통부(10)의 제조 수법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도 3 (a)에 나타내는 것 같은 직사각 형상의 금속제 판재(강판)(100)가, 예를 들면, 도 3 (b)에 나타내듯이 원통형으로 성형되고, 그 양단 변부가 겹쳐 맞춰진다. 이 서로 겹쳐진 양단 변부가 용접에 의해 접합됨으로써, 원 형상의 통체(원 통체)(110)가 형성된다. 다음에, 원통체(11)가 프레스 가공에 의해, 도 3 (c)에 나타내듯이, 대략 사각 형상의 통체(120)로 성형된다. 이 대략 사각 형상의 통체(120)를 성형할 때에, 금속제 판재(100)의 용접되어 있는 접합부(사이드 심부(side seam portion)라고 한다)(19)가 그 대략 사각 형상의 어느 코너부에도 오지 않게, 원통체(110)의 프레스 가공기에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또, 도 4 (a)(도 1 (b)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에 나타내듯이, 각 세로 보강 비드(12)는 몸통부(10)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오목한 오목 형상으로 되고, 직사각형 보강부(16)는 가장자리부가 그 내측보다 상대적으로 부풀어 오른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각 가로 보강 비드(14)는 몸통부(1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볼록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코너부(18a, 18b, 18c, 18d) 각각의 세로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정수리부(18top) 상에는, 천판(20a)측의 단부로부터 뻗어 있도록 세로 보강 비드(15a)가 형성됨과 아울러, 그것과 쌍으로 되어 저판(20b)측의 단부로부터 뻗어 있도록 세로 보강 비드(15b)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쌍으로 되는 세로 보강 비드(15a, 15b)는, 도 4 (b)(도 1 (b)에 있어서의 B-B 단면도)에 나타내듯이, 몸통부(1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볼록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하, 이들 쌍으로 되는 세로 보강 비드(15a, 15b)를 전술한 세로 보강 비드(12)와 구별하기 위해서, 세로 보강 볼록 비드(15a, 15b)라고 한다.
각 세로 보강 볼록 비드(15a, 15b)의 폭 및 길이는 각 코너부(18a, 18b, 18c, 18d)에 있어서 편하중 및 충격 하중에 대해서 소망의 내구성을 얻을 수 있도 록 결정된다.
전술한 구조의 몸통부(10)는, 예를 들면,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금형 기구를 가지는 프레스 장치에 의해 제조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은 금형 기구 전체를 4분의 1로 분할한 부분을 나타내고 있지만, 다른 분할 부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5에 있어서, 프레스면을 외측으로 향하게 한 내(內)금형(230, 240)의 외측에, 그 프레스면을 내측으로 향하게 한 외(外)금형(210, 220)이 배치되어 있다. 내금형(230, 240)의 프레스면에는, 세로 보강 비드(bead)(12)(도 1, 도 2 및 도 4 참조)를 형성하기 위한 오목부(231, 241)나 각 비드를 형성하기 위한 요철부(도시 생략)가 형성되고, 외금형(210, 220)의 프레스면의 상기 오목부(231, 241)에 대응하는 부위나 내금형(230, 240)의 상기 요철부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볼록부(211, 221)나 대응하는 요철부(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서로 단부가 임하도록 각각 직각으로 배치된 내금형(230과 240)의 대향하는 각(角) 부위에는 코너 공간(20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코너 공간(201)에 코너 내금형(260)이 배치되어 있다. 코너 내금형(260)의 바깥쪽 선단부가 만곡한 프레스면으로 되어 있다. 또, 코너 내금형(260)의 바깥쪽에 프레스면을 내측으로 향하게 한 코너 외금형(250)이 배치되어 있다. 코너 외금형(250)의 프레스면에는 코너 내금형(260)의 바깥쪽 선단 부분에 대향하여 오목부(251)가 형성되어 있다.
각 내금형(230, 240), 각 외금형(210, 220), 코너 내금형(260) 및 코너 외금형(250)은, 유압의 익스팬터(expander) 기구에 의해, 형 조임 및 형 열림이 되도록 되어 있다. 형 조임시에는 각 내금형(230, 240)이 바깥쪽으로, 코너 내금형(260)이 비스듬히 바깥쪽으로 각각 이동함과 아울러, 각 외금형(210, 220)이 안쪽으로, 코너 외금형(250)이 비스듬히 안쪽으로 각각 이동한다. 또, 형 열림시에는 각 내금형(230, 240)이 안쪽으로, 코너 내금형(260)이 비스듬히 안쪽으로 각각 이동함과 아울러, 각 외금형(210, 220)이 바깥쪽으로, 코너 외금형(250)이 비스듬히 바깥쪽으로 각각 이동한다.
이러한 금형 기구에 있어서, 몸통부(10)의 원래 형태가 되는 강판제의 통체(120)(도 3 참조)가 내금형(230, 240)과 외금형(210, 220)의 사이에 세트(set)된다. 이 상태에서 우선 각 내금형(230, 240)이 바깥쪽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코너 공간(201)이 넓어지면, 코너 내금형(260)이 바깥쪽으로 이동하고, 코너 외금형(250)이 안쪽으로 이동하여, 코너 내금형(260)과 코너 외금형(250)의 형 조임이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도 6에 나타내듯이, 코너 내금형(260)의 바깥쪽 선단부와 코너 외금형(250)의 오목부(251)가 형성된 프레스면에 의해 통체(120)(몸통부(10))의 코너부의 정수리부가 끼워넣어지고, 당해 코너부의 정수리부 상에 코너 외금형(250)의 오목부(251)에 합치한 세로 보강 볼록 비드(15a, 15b)가 형성된다.
그 후, 각 외금형(210, 220)이 안쪽으로 이동하여 각 내금형(230, 240)과 각 외금형(210, 220)의 형 조임이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도 6에 나타내듯이, 통체(120)가 몸통부(10)로서의 정규의 외형 형상(대략 사각 형상)으로 되도록 성형됨과 아울러, 각 내금형(230, 240)과 각 외금형(210, 220)에 의해 끼워지는 부위에, 각 내금형(230, 240)의 프레스면에 형성된 요철 형상(예를 들면, 오목부(231, 241)) 및 각 외금형(210, 230)의 프레스면에 형성된 요철 형상(예를 들면, 볼록부(211, 221))에 합치한 각종 보강 비드(예를 들면, 세로 보강 비드(12))가 형성된다.
성형이 종료되면, 코너 내금형(260)과 코너 외금형(250)의 형 열림이 이루어지고, 그 후, 각 내금형(230, 240)과 각 외금형(210, 220)의 형 열림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 형상 캔의 몸통부(10)로서의 정규의 외형 형상으로 되고, 각종의 보강 비드(도 1, 도 2 및 도 4 참조)가 형성된 통체(120)(몸통부(10))가 각 내금형(230, 240)과 각 외금형(210, 220)의 사이로부터 꺼내어진다.
또한, 전술한 프레스 가공에서는, 코너 내금형(260)과 코너 외금형(250)의 형 조임이 이루어진 후에, 각 내금형(230, 240)과 각 외금형(210, 220)의 형 조임이 이루어져 있었지만, 형 조임의 순서는 역, 즉, 각 내금형(230, 240)과 각 외금형(210, 220)의 형 조임이 이루어진 후에 코너 내금형(260)과 코너 외금형(250)의 형 조임이 이루어지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각 형상 캔은, 도 7에 나타내듯이 구성된다. 이 제2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각 형상 캔은, 코너부(18a, 18b, 18c, 18d)의 각각에 형성되는 세로 보강 볼록 비드의 수 및 형성 위치가 다른 점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각 형상 캔과 동일하다.
도 7 (a), (b)에 있어서, 코너부(18a, 18b, 18c, 18d)의 각각은, 그 정수리부(18top)를 따라 접합하고, 천판(20a)측의 단부로부터 뻗어 있도록 2개의 세로 보 강 볼록 비드(15a1, 15a2)가 형성됨과 아울러, 그들과 쌍으로 되어 저판(20b)측의 단부로부터 뻗어 있도록 2개의 세로 보강 볼록 비드(15b1, 15b2)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코너부(18a, 18b, 18c, 18d)의 각각은 2쌍(2열)의 세로 보강 볼록 비드(15a1, 15b1와 15a2, 15b2)에 의해 보강되게 된다. 각 세로 보강 볼록 비드(15a1, 15b1, 15a2, 15b2)의 폭 및 길이를 포함하는 형상은, 각 코너부(18a, 18b, 18c, 18d)에 있어서 편하중 및 충격 하중에 대해서 소망의 내구성을 얻을 수 있도록 결정된다. 또한, 도 7 (b)에 나타내듯이 나란히 배열되는 세로 보강 볼록 비드(15a1, 15a2)(15b1, 15b2)의 배열 피치(pitch)(P1)를, 그 세로 보강 볼록 비드의 폭과 같게 함으로써, 그들 나란히 배열되는 세로 보강 비드(15a1, 15a2)(15b1, 15b2)가 정수리부(18top)를 따라 접합하게 된다.
(강도 테스트 결과)
도 8에,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각 형상 캔(NO. 1),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각 형상 캔(NO. 3)에 대한 강도 테스트의 결과를 비교예(NO. 2, NO. 4 ~ NO. 6)와 함께 나타낸다. 각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각 형상 캔에 있어서의 세로 보강 볼록 비드의 폭은 8mm이고, 길이는 50mm로 설정하였다.
도 8을 참조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각 형상 캔(NO. 1)은, 그 편하중 및 충격 하중에 대한 내구성의 점에서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되었다. 이것은 코너부(18a, 18b, 18c, 18d)의 각각이 1쌍의 세로 보강 볼록 비드(15a, 15b)에 의해 보강되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한편, 천판(20a)측 의 단부로부터 저판(20b)측의 단부까지의 몸통부(10)의 세로 방향 전체에(처음부터 끝까지) 뻗어 있도록 코너부(18)의 정수리부(18a)에 세로 보강 볼록 비드(폭: 8mm)를 형성해도, 편하중에 대한 내구성에 관해서는 양호한 결과가 얻어지지 않았다(NO. 2 참조). 또,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각 형상 캔(NO. 3)은, 충격 하중에 대한 내구성에 대해서 특히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또한, 도 9 (a), (b)에 나타내듯이, 코너부(18a, 18b, 18c, 18d)의 각각에, 그 정수리부(18top)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각각 떨어져 2열(2쌍)의 세로 보강 볼록 비드(15a1, 15b1와 15a2, 15b2)(폭: 8mm, 길이: 50mm, 피치(P2): 24mm)가 형성된 각 형상 캔(NO. 4)은, 적어도 편하중에 대한 내구성에 관해서 특히 양호한 결과가 얻어지지 않았다.
또한, 상기 세로 보강 볼록 비드(15a, 15b)(도 1, 도 2 및 도 4 참조)를 대신하여, 몸통부(10)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오목한 오목 형상의 보강 비드(폭: 8mm, 길이: 50mm)를 형성한 경우(NO. 6), 및 이러한 오목 형상의 보강 비드(폭: 8mm)를 천판(20a)측의 단부로부터 저판(20b)측의 단부까지의 몸통부(10)의 세로 방향 전체에(처음부터 끝까지) 뻗어 있도록 코너부(18a, 18b, 18c, 18d)의 각각의 정수리부(18top)에 형성한 경우(NO. 5), 편하중 및 충격 하중에 대한 내구성에 관해서 양호한 결과가 얻어지지 않았다. 이것은 오목 형상의 보강 비드의 경우, 세로 방향 하중이 가해졌을 때에, 코너부(18)에서는 그 안쪽 꺾임을 유효하게 저지할 수가 없는 것으로 추측된다.
전술한 것처럼, 각 코너부(18a, 18b, 18c, 18d)의 정수리부(18top) 상에 천 판(20a)측의 단부 및 저판(20b)측의 단부의 각각으로부터 뻗어 있도록 형성된 1쌍의 세로 보강 볼록 비드(15a, 15b)에 의해 당해 코너부(18)를 보강한 각 형상 캔(제1의 실시의 형태, 강도 테스트 결과 NO. 1)에 의하면, 재료가 되는 강판을 보다 얇게 해도 특히 코너부(18a, 18b, 18c, 18d)에 있어서 편하중 및 충격 하중에 대한 소망의 내구성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각 코너부(18a, 18b, 18c, 18d)의 정수리부(18top)를 따라 접합하고, 천판(20a)측의 단부로부터 뻗어 있도록 2개의 세로 보강 볼록 비드(15a1, 15a2)가 형성됨과 아울러, 그들과 쌍으로 되어 저판(20b)측의 단부로부터 뻗어 있도록 2개의 세로 보강 볼록 비드(15b1, 15b2)가 형성된 각 형상 캔(제2의 실시의 형태, 강도 테스트 결과 NO. 3)에 의하면, 재료가 되는 강판을 얇게 해도 특히 코너부(18a, 18b, 18c, 18d)에 있어서 편하중 및 충격 하중에 대한 소망의 내구성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각 각 형상 캔에서는, 특히 각 코너부(18)(18a, 18b, 18c, 18d) 각각의 양측 각각으로 이어지는 측벽면의 당해 코너부와의 경계 부분에 천판(20a)측의 단부로부터 저판(20b)측의 단부까지 뻗어 있는 세로 보강 비드(1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 코너부(18)가 그 인접 부위로부터의 변형 등에 수반하여 무너져 내리듯이 변형이나 좌굴(buckling)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의 제3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각 형상 캔은,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듯이 구성된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각 형상 캔을 위로부터 본 평면도 (a) 및 정면도 (b)이고, 도 11은 그 각 형상 캔의 사시도이다. 이 제3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각 형상 캔은,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듯이 4개의 코너부(18a, 18b, 18c, 18d) 가운데, 1개의 코너부(18b)에 쌍으로 되는 세로 보강 볼록 비드(15a, 15b)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점에서, 전술한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각 형상 캔과 다르다.
이 각 형상 캔(소위 18리터 캔)은 전술한 제1의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대략 사각 형상의 몸통부(10)의 상단에 천판(20a)(끝판)이 권체(seaming)에 의해 접합되고, 그 하단에 저판(20b)(끝판)이 권체에 의해 접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 몸통부(10)의 각 측면 벽(패널(panel))에도, 전술한 제1의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2개의 세로 보강 비드(12), 2개의 가로 보강 비드(14) 및 직사각형 보강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각 형상 캔의 몸통부(10)는, 예를 들면,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것 같은 순서에 따라서 제조된다.
도 12 (a)에 나타내는 것 같은 4개의 측면 벽(패널)에 상당하는 부위를 가지는 직사각 형상의 금속제 판재(강판)(100)가, 도 12 (b)에 나타내듯이, 절곡 가공된다. 이 절곡 가공에서는, 금속제 판재(100)가 대략 사각 형상의 코너부에서 그 양단 변부가 겹쳐 맞춰지도록 절곡되고, 그 겹쳐 맞춰진 양단 변부가 용접에 의해 접합된다. 이에 의해, 도 13에 나타내는 것 같은 대략 사각 형상의 통체(130)가 형성된다. 통체(130)의 하나의 코너부에는, 도 14(도 13의 영역 Ec의 확대 상세도)에 나타내듯이, 금속제 판재(100)의 양단 변부가 겹쳐 맞춰져 용접된 접합부(사이드 심부(side seam portion)라고 한다)(19)가 당해 통체(130)의 세로 방향으로 뻗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로 돌아가, 전술한 통체(130)가 원래 형태가 되는 몸통부(10)의 3개의 코너부(18a, 18c, 18d)는, 소정의 만곡 형상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한편, 1개의 코너부(18b)에는 전술한 사이드 심부(19)가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심부(19)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3개의 코너부(18a, 18c, 18d)의 각각의 세로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정수리부(18top) 상에는, 전술한 제1의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천판(20a)측의 단부로부터 소정 길이 뻗어 있도록 세로 보강 볼록 비드(15a)가 형성됨과 아울러, 그것과 쌍으로 되어 저판(20b)측의 단부로부터 소정 길이 뻗어 있도록 세로 보강 볼록 비드(15b)가 형성되어 있다. 각 세로 보강 볼록 비드(15a, 15b)는 몸통부(1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볼록 형상으로 되어 있다(도 4 (b) 참조).
한편, 몸통부(10)의 나머지 하나의 코너부(18b)에는 전술한 것처럼 사이드 심부(19)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 사이드 심부(19)는, 도 15에 나타내듯이, 금속제 판재(100)의 양단 변부(도 14 참조)가 겹쳐 용접됨으로써 형성된 것으로서, 실질적으로 2매의 금속제 판재가 겹쳐 맞춰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몸통부(10)는, 도 13에 나타내는 것 같은 통체(130)로부터, 프레스 장치(금형 기구)에 의해 제조된다. 쌍으로 되는 세로 보강 볼록 비드(15a, 15b)가 형성되어야 할 3개의 코너부(18a, 18c, 18d)에 대해서는, 전술한 제1의 실시의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금형 기구 부분(도 5 및 도 6 참조)으로 형성된다. 또, 사이드 심부(19)가 형성된 코너부(18b)에 대해서는, 도 16에 나타내는 것 같은 금형 기구 부분으로 형성된다.
도 16에 있어서, 사이드 심부(19)가 형성된 코너부(18b)를 형성해야 할 금형 기구 부분은, 전술한 사이드 심부(19)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코너부를 형성해야 할 금형 기구 부분(도 5 참조)과 마찬가지로, 오목부(231)가 형성된 내금형(230)과 볼록부(211)가 형성된 외금형(210)이 대향하여 배치됨과 아울러, 오목부(241)가 형성된 내금형(240)과 볼록부(221)가 형성된 외금형(220)이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 사이드 심부(19)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코너부를 형성해야 할 금형 기구 부분(도 5 참조)과 마찬가지로, 내금형(230과 240)의 대향하는 각(角) 부위에는 코너 공간(20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코너 공간(201)에 코너 내금형(280)이 배치되어 있다. 코너 내금형(280)의 바깥쪽 선단부는 성형해야 할 사이드 심(side seam)(19)을 가지는 코너부의 만곡에 의거하여 볼록 형상으로 만곡한 프레스면으로 되어 있다. 또, 코너 내금형(280)의 바깥쪽에 프레스면을 내측으로 향하게 한 코너 외금형(270)이 배치되어 있다. 코너 외금형(270)의 프레스면에는 코너 내금형(280)의 바깥쪽 선단 부분의 볼록 만곡 형상에 대응한 오목 만곡 형상(오목 형상 만곡면(271))으로 되어 있다.
전체의 금형 기구에 있어서는, 각 내금형(230, 240), 각 외금형(210, 220), 코너 내금형(260(도 5 참조), 280) 및 코너 외금형(250(도 5 참조), 270)은, 유압의 익스팬터(expander) 기구에 의해 형 조임 및 형 열림이 되게 되어 있다. 형 조임시에는 각 내금형(230, 240)이 바깥쪽으로, 코너 내금형(260(도 5 참조), 280)이 비스듬히 바깥쪽으로 각각 이동함과 아울러, 각 외금형(210, 220)이 안쪽으로, 코 너 외금형(250(도 5 참조), 270)이 비스듬히 안쪽으로 각각 이동한다. 또, 형 열림시에는 각 내금형(230, 240)이 안쪽으로, 코너 내금형(260(도 5 참조), 280)이 비스듬히 안쪽으로 각각 이동함과 아울러, 각 외금형(210, 220)이 바깥쪽으로, 코너 외금형(250(도 5 참조), 270)이 비스듬히 바깥쪽으로 각각 이동한다.
이러한 금형 기구에 있어서, 몸통부(10)의 원래 형태가 되는 강판제의 통체(130(도 13 참조))가 내금형(230, 240)과 외금형(210, 220)의 사이에 세트된다. 이 상태에서 우선 각 내금형(230, 240)이 외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코너 공간(201)이 넓어지면, 코너 내금형(260(도 5 참조), 280)이 외측으로 이동하고, 코너 외금형(250(도 5 참조), 270)이 내측으로 이동하여, 코너 내금형(260)과 코너 외금형(250)의 형 조임 및 코너 내금형(280)과 코너 외금형(270)의 형 조임이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코너 내금형(260)의 외측 선단부와 코너 외금형(250)의 오목부(251)가 형성된 프레스면에 의해 통체(130)(몸통부(10))의 코너부의 정수리부(18top)가 끼워넣어지고, 당해 코너부의 정수리부(18top) 상에 코너 외금형(250)의 오목부(251a)에 합치한 세로 보강 볼록 비드(15a, 15b)가 형성된다(도 6 참조).
이때, 사이드 심부(19)를 가지는 코너부에 배치된 코너 내금형(280)과 코너 외금형(270)의 형 조임에 의해, 도 17에 나타내듯이, 통체(130)의 사이드 심부(19)를 포함하는 코너부가 양면측으로부터 꽉 조여져, 통체(130)의 당해 코너부의 만곡 형상이 유지된다.
그 후, 각 외금형(210, 220)이 내측으로 이동하여 각 내금형(230, 240)과 각 외금형(210, 220)의 형 조임이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도 6 및 도 17에 나타내듯 이, 통체(130)가 몸통부(10)로서의 정규의 외형 형상(대략 사각 형상)으로 되도록 성형됨과 아울러, 각 내금형(230, 240)과 각 외금형(210, 220)에 의해 끼이는 부위에, 각 내금형(230, 240)의 프레스면에 형성된 요철 형상(예를 들면, 오목부(231, 241)) 및 각 외금형(210, 230)의 프레스면에 형성된 요철 형상(예를 들면, 볼록부(211, 221))에 합치한 각종 보강 비드(예를 들면, 세로 보강 비드(12))가 형성된다.
성형이 종료되면, 코너 내금형(260)과 코너 외금형(250)의 형 열림, 및 코너 내금형(280)과 코너 외금형(270)의 형 열림이 이루어지고, 그 후, 각 내금형(230, 240)과 각 외금형(210, 220)의 형 열림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 형상 캔의 몸통부(10)로서의 정규의 외형 형상으로 되고, 각종의 보강 비드(도 10, 도 11, 도 4 및 도 15 참조)가 형성된 통체(130)가 각 내금형(230, 240)과 각 외금형(210, 220)의 사이로부터 꺼내어진다.
또한, 전술한 예에서는, 세로 보강 비드(12), 가로 보강 비드(14) 및 직사각형 보강부(16)가, 각 세로 보강 볼록 비드(15a, 15b)와 함께 금속제 판재(100)로부터 형성된 통체(130)에 대해서 형성되는 것이었지만, 세로 보강 볼록 비드(15a, 15b) 이외의 보강 부분(세로 보강 비드(12), 가로 보강 비드(14) 및 직사각형 보강부(16) 등)은 금속제 판재(100) (도 12 (a) 참조)에 대해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보강 부분이 형성된 상태의 금속제 판재(100)가 절곡 가공(도 12 (b) 참조)되게 된다.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각 형상 캔은, 도 18에 나타내듯이 구성된다. 이 제4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각 형상 캔은, 사이드 심부(19)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3개의 코너부(18a, 18c, 18d)의 각각에, 전술한 제2의 실시의 형태(도 7 참조)와 마찬가지로, 2쌍의 세로 보강 볼록 비드(15a1, 15a2)가 형성된다. 또, 이 제4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각 형상 캔은, 이와 같이 3개의 코너부(18a, 18c, 18d)의 각각에 2쌍의 세로 보강 볼록 비드(15a1, 15a2)가 형성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제3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각 형상 캔과 동일하다.
(강도 테스트 결과)
전술한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각 형상 캔(도 10 내지 도 17 참조) 및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각 형상 캔(도 18 참조)에 대한 강도 테스트를 행하였다. 편하중 시험, 전체 하중의 시험, 및 코너부 수직 충격 하중의 시험(패널 부분의 오목함, 수평 방향의 변형 흔적을 관찰) 각각에 있어서, 제3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각 형상 캔은,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각 형상 캔(도 8에 있어서의 NO. 1)과 대략 동등한 내구 성능을 가졌다. 또, 제4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각 형상 캔도, 제2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각 형상 캔(도 8에 있어서의 NO. 3)과 대략 동등한 내구 성능을 가졌다.
이와 같이, 1개의 코너부(18b)를 제외한 다른 코너부(18a, 18c, 18d) 밖에는 1쌍 또는 2쌍의 세로 보강 볼록 비드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라도, 4개의 코너부의 모두에 1쌍 또는 2쌍의 세로 보강 볼록 비드를 형성한 경우와 대략 동등한 내구 특성이 얻어진 것은, 사이드 심부(19)가 형성된(세로 보강 볼록 비드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코너부(18b)가, 그 사이드 심부(19)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2매의 금속제 판재(강판)가 접합됨으로써 보강되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이에 의해, 사이드 심부(19)를 가지는 코너부(18b)를 제외한 3개의 코너부(18a, 18c, 18d) 각각의 정수리부(18top) 상에 천판(20a)측의 단부 및 저판(20b)측의 단부의 각각으로부터 뻗어 있도록 형성된 1쌍의 세로 보강 볼록 비드(15a, 15b)에 의해 당해 코너부(18a, 18c, 18d)를 보강함과 아울러, 사이드 심부(19)를 가지는 코너부(18b)가 그 사이드 심부(19)에 의해 보강될 수 있는 각 형상 캔(제3의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재료가 되는 강판을 보다 얇게 해도 특히 코너부(18a, 18b, 18c, 18d)에 있어서 편하중 및 충격 하중에 대한 소망의 내구성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사이드 심부(19)를 가지는 코너부(18b)를 제외한 3개의 코너부(18a, 18c, 18d) 각각의 정수리부(18top)를 따라 접합하고, 천판(20a)측의 단부로부터 뻗어 있도록 2개의 세로 보강 볼록 비드(15a1, 15a2)가 형성됨과 아울러, 그들과 쌍으로 되어 저판(20b)측의 단부로부터 뻗어 있도록 2개의 세로 보강 볼록 비드(15b1, 15b2)가 형성된 각 형상 캔(제4의 실시의 형태)에 의해서도, 재료가 되는 강판을 얇게 해도 특히 코너부(18a, 18b, 18c, 18d)에 있어서 편하중 및 충격 하중에 대한 소망의 내구성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1개의 코너부(18b)를 제외한 3개의 코너부(18a, 18c, 18d)에 세로 보강 볼록 비드를 형성하는 것만으로, 4개의 코너부(18a, 18b, 18c, 18d)와 대략 동등한 내구 성능을 얻을 수 있게 되므로, 내구성이 높은 각 형상 캔을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사이드 심(19)이 있는 코너부(18b)를 제외한 각 코너부(18a, 18c, 18d) 밖에 세로 보강 볼록 비드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각 형상 캔이라도, 특히 각 코너부(18)(18a, 18b, 18c, 18d)의 양측 각각으로 이어지는 측벽면의 당해 코너부(18)의 경계 부분에 천판(20a)측의 단부로부터 저판(20b)측의 단부까지 뻗어 있는 세로 보강 비드(1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 코너부(18)가 그 인접 부위에서의 변형 등에 수반하여 무너져 내리듯이 변형이나 좌굴(buckling)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관계되는 각 형상 캔은, 재료가 되는 강판을 보다 얇게 해도 특히 코너부에 있어서 편하중에 대한 소망의 내구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고 하는 효과를 가져, 소위 18리터 캔 등의 각 형상 캔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8)

  1. 대략 사각 형상의 통체로 되는 몸통부의 개방하는 양단 각각에 끝판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각 형상 캔으로서,
    상기 몸통부의 각 코너부의 정수리부에 걸쳐지고, 상기 양단의 각각으로부터 뻗어 있고, 또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1쌍의 세로 보강 볼록 비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 형상 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각 코너부의 정수리부 상에, 상기 양단의 각각으로부터 뻗어 있고, 또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1쌍의 세로 보강 볼록 비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 형상 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각 코너부의 상기 정수리부를 따라 접합하고, 상기 양단의 각각으로부터 뻗어 있고, 또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2쌍의 세로 보강 볼록 비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 형상 캔.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에 있어서의 상기 각 코너부의 양측 각각으로 이어지는 측벽면의 당해 코너부와의 경계 부분에, 일방의 끝판과의 접합 부위로부터 타방의 끝판과의 접합 부위까지 뻗어 있고, 세로 보강 비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 형상 캔.
  5. 직사각 형상의 금속제 판재의 양단 변부를 겹쳐 맞추어 접합하고, 당해 접합 부분이 코너부로 되도록 형성된 대략 사각 형상의 통체로 되는 몸통부의 개방하는 양단 각각에 끝판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각 형상 캔으로서,
    상기 몸통부의 상기 접합 부분이 있는 코너부를 제외한 각 코너부에, 그 정수리부에 걸쳐지고, 상기 양단의 각각으로부터 뻗어 있고, 또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1쌍의 세로 보강 볼록 비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 형상 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상기 접합 부분이 있는 코너부를 제외한 각 코너부에, 그 정수리부 상에, 상기 양단의 각각으로부터 뻗어 있고, 또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1쌍의 세로 보강 볼록 비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 형상 캔.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상기 접합 부분이 있는 코너부를 제외한 각 코너부에, 그 정수리부를 따라 접합하고, 상기 양단의 각각으로부터 뻗어 있고, 또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2쌍의 세로 보강 볼록 비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 형상 캔.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에 있어서의 각 코너부의 양측 각각으로 이어지는 측벽면의 당해 코너부와의 경계 부분에, 일방의 끝판과의 접합 부위로부터 타방의 끝판과의 접합 부위까지 뻗어 있는 세로 보강 비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 형상 캔.
KR1020097023441A 2007-08-31 2007-08-31 각 형상 캔 KR1011776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66989 WO2009028083A1 (ja) 2007-08-31 2007-08-31 角形状缶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117A true KR20100005117A (ko) 2010-01-13
KR101177614B1 KR101177614B1 (ko) 2012-08-27

Family

ID=40386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3441A KR101177614B1 (ko) 2007-08-31 2007-08-31 각 형상 캔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072971B2 (ko)
KR (1) KR101177614B1 (ko)
WO (1) WO200902808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50246A (ko) 2015-06-19 2016-12-29 주식회사 새암 딥 드로잉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밀폐용기
KR101719950B1 (ko) * 2016-01-07 2017-03-24 최연수 캔용기의 동체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13979B2 (ja) * 2011-12-26 2017-04-12 大日製罐株式会社 多角形状缶、角形状缶、多角形状缶の製造方法及び缶成形装置
KR200474089Y1 (ko) * 2013-02-18 2014-08-21 린 데 생칸 메이킹 머시너리 코 엘티디 구형부 구조
KR101379602B1 (ko) * 2013-06-11 2014-04-01 이해봉 강도가 개선된 단위 덕트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따라 제조된 덕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4184Y2 (ko) 1977-07-30 1980-03-31
CH635789A5 (de) 1979-02-01 1983-04-29 Hoffmann Ag Geb Gebinde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BR0003728B1 (pt) 2000-06-20 2009-08-11 processo de fabricação de lata de seção poligonal e lata de seção poligonal.
JP4791012B2 (ja) * 2004-07-12 2011-10-12 本州製罐株式会社 角形状缶及びその製造方法
JP5055539B2 (ja) * 2006-03-03 2012-10-24 本州製罐株式会社 角形状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50246A (ko) 2015-06-19 2016-12-29 주식회사 새암 딥 드로잉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밀폐용기
KR101719950B1 (ko) * 2016-01-07 2017-03-24 최연수 캔용기의 동체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9028083A1 (ja) 2010-11-25
WO2009028083A1 (ja) 2009-03-05
KR101177614B1 (ko) 2012-08-27
JP5072971B2 (ja) 201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2071B2 (en) Bulkhead for raising strength and rigidity of vehicular frame members
KR101177614B1 (ko) 각 형상 캔
JP6624189B2 (ja) 車体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車両の車体部材
TWI590885B (zh)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ess-formed product and a press-formed product, and a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press-formed product
JP5055539B2 (ja) 角形状缶
CA2953313A1 (en) Pressed article manufacturing method and press mold
KR20160043105A (ko) 프레스 성형품 및 프레스 성형품의 제조 방법 및 프레스 성형품의 제조 장치
CN105015300A (zh) 组合拉杆轴和用于制造扭转型材的方法
JPH11104750A (ja) 突き合わせ溶接板のプレス成形方法
US20100025284A1 (en) Polygonal drawn container and a forming method thereof
CN102602355B (zh) 加强板及其制造方法和具有该加强板的rops
CN103492256B (zh) 车身
JP4791012B2 (ja) 角形状缶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122983A (ja) 液圧成形用予備成形体、液圧成形方法および液圧成形品
KR20210145261A (ko) 프레스 성형 방법
CN110871852B (zh) 帽型构件和帽型构件的制造方法
JP4974241B2 (ja) ホイール積載盤
KR102064954B1 (ko) 폐단면 합성 기둥 및 이의 제작 방법
JP2003146159A (ja) バンパーリインフォースの製造方法及びバンパーリインフォース
JP7135925B2 (ja) バルジ成形品の製造方法
JP7063930B2 (ja) 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成形品
CN217858359U (zh) 纵梁的拉延模具
CN216943271U (zh) 一种汽车横梁与纵梁的搭接结构
JP2015205533A (ja) 車両用ルーフリインフォース
JP2000016763A (ja) クレーンブ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