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969U - 주방가구 일체형 건조 수납함 - Google Patents

주방가구 일체형 건조 수납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969U
KR20100004969U KR2020080014770U KR20080014770U KR20100004969U KR 20100004969 U KR20100004969 U KR 20100004969U KR 2020080014770 U KR2020080014770 U KR 2020080014770U KR 20080014770 U KR20080014770 U KR 20080014770U KR 20100004969 U KR20100004969 U KR 201000049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tchen furniture
moisture
storage box
kitchen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47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병현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20200800147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4969U/ko
Publication of KR201000049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96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47B81/04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dishware

Landscapes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가구 일체형 건조 수납함은, 주방가구에 빌트인(built in) 되어 각종 피보관식품의 보관 및 제습을 하기 위한 주방가구 일체형 건조 수납함에 있어서, 수납함 본체; 상기 수납함 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주방가구내의 피보관식품의 습기를 흡습하는 흡습수단; 상기 흡습수단의 외측에 구비되어 흡습수단을 건조시키는 히팅수단; 상기 수납함 본체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피보관식품의 습기를 선택적으로 입출시키는 밸브조립체; 및 상기 히팅수단 및 상기 밸브조립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각종 건(乾)식품류, 차(茶)류, 분말식품류, 건조식품류, 스낵류등과 같은 음식물의 보관을 위해 별도의 밀폐 용기를 구입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의 소모를 줄이고, 건조 수납함이 빌트인 형태로서 주방가구에 설치되므로 주방에서 외부 미관이 향상되며, 흡습수단이 히팅수단을 통해 건조되어 반영구적으로 사용되므로, 음식물의 제습을 위한 방습제의 사용 및 교환이 불필요하다.
주방가구, 마른 식품, 습기, 건조, 수납함, 흡습

Description

주방가구 일체형 건조 수납함{Drying housing built in kitchen furniture}
본 고안은 건조 수납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싱크대와 같은 주방가구에 빌트인(built in) 되어 각종 피보관식품의 보관 및 제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주방가구 일체형 건조 수납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가구는 각기 다른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가 모여 하나의 시스템화된 가구를 이루는 것으로서, 조리 등의 가사작업과 수납이 동시에 수행되는 것이며, 이러한 주방가구의 하나인 싱크대는 크게 상부장과 하부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상부장은 주방 벽면에 부착되어 주방용품을 수납하는 상부수납장과, 음식물의 조리 시 발생되는 냄새와 가스를 배출하는 후드(hood)장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장은 주방 바닥면에 설치되어 주방용품을 수납하는 하부수납장과, 음식물을 가열하는 레인지대 및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 하부장은 사용자가 가장 편한 동선(動線)을 확보한 상태에서 주방일을 할 수 있도록 배치함과 동시에 가장 효율적으로 식기나 재료 등의 주방용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주방에서 각종 건(乾)식품류, 차(茶)류, 분말식품류, 건조식품류, 스낵류등과 같은 음식물의 보관은, 위생을 고려하여 밀폐용기와 같은 별도의 보관함을 이용하거나, 방습제를 이용하여 제습 후 주기적으로 상기 방습제를 교환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밀폐용기는 각각의 음식물에 따라 별도의 밀폐용기를 구입해야 하므로 비용이 많이 소모되고, 다량의 밀폐용기를 사용시 주방에서 외부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방습제의 경우 주로 일회용 용도로 쓰이므로 이 또한 방습제의 구입에 따른 비용 소모와 함께, 방습제 교환에 따른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밀폐 용기 구입에 따른 비용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주방가구 일체형 건조 수납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외부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주방가구 일체형 건조 수납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제습을 위한 방습제의 사용 및 교환이 불필요한 주방가구 일체형 건조 수납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주방가구에 빌트인(built in) 되어 각종 피보관식품의 보관 및 제습을 하기 위한 주방가구 일체형 건조 수납함에 있어서, 수납함 본체; 상기 수납함 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주방가구내의 피보관식품의 습기를 흡습하는 흡습수단; 상기 흡습수단의 외측에 구비되어 흡습수단을 건조시키는 히팅수단; 상기 수납함 본체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피보관식품의 습기를 선택적으로 입출시키는 밸브조립체; 및 상기 히팅수단 및 상기 밸브조립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주방가구 일체형 건조 수납함에 의하여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본 고안에서, 상기 수납함 본체의 양단에는, 상기 피보관식품의 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통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고안에서 상기 밸브 조립체는, 밸브 하우징과; 상기 밸브 하우징의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출몰되는 복수의 자동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주방가구 일체형 건조 수납함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각종 건(乾)식품류, 차(茶)류, 분말식품류, 건조식품류, 스낵류등과 같은 음식물의 보관을 위해 별도의 밀폐 용기를 구입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둘째, 건조 수납함이 빌트인 형태로서 주방가구에 설치되므로 주방에서 외부 미관이 향상된다.
셋째, 흡습수단이 히팅수단을 통해 건조되어 반영구적으로 사용되므로, 음식물의 제습을 위한 방습제의 사용 및 교환이 불필요하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방가구 일체형 건조 수납함을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수납함이 주방가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조 수납함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건조 수납함의 분리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건조 수납함에 있어서 수납함 본체에 흡습수단과, 히팅수단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사용되는 조작판넬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에 따른 주방가구 일체형 건조 수납함은, 크게 수납함 본체와, 상기 수납함 본체에 내장된 흡습수단과, 상기 흡습수단을 건조시키는 히팅수단과, 상기 수납함 본체의 양단에 구비된 밸브조립체와, 상기 히팅수단 및 상기 밸브조립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납함 본체(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서, 양단에는 전술한 각종 건(乾)식품류, 차(茶)류, 분말식품류, 건조식품류, 스낵류(이하, 피보관식품이라 함, 미도시)의 습기가 유입되거나 또는 배출되기 위한 소정 직경의 통기공(12)(14)이 형성되고, 싱크대와 같은 주방가구(60)의 전면 소정 위치에 빌트인(built in) 형태로 설치되며, 도 1에서 화살표는 습기의 유입 및 유출 방향을 나타낸다.
상기 흡습수단(20)은 통상적으로 널리 쓰이는 실리카겔(Silica gel)을 원통형으로 압축 성형하여 사용한다.
상기 히팅수단(30)은 전기 코일(coil)로 구성되며, 상기 흡습수단(20)을 둘 러싸는 형태로서 상기 수납함 본체(10)에 내장되어 후술하는 제어부와 연결되어 발열을 통해 상기 흡습수단(20)을 건조시킨다.
상기 밸브 조립체(40)(50)는 원통형 밸브 하우징(42)(52) 내부에 좌우 1쌍의 자동 밸브(automatic valve)(44a,44b)(54a,54b)가 각각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1쌍의 자동 밸브(44a,44b)(54a,54b)가 선택적으로 출몰(出沒)되면서 상기 통기공(12)(14)을 통해 습기를 유입시키거나 배출시킨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히팅수단(30) 및 상기 자동밸브(44a,44b)(54a,54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의 작동을 제어하며, 필요에 따라 상기 수납함 본체(10) 내측에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습도 센서(미도시)를 장착하여 상기 습도 센서의 센싱(sensing)에 의해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자동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7과 같은 조작판넬(70)을 상기 주방가구(60)의 전면 소정위치에 부착시켜 사용한다. 상기 조작판넬(70)은 승강 버튼(72)을 눌러서 피보관식품의 습도를 원하는 적정 습도로서 셋팅한 후, 본 고안에 따른 주방가구 일체형 건조 수납함을 사용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주방가구(60)에 구비된 소정의 수납공간에 전술한 피보관식품을 넣은 후, 도 7에 도시된 조작판넬(70)의 승강버튼(72)을 눌러서 적정한 습도로 셋팅한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를 통해 상기 밸브 조립체(40)(50)의 일측 자동밸브(44a,54a)를 열고, 타측 자동밸브(44b,54b)를 닫아서 상기 피보관식품의 습기를 상기 수납함 본체(10)의 통기공(12)(14)을 통해 각각 유입시킴에 따라 상기 흡습수단(20)이 습기를 흡습한다.
이와 같이 하여 일정 시간 동안 흡습한 후, 흡습수단(20)이 과흡습 하였다고 판단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 조립체(42)(52)의 일측 자동밸브(44a,54a)를 닫고, 타측 자동밸브(44b,54b)를 연 후, 제어부를 통해 히팅수단(30)을 가동하여 흡습수단(20)을 히팅함에 따라 흡습수단의 습기가 상기 타측 자동밸브(44b,54b)를 통해 수증기 형태로서 주방가구(60)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흡습수단(20)은 상기 히팅수단(30)을 통해 건조시켜서 반영구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주방가구 일체형 건조 수납함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수납함이 주방가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조 수납함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건조 수납함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건조 수납함에 있어서 수납함 본체에 흡습수단과, 히팅수단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개 분리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사용되는 조작판넬을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납함 본체 12,14 : 통기공
20 : 흡습수단 30 : 히팅수단
40,50 : 밸브 조립체 42,52 : 밸브 하우징
44a,44b,54a,54b : 자동 밸브 60 : 주방가구
70 : 조작 판넬 72 : 승강 버튼

Claims (3)

  1. 주방가구에 빌트인(built in) 되어 각종 피보관식품의 보관 및 제습을 하기 위한 주방가구 일체형 건조 수납함에 있어서,
    수납함 본체(10);
    상기 수납함 본체(10)에 내장되어 상기 주방가구(60)내의 피보관식품의 습기를 흡습하는 흡습수단(20);
    상기 흡습수단(20)의 외측에 구비되어 흡습수단(20)을 건조시키는 히팅수단(30);
    상기 수납함 본체(10)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피보관식품의 습기를 선택적으로 입출시키는 밸브조립체(40)(50); 및
    상기 히팅수단(30) 및 상기 밸브조립체(40)(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주방가구 일체형 건조 수납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 본체(10)의 양단에는,
    상기 피보관식품의 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통기공(12)(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가구 일체형 건조 수납함.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40)(50)는,
    밸브 하우징(42)(52)과;
    상기 밸브 하우징(42)(52)의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출몰되는 복수의 자동 밸브(44a,44b)(54a,54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가구 일체형 건조 수납함.
KR2020080014770U 2008-11-05 2008-11-05 주방가구 일체형 건조 수납함 KR2010000496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770U KR20100004969U (ko) 2008-11-05 2008-11-05 주방가구 일체형 건조 수납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770U KR20100004969U (ko) 2008-11-05 2008-11-05 주방가구 일체형 건조 수납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969U true KR20100004969U (ko) 2010-05-13

Family

ID=44450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4770U KR20100004969U (ko) 2008-11-05 2008-11-05 주방가구 일체형 건조 수납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496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43249A1 (en) Portable Dish Dryer with Drying Lamp
JPH06197858A (ja) 食器の処理・収納装置
CA2256004C (en) Domestic oven adapted for use in dehydrating food products
JP3954425B2 (ja) 除湿ユニットおよび厨房家具
JP2006341004A (ja) 引出し型の乾燥キャビネット
KR20100004969U (ko) 주방가구 일체형 건조 수납함
PL2072658T3 (pl) Urządzenie elektryczne do prania i/lub suszenia artykułów
KR101818890B1 (ko) 주방가구 시스템
JP2007135887A (ja) 乾燥装置及びキッチンキャビネット
CN111133266B (zh) 食物储存器具
JP4401819B2 (ja) キッチンキャビネット
CN105831994A (zh) 除臭烘干鞋柜
KR200224129Y1 (ko) 환기구가 형성된 세트가구
JP4655720B2 (ja) 蓋付き収納容器装置
CN218853144U (zh) 一种消毒柜
KR102345240B1 (ko) 보온 기능이 구비된 식기 건조기
KR200350777Y1 (ko)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살균 건조장
KR20100109585A (ko) 방향제를 설치한 빨래 건조대
KR100604373B1 (ko) 통기구가 구비된 가구
JP2005049018A (ja) 加熱調理器
CN211382845U (zh) 一款餐饮多功能刀具刀板节能消毒柜
KR200391950Y1 (ko) 가구용 손잡이
KR200359112Y1 (ko) 가스렌지용 수납장치
JP2616517B2 (ja) 食器乾燥装置
KR100885728B1 (ko) 냉장고용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