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956U - 명판 장착 구조를 갖는 학생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명판 장착 구조를 갖는 학생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956U
KR20100004956U KR2020080014756U KR20080014756U KR20100004956U KR 20100004956 U KR20100004956 U KR 20100004956U KR 2020080014756 U KR2020080014756 U KR 2020080014756U KR 20080014756 U KR20080014756 U KR 20080014756U KR 20100004956 U KR20100004956 U KR 201000049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udent
terminal device
name plate
student termin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47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필
유영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시스템즈
Priority to KR20200800147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4956U/ko
Publication of KR201000049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95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58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 G06K19/07762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the adhering arrangement making the record carrier wearable, e.g. having the form of a ring, watch, glove or bracel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enabling tracking or indicating pres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강사로부터 입력된 출석 체크 요청에 따라 출석 체크 요청 신호를 송신한 후 수신하는 전자 학생 ID에 기초하여 복수의 학생에 대한 출석 체크를 행하는 정보 수집 장치와의 통신이 가능한 학생용 단말 장치에 있어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입력 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 항목에 대한 학생의 선택을 입력받은 경우에는 상기 선택된 입력 항목을 나타내는 선택 입력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정보 수집 장치로부터 상기 출석 체크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자동으로 또는 학생의 선택에 의해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전자 학생 ID를 송신하는 제1 전자 회로부와, 상기 제1 전자 회로부를 수용하는 본체와, 학생의 개인 신상 정보가 표시된 명판을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된 장착부를 포함하는 학생용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학생 단말 장치, 명판

Description

명판 장착 구조를 갖는 학생 단말 장치{DEVICE FOR STUDENTS WITH NAME TAG ATTACHING STRUCTURE}
본 고안은 명판 장착 구조를 갖는 학생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무선 통신하는 학생 단말 장치와 정보 수집 장치로 이루어지는 교육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학생 단말 장치에 학생의 성명이나 학급 등을 표시한 명판을 장착할 수 있는 구조 및 장착된 명판을 고정시키는 구조를 갖는 학생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강의실에서 학생이 소지하여 사용하는 학생 단말 장치와 강사가 운용하는 정보 수집 장치가 서로 무선으로 통신하며 출석의 체크 및 시험 응시, 질문 요청, 강의 평가 등을 행하는 교육 지원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 있어서, 학생이 운용하는 학생 단말 장치는 목걸이 형태, 손목시계 형태 등으로 소형 및 경량으로 제작되어 학생이 편리하게 소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학생들은 학교 또는 학원에서 자신의 소속 및 성명을 표시하는 명찰을 패용하거나 RFID 신분증을 소지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특정의 학생 1인에게 특화되어 사용되는 명찰과 학생 단말 장치는 별개로 물건이므로, 학생들은 학생 단말 장치와 명찰을 별도로 소지하고 사용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학생 단말 장치와 명찰을 일체화하여 학생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강사로부터 입력된 출석 체크 요청에 따라 출석 체크 요청 신호를 송신한 후 수신하는 전자 학생 ID에 기초하여 복수의 학생에 대한 출석 체크를 행하는 정보 수집 장치와의 통신이 가능한 학생용 단말 장치에 있어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입력 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 항목에 대한 학생의 선택을 입력받은 경우에는 상기 선택된 입력 항목을 나타내는 선택 입력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정보 수집 장치로부터 상기 출석 체크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자동으로 또는 학생의 선택에 의해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전자 학생 ID를 송신하는 제1 전자 회로부와, 상기 제1 전자 회로부를 수용하는 본체와, 학생의 개인 신상 정보가 표시된 명판을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된 장착부를 포함하는 학생용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전자 회로부는 상기 장착부에 상기 명판이 장착된 것을 감지하는 장착 감지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명판이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경우에 상기 정보 수집 장치와의 통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명판은 학생 RFID를 저장하고 요청에 따라 상기 학생 RFID를 출력하는 제3 전자 회로부를 더 포함하고, 제1 전자 회로부가 상기 명판으로부터 읽 어들인 상기 학생 RFID가 상기 전자 학생 ID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정보 수집 장치와의 통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명판을 장착한 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명판을 상기 본체의 일측으로부터 슬라이딩하여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입력 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 항목에 대한 학생의 선택을 입력받은 경우에는 상기 선택된 입력 항목을 나타내는 선택 입력 신호를 송신하고, 출석 체크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저장되어 있는 전자 학생 ID를 송신하는 제1 전자 회로부와, 상기 제1 전자 회로부를 수용하는 본체와, 학생의 개인 신상 정보가 표시된 명판을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된 장착부를 포함하는 학생용 단말 장치; 및 강사로부터 출석 체크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출석 체크 요청 신호를 상기 학생 단말 장치로 송신한 후 상기 학생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전자 학생 ID에 기초하여 출석 체크를 행하고, 출석 체크된 학생의 상기 학생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선택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대응하는 정보 처리를 행하는 정보 수집 장치를 포함하는 교육 지원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학생 단말 장치의 일측면에 학생의 개인 식별 정보가 표시된 명판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생 단말 장치의 분실 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또한, 학생 단말 장치를 명찰 또는 신분증의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학생 단말 장치의 활용 분야을 더욱 확장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학생 단말 장치와 정보 수집 장치를 포함하는 교육 지원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서, 학생 단말 장치(100)와 정보 수집 장치(200)는 강의실 내에서 서로 무선 통신한다.
정보 수집 장치(200)는 해당 강의실에서 이루어지는 강의에 참여할 학생들에 대한 식별 정보(전자 학생 ID)들을 미리 유지하는 상태에서, 강의실에 진입한 각각의 학생 단말 장치(100)에게 내장된 식별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한다. 이에 학생 단말 장치(100)들이 각각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식별 정보를 송신하게 되고, 이를 정보 수집 장치(200)에서 수신함으로써 미리 유지하고 있는 식별 정보와 비교하여 학생의 출석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강의 도중에는, 강사가 문제와 복수의 선택지를 직접 칠판에 판서하거나 구두로, 또는 소정의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205) 또는 학생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52)(도 3 참조)를 통해 제시한 후, 문제에 대한 해답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지를 선택하여 입력하라는 지시를 각각의 학생 단말 장치(100)에 전송하게 되면, 학생들이 학생 단말 장치(100)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선택지를 선택하는 응답을 입력하게 된다. 이에 정보 수집 장치(200)는 입력된 선택지를 수신 하고 각 학생의 응답에 대해 채점하는 정보 처리를 행한다. 또한, 정보 수집 장치(200)는 학생들의 정답률이나 오답 선택지 선호도 등을 통계하여 유지하고, 정보 처리 결과를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205)에 표시하거나 각 학생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52)에 표시할 수 있도록 전송해 준다.
또한, 강사는 강의 내용에 대한 이해도를 학생들에게 문의하고, 각 학생들이 학생 단말 장치(100)를 이용하여 자신의 이해도를 입력한 결과를 수집하여 통계함으로써, 학생마다의 이해도 및 전체적인 이해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강의 도중에 학생이 학생 단말 장치(100)로 질문 사항이 있음을 입력하면, 정보 수집 장치(200)에는 어떤 학생 단말 장치(100)로부터 누가 질문을 했는지 표시된다. 강사는 이러한 표시 내용을 확인하고, 해당 학생의 질문에 즉시 답변하거나 답변을 잠시 보류하겠다는 등의 응답을 학생 단말 장치(100)로 송신함으로써 학습의 흐름을 통제할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학생은 자신의 식별 정보를 숨긴 채 질문을 행하거나 혹은 다양한 상황(강의 내용이 이해되지 않음, 재설명 요망, 예시를 들어주세요, 등)을 요청할 수도 있다.
강의가 종료한 후 정보 수집 장치(200)는, 학생 단말 장치(100)로부터 강사에 대한 평가 또는 제공된 강의에 대한 만족도 등을 입력받아 통계화하고, 학생들에게는 상기 통계화한 결과 또는 강의 중 제공된 문제에 대한 채점 결과 등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강의 중 발생하게 되는 모든 상황(출석 상황, 질문 발생 및 횟수, 채점 결과, 강의 만족도 및 평가 등)은 정보 수집 장치(200)에 우선 저장되고, 필요에 따라서는 인터넷을 통해 학부모에게 제공될 수 있다. 즉, 학부모들이 학생들의 학습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가능하도록, 다양한 상황들을 SMS, MMS, 전자메일 등과 같은 수단을 통해 통보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학생 단말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고, 도 4를 참조하여 정보 수집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학생 단말 장치(100)는, 출석 점검을 위한 출석 확인 입력, 질문 사항 발생을 강사에게 알리기 위한 입력, 강사가 제공한 복수의 선택지 중의 적어도 하나의 선택지에 대한 선택 입력, 강사가 요구하는 학습 참여 활동에 대한 대응, 강사 및 강의 내용에 대한 평가 등을 행하게 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학생 단말 장치는, 제1 입력부(110), 제1 송신부(120), 제1 제어부(130), 제1 수신부(140), 제1 표시부(15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입력부(110), 제1 송신부(120), 제1 제어부(130), 제1 수신부(140), 제1 표시부(150) 및 전원 공급부(190)는 제1 전자 회로부가 된다.
제1 입력부(110)는, 다양한 기능 항목 중에서 학생이 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학생이 선택할 수 있는 기능 항목들은, 강의에 관련한 질문 사항이 있음을 강사에게 알리기 위한 기능, 강사에게 강의 내용을 다시 한 번 설명해주기를 요청하는 기능, 개인적인 요구에 의해 강사를 호출하는 기능, 강의실에 입실한 후 출석을 확인하는 기능, 강사가 문제를 제시한 경우 문제에 대하여 제시된 복수의 선택지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지에 대한 선택을 입력하는 기능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입력부(110)는 이와 같은 기능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가속도 센서(111), 복수의 버튼(112), 터치 스크린(113), 디지털 타블렛(1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111)는 학생이 휴대 단말 장치(100)를 흔드는 동작 등에 의해 사용자 입력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학생의 학습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112)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씩의 기능 항목(예를 들면, 번호)을 지정하여 두고 학생이 필요에 따라 원하는 번호를 누르도록 할 수 있다. 버튼(112)은 학생의 응답을 입력하는 데에 이용되는 가장 보편적인 수단이다. 터치 스크린(113) 또는 디지털 타블렛(114)은, 더욱 다양한 형태의 입력을 획득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학생 단말 장치(100)는 그 크기를 소형화하여 휴대 및 사용을 편리하게 해야하므로, 터치 스크린(113) 또는 디지털 타블렛(114)과 같은 장치를 학생 단말 장치(100)에 모두 일체화시켜 구비할 필요는 없으며, 별도의 인터페이스(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필요한 장치만을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송신부(120)는, 제1 입력부(110)를 통해 학생이 선택한 기능 항목을 나타내는 전기적인 신호인 선택 입력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정보 수집 장치(200) 측으로 송신한다. 이때 이용되는 통신망으로는, 유무선 인터넷 통신망, USB 등을 이용한 유선 연결, 휴대전화용 이동 통신망, 블루투스 또는 Zigbee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 등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각각의 통신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데이터 전송 주파수 등도 적절하게 선택되어 이용될 수 있다.
제1 제어부(130)는, 제1 입력부(110)에 입력된 학생이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 항목(또는, 선택지)을 나타내는 선택 입력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선택 입력 신호를 제1 송신부(120)에 제공하고, 무선으로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제1 제어부(130)는 또한, 정보 수집 장치(200)에서 전송되는 각종 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대응하는 처리 및 제어를 행한다. 즉, 정보 수집 장치(200)에서 학생 단말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려 하거나 복수의 선택지에 대한 학생의 선택을 요구할 때, 제1 제어부(130)는 학생 단말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여 정보 단말 장치(100)의 요구에 대응하는 동작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제어부(130)는 정보 수집 장치(200)의 제어에 의해 동작 모드가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보 수집 장치(200)의 제어에 의해, 출석 확인 입력을 위한 모드, 강사에 의해 제공된 문제에 대한 응답을 행하기 위한 모드, 강사가 요구하는 학습 참여에 대응하는 입력을 행하기 위한 모드 등으로 전환되도록 한다. 이러한 모드의 전환은, 학생에 의해 직접 행해질 수도 있다.
제1 수신부(140)는 위와 같이, 정보 수집 장치(200)에서 송신하는 각종 신호를 수신한다.
제1 표시부(150)는, 발광 수단으로서 LED 등의 발광 소자, 영상 디스플레이 수단으로서 LCD, 진동 발생 수단으로서 진동 모터, 음향 출력 수단으로서 스피커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 표시부(150)에 의해, 정보 수집 장치(200)로부터 수신 한 정보, 학생 단말 장치(100)의 현재 동작 상태, 학생이 선택한 기능 항목에 해당하는 표시 등이 행해질 수 있다. 또한, 영상 디스플레이 수단으로는 상술한 터치 스크린(113) 또는 디지털 타블렛(114)이 추가될 수도 있다. 진동 발생 수단은 강사가 학생의 학습에의 참여를 유도하거나 학생에 대한 호출을 비공개적으로 행하고자 할 때 이용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학생 단말 장치의 각부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충전식 또는 비충전식 배터리, 외부 전원 입력 수단일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정보 수집 장치(200)에서도 동일하다.
도 3은 실제 적용 가능한 학생 단말 장치의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학생 단말 장치(100)에는 복수의 입력 버튼(112)이 구비된다. 이 버튼(112)들에는 각각 번호 또는 기호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학생 단말 장치(100)의 일측에는 학생 단말 장치(100)의 동작을 표시하기 위한 LED 등의 발광 소자가 구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LCD(152) 등의 영상 표시가 가능한 표시 장치가 배치된다. 더욱 이 LCD(152)에는 터치 스크린(113)이 추가될 수도 있다.
또한, 학생 단말 장치(100)는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추가 입력 수단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추가 입력 수단으로서 디지털 타블렛(114)을 연결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학생 단말 장치는, 목걸이 형태, 열쇠고리 형태, 핸드헬드 형태, 손목시계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정보 수집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정보 수집 장치(200)는, 강의에 참여할 학생 단말 장치(100)들에 대한 식별 정보 획득, 학생 단말 장치(100)들에 대한 출석 점검, 학생 단말 장치(100)가 선택한 선택지에 대한 채점 결과 전송, 학생의 질문 요청에 대한 응답, 잘못된 학생 단말 장치(100)가 강의실에 입실했을 경우에 대한 알림, 강의 내용에 대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 특정 학생 단말 장치(100)의 기능 전환을 원격 제어하는 기능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인터넷과 연결되어 원격의 컨텐츠 제공 서버(도시하지 않음)와 통신하여 각종 교육용 인터랙티브 컨텐츠를 제공받아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205)에 표시하고, 컨텐츠에 대한 대응을 학생 단말 장치(100)에게 요구한다. 또한, 학생 단말 장치(100)들로부터 입력되는 응답을 컨텐츠 제공 서버 측에 제공하여 교육용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진행을 도모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정보 수집 장치(200)는, 제2 수신부(210), 제2 표시부(220), 제2 제어부(230), 제2 입력부(240), 제2 송신부(250), 전원 공급부(2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 수신부(210), 제2 표시부(220), 제2 제어부(230), 제2 입력부(240), 제2 송신부(250), 전원 공급부(290)는 제2 전자 회로부가 된다.
제2 수신부(210)는, 학생 단말 장치(100)의 제1 송신부(120)에서 송신되는 선택 입력 신호와 같은 각종 정보를 수신한다.
제2 표시부(220)는, LED 등의 발광 소자, LCD 등의 영상 표시 장치, 진동 모터, 스피커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2 표시부(220)에 의해 학생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표시하거나, 정보 수집 장치(200)의 동작 상태에 대한 표시가 행해진다. 제2 표시부(220)는 강의실 내에 위치하고 있는 복수의 학생 단말 장치(100)들 각각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대화면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표시부(220)에는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205)와 연결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제2 표시부(220)에 표시되는 영상 등이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205)와 연동하여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제2 입력부(240)는, 강사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학생 단말 장치(100)를 호출하기 위한 입력, 학생이 적어도 하나의 기능 항목을 선택하도록 요구하기 위한 입력 등의 강사의 요구를 획득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 터치 스크린, 디지털 타블렛 등을 포함한다. 또한, 학생 단말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원격 전환하기 위한 입력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한, 외부 키보드, 마우스 또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의 입력을 제공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제어부(230)는 제2 수신부(210)에서 수신한 학생 단말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소정의 정보 처리 동작을 수행하고, 처리 결과를 제2 표시부(220)에 표시한다. 즉, 예를 들어, 강사가 어떠한 문제를 제시하고 그에 대한 5개의 선택지를 제공하는 경우, 강사는 제2 입력부(240)를 통해 강의실 내에 존재하는 학생 단말 장치(100)를 응답 입력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고, 이에 학생 단말 장치(100)는 학생의 조작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선택지를 선택하는 응답을 입력 받고 이 응답을 나타내는 선택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게 된다. 이에 정보 수집 장치(200)는 학생 단말 장치(100)로부터 송신되는 선택 입력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강의실 내에는 복수의 학생 단말 장치(100)가 존재하게 될 것이며, 정보 수집 장치(200)는 복수의 학생 단말 장치(100)의 각각에서 송신하는 복수의 선택 입력 신호들을 수신하고, 각각의 학생이 선택한 응답을 채점하고, 그 채점 결과를 통계하여 제2 표시부(220)에 표시하거나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205)를 통해 표시한다.
또한, 제2 제어부(230)는, 강의실에 입실한 각각의 학생 단말 장치(100)들이 저장하고 있는 식별 정보들을 획득하여 출석 체크하고, 수강 등록하지 않은 상태로 잘못 입실한 학생 단말 장치(100)에 대해서는 잘못된 강의실에 입실하였음을 안내한다.
제2 송신부(250)는, 학생 단말 장치(100)에게 선택 입력 신호를 송신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선택 요구 신호를 송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학생 단말 장치(100)와 정보 수집 장치(200)로 이루어지는 교육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학생 단말 장치(100)는 학생이 항상 휴대하고 다니면서 자신이 임하는 강의에 대한 출석 확인, 시험 응시 등의 기능을 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학생 단말 장치(100)는 특정의 학생에 대해서만 특화되어야 하고, 그 학생에 의해서만 사용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학생 단말 장치(100)는 특정 학생 의 개인 식별 정보(이름, 소속, 사진, ID 등)가 전자적으로 저장 또는 가시적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기존에 학생들이 소지 또는 패용하는 학생증, ID 카드, 명찰 등을 학생 단말 장치(100)에 장착함으로써, 학생 단말 장치(100)를 항시 소지 또는 패용하도록 하여 분실 등을 방지할 수도 있다.
명판(40)(도 5 참조)은 적어도 학생의 성명과 사진, 소속 학급 등의 개인 식별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물체로서,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판 형상의 물체에 가독성이 높은 색깔로 문자 또는 기호를 표시한 것이다. 이러한 명판(40)은 학생이 의복 등에 패용할 수도 있고, 주머니 등에 소지할 수도 있다. 또한, 명판(40)은 학생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기억하고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으로 정보를 출력하는 RFID 기능을 내장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명판(40)을 학생 단말 장치(100)에 장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1 실시예)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학생 단말 장치의 명판 장착 구조에 관하여,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명판 장착 구조를 갖는 학생 단말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학생 단말 장치(100)는 본체(10)와 장착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10)는, 학생 단말 장치(100) 내부의 제1 전자 회로부를 보호하고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적어도 일측에 명판(40)이 장착될 수 있는 면을 갖는 직육면체를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서는 학생의 성명과 학년이 표시된 명판(40)이 본체의 측면으로부터 삽입되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넓게 보이는 면은 학생 단말 장치(100)의 뒷면이 되며, 도면에서 보이지 않는 쪽인 학생 단말 장치(100)의 앞면에는 복수의 버튼들(112)과 LCD(152) 등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체(10)에는 명판(40)이 슬라이딩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 홈(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장착부(20)의 안쪽면(21) 일측에는 걸림구(23; 도 6 참조)가 형성되어 삽입된 명판(40)이 빠지지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걸림구(23)는 명판(40)을 장착부(20) 내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이 된다.
본체(10)의 일측 또는 장착부(20)의 안쪽면(21)에는 학생의 식별 정보를 표시한 태그(41)가 더 장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태그(41)에 의하여, 학생 단말 장치(100)에 명판(40)이 없는 경우에도, 학생 단말 장치(100)의 분실을 방지하고 또다른 학생 단말 장치와의 구분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6(a) 내지 도 6(c)은 고정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나타낸다.
도 6(a)에서는 장착부(20)의 안쪽면(21)에 소정의 홈을 형성하고, 장착부(20)의 안쪽면(21)에서 바깥쪽으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되는 걸림구(23) 및 걸림 구(23)를 홈 내에서 탄성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24)을 구비하는 구조를 나타낸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명판(40)이 가이드 홈(22)에 끼워져 슬라이딩할 때 명판(40)의 뒷면에 대하여 장착부(20)의 바깥쪽을 향하여 밀어내는 힘을 작용하게 되므로 장착부(20)에 대한 명판(40)의 움직임을 억제한다. 또한, 명판(40)이 장착부(20)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구(23)의 돌출에 대응하여 맞추어지는 위치에 소정의 홈(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함으로써, 장착부(20)에 삽입된 명판(40)이 더욱 견고하게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b)에서는 장착부(20)의 안쪽면(21) 일측에 형성된 걸림 돌기(25)를 나타낸다. 걸림 돌기(25)는 장착부(20)의 안쪽면(21)에서 바깥쪽을 향해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명판(40)이 가이드 홈(22)을 따라 슬라이딩할 때 명판(40)의 뒷면을 장착부(20)의 바깥쪽으로 밀어내는 힘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명판(40)의 자체의 휨 탄성에 의해 장착부(20)에서의 움직임이 억제될 수 있게 된다.
도 6(c)에서는 장착부(20)의 안쪽면(21) 일측에 자석(26)이 설치된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구조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장착부(20)의 안쪽면(21)과 마주하는 명판(40)의 뒷면에는 자석(26)에 대응하는 위치에 금속 물체(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야 한다. 이 금속 물체는 명판(40)이 가이드 홈(22)을 따라 장착부(20)에 완전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자석(26)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서로간의 자력에 의해 명판(40)은 장착부(20)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자석(26)과 금속 물체의 배치는 반대로 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체(10)에 명판(40)이 완전하게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에서는 명판(40)이 완전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명판(40)이 가이드 홈(22)을 따라 밖으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막는 역할을 하는 걸림 돌기(25)가 형성된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고정 수단은 장착부(20)의 안쪽면(21)에서 명판(40)의 뒷면에 접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으며(도 5 참조), 명판(40)이 장착부(20)에 완전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명판(40)이 밖으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막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도 7 참조). 도 7에서는 고정 수단으로 걸림 돌기(25)를 도시하고 있지만, 걸림구(23)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7에서는 도 5와는 다른 형태의 가이드 홈(22)을 도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5의 가이드 홈(22)은 'ㄷ'자 형태의 홈으로 이루어졌지만, 도 7의 가이드 홈(22)은 '<' 형태의 홈으로 이루어졌음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가이드 홈(22)의 형태, 고정 수단의 형태 및 설치 위치 등에 대해서 특별한 한정 가하지 않는다.
(제2 실시예)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학생 단말 장치의 본체에 대한 명판 장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장착부(20)를 본체(10)에 음각으로 형성하지 않고, 명판(40)을 본체의 일측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가이드 돌기(22a)를 형성한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조에 있어서도,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은 다양한 고정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학생 단말 장치의 본체에 대한 명판 장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서는 명판(40)을 본체(10)의 측면으로부터 슬라이딩 삽입하는 구조가 아니라, 넓게 보이는 면으로부터 장착부(20)의 안쪽면(21)을 향하여 안착시키는 구조를 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고정 수단으로 자석(26)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착부(20)의 홈의 측벽에 걸림구(23)나 걸림 돌기(25)와 같은 고정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안착된 명판(40)이 밖으로 떨어져 나오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제4 실시예)
도 10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학생 단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제4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3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학생 단말 장치(100)에 있어서, 명판(40)이 장착부(20)에 완전하게 삽입된 상태에서만 학생 단말 장치(100)가 정보 수집 장치(200)와 서로 통신하며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이를 위하여, 학생 단말 장치(100)의 일측에는 명판(40)의 완전한 장착을 감 지하기 위한 장착 감지부(115)를 추가한다. 이러한 장착 감지부(115)는 명판 고정 수단과 연계하여 동작하는 다양한 기계식 스위치일 수도 있고, 전기적 또는 자기적으로 명판(40)의 삽입을 감지하여 삽입에 대한 감지 결과를 출력하는 각종 센서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제어부(130)는 장착 감지부(115)의 감지 결과를 입력받아 학생 단말 장치(100)의 전원 온오프, 각종 기능의 수행 또는 정보 수집 장치(200)와의 통신 등을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의 학생 단말 장치(100)에 의하면, 학생 단말 장치(100)와 명판(40)에 대한 분실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학생 단말 장치(100)에 명판(40)을 장착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본래의 취지에 부합하는 이용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제5 실시예)
도 11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학생 단말 장치에 장착되는 명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제5 실시예에서는, 학생 단말 장치(100)와, 학생 단말 장치(100)와 서로 통신하며 상호 작용 가능한 명판(40)을 설명한다. 즉, 제1 내지 제4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학생 단말 장치(100)에 있어서, 명판(40)이 장착부(20)에 삽입되고, 명판(40)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 정보가 인증된 경우에만 학생 단말 장치(100)가 정보 수집 장치(200)와 서로 통신하며 정상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이를 위하여, 명판(40)에는, 제3 저장부(410)와, 제3 송신부(420) 및 제3 수신부(440)와, 제3 제어부(430)와, 유도 전원 공급부(490)가 포함된다. 이러한 제3 저장부(410)와, 제3 송신부(420) 및 제3 수신부(440)와, 제3 제어부(430)와, 유도 전원 공급부(490)는 제3 전자 회로부(402)가 된다.
제3 저장부(410)는 학생의 식별 정보, 즉 학생 단말 장치(100)의 전자 학생 ID에 대응하는 학생 RFID를 저장한다.
제3 송신부(420)는 명판(40)으로부터의 소정의 정보를 학생 단말 장치(100)측으로 송신하고, 제3 수신부는 학생 단말 장치(100)로부터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한다. 이러한 송수신을 위하여, 학생 단말 장치(100)에는 별도의 송수신부를 추가할 수도 있다. 하지만, 학생 단말 장치(100)의 제1 송신부(120) 및 제1 수신부(140)에 각각 제3 수신부 및 제3 송신부와의 통신 기능을 추가하여 통신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명판(40)과 학생 단말 장치(100)간의 통신은 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도 있고, 소정의 전기적인 접점을 이용한 유선 통신을 이용할 수도 있다.
유도 전원 공급부(490)는 학생 단말 장치(100)로부터 송출되는 전자기파로부터 유도 전력을 생성하여 제3 전자 회로부(402)의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 이 유도 전원 공급부(490)는, 명판(40)의 제3 송신부(420) 및 제3 수신부(440)가 학생 단말 장치(100)의 제1 송수신부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도 전원 공급부(490)를 채용함으로써 명판(40)에 별도의 배터리와 같은 전원 공급 수단을 추가할 필요가 없어진다. 한편, 명판(40)의 제3 송신부(420) 및 제3 수 신부(440)가 학생 단말 장치(100)의 제1 송수신부와 접점에 의해 직접 연결되는 유선 통신 구조에서는, 명판(40)의 동작 전원을 제1 송수신부를 통하여 직접 입력받을 수도 있다.
제3 제어부(430)는, 제3 수신부(440)를 통해 학생 단말 장치(100)로부터 학생 식별에 대한 요청을 입력받으면, 제3 저장부(410)에 저장된 학생 RFID를 독출하여 제3 송신부(420)를 통해 출력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학생 단말 장치(100)는, 학생 단말 장치(100)의 정당한 사용자인 학생의 명판(40)이 장착되는 경우에만 정상 동작하도록 제어될 수 있으므로, 부당한 사용자에 의한 사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어느 학생 단말 장치(100)에 복수의 서로 다른 학생의 명판(40)이 교체 삽입되어 사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어느 한 학생이 자신의 명판(40)을 삽입하면 그 학생에게 특화된 기능으로 동작하도록 하고, 또다른 학생이 자신의 명판(40)을 삽입하게 되면 이 학생에게 특화된 기능으로 학생 단말 장치(100)가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학생 단말 장치(100)의 일측면에 학생의 개인 식별 정보가 표시된 명판(40)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생 단말 장치(10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학생 단말 장치(100)를 학생의 명판(40) 대용으로 또는 의복에 패용하는 명찰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학생 단말 장치(100)의 활용 분야을 더욱 확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최근 보급되고 있는 학생의 신분증으로 기능하는 RFID 명판을 사용하 는 경우에 있어서도, 기존의 명판을 학생 단말 장치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기능을 모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서의 교육 지원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서의 교육 지원 시스템에서 학생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학생 단말 장치의 적용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서의 교육 지원 시스템에서 정보 수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명판 장착 구조를 갖는 학생 단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다양한 구조의 고정 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체에 명판이 완전하게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학생 단말 장치의 본체에 명판을 장착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학생 단말 장치의 본체에 명판을 장착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학생 단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명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Claims (6)

  1. 강사로부터 입력된 출석 체크 요청에 따라 출석 체크 요청 신호를 송신한 후 수신하는 전자 학생 ID에 기초하여 복수의 학생에 대한 출석 체크를 행하는 정보 수집 장치와의 통신이 가능한 학생용 단말 장치에 있어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입력 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 항목에 대한 학생의 선택을 입력받은 경우에는 상기 선택된 입력 항목을 나타내는 선택 입력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정보 수집 장치로부터 상기 출석 체크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자동으로 또는 학생의 선택에 의해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전자 학생 ID를 송신하는 제1 전자 회로부와,
    상기 제1 전자 회로부를 수용하는 본체와,
    학생의 개인 신상 정보가 표시된 명판을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된 장착부를 포함하는 학생용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회로부는 상기 장착부에 상기 명판이 장착된 것을 감지하는 장착 감지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명판이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경우에 상기 정보 수집 장치와의 통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생용 단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명판은 학생 RFID를 저장하고 요청에 따라 상기 학생 RFID를 출력하는 제3 전자 회로부를 더 포함하고,
    제1 전자 회로부가 상기 명판으로부터 읽어들인 상기 학생 RFID가 상기 전자 학생 ID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정보 수집 장치와의 통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생용 단말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명판을 장착한 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생용 단말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명판을 상기 본체의 일측으로부터 슬라이딩하여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생용 단말 장치.
  6.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입력 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 항목에 대한 학생의 선택을 입력받은 경우에는 상기 선택된 입력 항목을 나타내는 선택 입력 신호를 송신하고, 출석 체크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저장되어 있는 전자 학생 ID를 송신하는 제1 전자 회로부와, 상기 제1 전자 회로부를 수용하는 본체와, 학생의 개인 신상 정보가 표시된 명판을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된 장착부를 포함하는 학생용 단말 장치; 및
    강사로부터 출석 체크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출석 체크 요청 신호를 상기 학생 단말 장치로 송신한 후 상기 학생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전자 학생 ID에 기초하여 출석 체크를 행하고, 출석 체크된 학생의 상기 학생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선택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대응하는 정보 처리를 행하는 정보 수집 장치를 포함하는 교육 지원 시스템.
KR2020080014756U 2008-11-05 2008-11-05 명판 장착 구조를 갖는 학생 단말 장치 KR2010000495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756U KR20100004956U (ko) 2008-11-05 2008-11-05 명판 장착 구조를 갖는 학생 단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756U KR20100004956U (ko) 2008-11-05 2008-11-05 명판 장착 구조를 갖는 학생 단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956U true KR20100004956U (ko) 2010-05-13

Family

ID=44450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4756U KR20100004956U (ko) 2008-11-05 2008-11-05 명판 장착 구조를 갖는 학생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495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87407A (zh) * 2019-02-28 2019-06-14 江苏腾武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方便校园管理的多功能班牌
CN112735008A (zh) * 2021-02-09 2021-04-30 王永红 一种多功能表音像头u盘构成的电子铭牌和信息处理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87407A (zh) * 2019-02-28 2019-06-14 江苏腾武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方便校园管理的多功能班牌
CN109887407B (zh) * 2019-02-28 2024-03-19 江苏腾武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方便校园管理的多功能班牌
CN112735008A (zh) * 2021-02-09 2021-04-30 王永红 一种多功能表音像头u盘构成的电子铭牌和信息处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9882B2 (en) Brail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US7046141B2 (en) Radio frequency object locator system
US8326210B2 (en) Participant response system and method
US768821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ing face-to-face communication
US9830483B2 (en) Security and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data collection and messaging over a dynamic mesh network
CN102037716A (zh) 用于自动更新化身状态以指示用户状态的方法和系统
US6799035B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sending a wireless directional signal containing personal information
KR20140030710A (ko)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위치 확인이 가능한 출결 체크 시스템
KR20100004956U (ko) 명판 장착 구조를 갖는 학생 단말 장치
KR20090051555A (ko) 다수개 단말기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통합 모니터링시스템및 방법
JP2006524838A (ja) 対面型の通信を強化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2008085786A (ja) モバイル機器システムおよびモバイル機器
US20060166657A1 (en) Remote caller ID projection device
KR20150094921A (ko) Xidstory 앱과 근거리 통신 기능을 이용한 출석 체크 방법
JP2007082152A (ja) 携帯通信端末用クレードル
CN101155425A (zh) 移动设备系统以及移动设备
KR20100006243A (ko) 분실 방지 시스템
CN220419978U (zh) 电子班卡
KR20100039034A (ko) 교육 지원 시스템 및 교육 지원 방법
KR200209384Y1 (ko) 데이트 바인딩 장치
CN214901010U (zh) 放大镜模块及智能终端
JP3186003U (ja) 人の情報管理装置
CN214338001U (zh) 放大镜模块及智能终端
JP2005085192A (ja) 通信システム
EP2600485A1 (en)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