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851A - 영상 신호 처리 장치, 영상 신호 처리 방법, 프로그램 및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신호 처리 장치, 영상 신호 처리 방법, 프로그램 및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851A
KR20100004851A KR1020090040891A KR20090040891A KR20100004851A KR 20100004851 A KR20100004851 A KR 20100004851A KR 1020090040891 A KR1020090040891 A KR 1020090040891A KR 20090040891 A KR20090040891 A KR 20090040891A KR 20100004851 A KR20100004851 A KR 20100004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elation
video signal
signal
gain
emission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0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히토 오가와
마사유키 오타와라
류타로 오카모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04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8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7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gradation control methods
    • G09G3/2081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gradation control methods with combination of amplitude modulation and time modul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5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voltage across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09G2300/0861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with additional control of the display period without amending the charge stored in a pixel memory, e.g. by means of additional select electrodes
    • G09G2300/0866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with additional control of the display period without amending the charge stored in a pixel memory, e.g. by means of additional select electrodes by means of changes in the pixel supply volt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7Flicker reduction other than flicker reduction circuits used for single beam cathode-ray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1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in the context of movement of objects on the screen or movement of the observer relative to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10Special adaptations of display systems for operation with variable images
    • G09G2320/103Detection of image changes, e.g. determination of an index representative of the image ch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현프레임과 전프레임간의 상관을 판정하고 판정된 상관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의 게인과 발광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고화질화를 꾀할 수 있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 영상 신호 처리 방법, 프로그램 및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현 프레임과 전프레임간의 상관을 대응하는 화소별로 판정하여 판정 결과에 따른 신호 레벨의 상관 신호를 출력하는 상관 판정부와, 상관 신호에 기초하여 발광 시간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발광 시간 설정부와, 상관 신호에 기초하여 조정값을 출력하는 조정값 설정부와, 조정값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의 게인을 조정하고, 게인이 조정된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게인 조정부를 구비하고, 발광 시간 제어 신호와 게인 조정부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규정되는 1프레임 기간에서의 발광량은 상관 판정부에서의 판정 결과와 상관 없이 일정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영상 신호 처리 장치, 영상 신호 처리 방법, 프로그램 및 표시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signal, program,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signal}
본 발명은 영상 신호 처리 장치, 영상 신호 처리 방법, 프로그램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CRT디스플레이(Cathode Ray Tube display)를 대신하는 표시 장치로서, 유기EL 디스플레이(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또는 OLED 디스플레이(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라고도 불린다.), FED(Field Emission Display.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 여러가지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여러가지 표시 장치에서의 발광 방법은 크게 임펄스(Impulse) 타입의 발광과 홀드(Hold) 타입의 발광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CRT 디스플레이나 FED 등은 임펄스형 발광에 의해 영상을 표시하고, 또 예를 들면 LCD 등은 1프레임 기간중에 계속 발광하는 홀드형 발광에 의해 영상을 표시한다.
또 임펄스형 발광을 하는 표시 장치와 홀드형 발광을 하는 표시 장치는 각각 표시 특성이 다르다. 예를 들면, 임펄스형 발광을 하는 표시 장치는 간헐적인 발광이므로 동영상 특성이 우수하여 전 프레임의 잔상이 남는 현상, 소위 「움직임 잔상」의 발생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영상을 보는 사용자가 「움직임 잔상」을 느끼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임펄스형 발광을 채택한 표시 장치에는 그 반면 「플리커(Flicker)」가 쉽게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 홀드형 발광을 하는 표시 장치는 1프레임 기간중에 같은 표시를 계속 유지하기 때문에 「플리커」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움직임 잔상」이 쉽게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와중에 플리커나 움직임 잔상의 발생을 억제하여 고 화질화를 꾀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1프레임 기간에 2번 발광시킴으로써 플리커의 발생을 억제하는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들 수 있으며, 1프레임 기간에 주사선을 하나 걸러 하나씩 발광시킴으로써 플리커의 발생을 억제하는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2를 들 수 있다. 또 동영상을 표시할 때 보간 프레임을 작성하여 표시시킴으로써 이중상(二重像)의 발생을 억제하는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3을 들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특개2006-330664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특개2006-317894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특개2006-165974호 공보
그러나 플리커의 발생을 억제하는 종래의 기술을 사용한 표시 장치에서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하지 않고 보통 1프레임 기간에 여러 번(예를 들면, 2회) 발광시키기 때문에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따라서는 영상을 보는 사용자의 눈의 잔상 효과로 인해 사용자에게는 해당 문자가 이중상으로서 보이게 된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플리커의 발생을 억제하는 종래의 기술을 사용한 종래의 표시 장치에서의 문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9는, 플리커의 발생을 억제하는 종래의 기술을 사용한 종래의 표시 장치에서의 문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서, 도 9(a)는 종래의 표시 장치가 화면에 문자「X」를 정지 화상으로 표시하고 있는 경우, 도 9(b)는 종래의 표시 장치가 화면에 문자「X」를 동영상으로 표시하고 있는 경우의 일례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9(a)에 도시한 정지 화상, 즉 전 프레임 기간에서의 표시 내용과 현 프레임 기간에서의 표시 내용이 동일한 경우에는 플리커의 발생을 억제하는 종래의 기술을 사용한 종래의 표시 장치가 1프레임 기간에 여러번 발광시켜도 문자「X」의 표시 위치가 변하지 않기 때문에 큰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도 9(b)에 도시한 동영상, 즉 전 프레임 기간에서의 문자「X」의 표시 위치와 현 프레임 기간에서의 문자「X」의 표시 위치가 다른 경우에는 사용자의 눈의 잔상 효과에 의해 사용자에게는 전 프레임에서 표시되어 있던 문자「X」가 잔상으로 인식된다(즉, 사용자에게는 문자「X」가 이중상으로 보인다.). 따라서 플리 커의 발생을 억제하는 종래의 기술을 사용한 표시 장치는 고 화질화를 충분히 꾀할 수 없다.
또 상기와 같이 고 화질화를 저해하는 이중상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는 있지만, 이중상의 발생을 억제하는 종래의 기술은 보간 프레임의 작성 난이도가 높아 보간 프레임의 작성이 실패한 경우(예를 들면, 전후 프레임의 화상을 나타내는 동영상에 파탄을 초래하는 보간 프레임을 작성한 경우 등)에는 표시된 영상에 현저한 파탄이 발생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이중상의 발생을 억제하는 종래의 기술에서는, 보간 프레임의 정밀도를 높이려고 하면 할수록 비용 증가로 직결되어 버린다. 따라서 이중상의 발생을 억제하는 종래의 기술을 사용한 표시 장치는 고 화질화를 충분히 꾀할 수 없다.
또한 LCD 등과 같이 홀드형 발광을 하는 표시 장치에서는, 발광의 원리상 움직임 잔상이 쉽게 발생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이중상의 발생을 억제하는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기술에 의해 움직임 잔상의 발생 방지를 꾀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홀드형 발광을 하는 표시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1프레임 기간에 2회 발광시켜 2번째 발광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전후의 프레임에서 보간함으로써 움직임 잔상의 발생을 억제한다. 그러나 홀드형 발광을 채택한 표시 장치에서의 움직임 잔상의 발생 방지를 꾀하는 종래의 기술은, 상기 이중상의 발생을 억제하는 종래의 기술과 마찬가지로 보간 프레임의 작성 난이도가 높기 때문에 보간 프레임의 작성이 실패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보간 프레임을 작성함으로써 움직임 잔상의 발생 방지를 꾀하는 종래의 기술을 사용한 홀드형 발광을 하는 표시 장치는 고 화질화를 충분히 꾀할 수 없다.
이상과 같이 플리커나 이중상, 움직임 잔상의 발생을 억제하여 고 화질화를 꾀하는 종래의 기술로는 고 화질화를 충분히 꾀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부분은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현 프레임과 전 프레임간의 상관을 판정하고 판정된 상관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의 게인과 발광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고 화질화를 꾀할 수 있는 신규 및 개량된 영상 신호 처리 장치, 영상 신호 처리 방법, 프로그램 및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의하면, 입력된 영상 신호가 나타내는 현프레임과 전프레임간의 상관을 대응하는 화소별로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따른 신호 레벨의 상관 신호를 출력하는 상관 판정부와, 상기 상관 신호에 기초하여 1프레임 기간에서의 발광 시간을 규정하는 발광 시간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발광 시간 설정부와, 상기 상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신호의 게인을 조정하는 조정값을 출력하는 조정값 설정부와, 상기 조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신호의 게인을 조정하고 게인이 조정된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게인 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 시간 제어 신호와 상기 게인 조정부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규정되는 1프레임 기간에서의 발광량은 상기 상관 판정부에서의 판정 결과와 상관 없이 일정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현 프레임과 전 프레임간의 상관을 판정하고, 판정된 상관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의 게인과 발광 시간을 제 어함으로써 고 화질화를 꾀할 수 있다.
또 상기 상관 판정부는, 입력된 영상 신호를 1프레임 기간 유지하는 프레임 메모리와, 상기 현 프레임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와, 상기 프레임 메모리에서 출력되는 상기 전 프레임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를 대응하는 화소별로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른 상관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를 구비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해, 현 프레임과 전 프레임간의 상관을 판정하여 판정 결과에 따른 신호 레벨의 상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현 프레임과 전 프레임간의 상관을 판정하고 판정된 상관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의 게인과 발광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고화질화를 꾀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의하면, 입력된 영상 신호가 나타내는 현 프레임과 전 프레임간의 상관을 대응하는 화소별로 판정하여 판정 결과에 따른 신호 레벨의 상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상관 신호에 기초하여 1프레임 기간에서의 발광 시간을 규정하는 발광 시간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상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신호의 게인을 조정하는 조정값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조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신호의 게인을 조정하고 게인이 조정된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갖는 영상 신호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현 프레임과 전 프레임간의 상관을 판정하고 판정된 상관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의 게인과 발광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고 화질화를 꾀할 수 있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의하면, 입력된 영상 신호가 나타내는 현 프레임과 전 프레임간의 상관을 대응하는 화소별로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따른 신호 레벨의 상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상관 신호에 기초하여 1프레임 기간에서의 발광 시간을 규정하는 발광 시간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상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신호의 게인을 조정하는 조정값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조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신호의 게인을 조정하고 게인이 조정된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현 프레임과 전 프레임간의 상관을 판정하고, 판정된 상관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의 게인과 발광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고화질화를 꾀할 수 있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의하면, 입력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1프레임 기간에서의 영상 신호의 게인과 발광 시간을 조정하는 영상 신호 조정부와, 전류량에 따라 자발광하는 발광 소자를 갖는 화소를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고 상기 영상 신호 조정부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와 발광 시간을 규정하는 발광 시간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영상 신호 조정부는 입력된 영상 신호가 나타내는 현 프레임과 전 프레임간의 상관을 대응하는 화소별로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따른 신호 레벨의 상관 신호를 출력하는 상관 판정부와, 상기 상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시간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발광 시간 설정부와, 상기 상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신호의 게인을 조정하는 조정값을 출력하는 조정값 설정부와, 상기 조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신호의 게인을 조정하고 게인이 조정된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게인 조정부를 가지고, 상기 발광 시간 제어 신호와 상기 게인 조정부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규정되는 1프레임 기간에서의 발광량은 상기 상관 판정부에서의 판정 결과와 상관 없이 일정한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현 프레임과 전 프레임간의 상관을 판정하고 판정된 상관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의 게인과 발광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고 화질화를 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현 프레임과 전 프레임간의 상관을 판정하고 판정된 상관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의 게인과 발광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고화질화를 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의 게인과 발광 시간의 제어 어프로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이하, 「영상 신호 처리 장 치(100)」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에 대해서 설명하기 전에 우선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의 게인과 발광 시간의 제어 어프로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의 게인과 발광 시간의 제어 어프로치를 설명하기 위한 제1 설명도이다. 또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의 게인과 발광 시간의 제어 어프로치를 설명하기 위한 제2 설명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종축으로 영상 신호의 신호 레벨을, 횡축으로 발광 시간을 도시하였다. 도 1(a)는 임펄스형 발광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신호 레벨이 L1이고 발광 시간이 t1이므로 발광량은 L1×t1로 표현된다. 또 도 1(b)는 홀드형 발광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신호 레벨이 L2(L2<L1)이고 발광 시간이 t2(t2>t1)이므로 발광량은 L2×t2로 표현된다.
여기에서 도 1(a)에 도시한 경우와 도 1(b)에 도시한 경우의 발광량이 동일할 때, 즉 L1×t1=L2×t2일 때, 도 1(a)에 도시한 경우와 도 1(b)에 도시한 경우의 곱의 합은, 이하의 수식 1로 표현된다.
Figure 112009028149939-PAT00001
…(수식 1)
수식 1에 도시한 관계가 성립되는 경우, 즉 발광량이 동일한 경우에는 사람 눈의 적분 효과에 의해 도 1(a)에 도시한 임펄스형 발광 상태라 해도 또는 도 1(b)에 도시한 홀드형 발광 상태라 해도 사용자의 눈에는 같은 밝기의 영상으로 보인다. 따라서 발광량을 동일하게 유지하면, 임펄스형 발광 상태와 홀드형 발광 상태 를 바꿔 표시하더라도 계조는 손상되지 않아 화질의 열화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임펄스형 발광 상태(도 1(a))와 홀드형 발광 상태(도 1(b))를 바꾸어 표시했다 해도 수식 1의 관계가 성립하는 경우에는 계조는 손상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의 게인과 발광 시간의 제어 방법은, 도 1에 도시한 2단계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도 2(a)∼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 신호의 게인과 발광 시간을 3 이상의 여러 단계로 변화시킬 수도 있다. 여기에서 도 2(a)는 도 1(a)에 도시한 임펄스형 발광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2(d)는 도 1(b)에 도시한 홀드형 발광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 도 2(b), 도 2(c)는 각각 임펄스형 발광 상태(도 1(a))와 홀드형 발광 상태(도 1(b))의 중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 신호의 게인과 발광 시간을 3 이상의 여러 단계로 변화시킴으로써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다양한 발광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도 2(a)∼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 상태가 여러 가지로 설정된다고 해도 예를 들면 이하의 수식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상태에서의 발광량이 동일해지도록 영상 신호의 게인과 발광 시간이 제어되면 계조는 손상되지 않아 화질의 열화는 발생하지 않는다.
Figure 112009028149939-PAT00002
…(수식 2)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수식 1, 수식 2에 나타내는 관계에 착안하여 영상 신호의 게인과 발광 시간을, 예를 들면 이하에 나타내는 (1)∼(3)의 처리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플리커와 움직임 잔상의 발생을 방지한다.
(1)현 프레임과 전 프레임간의 상관 판정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입력된 영상 신호가 나타내는 영상이 표시되는 프레임(이하, 「현 프레임」이라고 한다.)과, 현 프레임의 1프레임 기간 전의 프레임(이하, 「전 프레임」이라고 한다.) 간의 상관을 판정한다. 현 프레임과 전 프레임과의 상관을 판정함으로써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영상 신호가 나타내는 영상에 포함되는 피사체(예를 들면, 사람이나 동물 혹은 차 등의 사물.)가 정지 화상인지 또는 동영상인지를 판정할 수 있다. 또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현 프레임과 전 프레임의 상관 강도(이하, 「상관 레벨」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를 판정함으로써 영상 신호가 나타내는 영상에 포함되는 피사체가 정지 화상인지 또는 동영상인지 뿐만 아니라 나아가 해당 피사체에 어느 정도의 움직임이 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관 레벨을 판정함으로써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상관 강도에 대응한 발광의 상태에서 영상을 표시 화면 표시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관 레벨이 가장 큰 경우(즉, 상관 강도가 가장 강한 경우)에는 정지 화상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도 2(d)에 도시한 홀드형 발광 상태에서 영상을 표시시킨다. 반대로 상관 레벨이 가장 적은 경우(즉, 상관 강도가 가 장 약한 경우)에는 움직임이 큰 동영상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도 2(a)에 도시한 임펄스형 발광 상태에서 영상을 표시시킨다. 그리고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상관 레벨이 최소값과 최대값의 중간 크기인 경우에는, 상관 레벨에 따라 도 2(b)나 도 2(c)에 도시한 발광의 상태에서 영상을 표시시킨다. 상기와 같이 상관 레벨에 따라 발광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다양한 발광 상태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상관 레벨에 따른 발광 상태의 제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면 입력된 영상 신호(현 프레임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와 전 프레임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 화면에 영상을 표시할 경우의 표시 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화소별로 상관 레벨을 판정한다. 여기에서 상관 레벨의 판정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전 프레임의 영상 신호와 현 프레임의 영상 신호간의 차분값(또는, 차분값의 절대값)을 화소별로 취하는 것을 들 수 있지만,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움직임 벡터를 검출하고 해당 움직임 벡터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관 레벨을 도출할 수도 있다.
또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면 표시 화면을 여러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여 해당 분할 영역마다 상관 레벨을 판정할 수도 있다. 상기의 경우에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면 분할 영역 내에 포함되는 화소 각각에 대해서 상관 레벨을 판정하고 판정 결과의 빈도가 높은 결과를 해당 분할 영역의 판정 결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에서의 상관 레 벨의 판정 방법이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2)판정 결과(상관 레벨)에 따른 신호 레벨의 상관 신호의 출력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상기 (1)의 처리시에 판정된 상관 레벨에 기초하여 해당 상관 레벨에 따른 신호 레벨의 상관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면 상관 레벨과 상관 신호의 신호 레벨이 대응된 룩업테이블(Look Up Table)을 사용함으로써 상관 레벨에 따른 신호 레벨의 상관 신호를 일의(一意)적으로 출력할 수 있지만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3)상관 신호에 기초한 영상 신호의 게인과 발광 시간의 제어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상기 (2)의 처리시에 출력된 상관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의 게인과 발광 시간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상관 신호에 기초한 영상 신호의 게인의 제어와 상관 신호에 기초한 발광 시간의 제어를 각각 설명하는데,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영상 신호의 게인 제어와 발광 시간 제어를 동기하여 수행할 수 있다.
(3-1)영상 신호의 게인의 제어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상관 신호에 기초하여 상관 신호의 신호 레벨에 따른 조정 신호를 화소별로 출력한다. 그리고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면 입력된 영상 신호와 상기 조정 신호를 곱함으로써 입력된 영상 신호의 게인을 조정한다. 상기의 경우, 상기 조정 신호는 영상 신호의 게인을 조정하기 위한 곱셈 계수로서의 역할을 완수한다.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에서의 조정 신호의 출력 방법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3-2)발광 시간의 제어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상관 신호에 기초하여 상관 신호의 신호 레벨에 따른 발광 시간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발광 시간 제어 신호란, 1프레임 기간에서의 발광 시간을 규정하는 신호이다.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에서의 발광 시간 제어 신호의 출력 방법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상기 (3-1),(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관 신호에 기초하여 조정 신호와 발광 시간 제어 신호를 각각 출력함으로써 영상 신호의 게인을 조정(제어)하고 또 발광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에서 상관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영상 신호의 게인과 발광 시간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낸다.
[상관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영상 신호의 게인과 발광 시간의 관계의 일례]
(I)상관 신호가, 상관 레벨이 최대인 경우에 대응하는 신호일 때: 정지 화상일 가능성이 높은 경우
상기 (2)의 처리시 출력된 상관 신호가, 상관 레벨이 최대인 경우에 대응하는 상관 신호인 경우에는 정지 화상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면 도 2(d)에 도시한 홀드형 발광을 선택한다. 그리고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도 2(d)에 도시한 상태를 만들어 내도록 영상 신호의 게인과 발광 시간을 제어한다.
여기에서 정지 화상이 표시되는 경우에는 움직임 잔상이 생길 가능성은 낮기 때문에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상기 경우에는 홀드형 발광을 선택하여 플리커의 발생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플리커와 움직임 잔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유럽권 등에 채용되고 있는 PAL(Phase Alternating Line)규격은 프레임 주기가 50Hz로서, NTSC(National Television Standards Committee)규격의 프레임 주기 59.94Hz보다도 낮기 때문에 PAL규격에서는 플리커가 특히 발생하기 쉽다. 그러나 가령 PAL규격에 따른 영상 신호라 해도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정지 화상이 표시되는 경우(상관 레벨이 최대인 경우)에는 홀드형 발광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플리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II)상관 신호가, 상관 레벨이 최소인 경우에 대응하는 신호일 때: 움직임이 큰 동영상일 가능성이 높은 경우
상기 (2)의 처리시에 출력된 상관 신호가, 상관 레벨이 최소인 경우에 대응하는 상관 신호인 경우에는 움직임이 큰 동영상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면 도 2(a)에 도시한 임펄스형 발광을 선택한다. 그리고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도 2(a)에 도시한 상태를 만들어 내도록 영상 신호의 게인과 발광 시간을 제어한다.
움직임이 큰 동영상이 표시되는 경우에는 플리커가 생길 가능성은 낮기 때문에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상기의 경우에는 임펄스형 발광을 선택하여 움직임 잔상의 발생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플리커와 움직임 잔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III)상관 신호가, 상관 레벨이 최소∼최대의 중간인 경우에 대응하는 신호일 때: 기타의 경우
상기 (2)의 처리시에 출력된 상관 신호가, 상관 레벨이 최소∼최대의 중간인 경우에 대응하는 상관 신호인 경우에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상관 신호의 신호 레벨에 따라 영상 신호의 게인과 발광 시간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관 레벨이 최대값에 보다 가까운 경우에 대응하는 상관 신호가 상기 (2)의 처리로 출력되었을 때에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움직임 잔상보다도 플리커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도 2(c)에 도시한 상태를 만들어 내도록 영상 신호의 게인과 발광 시간을 제어한다. 또 상관 레벨이 최소값에 보다 가까운 경우에 대응하는 상관 신호가 상기 (2)의 처리로 출력되었을 때에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플리커보다도 움직임 잔상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도 2(b)에 도시한 상태를 만들어 내도록 영상 신호의 게인과 발광 시간을 제어한다.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면 상기 (I)∼(III)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관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의 게인과 발광 시간을 제어한다. 따라서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상관 신호의 신호 레벨에 따른(즉, 상관 레벨에 따른) 다양한 발광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면 상기 (1)의 처리∼(3)의 처리를 함으로써 현 프레임과 전 프레임간의 상관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의 게인과 발광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플리커와 움직임 잔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상기 (1)∼(3)의 처리를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또 이하에서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이하, 「표시 장치(200)」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로서, 발광 소자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발광하는 자발광형 표시 장치인 유기 EL 디스플레이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 유기 EL 디스플레이가 구비하는 발광 소자인 유기EL 소자는 IL특성(전류-발광량 특성)이 선형이므로 발광 소자에 인가되는 전류량에 따라 발광한다. 따라서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200)로서 유기EL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경우에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가 나타내는 피사체의 광량과 표시 장치(200)의 발광 소자에서 발광되는 발광량의 관계를 선형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영상 신호에 충실한 영상이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200)가 유기EL 디스플레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예를 들면,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200)는, LCD등 발광 소자에 흐르는 전류 또는 전압에 따라 발광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에 적용할 수도 있다.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여기에서 도 3에서는 1의 영상 신호를 도시하였는데, 본 발명의 실시형 태는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에 입력되는 영상 신호는 R,G,B 각 색마다 독립 신호로 있어도 좋다.
또 이하에서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에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예를 들면 디지털 방송 등에 사용되는 디지털 신호라고 설명하는데,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에 입력되는 영상 신호는 아날로그 방송 등에 사용되는 아날로그 신호일 수도 있다. 영상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인 경우에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면 A/D컨버터(Analog to Digital converter)를 도 3에 도시한 구성의 앞단에 구비할 수 있다. 더욱이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에 입력되는 영상 신호는, 예를 들면 방송국에서 송신되어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가 수신한 것으로 할 수 있지만,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에 입력되는 영상 신호는 LAN(Local Area Network)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에서 송신되어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가 수신한 것이어도 좋고, 또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가 구비한 기억부(미도시)에 유지된 영상 파일이나 화상 파일을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가 독출한 것이어도 좋다.
도 3을 참조하면,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상관 판정부(102)와, 프레임 배분부(104)를 구비한다. 이하에 도시한 상관 판정부(102) 및 프레임 배분부(104)에서의 신호 처리는, 예를 들면 하드웨어(예를 들면, 신호 처리 회로) 및/또는 소프트웨어(신호 처리 소프트웨어)로 실현된다.
또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면 MPU(Micro Processing Unit)등으로 구성되어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 전체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나, 제어부가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연산 파라미터 등의 제어용 데이터가 기록된 ROM(Read Only Memory. 미도시),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등을 1차 기억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방송국 등에서 송신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미도시), 영상 파일이나 화상 파일을 기억할 수 있는 기억부(미도시),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미도시), 외부 장치(미도시)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미도시)를 구비해도 좋다.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면 데이터의 전송로로서의 버스(bus)에 의해 상기 각 구성 요소간을 접속한다.
여기에서 기억부(미도시)로서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Hard Disk) 등의 자기 기록 매체나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MRAM(Magneto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FeRAM(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PRAM(Phase change Random Access Memory)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광자기 디스크(Magneto Optical Disk)를 들 수 있지만,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조작부(미도시)로서는, 예를 들면 키보드(keyboard)나 마우스(mouse) 등의 조작 입력 디바이스나 버튼, 방향 키 혹은 이들의 조합 등을 들 수 있지만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와 외부 장치(미도시)는,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단자나 IEEE 1394규격의 단자 등을 통해 물리적으로 접속되어도 좋고, 또 W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나 IEEE 802.11 등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접속할 수도 있다. 또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와 외부 장치(미도시)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로서는, 예를 들면 LAN(Local Area Network)이나 WAN(Wide Area Network) 유선 네트워크,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를 사용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등의 무선 네트워크 혹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한 인터넷 등을 들 수 있지만,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통신부(미도시)는 외부 장치(미도시)와의 접속 형태에 따른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상관 판정부(102)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현 프레임과 전 프레임간의 상관을 표시 화면에 표시할 때의 표시 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화소별로 판정한다. 그리고 상관 판정부(102)는 판정된 상관 레벨에 따른 신호 레벨의 상관 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관 판정부(102)는 상기 (1)의 처리(현 프레임과 전 프레임간의 상관 판정) 및 상기 (2)의 처리(판정 결과(상관 레벨)에 따른 신호 레벨의 상관 신호의 출력)를 수행하는 임무를 완수한다.
[상관 판정부(102)의 구성예]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상관 판정부(102)의 구성 일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관 판정부(102)는 프레임 메모리(120)와 비교부(122)를 구비한다.
프레임 메모리(120)는 영상 신호를 1프레임 기간만큼 유지한다(즉, 1화면분의 화상을 유지한다). 즉, 프레임 메모리(120)는 전 프레임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를 유지할 수 있다.
비교부(122)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현 프레임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와, 프 레임 메모리(120)에 유지되기 전 프레임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경우의 표시 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화소별로 상관 레벨을 판정한다. 여기에서 비교부(122)는, 예를 들면 전 프레임의 영상 신호의 값과 현 프레임의 영상 신호의 값과의 차분값의 절대값을 화소별로 도출하고 해당 차분값의 절대값의 크기에 의해 상관 레벨을 판정한다. 예를 들면 어느 화소에서 상기 차분값의 절대값이 0(제로)일 경우에는 해당 화소에서의 전 프레임의 표시 내용과 현 프레임의 표시 내용이 같을(즉 정지 화상일) 가능성이 높다. 반대로 어느 화소에서 상기 차분값의 절대값이 0(제로)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차분값의 절대값이 크면 클수록 보다 움직임이 큰 동영상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비교부(122)는 예를 들면 상기와 같이 화소별로 상관 레벨을 판정함으로써 입력된 영상 신호가 나타내는 영상이 정지 화상인지 또는 동영상인지 뿐만 아니라 또한 어느 정도의 움직임이 있는 동영상인지를 판정할 수 있다. 더욱이 비교부(122)에서의 상관 레벨의 판정 방법이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 비교부(122)는 판정된 상관 레벨에 기초하여 상관 레벨에 따른 신호 레벨의 상관 신호를 화소별로 출력한다. 여기에서 비교부(122)는 예를 들면 상관 레벨과 상관 신호의 신호 레벨이 대응된 룩업테이블을 사용함으로써 상관 레벨에 따른 신호 레벨의 상관 신호를 일의적으로 출력할 수 있지만,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룩업테이블은, 예를 들면 비교부(122)가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해당 기억 수단에 유지된다. 비교부(122)가 구비하는 기억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EEPROM이나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를 들 수 있지만,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 욱이 비교부(122)가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의 기억부(미도시)에 기억된 상기 룩업테이블을 적절히 독출할 수도 있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상관 판정부(102)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관 레벨을 판정하고, 판정된 상관 레벨에 따른 신호 레벨의 상관 신호를 화소별로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프레임 배분부(104)는 상관 판정부(102)에서 출력된 상관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의 게인과 발광 시간을 제어한다. 즉, 프레임 배분부(104)는 상기 (3)의 처리(상관 신호에 기초한 영상 신호의 게인과 발광 시간의 제어)를 수행하는 임무를 완수한다.
[프레임 배분부(104)의 구성예]
프레임 배분부(104)는, 조정값 설정부(110)와 게인 조정부(112)와 발광 시간 설정부(114)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조정값 설정부(110) 및 게인 조정부(112)는 (3-1)의 처리(영상 신호의 게인의 제어)를 수행하는 임무를 완수하고, 발광 시간 설정부(114)는 상기 (3?2)의 처리(발광 시간의 제어)를 수행하는 임무를 완수한다.
〔1〕영상 신호의 게인의 제어
조정값 설정부(110)는 상관 판정부(102)에서 출력되는 상관 신호에 기초하여 상관 신호의 신호 레벨에 따른 조정 신호를 화소별로 출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조정값 설정부(110)의 기능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여기에서 도 5에서는 상관 신호를 출력하는 상관 판정부(102)를 아울러 도시하였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정값 설정부(110)는 상관 판정부(102)에서 출력 되는 상관 신호에 기초하여 상관 신호의 신호 레벨에 따른 조정값(km)(m은, 1 이상의 정수)을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여기에서 도 5에서는, 조정값 설정부(110)가 전달되는 상관 신호에 따라 접속처가 바뀌는 스위치(SW1)를 구비하는 구성을 도시하였는데, 조정값 설정부(110)의 구성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조정값 설정부(110)는 상관 신호의 신호 레벨과 조정값(km)이 대응된 룩업테이블을 사용함으로써 상관 신호의 신호 레벨에 따른 조정값(km)을 일의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룩업테이블은, 예를 들면 조정값 설정부(110)가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해당 기억 수단에 유지된다. 조정값 설정부(110)가 구비하는 기억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EEPROM이나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를 들 수 있지만,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욱이 조정값 설정부(110)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의 기억부(미도시)에 기억된 상기 룩업테이블을 적절히 독출해도 좋다.
게인 조정부(112)는, 입력된 영상 신호와 조정값 설정부(110)에서 전달되는 화소별 조정값(km)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의 게인을 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게인 조정부(112)는, 예를 들면 영상 신호와 조정값 설정부(110)에서 전달되는 조정값(km)을 곱함으로써 영상 신호의 게인을 조정한다. 여기에서 게인 조정부(112)는, 예를 들면 곱셈기로 구성할 수 있지만,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게인 조정부(112)가 상관 판정부(102)에서 출력되는 상관 신호의 신호 레벨에 따른 조정값(km)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의 게인을 조정함으로써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상기 (I)∼(III)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관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의 게인을 제어할 수 있다.
〔2〕발광 시간의 제어
발광 시간 설정부(114)는, 상관 판정부(102)에서 출력되는 상관 신호에 기초하여 상관 신호의 신호 레벨에 따른 발광 시간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발광 시간 설정부(114)의 기능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여기에서 도 6에서는, 도 5와 같이 상관 신호를 출력하는 상관 판정부(102)를 함께 도시하였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 시간 설정부(114)는 상관 판정부(102)에서 출력되는 상관 신호에 기초하여 상관 신호의 신호 레벨에 따른 발광 시간 제어 신호(jn)(n은, 1 이상의 정수)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여기에서 도 6에서는, 발광 시간 설정부(114)가 전달되는 상관 신호에 따라 접속처가 바뀌는 스위치(SW2)를 구비하는 구성을 도시하였는데, 발광 시간 설정부(114)의 구성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발광 시간 설정부(114)는 상관 신호의 신호 레벨과 발광 시간 제어 신호(jn)의 신호 레벨이 대응된 룩업테이블을 사용함으로써 상관 신호의 신호 레벨에 따른 발광 시간 제어 신호(jn)을 일의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룩업테이블은, 예를 들면 발광 시간 설정부(114)가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해당 기억 수단에 유지되지만,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발광 시간 설정부(114)가 상관 판정부(102)에서 출력되는 상관 신호의 신호 레벨에 따른 발광 시간 제어 신호(jn)를 출력함으로써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상기 (I)∼(III)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관 신호에 기초하여 발광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한 구성에 의해 상술한 (1)의 처리(현프레임과 전프레임간의 상관 판정)∼(3)의 처리(상관 신호에 기초한 영상 신호의 게인과 발광 시간의 제어)를 수행한다. 따라서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플리커와 움직임 잔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고화질화를 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현 프레임과 전 프레임간의 상관을 판정하고, 판정된 상관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의 게인과 발광 시간을 제어한다. 여기에서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판정된 상관 레벨에 따른 상관 신호에 기초한 조정값에 의해 입력된 영상 신호의 게인을 제어한다. 또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판정된 상관 레벨에 따른 상관 신호에 기초한 발광 시간 제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1프레임 기간에서의 발광 시간을 제어한다. 또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에서는 1프레임 기간에서의 발광량이 상기 수식 2에 나타낸 관계를 만족하도록 상관 신호에 기초한 조정값 및 발광 시간 제어 신호를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상관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의 게인과 발광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면 상기 (I)∼(III)에 나타낸 다양한 발광 상태를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플리커와 움직임 잔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현프레임과 전프레임간의 상관을 판정하고, 판정된 상관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의 게인과 발광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고화질화를 꾀할 수 있다.
또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서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를 들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상기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유기EL 디스플레이, LCD 등의 전류량 또는 전압량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 소자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나 PC(Personal Computer), 서버(Server) 등의 컴퓨터, 휴대전화 등의 휴대형 통신 장치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또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면 도 3의 각 부가 집적된 IC(Integrated Circuit)칩으로서 실현할 수도 있다. 표시 장치에 적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에 관한 프로그램)
컴퓨터를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에 의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현 프레임과 전 프레임간의 상관을 판정하고 판정된 상관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의 게인과 발광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고화질화를 꾀할 수 있다.
(영상 신호 처리 방법)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방법을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가 수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방법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200)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입력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현 프레임과 전 프레임의 상관 레벨을 화소별로 판정하고 판정 결과(상관 레벨)에 따른 상관 신호를 출력한다(S100). 여기에서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면 입력된 영상 신호(현 프레임의 영상 신호에 대응)의 값과 프레임 메모리(120)에 기억된 영상 신호(전 프레임의 영상 신호에 대응)의 값과의 차분값의 절대값을 화소별로 도출하고 해당 차분값의 절대값의 크기에 의해 상관 레벨을 판정한다. 또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면 상관 레벨과 상관 신호의 신호 레벨이 대응된 룩업테이블을 사용함으로써 상관 레벨에 따른 신호 레벨의 상관 신호를 일의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단계S100에서 출력된 상관 신호에 기초하여 상관 신호의 신호 레벨에 따른 발광 시간 제어 신호를 화소별로 출력한다(S102). 여기에서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면 상관 신호의 신호 레벨과 발광 시간 제어 신호의 신호 레벨이 대응된 룩업테이블을 사용함으로써 상관 신호의 신호 레벨에 따른 발광 시간 제어 신호(상기 수식 2를 만족하는 발광 시간 제어 신호)를 일의적으로 설정할 수 있지만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단계S100에서 출력된 상관 신호에 기초하여 상관 신호의 신호 레벨에 따른 조정 신호를 화소별로 설정한다(S104). 여기에서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면 상관 신호의 신호 레벨과 조정값이 대응된 룩업테이블을 사용함으로써 상관 신호의 신호 레벨에 따른 조정값(상기 수식 2를 만족하는 조정값)을 일의적으로 설정할 수 있지만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단계S104에서 설정된 조정 신호에 기초하여 입 력된 영상 신호의 게인을 조정한다(S106).
도 7에서는 단계S102의 처리 후에 단계S104, S106의 처리가 수행되는 예를 도시하였는데, 단계S102의 처리와 단계S104, S106의 처리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단계S102의 처리와 단계S104, S106의 처리를 동기하여 수행할 수 있고, 또 단계S104, S106의 처리 후에 단계S102의 처리를 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방법은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현프레임과 전프레임간의 상관을 판정하고 판정된 상관에 기초하여 상기 수식 2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영상 신호의 게인과 발광 시간을 제어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한 영상 신호 처리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현프레임과 전프레임간의 상관을 판정하고, 판정된 상관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의 게인과 발광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고화질화를 꾀할 수 있다.
(표시 장치(200))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를 적용한 표시 장치(2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200)의 구성 일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8에 도시한 표시 장치(200)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일실시형태로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가 도 8의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 이하에서는 표시 장치(200)에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예 를 들면 디지털 방송 등에 사용되는 디지털 신호라고 설명하지만, 상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아날로그 방송 등에 사용되는 아날로그 신호로 할 수도 있다.
또 이하에서는 표시 장치(200)로서 발광 소자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발광하는 자발광형 표시 장치인 유기EL 디스플레이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는 유기EL 디스플레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LCD등 발광 소자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발광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에 적용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200)는 영상 신호 조정부(202)와 영상 표시부(204)를 구비한다.
또 표시 장치(200)는, 예를 들면 MPU 등으로 구성되어 표시 장치(200) 전체를 제어할 수 있는 표시 장치 제어부(미도시)나, 표시 장치 제어부가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연산 파라미터 등의 제어용 데이터가 기록된 ROM(미도시), 표시 장치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등을 1차 기억하는 RAM(미도시), 영상 신호 조정부(202)에서 영상 신호의 보정에 사용되는 데이터 등을 기억할 수 있는 표시 장치 기억부(미도시),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표시 장치 조작부(미도시), 방송국 등에서 송신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미도시), 외부 장치(미도시)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미도시)를 구비해도 좋다. 표시 장치(200)는, 예를 들면 데이터의 전송로로서의 버스에 의해 상기 각 구성 요소간을 접속할 수 있다.
여기에서 표시 장치 기억부(미도시)로서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등의 자기 기록 매체나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를 들 수 있지만, 상기에 한정 되지 않는다. 또 표시 장치 조작부로서는, 예를 들면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조작 입력 디바이스나 버튼, 방향 키 혹은 이들의 조합 등을 들 수 있지만,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표시 장치(200)와 외부 장치(미도시)는, 예를 들면 USB단자 등을 통해 물리적으로 접속되어도 좋고 또 WUSB 등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접속할 수도 있다. 또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와 외부 장치(미도시)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할 수도 있다. 따라서 통신부(미도시)는 외부 장치(미도시)와의 접속 형태에 따른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영상 신호 조정부(202)는,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신호 조정부(202)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현프레임과 전프레임간의 상관을 판정하고 판정된 상관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의 게인과 발광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영상 신호 조정부(202)에서는 게인이 조정된 영상 신호와 발광 시간 제어 신호가 출력된다.
영상 표시부(204)는 영상 신호 조정부(202)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와 발광 시간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가 나타내는 영상을 표시한다.
[영상 표시부(204)의 구성예]
영상 표시부(204)는 표시부(206)와 행 구동부(208)와 열 구동부(210)와 전원 공급부(212)와 표시 제어부(214)를 구비한다.
표시부(206)는 매트릭스 형태(행렬 형태)로 배치된 여러 개의 화소를 구비한 다. 예를 들면, SD(Standard Definition)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는 적어도 640×480=307200(데이터선×주사선)의 화소를 가지고, 컬러 표시를 위해 해당 화소가 빨강(Red), 녹색(Green), 파랑색(Blue)의 서브 픽셀(sub pixel)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640×480×3=921600(데이터선×주사선×서브 픽셀의 수)의 서브 픽셀을 가진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HD(High Definition)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는 1920×1080의 화소를 가지고, 컬러 표시인 경우에는 1920×1080×3의 서브 픽셀을 가진다.
[서브 픽셀(발광 소자)의 적용예: 유기EL 소자를 구비하는 경우]
각 화소의 서브 픽셀을 구성하는 발광 소자가 유기EL 소자인 경우에는 IL특성(전류-발광량 특성)이 선형이 되어 발광 소자에 인가된 전류량에 따라 발광한다. 따라서 표시 장치(200)로서 유기EL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경우에는 표시 장치(200)는 조정된 영상 신호가 나타내는 피사체의 광량과 표시 장치(200)의 발광 소자에서 발광되는 발광량의 관계를 선형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영상 신호에 충실한 영상이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유기EL 소자는 전기 발광 현상(ElectroLuminescence)에 의해 자발광하는 발광 소자이다. 또 전기 발광 현상이란, 물질(유기EL 소자)의 전자 상태가 전계에 의해 기저 상태(ground state)에서 유도 방출 상태(excited state)로 변화되고, 불안정한 유도 방출 상태에서 안정적인 기저 상태로 되돌아갈 때 차분의 에너지가 광으로서 방출되는 현상이다.
또 표시부(206)는, 예를 들면 화소별로 인가하는 전압량/전류량을 제어하기 위한 화소 회로(미도시)를 구비해도 좋다. 화소 회로는, 예를 들면 인가되는 주사 신호 및 전압 신호에 의해 전류량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소자 및 드라이브 소자와, 전압 신호를 유지하기 위한 캐패시터로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 소자 및 상기 드라이브 소자는, 예를 들면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로 구성된다.
행 구동부(208) 및 열 구동부(210)는, 예를 들면 표시부(206)가 가진 여러 개의 화소에 전압 신호를 인가하여 각 화소를 발광시킨다. 여기에서 행 구동부(208) 및 열 구동부(210)는 한쪽이 화소의 ON/OFF를 결정하는 전압 신호(주사 신호)를 인가하고, 다른 쪽이 표시시키는 영상에 따른 전압 신호(영상 신호)를 인가하는 임무를 완수할 수 있다.
또 행 구동부(208) 및 열 구동부(210)의 구동 방식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행렬 형태에 배치된 화소별로 발광시키는 점순차 구동 주사 방식, 상기 행렬 형태에 배치된 화소를 일렬마다 발광시키는 선순차 구동 주사 방식, 그리고 상기 행렬 형태에 배치된 모든 화소를 발광시키는 면순차 구동 주사 방식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표시 장치(200)의 영상 표시부(204)는, 행 구동부(208)와 열 구동부(210) 2개의 구동부를 구비하고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를 하나의 구동부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전원 공급부(212)는 행 구동부(208) 및 열 구동부(210)에 전원을 공급하고, 행 구동부(208) 및 열 구동부(210)에는 전압이 인가된다. 또 전원 공급부(212)가 행 구동부(208) 및 열 구동부(210)에 인가하는 전압의 크기는, 예를 들면 영상 신호 조정부(202)에 의해 조정된 영상 신호에 따라 가변된다.
표시 제어부(214)는, 예를 들면 MPU 등으로 구성되고 영상 신호 조정부(202) 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와 발광 시간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행 구동부(308) 또는 열 구동부(310)의 한쪽에 화소의 ON/OFF를 결정하는 전압을 화소에 인가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하고, 또 다른 쪽에 영상 신호를 입력한다. 또 표시 제어부(214)는 영상 신호 조정부(302)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 공급부(212)에 의한 행 구동부(208) 및 열 구동부(210)로의 전원의 공급을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표시 장치(200)에서의 각 발광 소자에 인가하는 발광 전류(또는 발광 전압. 이하 동일.)와 발광 시간의 제어 수단의 일례를 나타낸다. 각 화소를 구동하는 드라이버(행 구동부(308) 또는 열 구동부(310) 중 하나를 가리킨다. 이하, 동일.)에는 예를 들면 디지털 데이터로서의 영상 신호가 전달되고, 드라이버가 구비하는 D/A컨버터(Digital to Analog Converter)에 의해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되어 각 화소에 인가된다. 상기 D/A컨버터에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할 때의 기준 전압을 바꿈으로써 특히 저휘도의 계조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각 발광 소자에 인가하는 발광 전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 드라이버는, 예를 들면 각 화소에 인가하는 데이터를 1프레임 또는 그 이상의 레이트로 바꾸기 때문에 표시 장치(200)는 해당 레이트를 가변적으로 하고 또한 발광 시간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비발광 중지 시간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발광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200)는 상기 수식 2의 관계를 만족하면서도 영상 신호가 나타내는 영상을 표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200)는, 도 8에 도시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보정하고, 해당 보정된 영상 신호 및 발광 시간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200)는 상술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와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진 영상 신호 조정부(202)를 구비한다. 따라서 표시 장치(20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현프레임과 전프레임간의 상관을 판정하고 판정된 상관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의 게인과 발광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또 표시 장치(200)는, 예를 들면 유기EL 소자 등 흐르는 전류에 따라 발광시킬 수 있는 발광 소자를 가진 영상 표시부(204)를 구비한다. 따라서 표시 장치(200)는 조정된 영상 신호에 충실한 영상이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20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현프레임과 전프레임간의 상관을 판정하고 판정된 상관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의 게인과 발광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플리커」 및 「움직임 잔상」의 발생을 방지하여 고화질화를 꾀할 수 있다.
또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서 표시 장치(200)를 들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상기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유기EL 디스플레이, LCD 등의 전류량 또는 전압량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 소자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텔레비젼(Television) 방송을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표시 장치(300)에 관한 프로그램)
컴퓨터를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300)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에 의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현프레임과 전프레임간의 상관을 판정하고 판정된 상관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의 게인과 발광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고화질화를 꾀할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당업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를 생각해낼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며 그것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100) 및 도 8에 도시한 표시 장치(200)에서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라고 설명하였으나 상기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및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는, 예를 들면 각 구성 요소를 아날로그 회로로 구성함으로써 아날로그 신호(영상 신호)를 처리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의 게인과 발광 시간의 제어 어프로치를 설명하기 위한 제1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의 게인과 발광 시간의 제어 어프로치를 설명하기 위한 제2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상관 판정부의 구성 일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조정값 설정부의 기능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발광 시간 설정부의 기능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 신호 처리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구성 일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9는 플리커의 발생을 억제하는 종래의 기술을 사용한 종래의 표시 장치에서의 문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00 영상 신호 처리 장치
102 상관 판정부
110 조정값 설정부
112 게인 조정부
114 발광 시간 설정부
120 프레임 메모리
122 비교부
200 표시 장치
202 영상 신호 조정부
204 영상 표시부

Claims (5)

  1. 입력된 영상 신호를 나타내는 현 프레임과 전 프레임간의 상관을 대응하는 화소별로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따른 신호 레벨의 상관 신호를 출력하는 상관 판정부,
    상기 상관 신호에 기초하여 1 프레임 기간에서의 발광 시간을 규정하는 발광 시간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발광 시간 설정부,
    상기 상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신호의 게인을 조정하는 조정값을 출력하는 조정값 설정부,
    상기 조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신호의 게인을 조정하고 게인이 조정된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게인 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 시간 제어 신호와 상기 게인 조정부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규정되는 1 프레임 기간에서의 발광량은, 상기 상관 판정부에서의 판정 결과와 상관없이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 판정부는,
    입력된 영상 신호를 1프레임 기간 유지하는 프레임 메모리,
    상기 현 프레임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와, 상기 프레임 메모리에서 출력되는 상기 전(前) 프레임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를 대응하는 화소별로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른 상관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
  3. 입력된 영상 신호가 나타내는 현 프레임과 전 프레임간의 상관을 대응하는 화소별로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따른 신호 레벨의 상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상관 신호에 기초하여 1프레임 기간에서의 발광 시간을 규정하는 발광 시간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상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신호의 게인을 조정하는 조정값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조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신호의 게인을 조정하고 게인이 조정된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처리 방법.
  4. 입력된 영상 신호를 나타내는 현 프레임과 전 프레임간의 상관을 대응하는 화소별로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따른 신호 레벨의 상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상관 신호에 기초하여 1프레임 기간에서의 발광 시간을 규정하는 발광 시간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상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신호의 게인을 조정하는 조정값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조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신호의 게인을 조정하고 게인이 조정된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5. 입력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1프레임 기간에서의 영상 신호의 게인과 발광 시간을 조정하는 영상 신호 조정부,
    전류량에 따라 자발광하는 발광 소자를 갖는 화소를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고 상기 영상 신호 조정부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와 발광 시간을 규정하는 발광 시간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영상 신호 조정부는,
    입력된 영상 신호를 나타내는 현 프레임과 전 프레임간의 상관을 대응하는 화소별로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따른 신호 레벨의 상관 신호를 출력하는 상관 판정부,
    상기 상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시간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발광 시간 설정부,
    상기 상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신호의 게인을 조정하는 조정값을 출력하는 조정값 설정부,
    상기 조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신호의 게인을 조정하고 게인이 조정된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게인 조정부를 가지고,
    상기 발광 시간 제어 신호와 상기 게인 조정부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규정되는 1 프레임 기간에서의 발광량은 상기 상관 판정부에서의 판정 결과와 상관없이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090040891A 2008-07-04 2009-05-11 영상 신호 처리 장치, 영상 신호 처리 방법, 프로그램 및 표시 장치 KR201000048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75361 2008-07-04
JP2008175361A JP2010015008A (ja) 2008-07-04 2008-07-04 映像信号処理装置、映像信号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851A true KR20100004851A (ko) 2010-01-13

Family

ID=41335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0891A KR20100004851A (ko) 2008-07-04 2009-05-11 영상 신호 처리 장치, 영상 신호 처리 방법, 프로그램 및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00002148A1 (ko)
EP (1) EP2141685A3 (ko)
JP (1) JP2010015008A (ko)
KR (1) KR2010000485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78832B2 (ja) * 2009-11-05 2014-08-27 キヤノン株式会社 新規フルオレニルアミン化合物およびそれを有する有機発光素子
DE112010005418B4 (de) * 2010-03-25 2019-07-11 Nokia Technologies Oy Vorrichtung, Anzeigemodul und Verfahren zum anpassbaren Einfügen eines Leerrahmens
KR101349782B1 (ko) * 2011-12-08 2014-01-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이밍 컨트롤러,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20160079984A (ko) * 2014-12-26 2016-07-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05448263B (zh) * 2015-12-31 2018-05-01 华为技术有限公司 显示驱动装置及显示驱动方法
JP7084770B2 (ja) * 2018-04-27 2022-06-1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14846534A (zh) * 2019-12-27 2022-08-02 索尼集团公司 信号处理装置、信号处理方法以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3119A (en) * 1990-11-15 1994-10-04 Sony United Kingdom Limited Format conversion of digital video signals, integration of digital video signals into photographic film material and the like, associated signal processing, and motion compensated interpolation of images
KR100734455B1 (ko) * 1999-04-12 2007-07-03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영상 표시장치
JP4210040B2 (ja) * 2001-03-26 2009-01-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および方法
JP2003316314A (ja) * 2001-12-27 2003-11-07 Sony Corp プラズマ表示装置、並びにその輝度補正方法およびその表示方法
CN100412919C (zh) * 2002-05-28 2008-08-20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在变化的占空度中减少运动模糊
JP2006038967A (ja) * 2004-07-23 2006-02-09 Sony Corp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TWI317922B (en) * 2004-12-13 2009-12-01 Chi Mei Optoelectronics Corp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06189661A (ja) * 2005-01-06 2006-07-20 Toshiba Corp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方法
JP4984496B2 (ja) * 2005-11-09 2012-07-25 ソニー株式会社 自発光表示装置、発光条件制御装置、発光条件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41685A3 (en) 2010-12-08
US20100002148A1 (en) 2010-01-07
JP2010015008A (ja) 2010-01-21
EP2141685A2 (en) 201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7157B2 (en)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 signal, program,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signal
US8139003B2 (en) Display device,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2000178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873664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992880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ith first and second blue sub-pixels
US20200082753A1 (en) Display unit, image processing device,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1985313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80204483A1 (en) Display apparatus, and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drive control apparatus for the same
KR20100004851A (ko) 영상 신호 처리 장치, 영상 신호 처리 방법, 프로그램 및 표시 장치
JP2009282158A (ja) 表示装置
KR20150027954A (ko) 영상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8462085B2 (en) Display device, picture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70037710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154698B1 (ko) 표시장치와 그 휘도 향상 방법
US20110018892A1 (en) Method, device, and program for processing image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16212239A (ja) 表示装置、表示方法、および電子機器
US20090079873A1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processing image signal and display apparatus
WO2021131830A1 (ja)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及び表示装置
JP2010109794A (ja) 映像信号処理装置、映像信号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装置
KR20150000673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휘도 제어 장치 및 방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20080111799A1 (en) Driving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KR20090031174A (ko) 영상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 그리고 표시장치
KR101940760B1 (ko)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109377941B (zh) 图像显示装置和图像显示的调整方法
US8675741B2 (en) Method for improving image quality and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