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3783A -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노출을 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노출을 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3783A
KR20100003783A KR1020080063775A KR20080063775A KR20100003783A KR 20100003783 A KR20100003783 A KR 20100003783A KR 1020080063775 A KR1020080063775 A KR 1020080063775A KR 20080063775 A KR20080063775 A KR 20080063775A KR 20100003783 A KR20100003783 A KR 20100003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call
information
internet phone
exp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만
Original Assignee
네이비스타 (주)
(주)테크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비스타 (주), (주)테크트로닉스 filed Critical 네이비스타 (주)
Priority to KR1020080063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3783A/ko
Publication of KR20100003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783A/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인터넷폰으로 무료로 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면서, 통화연결 대기중에 사용자에게 광고를 노출시키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인터넷폰 서버와 접속하여 인터넷폰 클라이언트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폰 단말부; 상기 광고서버 시스템에 접속하여 광고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광고노출 정보를 송신하는 광고관리부; 광고 콘텐츠의 영상을 상기 내비게이션 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광고 콘텐츠의 음성 또는 통화음성을 상기 내비게이션의 음성출력장치에 출력하고, 상기 광고에 대하여 광고노출 정보를 저장하는 광고송출부; 상기 저장된 광고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광고를 선정하여, 인터넷 폰의 호접속 요청신호를 인터넷폰 서버에 송신할 때부터 호설정 신호를 받을 때까지 광고 콘텐츠를 상기 광고송출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해, 광고주는 차량 내의 밀폐된 공간 안에서 광고를 노출시킴으로써 광고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사용자는 무료 또는 저렴한 요금으로 차량 내에서 무선 전화를 이용할 수 있다.
차량, 내비게이션, 전화, 광고, 인터넷폰

Description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노출을 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 An advertising system of a car's navigation apparatus exposing an advertisement during call linking and the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인터넷폰으로 무료로 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면서, 통화연결 대기중 또는 통화중에 사용자에게 광고를 노출시키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차량의 내비게이션에서 인터넷 폰의 호접속 명령 신호를 인터넷폰 서버에 송신할 때부터 호접속 완료신호를 받을 때까지 광고 콘텐츠를 화면과 음성으로 출력하고, 통화연결상태를 이미지로 화면에만 출력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내비게이션 장치는 차량의 앞좌석 대시보드에 장착되어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여 길 안내 서비스, 교통 정보 서비스, 안전 운전 정보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내비게이션 장치에 음악, 영화 등을 볼 수 있는 멀티미디어 기능 등이 설치되고, 더 나아가 DMB를 시청하거나 무선인터넷을 통해 웹서핑을 할 수 있는 기능까지 추가되고 있다.
따라서 이제 내비게이션 장치는 차량 내의 고급화된 종합 정보시스템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즉, 운전자 또는 탑승자는 운전 중 또는 정차 중에 내비게이션 장치를 통해 운행 정보 이외에도 각종 정보를 취득하는 장치로서 활용되고, 취미나 오락을 즐길 수 있는 도구로서도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의 내비게이션 장치는 효과적인 광고매체일 수 있다. 왜냐하면, 차량 내부는 외부와 단절된 밀폐된 공간이므로, 내비게이션 장치를 통해 광고를 내보내면 운전자 또는 탑승자는 광고를 관심이 있게 볼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광고를 내보내거나 임의 시간대에 광고를 내보내면 광고효과가 떨어지거나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불편을 줄 수 있다. 또, 무선인터넷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광고노출을 통해 즉각적으로 운전자에게 돌려줄만한 보상이 없다.
한편, 차량의 내비게이션에는 앞서 본 바와 같은 다양한 기능이 탑재되는 반면, 무선전화 기능은 거의 탑재되고 있지 못하다. 차량의 내비게이션에 무선전화를 연결하려면 종래의 이동통신망을 이용하거나 무선인터넷 기반에 인터넷폰을 이용하여야 한다. 무선인터넷을 이용한 통신요금이 이동통신망의 음성통신망을 이용하는 것보다 저렴하기는 하나 유선 전화에 비하여 비싸다. 따라서 운전자 등은 내비게이션에 별도의 무선 전화를 탑재하기 보다는 소유한 휴대폰을 이용하는 것을 더 선호하고 있다.
따라서 차량의 내비게이션에서의 무선전화 통화요금을 무료로 하거나 보다 저렴하게 한다면, 차량의 내비게이션에 보다 많이 무선전화가 장착되어 이용되어 질 것이다.
상기와 같이, 차량에 설치된 내비게이션을 통해 광고를 제공하는 기술의 일례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0038660(2005.4.29.공개), "자동차의 실시간 광고 제공 장치"](이하 선행기술 1)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 1은 자동차용 실시간 광고 제공 장치로서, 자동차가 주행 또는 정차 중에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자동차가 지나가는 지역을 영상광고장치에 전송하여 주면 상기 영상광고장치에서 상기 지역의 특징들인 예를 들면, 날씨, 교통, 뉴스, 뉴스 속보, 특산품, 문화행사 등의 광고를 자동차 내와 자동차 외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디스플레이 하는 구성을 마련하고 있다.
한편, 유무선 화상전화 또는 이동전화에서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60439(2006.3.7.공개), "통화연결 대기중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제공광고장치 및 광고방법"](이하 선행기술 3)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 3은 발신자가 전화통화를 시도할 경우 착신자의 교환기 에서 발신자에게 들려주는 링백톤 등 통화연결 대기음 대신에 광고의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발신자에게 보내는 광고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들은 내비게이션 장치에 광고를 내보내는 기술이나 전화통화를 할 때 광고를 내보내는 기술을 각기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1은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관심이 집중되는 특정 시점에 광고를 내보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광고의 효과가 낮아질 가능성이 많다.
상기 선행기술 3은, 착신자인 경우에는 동영상 및 정지영상을 받을 수 있기 위하여 화상전화 기능이 있는 전화단말을 소유해야하고 상기 동영상 및 정지영상을 받을 수 있는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통화연결 대기중에 광고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받아야 하므로, 통신상태가 좋지 않는 경우에는 광고가 끊김이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인터넷폰으로 무료로 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면서, 통화연결 대기중 또는 통화중에 사용자에게 광고를 노출시키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내비게이션에서 인터넷 폰의 호접속 명령 신 호를 인터넷폰 서버에 송신할 때부터 호접속 완료신호를 받을 때까지 광고 콘텐츠를 화면과 음성으로 출력하고, 통화연결상태를 이미지로 화면에만 출력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구비하고,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광고서버 시스템 및 인터넷폰 서버와 접속하는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노출을 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인터넷폰 서버와 접속하여 인터넷폰 클라이언트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폰 단말부; 상기 광고서버 시스템에 접속하여 광고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광고노출 정보를 송신하는 광고관리부; 광고 콘텐츠의 영상을 상기 내비게이션 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광고 콘텐츠의 음성 또는 통화음성을 상기 내비게이션의 음성출력장치에 출력하고, 상기 광고에 대하여 광고노출 정보를 저장하는 광고송출부; 상기 저장된 광고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광고를 선정하여, 인터넷 폰의 호접속 요청신호를 인터넷폰 서버에 송신할 때부터 호설정 신호를 받을 때까지 상기 광고의 광고 콘텐츠를 상기 광고송출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노출을 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어부는, 인터넷 폰의 호접속 요청신호를 인터넷폰 서버에 송신할 때부터 호설정 신호를 받을 때까지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 는 동시에, 통화연결상태를 이미지로 상기 내비게이션 화면의 일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노출을 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통화상태연결 이미지는, 발신전화단말과 착신전화단말의 이미지가 표시되고, 상기 이미지 사이에 표시되는 연결선이 상기 발신전화단말에서 착신전화단말로 연결되는 동적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노출을 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광고 콘텐츠는, 동영상, 사진, 음악, 텍스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노출을 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운행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확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고관리부는 상기 광고 콘텐츠와 함께 상기 광고의 지역정보를 다운로드 받고, 상기 제어부는 광고의 지역정보에 상기 차량의 운행위치를 포함하는 광고를 선정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노출을 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광고관리부는 상기 광고 콘텐츠와 함께 상기 광고주의 전화번호를 다운로드 받고, 상기 제어부는 통화가 종료되면 출력된 광고의 업체 전화번호를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인터넷폰 단말부는 내비게이션 화면에 광고주의 전화번호가 표시된 상태에서 통화명령을 입력받으면, 상기 광고주의 전화번호로 호접속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차량내비게이션의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과 접속하고, 인터넷폰 서버와 연결하는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노출을 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서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차량 내비게이션에 설치된 인터넷폰의 사용자에 대한 가입자 정보를 등록하는 가입자 관리부; 광고 콘텐츠와 광고비를 포함하는 광고정보를 광고주로부터 수주하여 저장하는 광고정보 관리부; 상기 광고를 상기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에 전송하는 광고정보 전송부; 상기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부터 광고노출 시간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광고노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노출정보 수신부; 상기 인터넷폰 서버로부터 가입자 정보와 통화료를 포함하는 통화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통화정보 수신부; 사용자가 등록한 가입자의 통화료를 사용자에게 노출된 광고의 광고비의 일부로 대납하되, 대납하는 통화료는 사용자의 광고노출시간에 비례하도록 하는 광고비 정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노출을 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서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광고 콘텐츠는, 동영상, 사진, 음악, 텍스트 중 어느 하나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폰 클라이언트와 함께 차량 내비게이션에 설치된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 무선인터넷을 통해 상기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과 연결되는 광고 서버 시스템 및 인터넷폰 서버를 이용하는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노출을 하 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상기 차량 내비게이션에 설치된 인터넷폰의 사용자에 대한 가입자 정보를 상기 광고서버 시스템에 등록하는 단계; (b) 광고 콘텐츠와 광고비를 포함하는 광고정보를 광고주로부터 수주하여 상기 광고서버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광고를 상기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이 인터넷폰의 호접속 명령을 받으면, 상기 호접속 명령을 인터넷폰 서버에 송신할 때부터 호접속 완료신호를 받을 때까지 광고 콘텐츠를 상기 내비게이션에 출력하는 단계; (e) 상기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이 광고노출 시간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광고노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광고 서버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단계; (f) 상기 광고 서버 시스템이 상기 인터넷폰 서버로부터 가입자 정보와 통화료를 포함하는 통화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g) 사용자가 등록한 가입자의 통화료를 사용자에게 노출된 광고의 광고비의 일부로 대납하되, 대납하는 통화료는 사용자의 광고노출시간에 비례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노출을 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방법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인터넷 폰의 호접속 요청신호를 인터넷폰 서버에 송신할 때부터 호설정 신호를 받을 때까지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는 동시에, 통화연결상태를 이미지로 상기 내비게이션 화면의 일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노출을 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화상태연결 이미지는, 발신전화단말과 착신전화단말의 이미지가 표시되고, 상기 이미지 사이에 표시되는 연결선이 상기 발신전화단말에서 착신 전화단말로 연결되는 동적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노출을 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고 콘텐츠는, 동영상, 사진, 음악, 텍스트 중 어느 하나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노출을 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방법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광고 정보는 상기 광고의 지역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d)단계에서, 광고의 지역정보에 상기 차량의 운행위치를 포함하는 광고를 선정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노출을 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고노출을 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광고주는 차량 내의 밀폐된 공간 안에서 광고를 노출시킴으로써 광고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사용자는 무료 또는 저렴한 요금으로 차량 내에서 무선 전화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시스템 및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시스템은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30)과 광고서버 시스템(40)으로 구분된다. 전자는 차량(10)에 장착되고, 후자는 인터넷에 연결되는 서버이다. 또한, 인터넷폰을 서비스하는 인터넷폰 서버(20)가 인터넷(12)에 연결되어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30)에 인터넷폰 서비스를 제공한다.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30)은 차량에 장착되는 내비게이션에 설치된다. 설치되는 방식은 소프트웨어적으로 프로그램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전용 IC칩 형태로 하드웨어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 무선인터넷을 위한 통신전용 IC칩이나 인터넷폰용 전용IC칩 등이 하드웨어적으로 설치되고 이를 구동하는 소프트웨어가 추가로 설치되어 구현될 수 있다.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30)은 무선인터넷에 연결된다. 무선인터넷이 구현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금 상용화되고 있는 무선인터넷 표준인 와이브로(Wibro)와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전자는 순수하게 무선인터넷을 위하여 이동중에도 끊김이 없는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든 표준이다. 후자는 종래의 음성통신망인 이동통신망 을 근간으로 음성통신과 함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만든 표준이다. 역시 HSDPA도 이동중에 끊김이 없는 초고속 인터넷을 지원한다. 그러나 802.11b/g 등 무선랜의 통신규격은 제한된 반경 내에서만 무선인터넷이 가능할 뿐, 이동성이 보장되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차량에서 이동중에 무선인터넷을 이용하는 것에는 적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무선인터넷은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인터넷 규격은 어느 것이나 적용이 가능하다.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30)은 차량 위치에 가까운 기지국(11)을 거쳐 인터넷에 접속하게 된다. 물론 기지국(11)을 거치는 와이브로나 HSDPA 방식 등의 무선인터넷 통신은 유선 인터넷 통신 규격에 맞도록 변환하는 서버에 의해 인터넷과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기술은 무선인터넷 표준규격들의 공지기술이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광고 서버 시스템(40)은 인터넷(12)을 통해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30)과 연결된다. 광고서버 시스템(40)은 광고주로부터 수주한 광고를 업로드하여 저장 보관한다. 광고주는 광고게재(또는 광고노출)에 대한 대가로 광고비를 지불한다. 그리고 광고서버 시스템(40)은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30)으로 상기 광고의 콘텐츠를 전송하여,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30)이 필요한 때, 광고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또, 광고 서버 시스템(40)은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30)으로부터 전송된 광고에 대한 노출정보를 제공받아 광고노출에 대한 대가를 보상한다. 즉, 차량에 탑승하여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30)에서 출력되는 광고를 본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 게 광고주가 지불한 광고비의 일부를 보상한다. 즉, 상기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사용한 인터넷폰 통화료를 대납해주는 형태로 보상된다.
인터넷폰 서버(20)는 인터넷(12)에 연결되어 인터넷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인터넷폰 서버(20)는 통상 VoIP 통신규격에 의하여 구현되는 전화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VoIP 통신규격은 보다 세부적으로 H.323와 SIPㅇMGCPㅇMEGACO 등 다양한 통신규격들에 의해 구현된다. 그 이외에도 데이터 통신망(또는 인터넷 망)을 근간으로 하여 음성통신을 구현하는 통신규격은 어느 것이나 적용이 가능하다.
인터넷폰 서버(20)는 인터넷(12)에 연결되어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30)에 설치된 인터넷폰 단말에 인터넷폰 서비스를 제공하고, 인터넷(12)에 연결되어 다른 인터넷폰 단말에도 인터넷폰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인터넷폰 간의 음성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인터넷폰 서버(20)는 PSTN(14) 또는 이동통신망(13)과도 연결하여 일반 전화단말(15)이나 이동통신 단말기(휴대폰 등)와의 음성통신도 지원한다. 따라서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30)은 무선인터넷을 통해 다른 인터넷폰이나 일반전화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와도 음성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
앞서 본 바와 같이, 차량(10)에 탑승한 운전자 등은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30)에 설치된 인터넷폰으로 전화를 하고 광고를 시청하여, 전화통화료의 전체 또는 일부를 광고시청의 대가로 면제 받게 된다.
한편, 광고서버 시스템(40)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5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하는 데이터는 인터넷폰(또는 광고노출을 승인한) 가입자 정보, 광고정보, 광고 노출 정보 등이 저장된다.
데이터베이스(50)는 광고서버 시스템(40)과 별도로 구축되어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고, 광고서버 시스템(40) 내부에 구축될 수도 있다. 또, 상기 데이터베이스(50)는 DBMS 등 전문적인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으나, 파일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저장 공간이라도 무방하다. 즉, 데이터베이스(50)는 데이터베이스의 설계에 따라 구체적인 구현 방식은 다양할 수 있고, 이에 대한 기술은 본 분야의 공지기술이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30)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30)은 인터넷폰 단말부(31), 광고관리부(32), 광고송출부(36), 제어부(37)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30)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38)를 구비한다. 또, 위치확인부(39)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인터넷폰 단말부(31)는 상기 인터넷폰 서버(20)와 접속하여 인터넷폰 클라이언트 기능을 수행한다. 즉, 인터넷폰 단말부(31)는 인터넷폰(VoIP) 서비스에서 클라이언트 모듈에 해당한다.
인터넷폰 단말부(31)가 인터넷폰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무선인터넷이 구현되어야 한다. 무선인터넷은 앞서 본 바와 같이, 와이브로 또는 HSDPA 등의 규격에 의하여 서비스를 이용한다. 그런데 무선인터넷과 인터넷폰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각각의 서비스에 가입되어야 한다. 즉, 인터넷폰 단말부(31)에 구현된 인터넷폰 클 라이언트에 대하여 인터넷폰 서비스가 가입되어야 하고, 무선인터넷을 이용하기 위하여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30)이 설치되는 내비게이션 장치에 대하여 무선인터넷 서비스가 가입되어야 한다.
상기 인터넷폰 서비스와 무선인터넷 서비스의 가입은 운전자 등 사용자가 직접 본인의 명의로 가입하여 등록될 수도 있고, 광고 서버 시스템(40)에서 서버 관리자 명의로 가입하여 등록된 후 사용자에게 배포될 수도 있다. 또, 인터넷폰 서비스의 가입은 서버 관리자의 명의로 무선인터넷 서비스의 가입은 사용자의 명의로, 또는 그 반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상기 가입방식은 구현시의 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 형태에 따라 여러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통신 사업자들이 무선인터넷 기반의 인터넷폰을 직접 서비스하면, 굳이 인터넷폰 서비스와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별도로 구분하여 가입할 필요없이, 인터넷폰만 가입함으로써 무선인터넷도 함께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가입방식을 구분하는 이유는 가입방식에 따라 상기 서비스들의 이용요금을 지불해야하는 대상자(또는 가입자)나 과금하는 주체(또는 사업자)가 각기 달라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하에서 인터넷폰 서비스와 무선인터넷 서비스의 가입 방식을 따로 언급하지 않고, 전화통화료로 일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인터넷폰을 사용하여 과금되는 전화통화료는 무선인터넷 사용요금과 인터넷폰 사용요금이 포함된다.
한편, 과금방식도 종량제 방식과 정액제 방식, 또는 혼합방식으로 다양하나, 역시 전화통화료로만 언급하기로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될 전화통화료의 전체 또 는 일부에 대한 면제는 상기와 같이 다양한 과금방식에 대한 전체 또는 일부 감면해주는 통상의 방식을 따른다.
그리고 이하에서 과금하는 주체는 인터넷폰 서버(20)(또는 인터넷폰 사업자)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즉, 무선인터넷 서비스와 인터넷폰 서비스 사업자가 다른 경우에는 각기 과금주체가 다를 수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인터넷폰 서버(20)로만 설명한다.
광고관리부(32)는 상기 광고서버 시스템(40)에 접속하여 광고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광고노출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광고송출부(36)는 광고 콘텐츠의 영상을 상기 내비게이션 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광고 콘텐츠의 음성 또는 통화음성을 상기 내비게이션의 음성출력장치에 출력하고, 상기 광고에 대하여 광고노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37)는 저장된 광고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광고를 선정하여, 인터넷 폰의 호접속 요청신호를 인터넷폰 서버에 송신할 때부터 호설정 신호를 받을 때까지 상기 광고의 광고 콘텐츠를 상기 광고송출부(36)를 통해 출력한다.
앞서 본 바와 같이, 광고관리부(32)는 무선인터넷을 통해 광고서버 시스템(40)에 접속하여, 광고콘텐츠를 수신한다.
이 때 수신되는 광고 콘텐츠는 동영상, 사진, 음악, 텍스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콘텐츠들이다. 즉, 광고 콘텐츠는 동영상, 사진, 텍스트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사진이나 텍스트도 정지된 것일 수도 있으나 일정한 규칙을 가지면서 동적으로 움직이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수신된 광고 콘텐츠는 메모리(38)에 저장되었다가 광고를 내보내야 되는 때에 출력된다. 제어부(37)는 저장된 다수의 광고 중에서 특정 광고를 선택하여 광고송출부(36)로 하여금 상기 광고의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한다.
광고를 선정하는 규칙은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가장 간단한 방식은 랜덤하게 광고를 선정하거나 순차적으로 선정하는 방식이다. 또, 광고에 우선순위를 매기고 우선순위가 높은 광고의 콘텐츠부터 출력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운전자 등 사용자가 가입할 때 얻은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맞춤형으로 미리 광고의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다. 화장품 광고 등은 사용자가 남성보다 여성일 때 더 우선순위가 높을 것이다. 이와 같은 광고의 우선순위는 광고 서버 시스템(40)에서 미리 정해지고, 상기 광고 관리부(31)가 광고 콘텐츠와 함께 우선순위 정보를 전송받아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차량의 내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하므로, 광고를 선정할 때 차량의 운행위치를 고려할 수 있다. 즉, 광고 정보는 광고 콘텐츠 이외에 광고의 지역정보를 포함한다. 광고의 지역정보란 광고효과가 극대화되는 지역에 대한 정보이다. 예를 들면, 음식점 광고 등은 그 음식점이 위치한 근처에서 광고를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광고에 지역정보가 포함되고, 광고의 지역정보가 차량의 운행위치를 포함할 때 상기 광고를 선정한다. 즉, 광고의 지역정보 내로 차량이 들어오면 상기 광고가 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30)은 차량의 운행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확인부(39)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래서 광고관리부(32)는 광고 콘텐츠와 함께 상기 광고의 지역정보를 다운로드 받고, 제어부(37)는 상기 차량의 운행위치를 포함하는 지역정보를 가지는 광고를 선정한다.
다음으로, 구체적인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는 방식을 설명한다.
광고 콘텐츠는 내비게이션의 화면과 음성출력장치를 통하여 출력된다. 즉, 내비게이션의 화면에는 영상 또는 이미지가 출력되고, 스피커 등 음성출력장치에는 음성이 출력된다.
일반적으로, 전화통화를 할 때, 발신자는 전화번호를 누른 후, 통화버튼을 눌러 통화신호를 보낸다. 이 때, 전화단말이 교환기에 보내는 신호가 호접속 요청신호이다. 호접속 요청신호가 교환기에 전달되면 교환기는 착신자 단말기로 호접속 신호를 보내 착신자 단말기에 전화벨이 울리게 된다. 착신자가 전화를 받으면, 호가 연결되어 설정된다. 교환기는 호설정 신호를 발신자 단말기에 전송하게 되고 이후부터 음성통신이 시작된다. 이 때, 호접속 명령신호를 보내고, 호설정 신호를 받을 때까지 교환기는 발신자 단말기에 통상 링백톤을 보내게 된다. 발신자는 링백톤을 청취하면서 착신자의 전화 단말에 벨이 울리고 있음을 인지한다.
인터넷폰(VoIP) 서비스 경우에는 상기 교환기는 곧 VoIP서버이다. 그리고 SIP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경우, 호접속 명령신호는 착신자(또는 착신자 단말기)에 의해 INVITE 메시지로서 인터넷상에서 착신자(또는 착신자 단말기)로 보내지게 된다. 착신자가 상기 INVITE 메시지에 대하여 전화를 받으면, OK 메시지를 발신자에 게 회신하게 되고, 발신자는 이 답변으로 ACK 메시지를 착신자에게 보낸다. 이로써, 호가 설정되면, 음성 데이터 세션이 설정되어 음성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 인터넷폰(VoIP)에서도 VoIP서버는 착신자의 호접속 요청신호를 받고, 착신자와 호를 설정하는 동안 링백톤(180 Ringing) 신호를 발신자에게 보낸다.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는 시간은 호접속 요청신호를 인터넷폰 서버에 송신할 때부터 호설정 신호를 받을 때까지이다. 엄밀하게 말하면, 링백톤 신호를 보내는 기간과 호접속 요청신호를 인터넷폰 서버에 송신할 때부터 호설정 신호를 받을 때까지의 기간은 다르다. 후자가 더 길다. 왜냐하면, 호접속 요청신호가 서버에 가서 서버에서 링백톤 신호를 보낼때까지의 시간이 있기 때문에, 이 시간동안 링백톤 신호가 보내지지는 않는다. 그러나 상기 시간동안 광고는 출력된다.
상기 시간은 전화 사용자가 전화하기 전에 가장 집중하는 시간대이고, 인터넷폰은 링백톤을 출력하는 이외에 수행하는 작업이 없다. 따라서 이 시간대에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간은 약 10초에서 15초 정도 사이이다. 물론 착신자가 전화를 받지 않는 경우에는 더 오랜 시간동안 진행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시간이면 충분히 하나 이상의 짧은 광고를 출력할 수 있는 시간이다.
따라서 광고 관리부(31)가 저장하여 관리하는 광고는 상기 시간 이내의 짧은 광고가 바람직하다.
한편, 전화 사용자는 자신이 건 전화가 제대로 걸리고 있는지를 확인할 필요는 있다. 이를 위하여, 종래의 링백톤 대신 통화연결상태를 이미지로 출력하여 이를 확인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시간동안, 제어부(37)는 광고송출부(36)를 통해 광고 콘텐츠의 영상과 음성을 각각 내비게이션의 화면과 음성출력장치에 출력하고, 통화연결상태를 이미지로 상기 내비게이션 화면에 출력한다. 통화연결상태 이미지는 광고 콘텐츠의 영상이 출력되는 화면의 하단 또는 상단 등 화면의 일부에 표시된다.
상기 통화연결상태 이미지는 다양하게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신전화단말과 착신전화단말의 이미지가 양쪽으로 표시되고, 상기 이미지 사이에 표시되는 연결선이 상기 발신전화단말에서 착신전화단말로 연결되는 동적 이미지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통화중에도 계속 광고 콘텐츠를 내비게이션 화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이때에는 광고 콘텐츠의 음성은 출력될 수 없다. 왜냐하면 사용자는 음성통화를 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때에는 음성이 없는 영상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 위주인 콘텐츠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7)는 착신전화가 통화중이거나 부재중인 신호를 받으면, 출력하는 광고 콘텐츠를 중단한다.
상기와 같이 광고 콘텐츠가 노출되면, 광고송출부(36)는 광고 콘텐츠의 출력시간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고송출부(36)는 출력되는 광고 콘텐츠에 대하여,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노출시간과, 통화중 광고노출시간을 구분하여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광고노출시간을 통화연결 대기중과 통화중 으로 구분하는 이유는 광고효과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즉, 광고송출부(36)는 광고노출시간, 광고노출 종류 등의 광고노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한다.
광고관리부(32)는 무선인터넷을 통해 광고서버 시스템(40)에 접속하여, 광고노출 정보를 송수신한다. 즉, 광고관리부(32)는 상기 저장된 광고노출시간을 포함한 광고노출 정보를 상기 광고서버 시스템(40)으로 송신한다.
한편, 상기 광고관리부(32)는 광고콘텐츠를 미리 받아 저장하였다가, 차후에 전화통화를 할 때 저장된 광고콘텐츠를 내비게이션을 통해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미리 광고 콘텐츠를 저장해 두면, 실시간으로 광고 콘텐츠를 받아 출력하는 것보다 더 안정적으로 광고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통화중에도 내비게이션 화면에 한하더라도 출력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광고관리부(32)는 상기 광고 콘텐츠와 함께 상기 광고주의 전화번호를 다운로드 받고, 상기 광고송출부(36)는 통화가 종료되면 출력된 광고의 업체 전화번호를 표시하고, 상기 인터넷폰 단말부(31)는 내비게이션 화면에 광고주의 전화번호가 표시된 상태에서 통화명령을 입력받으면, 상기 광고주의 전화번호로 호접속 신호를 송신한다.
즉, 광고 콘텐츠가 출력되고 난 후에 운전자 등 사용자는 광고 콘텐츠가 광고하는 제품 또는 용역에 대하여 구매의사가 생길 수 있다. 이런 경우 마지막 화면에 전화번호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간단히 통화버튼만 눌러 상기 광고주(또는 광고업체)와 직접 연락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노출을 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서버 시스템의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서버 시스템(40)은 가입자 관리부(41), 광고정보 관리부(42), 광고정보 전송부(43), 노출정보 수신부(44), 통화정보 수신부(45), 광고비 정산부(46)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가입자 관리부(41)는 상기 차량 내비게이션에 설치된 인터넷폰의 사용자에 대한 가입자 정보를 등록한다. 상기 가입자 정보는 주로 인터넷폰 사용에 대한 과금 또는 정산을 위하여 등록하는 정보이다. 그러나 등록되는 가입자 정보는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초정보로서도 활용될 수 있다. 앞서 본 예제와 같이, 여성인 경우 화장품 광고 등 여성대상 광고를 보다 집중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광고정보 관리부(42)는 광고 콘텐츠와 광고비를 포함하는 광고정보를 광고주로부터 수주하여 저장하고, 광고정보 전송부(43)는 상기 광고를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30)에 전송한다.
노출정보 수신부(44)는 상기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부터 광고노출 시간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광고노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통화정보 수신부(45)는 상기 인터넷폰 서버로부터 가입자 정보와 통화료를 포함하는 통화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광고노출 정보와 통화정보를 수신하면, 광고비 정산부(46)는 사용자가 등록 한 가입자의 통화료를 사용자에게 노출된 광고의 광고비의 일부로 대납하되, 대납하는 통화료는 사용자의 광고노출시간에 비례하도록 한다.
광고는 광고주로부터 수주한다. 광고주가 인터넷 상에서 광고 서버 시스템(40)에 직접 접속하여 광고 콘텐츠를 직접 업로드 할 수도 있다. 또, 광고주로부터 오프라인 상으로 광고 콘텐츠를 받아 관리자가 입력할 수 있다.
앞서 본 바와 같이, 상기 광고 콘텐츠는 동영상, 사진, 음악, 텍스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콘텐츠이다. 상기 광고 정보는 광고를 하는 지역 범위에 대한 지역정보를 포함한다. 즉, 지역정보는 특정의 한 지점을 정하기보다는 어느 지역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범위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광고정보 관리부(42)는 광고주로부터 광고 콘텐츠를 입력받으면서 광고비에 대한 정보를 함께 입력받는다. 광고비는 광고주가 광고 콘텐츠를 노출하는 대가로 광고 시스템 관리자에게 지불하는 비용이다.
광고비의 책정방식은 광고노출에 비례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전화통화를 한 통화 할 때마다 광고노출이 발생하고 통화료가 과금된다. 즉, 통화횟수만큼 광고노출이 비례하고 통화료도 비례한다. 과금된 통화료의 전부 또는 일부를 광고비로 대납해야 하므로, 광고노출에 비례하여 광고비가 책정하는 것은 합리적이다. 그러나 광고비 책정방식은 서비스 정책이므로, 정액방식이나 종량방식 또는 그 두 방식을 혼합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광고가 노출된 정보는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30)으로부터, 통화료에 대한 정보는 인터넷폰 서버(20)로부터 수신한다. 수신된 광고노출 정보와 통화료 정보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에 대한 통화료를 정산한다.
즉, 광고비 정산부(46)는 각 사용자의 통화료를 사용자에게 노출된 광고의 광고비의 일부로 대납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납하는 통화료는 사용자의 광고노출시간에 비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광고가 출력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화면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전화통화를 하기 위하여 전화번호를 입력할 때의 차량 내비게이션 화면이다. 차량 내비게이션이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제작된 것이면, 도 4a와 같이 전화번호 버튼이 있고, 상기 버튼을 누름으로써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이때도 전화번호 판 좌측 또는 우측에 광고 콘텐츠를 내보낼 수 있다.
도 4b는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 콘텐츠가 노출되는 차량 내비게이션 화면이다.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화연결상태를 내비게이션 화면 상단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전화연결이 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화면과 음성출력장치에는 광고 콘텐츠가 노출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노출을 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방법을 도 5에 따라 설명한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방법은 (a) 상기 차량 내비게이션에 설치된 인터넷폰의 사용자에 대한 가입자 정보를 상기 광고서버 시스템에 등록하는 단계(S10); (b) 광고 콘텐츠와 광고비를 포함하는 광고정보를 광고주로부터 수주하여 상기 광고서버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S20); (c) 상기 광고를 상기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S30); (d) 상기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이 인터넷폰의 호접속 명령을 받으면, 상기 호접속 명령을 인터넷폰 서버에 송신할 때부터 호접속 완료신호를 받을 때까지 광고 콘텐츠를 상기 내비게이션에 출력하고, 통화연결상태를 이미지로 상기 내비게이션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S40); (e) 상기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이 광고노출 시간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광고노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광고 서버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단계(S50); (f) 상기 광고 서버 시스템이 상기 인터넷폰 서버로부터 가입자 정보와 통화료를 포함하는 통화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60); (g) 사용자가 등록한 가입자의 통화료를 사용자에게 노출된 광고의 광고비의 일부로 대납하되, 대납하는 통화료는 사용자의 광고노출시간에 비례하도록 하는 단계(S7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광고 콘텐츠는 동영상, 사진, 음악, 텍스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콘텐츠이다.
한편, 상기 (b)단계에서 상기 광고 정보는 상기 광고의 지역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d)단계에서, 상기 차량의 운행위치와 광고의 지역정보가 일치하는 광고를 선정하여 출력한다.
또, 상기 (b)단계에서 상기 광고 정보는 상기 광고주의 전화번호를 더 포함 하고, 상기 (d)단계에서, 통화가 종료되면 출력된 광고의 업체 전화번호를 내비게이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전화번호가 표시된 상태에서 통화명령을 입력받으면, 상기 광고주의 전화번호로 호접속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노출을 한다.
상기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노출을 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방법에 대한 설명 중 미흡한 부분은 상기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시스템에 대한 설명을 참고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인터넷폰을 설치하고, 통화 대기 중 또는 통화중에 광고를 출력하여 인터넷폰을 무료로 서비스하는 차량의 내비게이션 장치에 적용이 가능하다. 특히, 차량의 위치에 따라 차량 근처의 음식점 등 지역광고를 통화 대기 중 또는 통화중에 광고를 함으로써, 광고효과를 극대화시키는 차량의 내비게이션 장치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노출을 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시스템 및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노출을 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노출을 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서버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광고가 출력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노출을 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차량 11 : 기지국
12 : 인터넷 13 : 이동통신망
14 : PSTN 15 : 전화 단말기
20 : 인터넷폰 서버 30 :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
31 : 인터넷폰 단말부 32 : 광고관리부
36 : 광고 송출부 37 : 제어부
38 : 메모리 39 : 위치 확인부
40 : 광고서버 시스템 41 : 가입자 관리부
42 : 광고정보 관리부 43 : 광고정보 전송부
44 : 노출정보 수신부 45 : 통화정보 수신부
46 : 광고비 정산부
50 : 데이터베이스 51 : 가입자정보 DB
52 : 광고정보 DB 53 : 노출정보 DB

Claims (14)

  1. 차량 내비게이션에 장착되고,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구비하고,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광고서버 시스템 및 인터넷폰 서버와 접속하는,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노출을 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폰 서버와 접속하여 인터넷폰 클라이언트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폰 단말부;
    상기 광고서버 시스템에 접속하여 광고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광고노출 정보를 송신하는 광고관리부;
    광고 콘텐츠의 영상을 상기 내비게이션 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광고 콘텐츠의 음성 또는 통화음성을 상기 내비게이션의 음성출력장치에 출력하고, 상기 광고에 대하여 광고노출 정보를 저장하는 광고송출부;
    상기 저장된 광고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광고를 선정하여, 인터넷 폰의 호접속 요청신호를 인터넷폰 서버에 송신할 때부터 호설정 신호를 받을 때까지 상기 광고의 광고 콘텐츠를 상기 광고송출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노출을 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인터넷 폰의 호접속 요청신호를 인터넷폰 서버에 송신할 때부터 호설정 신호를 받을 때까지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는 동시에, 통화연결상태를 이미지로 상기 내비게이션 화면의 일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노출을 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상태연결 이미지는,
    발신전화단말과 착신전화단말의 이미지가 표시되고, 상기 이미지 사이에 표시되는 연결선이 상기 발신전화단말에서 착신전화단말로 연결되는 동적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노출을 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콘텐츠는,
    동영상, 사진, 음악, 텍스트 중 어느 하나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노출을 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차량의 운행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확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고관리부는 상기 광고 콘텐츠와 함께 상기 광고의 지역정보를 다운로드 받고,
    상기 제어부는 광고의 지역정보에 상기 차량의 운행위치를 포함하는 광고를 선정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노출을 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관리부는 상기 광고 콘텐츠와 함께 상기 광고주의 전화번호를 다운로드 받고,
    상기 제어부는 통화가 종료되면 출력된 광고의 업체 전화번호를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인터넷폰 단말부는 내비게이션 화면에 광고주의 전화번호가 표시된 상태에서 통화명령을 입력받으면, 상기 광고주의 전화번호로 호접속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노출을 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
  7.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의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과 접속하고, 인터넷폰 서버와 연결하는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노출을 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서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비게이션에 설치된 인터넷폰의 사용자에 대한 가입자 정보를 등록하는 가입자 관리부;
    광고 콘텐츠와 광고비를 포함하는 광고정보를 광고주로부터 수주하여 저장하는 광고정보 관리부;
    상기 광고를 상기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에 전송하는 광고정보 전송부;
    상기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부터 광고노출 시간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광고노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노출정보 수신부;
    상기 인터넷폰 서버로부터 가입자 정보와 통화료를 포함하는 통화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통화정보 수신부;
    사용자가 등록한 가입자의 통화료를 사용자에게 노출된 광고의 광고비의 일부로 대납하되, 대납하는 통화료는 사용자의 광고노출시간에 비례하도록 하는 광고비 정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노출을 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서버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콘텐츠는,
    동영상, 사진, 음악, 텍스트 중 어느 하나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노출을 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서버 시스템.
  9. 인터넷폰 클라이언트와 함께 차량 내비게이션에 설치된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 무선인터넷을 통해 상기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과 연결되는 광고 서버 시스템 및 인터넷폰 서버를 이용하는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노출을 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차량 내비게이션에 설치된 인터넷폰의 사용자에 대한 가입자 정보를 상기 광고서버 시스템에 등록하는 단계;
    (b) 광고 콘텐츠와 광고비를 포함하는 광고정보를 광고주로부터 수주하여 상기 광고서버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광고를 상기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이 인터넷폰의 호접속 명령을 받으면, 상기 호접속 명령을 인터넷폰 서버에 송신할 때부터 호접속 완료신호를 받을 때까지 광고 콘텐츠를 상기 내비게이션에 출력하는 단계;
    (e) 상기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이 광고노출 시간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광고노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광고 서버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단계;
    (f) 상기 광고 서버 시스템이 상기 인터넷폰 서버로부터 가입자 정보와 통화료를 포함하는 통화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g) 사용자가 등록한 가입자의 통화료를 사용자에게 노출된 광고의 광고비의 일부로 대납하되, 대납하는 통화료는 사용자의 광고노출시간에 비례하도록 하는 단 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노출을 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인터넷 폰의 호접속 요청신호를 인터넷폰 서버에 송신할 때부터 호설정 신호를 받을 때까지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는 동시에, 통화연결상태를 이미지로 상기 내비게이션 화면의 일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노출을 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상태연결 이미지는,
    발신전화단말과 착신전화단말의 이미지가 표시되고, 상기 이미지 사이에 표시되는 연결선이 상기 발신전화단말에서 착신전화단말로 연결되는 동적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노출을 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클라이언트 시스템.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콘텐츠는,
    동영상, 사진, 음악, 텍스트 중 어느 하나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연 결 대기중 광고노출을 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광고 정보는 상기 광고의 지역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d)단계에서, 광고의 지역정보에 상기 차량의 운행위치를 포함하는 광고를 선정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노출을 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방법.
  14.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의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노출을 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80063775A 2008-07-02 2008-07-02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노출을 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037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775A KR20100003783A (ko) 2008-07-02 2008-07-02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노출을 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775A KR20100003783A (ko) 2008-07-02 2008-07-02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노출을 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783A true KR20100003783A (ko) 2010-01-12

Family

ID=41813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775A KR20100003783A (ko) 2008-07-02 2008-07-02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노출을 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37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2890A1 (ko) * 2011-09-23 2013-03-28 Kim Han Seok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선인터넷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2890A1 (ko) * 2011-09-23 2013-03-28 Kim Han Seok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선인터넷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87133B1 (ko) * 2011-09-23 2013-07-17 김한석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선인터넷 광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100515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lecommunications advertising
US20110096771A1 (en)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systems, methods, network elements and applications
US20070118592A1 (en) Method for the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exchange device and user station
EP1467581A2 (en) Authentication and non-interfering sms-messaging in gsm telephone communication
CN101335633A (zh) Ip多媒体子系统(ims)网络中的广告应用服务器
WO2002003672A1 (en) Phone appliance with display screen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JP2003535509A (ja) 電気通信広告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0907228B1 (ko) 문자 메세지 이용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EA011847B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уведомления о вызовах
US8886174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rvice provider awareness
JP4607423B2 (ja) ユーザ端末への情報伝送方法
US20070147343A1 (en) Voice communication system and a server apparatus
KR20100003783A (ko)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노출을 하는 차량 내비게이션의 광고시스템 및 그 방법
JP3570954B2 (ja) コマーシャル電話方式
WO2021213289A1 (zh) 呈现媒体内容的方法、系统及相关设备
KR20050047789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237905A (ja)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顧客サポート実施方法、情報提供方法、広告提供方法および情報登録方法
KR20050116685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47991A (ko) 통화 연결음을 이용한 광고관리서버
WO2007040225A1 (ja) 広告配信システム、広告配信サーバ、基地局、及び携帯端末装置
KR100627821B1 (ko) 발신 단말기에 발신 콘텐츠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및 시스템
JP2002165008A (ja) 情報配信システム
KR101105815B1 (ko)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측 단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8351970B2 (en) Method for extending a push to talk communication service
KR101927746B1 (ko) 종료 메시지 전송 서비스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