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3314U - 사용이 편리한 내부케이스를 가지는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사용이 편리한 내부케이스를 가지는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3314U
KR20100003314U KR2020080012532U KR20080012532U KR20100003314U KR 20100003314 U KR20100003314 U KR 20100003314U KR 2020080012532 U KR2020080012532 U KR 2020080012532U KR 20080012532 U KR20080012532 U KR 20080012532U KR 20100003314 U KR20100003314 U KR 2010000331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ase
inlay
case
folded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25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묵
Original Assignee
최영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묵 filed Critical 최영묵
Priority to KR20200800125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3314U/ko
Publication of KR201000033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31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이 편리한 내부케이스를 가지는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포장상자를 구성하는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내용물을 담도록 하는 내부케이스의 외측면 둘레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자의 외부케이스로부터 쉽게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외부케이스(100)와, 이 외부케이스(100)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내부케이스(200)와,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뚜껑부재(300)로 이루어진 포장상자(1)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200)는, 후지(厚紙)로 이루어진 속지(400)와; 상기 속지(400)의 외부면을 감싸는 외부 장식지(500);로 구성되고, 상기 속지(400)는, 바닥면(401)과, 이 바닥면(401)의 각 둘레부에 각각 접혀져서 경사지게 세워지는 경사면(402)(403)(404)(405)과, 상기 경사면(402)(403)(404)(405)으로부터 연장되어 수평되게 접혀지는 수평면(406)(407)(408)(409)과, 상기 수평면(406)(407)(408)(409)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수직하게 세워져 지지되는 지지면(410)(411)(412)(413)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외부 장식지(500)는, 상기 속지(400)의 바닥면(401)의 외부와 접하여 대응되는 저면(501)과, 이 저면(501)의 각 둘레부에 접혀져서 경사지게 세워지는 경사면(502)(503)(504)(505)과, 상기 경사면(502)(503)(504)(505)으로부터 연장되어 수평되게 접혀지는 수평면(506)(507)(508)(509)과, 상기 수평면(506)(507)(508)(509)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수직하게 세워져 지지되는 지지면(510)(511)(512)(513)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포장상자를 구성하는 내부케이스를 종이재로 하면서 각 측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외부케이스로부터의 분리시 보다 용이하게 분리가능하도록 한 잇점이 있도록 한 것이다.
포장상자, 경사면, 내부케이스, 편리, 용이, 종이

Description

사용이 편리한 내부케이스를 가지는 포장상자{A Package Box with Inner Case Using Easily}
본 고안은 사용이 편리한 내부케이스를 가지는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포장상자를 구성하는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내용물을 담도록 하는 내부케이스의 외측면 둘레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자의 외부케이스로부터 쉽게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상품을 내장한 다음 포장하는 포장상자는 대개 외부케이스와, 이 외부케이스안에 구비되는 내부케이스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여러가지 식품을 포장하는 포장상자인 경우, 종래에는 목재를 이용하여 내부케이스를 구성하여 식품을 내장하였다.
이와 같이 목재로 된 내부케이스는 통상적으로 사각형을 이루면서 내부에 수용공간부가 형성되고, 측면은 직각형태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외부케이스안에 내부케이스가 삽입된 다음, 다시 외부케이스로부터 분리하고자 할때에는 꺼내기가 매 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재질이 나무로 되어 있기때문에, 제품의 단가가 비싸고, 더욱이 통상적으로, 1회용으로 사용되는 포장상자의 특성상 내부케이스가 낭비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목재 대신에 종이재를 이용하여 제작한 포장상자가 있었으나, 이 또한 포장상자를 구성하는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케이스의 측면이 수직한 면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목재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외부케이스내로부터 분리시 불편한 문제점은 여전히 해결되지 못하였다.
또한, 상기 종이재의 포장상자는 내부케이스가 한겹으로만 형성되어서 다양한 색상 및 모양을 표현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았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고안된 것으로서, 내부케이스를 종이재로 하면서 내부케이스의 각 측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외부케이스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내부케이스를 2겹으로 구성하여 외부를 이루는 장식지를 통해 다양한 색상 및 모양을 자유롭게 표현하여 포장상자의 미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외부케이스와, 이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뚜껑부재로 이루어진 포장상자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는, 후지로 이루어진 속지와;
상기 속지의 외부면을 감싸는 외부 장식지;로 구성되고,
상기 속지는,
바닥면과, 이 바닥면의 각 둘레부에 각각 접혀져서 경사지게 세워지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수평되게 접혀지는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수직하게 세워져 지지되는 지지면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외부 장식지는,
상기 속지의 바닥면의 외부와 접하여 대응되는 저면과, 이 저면의 각 둘레부에 접혀져서 경사지게 세워지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수평되게 접혀지는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수직하게 세워져 지지되는 지지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경사면의 사이에는, 간격을 두고 절개부가 각각 형성되는 상기 각 수평면의 양 끝단부는 경사진 절단부를 형성하고, 이 절단부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는 각각 끼움돌기 및 끼움홈가 형성되어 서로 접었을때 끼워지도록 한 구조이다.
상기 지지면에는, 연장되어 속지의 바닥면에 지지되면서 부착되도록 하는 붙임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면의 양쪽 끝단부에는 붙임면이 형성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절개부에 접하는 위치인 경사면에는, 절개부를 막아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는 막힘면이 형성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수평면의 양쪽 끝단부는 경사져서 서로 접하는 절단부가 형성되어 서로 접었을때 접하도록 된 구조이다.
상기 수평면의 양쪽 끝단부는, 상기 속지의 수평면보다 연장되어서 접었을때, 덮어져서 부착되도록 하는 붙임부가 연장,형성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속지의 바닥면의 상부에는 별도의 외부 장식지를 구성하는 외부 바닥면이 구비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포장상자를 구성하는 내부케이스를 종이재로 하면서 각 측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외부케이스로부터의 분리시 보다 용이하게 분리가능하도록 한 잇점이 있다.
2) 종이재로 구성하므로, 가격이 저렴하여 1회용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친환경적으로 사용가능하다.
3) 내부케이스를 구성하는 외부 장식지는 다양한 색상 및 모양을 자유자재로 표현할 수 있어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포장상자(1)는 외부케이스(100)와 내부케이스(200) 및 뚜껑부재(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부케이스(200)는 전체적으로 종이재이고, 후지로 이루어진 속지(400)와, 이 속지(400)의 외부면을 감싸는 외부 장식지(50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속지(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을 이루는 바닥면(401)과, 이 바닥면(401)의 각 둘레부에 각각 접혀져서 경사지게 세워지는 경사면(402)(403)(404)(405)과, 이 경사면(402)(403)(404)(405)으로부터 연장되어 수평되게 접혀지는 수평면(406)(407)(408)(409)과, 상기 수평면(406)(407)(408)(409)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수직하게 세워져 지지되는 지지면(410)(411)(412)(413)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각 경사면(402)(403)(404)(405)의 사이에는 간격을 두고 절개부(414)가 각각 형성되는데, 이 절개부(414)는 삼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414)는 경사면(402)(403)(404)(405)을 접었을때, 서로 간섭되지 않고 접할 수 있도록 하는 여유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각 수평면(406)(407)(408)(409)의 양 끝단부는 경사진 절단부(406a)(407a)(408a)(409a)를 형성하고, 이 절단부(406a)(407a)(408a)(409a)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는 각각 끼움돌기(406b)(408b) 및 끼움홈(407b)(409b)이 형성되어 서로 접었을때 끼워지도록 한 구조이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장식지(500)는 상기 속지(400)와 디자인이 유사한 구조를 이루는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속지(400)의 바닥면(401)의 외부와 접하여 대응되는 저면(501)과, 이 저면(501)의 각 둘레부에 접혀져서 경사지게 세워지는 경사면(502)(503)(504)(505)과, 상기 경사면(502)(503)(504)(505)으로부터 연장되어 수평되게 접혀지는 수평면(506)(507)(508)(509)과, 상기 수평면(506)(507)(508)(509)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수직하게 세워져 지지되는 지지면(510)(511)(512)(513)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면(510)(511)(512)(513)에는 연장되어 속지(400)의 바닥면(401)에 지지되면서 부착가능한 붙임면(514)(515)(516)(51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면(510)(512)의 양쪽 끝단부에는 붙임면(510a)(512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부(414)에 접하는 위치인 경사면(502)(503)(504)(505)에는 절개부(414)를 막아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는 막힘면(518)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면(506)(507)(508)(509)의 양쪽 끝단부는 경사져서 서로 접하는 절단부(506a)(507a)(508a)(509a)가 형성되어 서로 접었을때 접하도록 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수평면(506)(508)의 양쪽 끝단부는, 상기 속지(400)의 수평면(406)(408)보다 연장되어서 접었을때, 덮어져서 부착되도록 하는 붙임부(506b)(508b)가 연장,형성된다.
또한, 상기 속지(400)의 바닥면(401)의 상부에는 별도의 외부 장식지(500)를 구성하는 외부 바닥면(520)이 구비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되어 있지만, 각종 식품류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소정 면적의 진열케이스(600)(610)가 내부케이스(200)안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진열케이스(600)(610)는 포장하고자 하는 내용물에 따라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내부 케이스(200)안에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내부케이스(200)를 구성하는 외부 장식지(500)는 다양한 색상은 물론, 표면에 여러가지 모양 등을 자유자재로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내부케이스(200)를 구성하는 속지(400) 및 외부장식지(500)는 정사각형으로 형성된 구조이다.
한편, 다른 예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이재로 된 후지의 속지(400)와 유사한 속지(700)가 구비될 수 있는데, 구체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사각형을 이루는 바닥면(701)과, 이 바닥면(701)의 각 둘레부에 각각 접혀져서 경사지게 세워지는 경사면(702)(703)(704)(705)과, 이 경사면(702)(703)(704)(705)으로부터 연장되어 수평되게 접혀지는 수평면(706)(707)(708)(709)과, 상기 수평면(706)(707)(708)(709)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수직하게 세워져 지지되는 지지면(710)(711)(712)(713)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각 경사면(702)(703)(704)(705)의 사이에는 간격을 두고 절개부(714)가 각각 형성되는데, 이 절개부(714)는 삼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714)는 경사면(702)(703)(704)(705)을 접었을때, 서로 간섭되지 않고 접할 수 있도록 하는 여유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면(707)(709)의 양 끝단부에는 각각 걸림턱(707a)(709a)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면(706)(708)의 양측에는 각각 절단선에 의해 걸림턱(706a)(708a)이 형성되어 조립시, 상기 걸림턱(707a)(709a)에 걸리도록 된 구조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예의 속지(7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하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데, 4면으로 이루어진 둘레면중에서 길이가 긴 2면에 해당되는 수평면(706)(708)의 폭(W1)이 나머지 2면에 해당되는 수평면(707)(709)의 폭(W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동일한 폭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이렇게 달리 형성함으로써 보는이로 하여금 미감적으로 좋은 느낌을 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속지(700)에 따른 외부장식지는 상기 외부장식지(500)와 구조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속지(400)는 정사각형으로 형성된 구조이지만, 속지(700)는 직사각형을 이루므로, 이에 맞추어서 외부장식지(500)도 직사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속지(400)의 4면에 걸쳐 형성되는 폭의 길이는 동일한 길이를 가지지만, 다른 예의 속지(700)의 폭(W1)(W2)의 길이는 서로 다르므로, 이에 맞추어서 외부장식지(500)도 구성되면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속지(400)를 접어서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둘레부를 소정 높이 세워지게 한 다음, 그 외부면 전체를 도 6에 도시된 구조의 외부 장식지(500)로 감싸서 부착시켜서 내부케이스(200)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속지(400)는 후지로 이루어져 있어 접혀진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고, 더욱이 접었을때, 각 모서리부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끼움홈(406b)(408b)과 끼움돌기(407b)(409b)가 형성되어 서로 끼워져 있기때문에, 1차적으로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그 외부로 외부 장식지(500)가 감싸질때, 지지면(510)(512)의 양쪽 끝단부에 연장,형성된 붙임면(510a)(512a)이 직각으로 인접한 지지면(511)(513)의 안쪽으로 삽입되며, 이때 붙임면(510a)(512a)의 한쪽에 양면테이프(도시되지 않음) 등을 이용하여 부착하면 된다.
또한, 수평면(506)(508)의 양쪽 끝단부에는 붙임부(506b)(508b)가 연장,형성 되어서 인접한 수평면(507)(509)의 안쪽으로 삽입되어 부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장식지(500)에는 삼각형을 이루는 막힘면(518)이 각 모서리부에 형성되어서 상기 속지(400)의 절개부(414)를 막아주도록 하여 깔끔한 느낌을 주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속지(400)의 접혀지는 수평면과 지지면으로 인해 경사면(402)(403)(404)(405)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는데, 이러한 경사면으로 인해 최종 포장상자를 완성한 경우, 소비자가 포장상자안에 구비된 내용물,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과류를 포장한 경우, 외부케이스(100)의 안쪽 둘레면을 약간 벌려서 외부케이스(100)안에 구비되는 내부케이스(200)의 간격을 약간 벌려서 꺼내면, 내부케이스(200)의 각 둘레는 상기 경사면(402)(403)(404)(405)으로 인해 공간부가 확보되어 간편하게 꺼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내부케이스(200)가 둘레면을 따라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부케이스(100)로 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별도로 비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보는이로 하여금 미감적으로 좋은 느낌을 줄 수 있다. 종래와는 달리 둘레면이 수직한 면이 아닌 경사면이므로, 밋밋한 인상을 주지 않고, 고급스러움을 제공해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속지(700)를 통해서도 실현가능한데, 상기 속지(700)는 직사각형을 이루면서 보다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속지(400)와 기본적으로 조립하는 과정은 유사하지만, 수 평면(706)(707)(708)(709)에 형성된 걸림턱(706a)(707a)(708a)(709a)끼리 서로 결합이 용이하여 전체적으로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은 편의상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내에서 여러가지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자명한 사실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포장상자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케이스의 구조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포장상자를 구성하는 내부케이스의 속지와 외부 장식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일부 절단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포장상자의 내부케이스를 이루는 속지의 전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포장상자의 내부케이스를 이루는 속지의 외부면을 감싸도록 하는 외부 장식지를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내부케이스의 한쪽 모서리부의 내부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내부케이스의 다른쪽 모서리부의 외부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내부케이스를 이루는 속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10은 도 9를 조립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포장상자안에 구비되는 내부케이스에 식품이 구비된 모습을 도시한 사용상태도로서, 뚜껑부재를 생략한 상태이다.
[도면의 부호설명]
W1,W2 : 폭
1 : 포장상자
100 : 외부케이스
200 : 내부케이스
300 : 뚜껑부재
400 : 속지
401 : 바닥면
402,403,404,405 : 경사면
406,407,408,409 : 수평면
406a,407a,408a,409a : 절단부
406b,408b : 끼움홈
407b,409b : 끼움돌기
410,411,412,413 : 지지면
414 : 절개부
500 : 외부 장식지
501 : 저면
502,503,504,505 : 경사면
506,507,508,509 : 수평면
506a,507a,508a,509a : 절단부
506b,507b,508b,509b : 붙임부
510,511,512,513 : 지지면
510a,512a : 붙임면
514,515,516,517 : 붙임면
518 : 막힘면
520 : 외부 장식 바닥면
600,610 : 진열케이스
700 : 속지
701 : 바닥면
702,703,704,705 : 경사면
706,707,708,709 : 수평면
710,711,712,713 : 지지면
714 : 절개부
706a,707a,708a,709a : 걸림턱

Claims (11)

  1. 외부케이스(100)와, 이 외부케이스(100)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내부케이스(200)와,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뚜껑부재(300)로 이루어진 포장상자(1)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200)는,
    속지(400)와;
    상기 속지(400)의 외부면을 감싸는 외부 장식지(500);로 구성되고,
    상기 속지(400)는,
    바닥면(401)과, 이 바닥면(401)의 각 둘레부에 각각 접혀져서 경사지게 세워지는 경사면(402)(403)(404)(405)과,
    상기 경사면(402)(403)(404)(405)으로부터 연장되어 수평되게 접혀지는 수평면(406)(407)(408)(409)과,
    상기 수평면(406)(407)(408)(409)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수직하게 세워져 지지되는 지지면(410)(411)(412)(413)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외부 장식지(500)는,
    상기 속지(400)의 바닥면(401)의 외부와 접하여 대응되는 저면(501)과, 이 저면(501)의 각 둘레부에 접혀져서 경사지게 세워지는 경사면(502)(503)(504)(505)과, 상기 경사면(502)(503)(504)(505)으로부터 연장되어 수평되게 접혀지는 수평면(506)(507)(508)(509)과, 상기 수평면(506)(507)(508)(509)으로부터 연장되 면서 수직하게 세워져 지지되는 지지면(510)(511)(512)(51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이 편리한 내부케이스를 가지는 포장상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경사면(402)(403)(404)(405)의 사이에는, 간격을 두고 절개부(414)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이 편리한 내부케이스를 가지는 포장상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수평면(406)(407)(408)(409)의 양 끝단부는 경사진 절단부(406a)(407a)(408a)(409a)를 형성하고, 이 절단부(406a)(407a)(408a)(409a)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는 각각 끼움돌기(406b)(408b) 및 끼움홈(407b)(409b)이 형성되어 서로 접었을때 끼워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이 편리한 내부케이스를 가지는 포장상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510)(511)(512)(513)에는, 연장되어 속지(400)의 바닥면(401)에 지지되면서 부착되도록 하는 붙임면(514)(515)(516)(51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이 편리한 내부케이스를 가지는 포장상자.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510)(512)의 양쪽 끝단부에는 붙임면(510a)(512a)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이 편리한 내부케이스를 가지는 포장상자.
  6.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414)에 접하는 위치인 경사면(502)(503)(504)(505)에는, 절개부(414)를 막아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는 막힘면(518)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이 편리한 내부케이스를 가지는 포장상자.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면(506)(507)(508)(509)의 양쪽 끝단부는 경사져서 서로 접하는 절단부(506a)(507a)(508a)(509a)가 형성되어 서로 접었을때 접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이 편리한 내부케이스를 가지는 포장상자.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면(506)(508)의 양쪽 끝단부는, 상기 속지(400)의 수평면(406)(408)보다 연장되어서 접었을때, 덮어져서 부착되도록 하는 붙임부(506b)(508b)가 연장,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이 편리한 내부케이스를 가지는 포장상자.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속지(400)의 바닥면(401)의 상부에는 별도의 외부 장식지(500)를 구성하는 외부 바닥면(52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이 편리한 내부케이스를 가지는 포장상자.
  10. 외부케이스(100)와, 이 외부케이스(100)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내부케이스(200)와,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뚜껑부재(300)로 이루어진 포장상자(1)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200)는, 속지(700)와; 상기 속지(700)의 외부면을 감싸는 외부 장식지(500);로 구성되고,
    상기 속지(700)는,
    바닥면(701)과, 이 바닥면(701)의 각 둘레부에 각각 접혀져서 경사지게 세워지는 경사면(702)(703)(704)(705)과, 이 경사면(702)(703)(704)(705)으로부터 연장되어 수평되게 접혀지는 수평면(706)(707)(708)(709)과, 상기 수평면(706)(707)(708)(709)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수직하게 세워져 지지되는 지지면(710)(711)(712)(713)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 경사면(702)(703)(704)(705)의 사이에는 간격을 두고 절개부(714)가 각각 형성되는 한편,
    상기 외부 장식지(500)는,
    상기 속지(400)의 바닥면(401)의 외부와 접하여 대응되는 저면(501)과, 이 저면(501)의 각 둘레부에 접혀져서 경사지게 세워지는 경사면(502)(503)(504)(505)과, 상기 경사면(502)(503)(504)(505)으로부터 연장되어 수평되게 접혀지는 수평면(506)(507)(508)(509)과, 상기 수평면(506)(507)(508)(509)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수직하게 세워져 지지되는 지지면(510)(511)(512)(51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이 편리한 내부케이스를 가지는 포장상자.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수평면(707)(709)의 양 끝단부에는 각각 걸림턱(707a)(709a)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면(706)(708)의 양측에는 각각 절단선에 의해 걸림턱(706a)
    (708a)이 형성되어 조립시, 상기 걸림턱(707a)(709a)에 걸리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이 편리한 내부케이스를 가지는 포장상자.
KR2020080012532U 2008-09-17 2008-09-17 사용이 편리한 내부케이스를 가지는 포장상자 KR2010000331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532U KR20100003314U (ko) 2008-09-17 2008-09-17 사용이 편리한 내부케이스를 가지는 포장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532U KR20100003314U (ko) 2008-09-17 2008-09-17 사용이 편리한 내부케이스를 가지는 포장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314U true KR20100003314U (ko) 2010-03-25

Family

ID=44198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2532U KR20100003314U (ko) 2008-09-17 2008-09-17 사용이 편리한 내부케이스를 가지는 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331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573Y1 (ko) * 2014-01-16 2014-12-11 김유창 포장상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573Y1 (ko) * 2014-01-16 2014-12-11 김유창 포장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19052B2 (ja) 部分的に露出されたブリスタートレイを有するブリスターパッケージ
CA2542872A1 (en) Support post with locking feature
KR100934457B1 (ko) 부피가 절반으로 축소되는 케익 포장 상자
KR20100003314U (ko) 사용이 편리한 내부케이스를 가지는 포장상자
US8870009B2 (en) Containers particularly for agricultural products
KR200476581Y1 (ko) 포장 상자용 덮개
KR101447279B1 (ko) 삼단 포장 상자
KR200481866Y1 (ko) 채반형 포장상자
KR200330213Y1 (ko) 포장물품을 진열하기 위한 종이상자
KR200394927Y1 (ko) 포장박스
KR101717436B1 (ko) 포장용 박스 및 포장용 박스 제작방법
JP3175928U (ja) 包装材
KR20100006304U (ko) 포장용 상자
KR200474604Y1 (ko) 포장상자
KR200428409Y1 (ko) 손잡이를 구비하는 포장용 상자
KR102643001B1 (ko) 포장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
KR200476651Y1 (ko) 포장상자용 덮개
KR200447488Y1 (ko) 다층 포장 상자
KR100737437B1 (ko) 포장상자
KR20150001954U (ko) 식품 포장용 파우치
KR200240045Y1 (ko) 농산물용 포장상자
KR101843524B1 (ko) 포장상자
JP3105406U (ja) 果実包装用紙箱
KR200326202Y1 (ko) 수납상자 어셈블리
KR200328665Y1 (ko) 면류의 포장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